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북구 (부산)

위키원
(부산 북구에서 넘어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부산광역시 북구 구기
파일:부산광어역시 북구 위치.png
부산광역시 북구 위치
부산광역시 북구청

북구(北區)는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북서부에 있는 구이다. [1]

개요[편집]

부산광역시의 북서부, 경도상으로는 동경 128˚ 59' 25"~129˚ 04' 20", 위도상으로는 북위 35˚ 11' 07"~35˚ 16' 37"에 위치한다. 동쪽으로는 금정구동래구, 서쪽으로는 강서구와 경남 김해시, 남쪽으로는 사상구부산진구, 북쪽으로는 경남 양산시와 접한다. 동서 간 거리는 6.7㎞, 남북 간 거리는 8.9㎞이며, 면적은 39.37㎢로 부산시 전체 면적의 5.1%를 차지하여 16개 구·군 가운데 6번째로 넓다. 행정구역은 13행정동(5법정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금곡동이 전체 면적의 20.6%를 차지하여 가장 크고 덕천 3동이 전체 면적의 2.4%로 가장 작다. 인구는 2023년 6월을 기준하여 276,684명이다.

구를 상징하는 꽃은 철쭉꽃, 나무는 팽나무, 새는 까치이다. 구를 대표하는 캐릭터는 거북을 모티브로 하여 북구의 무궁한 발전과 구민의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아 가슴에 북구를 상징하는 '북(北)' 자를 새긴 정감 있는 모습으로 의인화한 '우리 친구 북이'이다. 구청 소재지는 구포동이다.

구포동, 덕천동, 만덕동 3개의 동이 차례대로 개발되었고 90년대 말부터 화명신도시가 개발됨에 따라 화명동, 금곡동 일대가 아파트촌으로 탈바꿈했다. 모든 도시가 그러하듯 구도심에 해당되는 구포, 덕천은 북구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지만 연식이 오래된 건물과 재건축한 아파트가 혼재되어 있는 편이다. 그 이후 개발된 만덕의 경우 주택촌으로 형성된 구만덕과 아파트촌으로 형성된 신만덕으로 나뉘어 있었는데 구만덕의 경우 재개발로 아파트 촌으로 바뀌었다.

가장 위쪽에 위치한 금곡동은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그 아랫쪽 화명동은 대동화명대교를 통해 김해시, 산성터널로 금정구, 그 밑에 있는 덕천동은 남해고속도로로 강서구 대저동과 맞닿아 있으며, 그 밑에 구포동은 구포대교를 통해 강서구 대저동과 맞닿아 있다. 만덕동은 제1 만덕터널과 제2 만덕터널을 통해 동래구와 연결된다. 그리고 오르막길이 정말 많다.

북구에 있는 몇몇 시설이나 가게는 구포동이 아니라도 구포라는 이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특히나 덕천교차로 상권이 구포 지점와 덕천지점의 이름이 혼재되어 있으며 구포와 덕천의 경계선이기도 하고 시외 관점으로 보는 경우 덕천보다 구포로 더 유명하기에 삼성전자서비스 구포지점 등 대기업 지점으로 구포지점이라 많이 사용된다. 이것은 옛날 북구 전체가 동래군 구포 읍이었기 때문이다. 이게 어느정도냐면 부산 현지인들도 북구 산다고 하면 어디쯤이더라 하고 잘 떠올리질 못하는데 구포 쪽 산다 하면 대부분 알아듣는다.[2][3]

자연환경[편집]

동부 지역은 금정 산맥이 북에서 남으로 이어 달리면서 금정산·백양산 등의 산지를 이루며 비교적 험준하다. 서쪽에는 낙동강이 북에서 남으로 흐르고 있어 하안에 퇴적지형을 형성하며, 인공제방이 축조되어 있다. 금정 산지낙동강으로 이어지는 부분에는 산록 완사면과 계곡이 형성되어 있다. 남쪽에 있는 만덕고개는 부산의 동래구와 서부 부산을 잇는 주요 교통로이다.

백양산과 금정산이 부산진구, 금정구와의 경계를 이룬다. 화명동에 소재한 상학봉(上鶴峰)은 금정산 봉우리의 하나로, 해발 산 정상에 서면 낙동강은 물론 멀리 김해평야와 김해시가 한눈에 바라다 보이는 경관이 수려한 산봉우리이다. 구포동에 소재한 범방산은 구포초등학교 뒤쪽에서 모라동쪽 구포도서관에 이르는 백양산의 줄기 중 하나이다. 호방산 또는 범바위산으로도 불린다.

만덕동에 소재한 만덕고개는 해발 290m에 있는 고개로 금정 산맥의 북동부 상계봉과 백양산 사이의 교통로이다. 지명은 인근의 만덕사에서 유래되었다. 원래 지명은 기비현이었다. 금정산맥에 이르는 산록에는 많은 계곡이 발달되었다. 구포동에 소재한 박수골은 대리천 하구에서 구포시장터를 지나 서쪽을 향해 낙동강변으로 넘어가는 골이다. 지명은 고갯길에 있는 화강암이 오랜 세월 동안 풍화작용을 받아 모래처럼 부스러지기 쉬운 썩돌로 되어 있는 데서 유래되었다. 이외에 사당골, 비석골, 도둑골, 음정골 등이 있다.

북구 내 서부에는 낙동강이 흐르고 금정산맥 산지에서 발원한 여러 계류천이 낙동강 좌안으로 유입된다. 이중 대표적인 하천은 화명동에 소재한 대천천이다. 대천천은 금정산에서 발원하여 산성마을인 금성동을 관류하다가 남서쪽으로 낙동강 본류에 유입하는 계류천이다. 길이 3.5㎞로 화명천으로도 불린다. 상류와 중류는 급경사이나 하류인 대천마을에 이르면 갑자기 경사가 완만해진다. 이때문에 대천천은 예부터 집중호우시에 자주 범람하였다. 중류 계곡인 산성골은 수려한 암반과 그 위로 흐르는 맑은 물, 그리고 웅덩이와 작은 폭포가 이어지면서 뛰어난 경관을 자랑하고 있다.

구포동에는 대치천이 흐른다. 구포 일대의 주거밀집지역 및 시가지를 관류하는 도시하천으로 구포천으로도 불린다. 유로의 연장이 3.22㎞의 준용하천이다. 하폭은 대부분 7∼12m 정도로 협소하여 호우 때 유수가 범람하여 저지대가 침수되어 자연재해를 입기도 한다.

낙동강 하류에 위치하고 바다에 가까워 기온의 연교차가 적은 온대해양성기후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겨울철에는 동남에 금정산맥이 이어져 있어 경계하고 있는 금정구와 약간의 기온차이를 보인다. 봄철에는 이동성 저기압의 영향으로 강수량이 많으며 여름, 가을철에는 태풍 경로상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아 풍수해을 입기도 한다. 연평균기온은 14.9°C, 8월 평균기온 25.2°C, 1월 평균기온 2.8°C로 비교적 온화한 편이고, 연중 강수량은 1386.5㎜이다. 상대습도 59.9%, 평균풍속은 3.1㎧ 이다.[4]

역사[편집]

금곡동의 율리 마을에서 신석기시대의 조개무지와 빗살무늬토기·간돌도끼·돌살촉 등이 발굴되어 선사시대에 북구 지역에 사람이 거주하였던 유적 및 유물이 확인된다. 삼한시대와 삼국시대 초기에는 변한(弁韓) 연맹체에 속하는 거칠산국(居漆山國)의 영역이었다가 신라에 병합된 뒤에는 삽량주(揷良州, 지금의 경남 양산시)를 거쳐 양주(良州)에 속하였다. 고려시대에 양주(良州)는 양주(梁州)로 개칭되었으며, 983년(성종 2) 경주목 양주군(梁州郡)을 거쳐 1022년(현종 13) 경상도 양주군으로 개편되었다.

조선 시대에 양주군은 양산군(梁山郡)으로 개칭되었으며, 지금의 북구 지역은 동래부(東萊府) 서면에 속하였던 만덕동 일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경상도 양산군 좌이면(左耳面)의 영역이었다. 선조 때 양산군 좌이면은 11개 리(공창리·남창리·대천리·동원리·사량리·산양리·소요리·수정리·와석리·용당리·유도리)를 관할하였는데, 이 가운데 남창리·사량리가 지금의 구포동에 해당하고, 공창리·동원리는 금곡동, 대천리·수정리·용당리·와석리는 화명동, 신양리는 덕천동 지역에 해당한다. 1869년(고종 6) 좌이면은 양산군에서 동래부로 이속되었다가 1875년(고종 12) 양산군으로 환원되었고, 1896년(고종 33) 부산부에 편입되었다가 이듬해에 양산군으로 환원되었다. 한편, 지금의 만덕동 지역은 동래부 서면에 속하였으며, 후에 서면이 서상면과 서하면으로 나뉘어 서하면에 속하였다.

1910년 국권 피탈과 함께 동래부가 부산부(釜山府)로 개편되었으며, 좌이면은 양산군에서 부산부로 이관되었다. 1914년 부·군·면 통폐합에 따라 부산부에서 동래 군이 분리되면서 좌이면과 서하면 만덕리 지역이 병합되어 동래군 구포면(구포리·금곡리·금성리·덕천리·만덕리·화명리)이 되었고, 1943년 구포면이 구포읍으로 승격되었다. 8·15광복 후, 1949년 부산부가 부산시로 개편되었고, 1957년 부산시에 구제(區制)가 실시되어 동구·동래구·부산진구·서구·영도구·중구의 6개 구가 설치되었다. 1963년 부산시가 직할시로 승격되면서 동래군 구포읍과 사상면이 부산진구에 편입되어 이들 지역을 관할하는 구포출장소와 사상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75년 구포출장소와 사상출장소가 통합되어 부산시 직할의 북부출장소가 설치되었으며, 1978년 북부출장소가 북구로 승격되면서 경남 김해군의 대저읍·가락면·명지면 일원이 북구로 편입되어 강서출장소(강동동·대저1~2동·명지동)가 설치되었다. 신설된 북구는 17개 행정동(감전동·강동동·괘법동·구포동·금곡동·대저1~2동·덕천동·덕포동·만덕동·명지동·모라동·삼락동·엄궁동·주례동·학장동·화명동)으로 편제되었으며, 몇 차례의 분동을 거쳐 21개 행정동으로 확대되었다가 1984년 강서출장소가 부산시 직할 출장소로 개편되고 덕천동이 덕천1~2동으로 분동되어 18개 행정동으로 축소되었다.

1989년 강서출장소가 강서구로 승격되어 분리되었고, 이후 여러 차례의 분동을 거쳐 25개 행정동으로 확대되었다가 1995년 14개 행정동(감전 1~2동·괘법동·덕포 1~2동·모라 1~3동·삼락동·엄궁동·주례 1~3동·학장동)이 분리되어 사상구가 신설되면서 북구는 11개 행정동(구포 1~3동·금곡동·덕천 1~3동·만덕 1~3동·화명동)으로 재편되었다. 2003년에는 화명동이 화명 1~3동으로 분동되어 13개 행정동으로 정비되었다. 2020년을 기준하여 행정구역은 13행정동(구포 1~3동·금곡동·덕천 1~3동·만덕 1~3동·화명 1~3동) 5법정동(구포동·금곡동·덕천동·만덕동·화명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산업[편집]

농업은 낙동강 하천 부지에서 시설농업이 이루어진다. 이 하천 부지는 인공제방을 축조하면서 형성된 부지로 소유권은 부산시에 있다. 농민은 매년 일정 금액을 지불하고 농지를 경작한다. 토질이 매우 비옥하며, 금정 산맥의 산록에서 국지적으로 텃밭 농사가 이루어진다.

한편 사상 공업단지가 발달해 있는 지역이 사상구로 분리되어 나감으로써, 종전의 공업단지지역이 주거지역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제조업체의 생산활동은 부진하다. 주요 업종은 신발, 화학·섬유, 철강·기계 등이며, 신발 산업의 침체와 인력난 등으로 대부분 영세성을 면치 못하고 있다. 상업기능은 구포역와 덕천로터리 주변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특히 구포는 조선 시대 낙동강 수운과 동래를 잇는 포구로 각종 산물이 집산되던 곳이었다. 지금도 구포 시장에는 3·8일에 김해·양산 일대의 보부상과 노점상·소비자들이 모여 정기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매달 3일과 8일에 열리는 장날이 되면, 노점상들이 늘어나면서 시장은 주변 지역으로 확대된다. 5일장은 일출에서 일몰까지 열린다.

상인의 규모는 계절에 따라 꽤 차이가 있으나, 평균 1,500∼2,000명 정도 규모이다. 김해·양산·밀양·창원 등 경상도 상인뿐만 아니라 경북·전남 지역 상인 등 전국의 상인이 모인다. 주거래 품목은 농산물·수산물·해산물 등을 비롯하여 공산품, 일용품, 잡화 등이 중심이다.

구포장의 이름이 처음 나타나는 것은 1871년에 간행된 『영남읍지』이다. 이 읍지에 보면, 구포장은 3·8일장으로 읍내장(2·7일), 좌 수영장(5·10일), 부산장(4·9일), 독지장(1·6일)과 함께 동래 지역의 5일장 체계를 이루고 있다. 구포는 1905년 경부선 철도가 개통되기 이전까지는 물산의 중요한 집산지이며 교역지였다.

교통[편집]

부산 서북부의 관문 역할을 하는 교통 요충지로서 도로 교통남해고속도로(고속국도 10호선)가 전남 영암군 학산면을 기점으로 경남 지역과 부산시 강서구를 거쳐 북구 구포동까지 이어지고, 김해시를 기점으로 하는 부산외곽 순환고속도로(고속국도 600호선)가 북구 북단의 금곡동 외곽을 거쳐 기장군까지 이어진다. 주요 간선 도로는 사하구 신평동을 기점으로 하는 강변 대로가 낙동강변을 따라 사상구를 거쳐 북구 금곡동까지 이어지고, 덕천 나들목에서 남해고속도로와 접속한다. 이밖에 서구 서대신동을 기점으로 사하구·사상구를 거쳐 구포동까지 이어지는 낙동대로, 덕천동을 기점으로 만덕터널을 거쳐 동래구 온천동까지 이어지는 만덕대로를 비롯하여 낙동북로(강서구 강동동~구포동)·백양대로(부산진구 부암동~덕천동)·구만덕로(만덕동~동래구 온천동)·서낙동로(강서구 봉림동~화명동)·사상로(사상구 주례동~구포동)·금곡대로(덕천동~금곡동)와 화명대로·산성로·구남로·덕천로·삼락천로·의성로·학사로 등이 북구의 내·외곽을 연결한다.

철도는 1905년 구포역이 영업을 개시하여 서울~부산을 잇는 경부선이 운행하였으며, 1999년에는 화명역이 영업을 개시하였다. 구포역에서 KTX 와 ITX 새마을호·무궁화호가 정차하고 화명역에서 무궁화호 일부 열차가 정차한다. 지하철은 1999년에 개통한 부산도시철도 2호선이 해운대구의 장산역을 기점으로 북구의 구남역~구명역~덕천역~수정역~화명역~율리역~동원역~금곡역을 거쳐 경남 양산시의 양산역까지 운행하고, 2005년에 개통한 도시철도 3호선이 수영구의 수영역을 기점으로 북구의 만덕역~남산정역~숙등역~덕천역~구포역을 거쳐 강서구의 대저역까지 운행한다. 덕천역에서 2호선과 3호선이 접속한다.

관광[편집]

낙동강과 금정산·백양산을 비롯한 천혜의 자연경관과 선사시대부터 유구한 역사를 간직한 문화유산 등 관광자원이 풍부하다. 구포동에는 구포장터에서 일어났던 3·1 독립만세운동을 기리는 구포 만세거리가 구포역에서 구포 시장까지 조성되어 있다. 구포 만세거리에는 구포장터 3·1운동 기념비와 만세운동과 관련한 벽화들이 장식되어 있으며, 일제강점기부터 한국전쟁까지 어려운 시절을 견디던 서민들의 소중한 끼니가 되어 주었던 구포국수를 체험할 수 있는 구포 국수체험관, 만세 인형 만들기 등을 체험할 수 있는 문화예술플랫폼이 조성되어 있으며, 문화관광형 시장으로 지정된 구포시장에서 풍성한 먹거리·볼거리와 함께 전통시장의 흥취를 더하는 5일 장이 열려 관광객을 모은다. 이밖에 구포동에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구포동 당숲, 배 모양의 독특한 외관으로 눈길을 끄는 구포성당, 구포 어린이 교통공원과 법 교육테마파크로 조성된 부산 솔로몬파크 등이 있다.

화명동에는 낙동강 하류를 따라 연꽃단지·수생식물원·야외수영장·산책로·선착장과 체육시설, 다양한 수상 레포츠를 즐길 수 있는 화명 수상 레포츠타운, 낙동강의 경관을 감상하며 야영을 즐길 수 있는 화명 오토 캠핑장 등이 연계되는 화명생태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이밖에 숲전시실·전시 온실·숲속 동물 마을·숲속도서관 등을 갖춘 화명수목원, 봄이면 50여 종의 장미가 만발하는 화명동 장미원, 기후변화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부산기후변화체험관, 여름이면 피서객의 발길이 이어지는 대천천 애기소, 경부선 철길을 따라 덕천에서 금곡까지 숲속 산책로가 이어지는 화명기찻길 등의 명소가 있다.

이밖에 만덕동의 명소로는 고려 때 대가람(大伽藍)이 조성되었던 만덕사지(부산기념물)와 만덕사지 당간지주(부산유형문화재), 아름다운 풍광과 국내 사찰 중 가장 규모가 큰 마애불상군으로 알려진 석불사(石佛寺), 가을이면 약 1㎞에 걸쳐 거리를 온통 노랗게 물들이는 은행나무길, 알록달록한 지붕과 오밀조밀하게 나란히 들어찬 집들이 장난감 블록 레고를 연상시키는 레고마을, 음식 특화 거리인 만덕 민속 오리 불고기 단지 등이 있다. 덕천동의 명소로는 임진왜란 때 일본군이 축조한 석성(石城)으로서 낙동강과 김해·양산이 한눈에 들어오는 구포 왜성(부산기념물), 부산의 손꼽히는 번화가인 덕천역을 중심으로 독특한 분위기의 맛집·카페와 상점들이 즐비한 젊음의 거리 등이 있으며, 금곡동의 율리 바위 그늘 유적(부산기념물)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산지의 바위를 중심으로 형성된 패총 유적으로 꼽힌다.

둘레길은 부산의 시조(市鳥)인 갈매기와 길을 합성하여 명명한 갈맷길 9개 코스 21개 구간 가운데 사하구의 낙동강 하굿둑을 기점으로 북구의 구포역에 이르는 6코스 1구간(13.2㎞)과 구포역을 기점으로 사상구의 운수사를 거쳐 부산진구의 성지곡수원지에 이르는 2구간(23㎞), 구포역을 기점으로 화명생태공원~화명수목원을 거쳐 금정구의 금정산성 동문에 이르는 3구간(11.3㎞)이 북구에 속한다. 금곡동과 화명동에 걸쳐 낙동강과 금정산의 풍광을 즐기며 걷는 가람 낙조길(10.6㎞)이 조성되어 있으며, 화명수목원·대천천·금정산성·율리 바위그늘유적 등의 명소와 연계된다.

문화행사 및 축제[편집]

2011년 '낙동강 문화대축제'가 시작되어 2012년 '낙동강 1300리 구포나루대축제'를 거쳐 2015년 지금의 '낙동강 구포 나루축제'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낙동강 구포나루축제는 매년 5월 중에 화명생태공원 일원에서 사흘간 개최되어 구포 나루 재현, 밀 이삭을 불에 구워 먹는 밀사리 체험과 구포의 명물인 구포국수 만들기 체험, 줄뗏목·황포돛배·모터보트 등의 수상 체험을 비롯한 다양한 체험 프로그 램과 전시·공연 등이 펼쳐진다. 1993년에 시작된 낙동민속예술제가 매년 10월 중에 화명생태공원 일원에서 열려 풍물놀이·사물놀이와 구포동 대리마을에서 전승하는 구포 대리 지신밟기, 낙동강 제방 쌓기와 감동진 별신굿 재현, 학생 사생대회 등의 행사가 진행된다. 이밖에 1999년부터 매년 3월에 구포장터 3·1 만세운동 재현 행사가 열린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북구 (부산광역시)〉, 《위키백과》
  2. 북구〉, 《네이버 지식백과》
  3. 북구 (부산광역시)〉, 《나무위키》
  4. 북구(부산광역시)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질문.png 이 문서는 로고 수정이 필요합니다.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북구 (부산) 문서는 한국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