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도매상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도매상(都賣商)은 상품을 재판매하거나 산업용 및 업무용으로 구입하려는 재판매업자(reseller)나 기관구매자(institutional buyer)에게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인 또는 유통기구를 말한다.

개요[편집]

도매업소비자에 대한 판매, 즉 소매를 제외한 모든 거래를 포함하나, 협의로는 소매상을 대상으로 하는 판매행위만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도매상은 거래 범위 및 영업방법 또는 그 기능에 따라 흔히 다음과 같이 분류되고 있다. 도매상이란 소매상을 비롯한 판매업자 혹은 산업, 상업, 관공서공공기관 등의 사용자에게 상품을 판매하는 상업기관으로 매매 이외에 보관, 금융, 위험부담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매상은 생산자에 대한 그 판매기관으로 판매에 따르는 여러 가지 불편을 덜어주고 판매 경비를 절약하게 하고 금융상의 원조를 주며, 생산품의 장기저장을 대행한다. 또한 소매상에 대해서는 구입원가를 저렴하게 하고 구입 업무를 간편하게 한다. 금융적인 원조나 그 밖의 조언을 주며, 대량 재고를 여러 소매상에게 분배함으로써 가격 변동이나 유행의 변화에서 오는 위험을 부담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이러한 도매상은 거래 범위, 영업 방법 또는 그 기능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분류되지만, 일반적으로 대리상, 1차도매상, 2차도매상, 산지(産地)도매상, 종합상사 등으로 요약하여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도매상은 생산자에 대하여는 판매의 편의 제공, 판매경비의 절감과 금융상의 원조, 생산품의 장기저장 대행 등을 수행한다. 한편 재판매업자 및 기관구매자에 대하여는 구입가격의 저렴화와 구입업무의 간소화, 대량의 재고품을 분배함으로써 가격변동이나 유행의 변동 등에서 오는 위험부담 등의 기능을 발휘한다.[1][2]

도매상과 소매상의 차이점[편집]

도매상은 물건을 사서 다시 재판매를 하거나, 사업을 목적으로 구매하는 사람들에게 상품을 파는데 관련된 모든 활동을 하는 상인을 말한다. 사전에서의 뜻을 살펴보면 '생산자에게 대량으로 재화를 사들여 소비자에게 팔기보다는 다른 분배자, 즉 소매상에게 물건을 파는 일을 하는 사람'이라고 정의가 되어 있다. 제조업자나 도매상도 소비자에게 직접 물건을 판매할 수 있으나, 그것을 소매상이라고 할 수는 없다. 소매상은 연간 판매액의 반액 이상을 소비자에게 판매하고 있는 기업을 말한다. 또 이 상점을 위주로 소매활동이 이루어질 때 이 점포를 소매점이라고 하는 것이다. 이 이외에도 소매활동은 전화나 우편, 또는 자동판매기와 같은 방법으로도 판매가 되기도 하며, 소비자의 집에서 이루어진다. 즉 도매상과 소매상의 차이는 유통관계에서 차이가 있으며 공급자 --> 도매상 --> 소매상 --> 소비자를 비롯한 이러한 유통단계를 거쳐서 소비자들에게 물건이 공급이 되는 것이다.[3]

도매상 관련 기사[편집]

  • 한국인이 즐겨먹는 수산물인 명태 수입량이 작년 대비 70%가량이나 늘었지만, 되레 명태 가격은 약 10% 오른 것으로 확인됐다. 통상 시중에 풀리는 양이 늘면 가격이 내려가지만, 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명태 수급량이 불안정해지자 도매상들 간 경쟁으로 소비자 가격도 일시적으로 상승한 것으로 분석된다. 2022년 4월 12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수산업 관측센터에 따르면 지난달 명태 수입량은 4만 8637t으로 2월(3만 7482t) 대비 약 30% 증가했다. 지난달 수입량은 작년(2만 8805t)과 평년 같은 시기(3만 16t)와 비교해보면 각각 69%, 62% 많은 것으로 확인돼 증가세는 더 뚜렷하다. 원양어업 휴어기로 원양 명태 생산량이 없는 데다, 국적선 생산 명태의 반입 기간이 끝난 것을 고려한다 하더라도 작년과 평년에 비해 수입량이 많은 편이다.[4]
  • NHN글로벌은 B2B(기업간) 마켓플레이스 '패션고'를 이용하는 글로벌 도매상이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대비 약 50%, 개인사업자는 70% 이상 급증했다고 2022년 4월 12일 밝혔다. 패션고는 글로벌 도매상과 개인 리테일(소매) 사업자를 연결하는 이커머스 플랫폼이다. NHN은 자체 AI 기술로 구축한 '스타일 매치 플러스' 기능이 패션고 성장을 이끌었다고 분석했다. 이는 브랜드나 상품명을 몰라도 이미지로 상품을 검색하는 기술이다. 원하는 상품의 재고가 없을 땐 유사 상품을 추천해준다. 개인사업자가 주문을 전달하면 도매상이 재고관리와 배송을 담당하는 '드롭쉬핑' 서비스도 인기다. 개인사업자는 제품을 대량 사입하지 않아도 돼 비용과 물류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패션고는 클릭 한 번으로 드롭쉬핑 주문을 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했다. 패션고는 2020년 8월부터 온라인 패션 무역박람회 '패션고 위크'를 진행하고 있으며 2022년 5월엔 미국 캘리포니아 팜스프링스에서 첫 오프라인 박람회를 오픈할 예정이다.[5]

각주[편집]

  1. 도매〉, 《위키백과》
  2. 도매상 -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3. 주식회사 바이바이, 〈도매상과 소매상의 차이와 기능〉, 《네이버 블로그》, 2014-06-27
  4. 박혜랑 기자, 〈명탯값 왜 오르는가 했더니… 도매상 물량 확보 경쟁 탓〉, 《부산일보》, 2022-04-12
  5. 윤지혜 기자, 〈북미로 뻗는 NHN글로벌 '패션고' 이용자 70% 늘었다〉, 《머니투데이》, 2022-04-12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도매상 문서는 유통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