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화이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지도)
잔글 (같이 보기)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화이허강의 사진.jpg|썸네일|400픽셀|화이허강]]
+
[[파일:화이허강의 사진.jpg|썸네일|400픽셀|화이허]]
'''화이허강'''<!--화이허 강-->(淮河{{발음|淮河}})중국 화중(華中) 지방을 흐르는 강이다. 허난성(河南省) 남쪽 끝 퉁보산(桐柏山 {{발음|桐柏山}})에서 시작하여 장쑤성(江蘇省{{발음|江蘇省}})의 훙쩌호(洪澤湖)를 지나 대운하(大運河)로 흘러든다.  
+
 
 +
'''화이허'''(淮河, {{발음|淮河}})중국 [[화중지방]]을 흐르는 [[강 (자연)|강]]이다. '''화이허강'''<!--화이허 강--> 또는 '''회수'''(淮水)라고도 부른다. 화이허는 중국 [[허난성]](河南省) 남쪽 끝 퉁보산(桐柏山 {{발음|桐柏山}})에서 시작하여 [[장쑤성]](江蘇省{{발음|江蘇省}})의 [[훙쩌호]](洪澤湖)를 지나 [[대운하]](大運河)로 흘러든다.  
 
   
 
   
 
==개요==
 
==개요==
* '''화이허강'''중화인민공화국의 강이다. 이 강은 남쪽의 장강(長江), 북쪽의 황하(黃河)와 함께 3대하(三大河)로 불린다. 한국말 독음으로 회하라고도 하며, 옛날에는 '하(河)'라는 말이 '황하'를 가리키는 고유명사였으므로 회수(淮水)라고 불렸다. 이 하의 [[하류]]는 평탄한 저지대를 지나고 있어 물길이 복잡하기 때문에 홍수를 일으키기 쉽고 치수가 매우 어렵다. 이 때문에 '괴하'(壊河)라고도 불린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9%94%EC%9D%B4%ED%97%88  화이허]〉, 《위키백과》</ref>     
+
* '''화이허'''중화인민공화국의 강이다. 이 강은 남쪽의 [[장강]](長江), 북쪽의 [[황하]](黃河)와 함께 3대하(三大河)로 불린다. 한국말 독음으로 '회하'라고도 하며, 옛날에는 '하(河)'라는 말이 '황하'를 가리키는 고유명사였으므로 회수(淮水)라고 불렸다. 이 하의 [[하류]]는 평탄한 저지대를 지나고 있어 물길이 복잡하기 때문에 홍수를 일으키기 쉽고 치수가 매우 어렵다. 이 때문에 '괴하'(壊河)라고도 불린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9%94%EC%9D%B4%ED%97%88  화이허]〉, 《위키백과》</ref>     
  
* '''화이허강'''중국 동부 화북(華北)지구와 화동(華東)지구의 경계를 흐르는 강이다. 길이 약 1,100km. 허난성 ·후베이성[湖北省]의 경계에 있는 퉁바이[桐柏]산맥에서 발원하여 허난성 남부, 안후이성(安徽省) 북부를 동류하다가 홍허강(洪河) ·잉허강(潁河) ·궈허강(渦河) ·콰이허강(澮河) ·탕허강(唐河) 등을 합류하여 홍쩌호(洪澤湖)로 흘러 들어간다. 송대(宋代) 이전에 화이허강은 화이인(淮陰)을 지나 황해로 유입하던 독립된 [[하천]]이었으나, 1194년에 황허강(黃河]이 범람하면서 하도(河道)가 바뀌어 일부의 물이 화이허강으로 유입하였고, 다시 1286년에는 황허강이 완전히 화이허강 하류부를 빼앗아 전체의 물을 화이허강 하도로 쏟아넣음으로써 황허강에 실려오는 진흙 때문에 하상(河床)이 높아져서 화이허강은 배수불능 상태가 되었고, 그 물이 합류점에서부터 상류에 체류하게 되었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58625  화이허강 淮河(회하)]〉, 《두산백과》</ref>   
+
* '''화이허'''중국 동부 [[화북지구]]와 [[화동지구]]의 경계를 흐르는 강이다. 길이 약 1,100km. 허난성 ·후베이성[湖北省]의 경계에 있는 퉁바이[桐柏]산맥에서 발원하여 허난성 남부, 안후이성(安徽省) 북부를 동류하다가 홍허강(洪河) ·잉허강(潁河) ·궈허강(渦河) ·콰이허강(澮河) ·탕허강(唐河) 등을 합류하여 홍쩌호(洪澤湖)로 흘러 들어간다. 송대(宋代) 이전에 화이허는 화이인(淮陰)을 지나 황해로 유입하던 독립된 [[하천]]이었으나, 1194년에 황하(黃河)가 범람하면서 하도(河道)가 바뀌어 일부의 물이 화이허로 유입하였고, 다시 1286년에는 황하가 완전히 화이허 하류부를 빼앗아 전체의 물을 화이허 하도로 쏟아넣음으로써 황하에 실려오는 진흙 때문에 하상(河床)이 높아져서 화이허는 배수불능 상태가 되었고, 그 물이 합류점에서부터 상류에 체류하게 되었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58625  화이허강 淮河(회하)]〉, 《두산백과》</ref>   
  
 
==변하==
 
==변하==
* 변하(汴河)는 중국의 황허강(黃河)과 화이허강(淮河)를 연결하는 운하(運河)이다. 수(隋)나라 양제(煬帝) 때 개통하였다. 당시는 통제거(通濟渠) 또는 어하(御河)라 하였으며 당나라 때는 광제거(廣濟渠)라고도 불렀다. 뤄양(洛陽)과 카이펑(開封)의 중간 지점인 허인(河陰)에서 황허강으로부터 갈라져 남동쪽으로 향하면서 카이펑 ·상추[商邱] 등을 거쳐 쉬치(盯眙)에 이르러 화이허강과 합류한다. 남동 방면의 물자를 국가의 수도로 운반하는 대동맥이었으며, 양제는 강기슭을 따라 도로를 내고, 버드나무를 심는 한편 40여 곳에 이궁(離宮)을 지어 배를 타고 그곳을 자주 찾았다. 당나라의 이익(李益)이 지은 《변하곡(汴河曲)》, 백낙천(白樂天)의 《수제류(隋堤柳)》 등은 수양제 시절을 읊은 것이다.
+
* [[변하]](汴河)는 중국의 황허강(黃河)과 화이허(淮河)를 연결하는 운하(運河)이다. 수(隋)나라 양제(煬帝) 때 개통하였다. 당시는 통제거(通濟渠) 또는 어하(御河)라 하였으며 당나라 때는 광제거(廣濟渠)라고도 불렀다. 뤄양(洛陽)과 카이펑(開封)의 중간 지점인 허인(河陰)에서 황허강으로부터 갈라져 남동쪽으로 향하면서 카이펑 ·상추[商邱] 등을 거쳐 쉬치(盯眙)에 이르러 화이허강과 합류한다. 남동 방면의 물자를 국가의 수도로 운반하는 대동맥이었으며, 양제는 강기슭을 따라 도로를 내고, 버드나무를 심는 한편 40여 곳에 이궁(離宮)을 지어 배를 타고 그곳을 자주 찾았다. 당나라의 이익(李益)이 지은 《변하곡(汴河曲)》, 백낙천(白樂天)의 《수제류(隋堤柳)》 등은 수양제 시절을 읊은 것이다.
  
 
==잉허강==
 
==잉허강==
* 잉허강(穎河)은 중국 중동부를 흐르는 화이허강(淮河) 최대의 [[지류]]이다. 길이 500km. 허난성(河南省) 중부의 덩펑현(登封縣)에서 발원하여 남동쪽으로 흘러 안후이성(安徽省)의 정양관(正陽關)에서 화이허강과 합류한다. 상수이현(商水縣)부터 하류를 사허강(沙河)이라고 하며 내륙수로로 이용되고 있다. 예전에는 이따금 범람하였으나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 화이허강 치수사업의 일부로서 상류에 바이사(白沙)댐이 건설되었다.
+
* [[잉허강]](穎河)은 중국 중동부를 흐르는 화이허(淮河) 최대의 [[지류]]이다. 길이 500km. 허난성(河南省) 중부의 덩펑현(登封縣)에서 발원하여 남동쪽으로 흘러 안후이성(安徽省)의 정양관(正陽關)에서 화이허와 합류한다. 상수이현(商水縣)부터 하류를 사허강(沙河)이라고 하며 내륙수로로 이용되고 있다. 예전에는 이따금 범람하였으나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 화이허 치수사업의 일부로서 상류에 바이사(白沙)댐이 건설되었다.
  
 
==화베이와 화난의 경계==  
 
==화베이와 화난의 경계==  
19번째 줄: 20번째 줄:
  
 
==쑤베이운하==  
 
==쑤베이운하==  
* 쑤베이운하(蘇北運河)는 중국 장쑤성(江蘇省)에 있는 운하로 길이 170km이며 훙쩌호(洪澤湖)에서 동쪽으로 흘러 황해로 유입한다. 화이허강(淮河)의 물을 직접 바다로 내보내고, 대운하 동쪽의 알칼리 토양지대의 염분 제거와 관개를 위해 1951년 10월에 착공하여 1952년 04월에 완공하였다. 훙쩌호의 동안에 있는 가오량젠(高良澗)에 취수(取水) 수문이 있고, 화이안(淮安)에서 대운하와 교차한다.  
+
* 쑤베이운하(蘇北運河)는 중국 장쑤성(江蘇省)에 있는 운하로 길이 170km이며 훙쩌호(洪澤湖)에서 동쪽으로 흘러 황해로 유입한다. 화이허(淮河)의 물을 직접 바다로 내보내고, 대운하 동쪽의 알칼리 토양지대의 염분 제거와 관개를 위해 1951년 10월에 착공하여 1952년 04월에 완공하였다. 훙쩌호의 동안에 있는 가오량젠(高良澗)에 취수(取水) 수문이 있고, 화이안(淮安)에서 대운하와 교차한다.  
  
 
* 쑤베이운하의 교차지점에는 큰 수문들과 제수(制水) 밸브가 있어 수량을 조절하며, 북서쪽의 롄윈강(連雲河)으로 흐르는 윈옌강(運鹽河)으로 물길을 내준다. 주운하는 푸닝(阜寧)을 거쳐 빈하이(濱海) 동쪽의 류둬(大垛)에서 바다로 흘러 나간다. 이곳에 바닷물의 역류를 막는 수문이 있다.
 
* 쑤베이운하의 교차지점에는 큰 수문들과 제수(制水) 밸브가 있어 수량을 조절하며, 북서쪽의 롄윈강(連雲河)으로 흐르는 윈옌강(運鹽河)으로 물길을 내준다. 주운하는 푸닝(阜寧)을 거쳐 빈하이(濱海) 동쪽의 류둬(大垛)에서 바다로 흘러 나간다. 이곳에 바닷물의 역류를 막는 수문이 있다.
  
==화이허강의 수로==  
+
==화이허의 수로==  
 
* 화이허는 허난성의 동백산, 로아차에 원류를 출발한다. 허난성, 안후이성, 장쑤성의 3개의 성을 통과하여, 중간에 장수성의 홍택호라고 하는 중국 네 번째의 거대한 [[담수호]]를 형성한다. 다시 일부는 여기서 갈라져 황해에 흘러 들어가고, 나머지는 산장영으로 [[장강]]에 유입된다. 원류에서 하구까지의 낙차는 불과 200m에 지나지 않는다.  
 
* 화이허는 허난성의 동백산, 로아차에 원류를 출발한다. 허난성, 안후이성, 장쑤성의 3개의 성을 통과하여, 중간에 장수성의 홍택호라고 하는 중국 네 번째의 거대한 [[담수호]]를 형성한다. 다시 일부는 여기서 갈라져 황해에 흘러 들어가고, 나머지는 산장영으로 [[장강]]에 유입된다. 원류에서 하구까지의 낙차는 불과 200m에 지나지 않는다.  
  
 
* 홍하구로부터 홍택호의 출구인 중도까지가 중류에서 길이 49km, 낙차는 16m가 된다. 중도에서 산장영의 장강 유입 지점까지는 150km로, 낙차는 6m밖에 되지 않는다. 또 워허(渦河), 샤허(沙河), 홍허(洪河) 등 화북평야의 황하에서 남쪽을 흐르는 강은 천정천인 황하에 합류할 수 없기 때문에, 남쪽으로 흘러 화이허의 [[지류]]가 되었다. 이러한 강에는 옛날 황하 주류였던 하도(河道)를 흐르는 강도 있다.
 
* 홍하구로부터 홍택호의 출구인 중도까지가 중류에서 길이 49km, 낙차는 16m가 된다. 중도에서 산장영의 장강 유입 지점까지는 150km로, 낙차는 6m밖에 되지 않는다. 또 워허(渦河), 샤허(沙河), 홍허(洪河) 등 화북평야의 황하에서 남쪽을 흐르는 강은 천정천인 황하에 합류할 수 없기 때문에, 남쪽으로 흘러 화이허의 [[지류]]가 되었다. 이러한 강에는 옛날 황하 주류였던 하도(河道)를 흐르는 강도 있다.
  
==화이허강의 물길의 변화와 치수==
+
==화이허의 물길의 변화와 치수==
 
* 화이허의 물길은 격렬하게 변화해 왔다. 일찍이 화이허는 오늘의 장쑤성 북부를 지나 황해로 흘러 들어가고 있었다. 그러나 1194년 발해만의 북쪽으로 흐르고 있던 황하가 남쪽으로 방향을 틀어 화이허 하도에 합류하게 되어, 화이허는 황하의 흐름의 힘에 밀리게 되었다. 황하가 퇴적한 토사가 높게 쌓였기 때문에 화이허가 역류해 넘쳐 홍택호를 형성해, 많은 토지나 마을이 수몰되었다. 홍택호에 모인 물은 남쪽으로 천천히 흘러, 몇 개의 호수를 만든 뒤 장강으로 합류하게 되었다.  
 
* 화이허의 물길은 격렬하게 변화해 왔다. 일찍이 화이허는 오늘의 장쑤성 북부를 지나 황해로 흘러 들어가고 있었다. 그러나 1194년 발해만의 북쪽으로 흐르고 있던 황하가 남쪽으로 방향을 틀어 화이허 하도에 합류하게 되어, 화이허는 황하의 흐름의 힘에 밀리게 되었다. 황하가 퇴적한 토사가 높게 쌓였기 때문에 화이허가 역류해 넘쳐 홍택호를 형성해, 많은 토지나 마을이 수몰되었다. 홍택호에 모인 물은 남쪽으로 천천히 흘러, 몇 개의 호수를 만든 뒤 장강으로 합류하게 되었다.  
 
   
 
   
36번째 줄: 37번째 줄:
  
 
== 지도 ==
 
== 지도 ==
{{지도|화이허강}}
+
{{화이허 행정 지도|800}}
 +
{{지도|화이허}}
 +
{{다단2
 +
|{{중국 강 지도}}
 +
|
 +
}}
 
{{다단2
 
{{다단2
 
|{{중국 중남지구 행정 지도}}
 
|{{중국 중남지구 행정 지도}}
46번째 줄: 52번째 줄:
 
}}
 
}}
  
==동영상==  
+
== 동영상 ==  
 
<youtube>xDfAayAVQOE</youtube>  
 
<youtube>xDfAayAVQOE</youtube>  
 
<youtube>fW29hcVltlA</youtube>  
 
<youtube>fW29hcVltlA</youtube>  
54번째 줄: 60번째 줄:
 
{{각주}}
 
{{각주}}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https://namu.wiki/w/%EA%B0%95  강]〉, 《나무위키》
 
* 〈[https://namu.wiki/w/%EA%B0%95  강]〉, 《나무위키》
 
* 〈[https://namu.wiki/w/%ED%9A%8C%ED%95%98  회하]〉, 《나무위키》
 
* 〈[https://namu.wiki/w/%ED%9A%8C%ED%95%98  회하]〉, 《나무위키》
 
* 〈[https://ko.wikipedia.org/wiki/%ED%99%94%EC%9D%B4%ED%97%88  화이허]〉,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D%99%94%EC%9D%B4%ED%97%88  화이허]〉, 《위키백과》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58625  화이허강 淮河(회하)]〉, 《두산백과》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58625  화이허강 淮河(회하)]〉, 《두산백과》
* 뉴스핌,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5379097&memberNo=12175785&vType=VERTICAL  14억 대륙인의 젖줄 7대 하천과 강]〉, 《네이버포스트》, 2019-09-18
+
* 뉴스핌,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5379097&memberNo=12175785&vType=VERTICAL  14억 대륙인의 젖줄 7대 하천과 강]〉, 《네이버 포스트》, 2019-09-18
* 한라산,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nhs9323&logNo=220935495332  중국 남북의 경계 '화이허강']〉, 《네이버블로그》, 2017-02-14
+
* 한라산,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nhs9323&logNo=220935495332  중국 남북의 경계 '화이허강']〉, 《네이버 블로그》, 2017-02-14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호수]]
 
* [[하천]]
 
 
* [[중국]]
 
* [[중국]]
* [[황허]]
+
* [[황하]]
 
* [[황해]]
 
* [[황해]]
 
* [[허난성]]
 
* [[허난성]]
73번째 줄: 77번째 줄:
 
* [[후베이성]]
 
* [[후베이성]]
  
{{세계지리|검토 필요}}
+
{{:동아시아 같이 보기}}
 +
 
 +
{{세계의 강|검토 필요}}

2024년 2월 18일 (일) 00:52 기준 최신판

화이허

화이허(淮河, huái hé)는 중국 화중지방을 흐르는 이다. 화이허강 또는 회수(淮水)라고도 부른다. 화이허는 중국 허난성(河南省) 남쪽 끝 퉁보산(桐柏山 tóng bǎi shān)에서 시작하여 장쑤성(江蘇省jiāng sū shěng)의 훙쩌호(洪澤湖)를 지나 대운하(大運河)로 흘러든다.

개요[편집]

  • 화이허는 중화인민공화국의 강이다. 이 강은 남쪽의 장강(長江), 북쪽의 황하(黃河)와 함께 3대하(三大河)로 불린다. 한국말 독음으로 '회하'라고도 하며, 옛날에는 '하(河)'라는 말이 '황하'를 가리키는 고유명사였으므로 회수(淮水)라고 불렸다. 이 하의 하류는 평탄한 저지대를 지나고 있어 물길이 복잡하기 때문에 홍수를 일으키기 쉽고 치수가 매우 어렵다. 이 때문에 '괴하'(壊河)라고도 불린다.[1]
  • 화이허는 중국 동부 화북지구화동지구의 경계를 흐르는 강이다. 길이 약 1,100km. 허난성 ·후베이성[湖北省]의 경계에 있는 퉁바이[桐柏]산맥에서 발원하여 허난성 남부, 안후이성(安徽省) 북부를 동류하다가 홍허강(洪河) ·잉허강(潁河) ·궈허강(渦河) ·콰이허강(澮河) ·탕허강(唐河) 등을 합류하여 홍쩌호(洪澤湖)로 흘러 들어간다. 송대(宋代) 이전에 화이허는 화이인(淮陰)을 지나 황해로 유입하던 독립된 하천이었으나, 1194년에 황하(黃河)가 범람하면서 하도(河道)가 바뀌어 일부의 물이 화이허로 유입하였고, 다시 1286년에는 황하가 완전히 화이허 하류부를 빼앗아 전체의 물을 화이허 하도로 쏟아넣음으로써 황하에 실려오는 진흙 때문에 하상(河床)이 높아져서 화이허는 배수불능 상태가 되었고, 그 물이 합류점에서부터 상류에 체류하게 되었다.[2]

변하[편집]

  • 변하(汴河)는 중국의 황허강(黃河)과 화이허(淮河)를 연결하는 운하(運河)이다. 수(隋)나라 양제(煬帝) 때 개통하였다. 당시는 통제거(通濟渠) 또는 어하(御河)라 하였으며 당나라 때는 광제거(廣濟渠)라고도 불렀다. 뤄양(洛陽)과 카이펑(開封)의 중간 지점인 허인(河陰)에서 황허강으로부터 갈라져 남동쪽으로 향하면서 카이펑 ·상추[商邱] 등을 거쳐 쉬치(盯眙)에 이르러 화이허강과 합류한다. 남동 방면의 물자를 국가의 수도로 운반하는 대동맥이었으며, 양제는 강기슭을 따라 도로를 내고, 버드나무를 심는 한편 40여 곳에 이궁(離宮)을 지어 배를 타고 그곳을 자주 찾았다. 당나라의 이익(李益)이 지은 《변하곡(汴河曲)》, 백낙천(白樂天)의 《수제류(隋堤柳)》 등은 수양제 시절을 읊은 것이다.

잉허강[편집]

  • 잉허강(穎河)은 중국 중동부를 흐르는 화이허(淮河) 최대의 지류이다. 길이 500km. 허난성(河南省) 중부의 덩펑현(登封縣)에서 발원하여 남동쪽으로 흘러 안후이성(安徽省)의 정양관(正陽關)에서 화이허와 합류한다. 상수이현(商水縣)부터 하류를 사허강(沙河)이라고 하며 내륙수로로 이용되고 있다. 예전에는 이따금 범람하였으나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 화이허 치수사업의 일부로서 상류에 바이사(白沙)댐이 건설되었다.

화베이와 화난의 경계[편집]

  • 화이허와 친링산맥을 연결하는 친링-화이허선을 경계로 하여 중국의 남북으로 지리나 기상 조건 등이 달라 전통적으로 화베이(華北, 화북)와 화난(華南, 화남)의 경계선으로 여겨졌다. 친링-화이허선은 연간 강수량 1,000 mm의 선과 거의 일치해, 강수량이 적은 북쪽은 밀 중심의 밭농사 지대가, 강수량이 많은 남쪽은 쌀 중심의 논농사 지대가 형성되어 있다. 또 화이허의 남쪽은 하천 교통이, 북쪽은 육로 교통이 발달하여 남선북마(南船北馬)라는 말이 생겼다.
  • 옛날 제나라의 안자가 비유를 들어 인용했던 '귤화위지'(橘化爲枳)나 '남귤북지'(南橘北枳)라는 말은 '남쪽의 귤이 회수를 건너 북쪽으로 가면 탱자가 된다'는 뜻으로 춘추 시대부터 이미 중국 대륙의 남쪽과 북쪽의 지리적 경계가 회수(淮水, 화이허)였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농업 생산물이나 교통의 차이는 정책의 차이나 군사 부분에 많은 영향을 주어서, 중국이 남북으로 분열하고 있었던 시대는 화이허가 경계선이 되는 경우가 많다.

쑤베이운하[편집]

  • 쑤베이운하(蘇北運河)는 중국 장쑤성(江蘇省)에 있는 운하로 길이 170km이며 훙쩌호(洪澤湖)에서 동쪽으로 흘러 황해로 유입한다. 화이허(淮河)의 물을 직접 바다로 내보내고, 대운하 동쪽의 알칼리 토양지대의 염분 제거와 관개를 위해 1951년 10월에 착공하여 1952년 04월에 완공하였다. 훙쩌호의 동안에 있는 가오량젠(高良澗)에 취수(取水) 수문이 있고, 화이안(淮安)에서 대운하와 교차한다.
  • 쑤베이운하의 교차지점에는 큰 수문들과 제수(制水) 밸브가 있어 수량을 조절하며, 북서쪽의 롄윈강(連雲河)으로 흐르는 윈옌강(運鹽河)으로 물길을 내준다. 주운하는 푸닝(阜寧)을 거쳐 빈하이(濱海) 동쪽의 류둬(大垛)에서 바다로 흘러 나간다. 이곳에 바닷물의 역류를 막는 수문이 있다.

화이허의 수로[편집]

  • 화이허는 허난성의 동백산, 로아차에 원류를 출발한다. 허난성, 안후이성, 장쑤성의 3개의 성을 통과하여, 중간에 장수성의 홍택호라고 하는 중국 네 번째의 거대한 담수호를 형성한다. 다시 일부는 여기서 갈라져 황해에 흘러 들어가고, 나머지는 산장영으로 장강에 유입된다. 원류에서 하구까지의 낙차는 불과 200m에 지나지 않는다.
  • 홍하구로부터 홍택호의 출구인 중도까지가 중류에서 길이 49km, 낙차는 16m가 된다. 중도에서 산장영의 장강 유입 지점까지는 150km로, 낙차는 6m밖에 되지 않는다. 또 워허(渦河), 샤허(沙河), 홍허(洪河) 등 화북평야의 황하에서 남쪽을 흐르는 강은 천정천인 황하에 합류할 수 없기 때문에, 남쪽으로 흘러 화이허의 지류가 되었다. 이러한 강에는 옛날 황하 주류였던 하도(河道)를 흐르는 강도 있다.

화이허의 물길의 변화와 치수[편집]

  • 화이허의 물길은 격렬하게 변화해 왔다. 일찍이 화이허는 오늘의 장쑤성 북부를 지나 황해로 흘러 들어가고 있었다. 그러나 1194년 발해만의 북쪽으로 흐르고 있던 황하가 남쪽으로 방향을 틀어 화이허 하도에 합류하게 되어, 화이허는 황하의 흐름의 힘에 밀리게 되었다. 황하가 퇴적한 토사가 높게 쌓였기 때문에 화이허가 역류해 넘쳐 홍택호를 형성해, 많은 토지나 마을이 수몰되었다. 홍택호에 모인 물은 남쪽으로 천천히 흘러, 몇 개의 호수를 만든 뒤 장강으로 합류하게 되었다.
  • 1850년대에 황하는 다시 북쪽으로 흐름을 바꾸었지만, 화이허는 황하 옛 하도에 쌓인 토사로 형성된 자연제방 때문에 원래로 흘러 들어오지 못하고 남쪽으로 돌아 흘러 안후이성과 장쑤성 경계 부근에서 자주 범람을 반복했다. 1950년대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은 화이허 수계의 상류에 댐을 건설하고, 나무를 심어 하류의 배수로를 정비하였다. 특히 장쑤성 북부에 설치된 수로소북관개총거는 화이허 옛 하도를 따라 화이허의 물을 황해에 내보내고 있다.
  • 중국 중부의 중요한 하천인 화이허 수계는 황허와 창장의 중간에 위치하며, 허난성 퉁바이산(桐柏山)이 수계의 발원이다. 전체 길이는 1000km, 유역 면적은 26만㎢이며 허난, 안후이(安徽), 장수(江蘇), 산둥 등 전체 수계는 40여 개의 성시를 지난다. 남북 지류는 극히 비대칭적인 것이 특징이며, 그중 북안의 지류는 조금 더 많다. 화이허는 지리적으로 중요한 경계선으로 중국 평균 950mm의 등우량선도 화이허 주류를 따라 이뤄진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화이허〉, 《위키백과》
  2. 화이허강 淮河(회하)〉, 《두산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화이허 문서는 세계의 강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