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화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지도)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파일:송화강의 사진.jpg|썸네일|400픽셀|송화강(쑹화강)]] | [[파일:송화강의 사진.jpg|썸네일|400픽셀|송화강(쑹화강)]] | ||
− | '''송화강'''<!--쑹화강-->(松花江{{발음|松花江}})은 [[중국]] | + | |
+ | '''송화강'''<!--쑹화강-->(松花江{{발음|松花江}})은 [[중국]] 동북지방(東北)의 [[지린시]](吉林)와 [[헤이룽장성]](黑龍江) [[하얼빈시]]를 관류하는 [[하천]]이다. 중국어 발음에 따라 '''쑹화강'''이라고도 부른다. | ||
==개요== | ==개요== | ||
− | * '''송화강'''은 | + | * '''송화강'''은 [[만주어]]로는 '''숭가리강'''이라고 한다. 길이 약 1,960km로서, [[아무르강]](黑龍江)의 최대 [[지류]]이다. 송화강은 [[백두산]](白頭山)의 [[천지]](天池)에서 발원하여 북서쪽으로 흘러 중국 [[지린성]] 북서단의 싼차허(三岔河)에서 남류하는 [[눈강]](嫩江)을 합친 뒤 북동쪽으로 방향을 바꾼다. [[하얼빈시]](哈爾濱)를 거쳐 이란진(依蘭)에서 [[무단강]](牧丹江)을 합치고, 다시 [[자무쓰]](佳木斯)를 지나 [[헤이룽장성]] 북동단에서 본류(헤이룽강)에 합류한다. 상류부는 창바이산지(長白山地)를 흘러내리는데, 유역에 [[삼림]]이 무성하다. 산지 어귀에 축조된 펑만(豊滿)댐에 의해 조성된 [[쑹화호]](松花湖:저수용량 110억t)는 발전·관개·수운·양어 및 하류의 홍수조절 등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중·하류 유역은 [[동북평원]]의 북반부에 해당하는 중국 유수의 농업지대로, 대개는 [[흑토지대]]를 이루어 [[옥수수]]·[[수수]] 등 식량작물을 비롯한 [[콩]]·[[아마]]·[[사탕무]] 등의 [[주산지]]이다. [[습지]]가 많은 하류 쪽의 [[삼강평원]](三江)에서도 국영농장에 의한 [[개간]]이 추진되고 있다. 쑹화강은 둥베이 최대의 내륙수로로 하류는 하얼빈에서부터 기선의 항행이 가능하고, 그 [[상류]]도 지린까지 범선이 다닐 수 있어, 하얼빈이 수상교통의 중심지가 되고 있다. 그러나 겨울에는 결빙기간이 약 5개월이나 되어 배의 운항이 끊어지고 대신 썰매가 이용된다. 주된 수송물자는 농산물과 임산물이지만 연안에는 하얼빈 외에 지린 ·자무쓰 등 신흥공업도시가 있어 공업제품의 수송량도 적지 않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7905 쑹화강(松花江 송화강)]〉, 《두산백과》</ref> |
* '''송화강'''은 백두산 천지에서 발원한 강으로, [[아무르강]]의 가장 큰 [[지류]]이다. 한자어 발음에 따라 송화강이라고도 한다. 쑹화강은 둥베이에 자리 잡은 지린성과 헤이룽장성의 비옥한 둥베이 평원 북부를 관통한다. 강의 길이는 1,927km이다. 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5개월의 겨울 동안은 강이 얼어붙는 결점이 있으나, 아무르강에 비하면 결빙기가 짧기 때문에 수로(水路)의 항행 가치는 아무르강 본류에 비해 더 높다. 하얼빈이 기선 항행의 중심이며, 강물이 풍부한 시기에는 지린(吉林) 부근까지 작은 배의 운항이 가능하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91%B9%ED%99%94%EA%B0%95 쑹화강]〉, 《위키백과》</ref> | * '''송화강'''은 백두산 천지에서 발원한 강으로, [[아무르강]]의 가장 큰 [[지류]]이다. 한자어 발음에 따라 송화강이라고도 한다. 쑹화강은 둥베이에 자리 잡은 지린성과 헤이룽장성의 비옥한 둥베이 평원 북부를 관통한다. 강의 길이는 1,927km이다. 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5개월의 겨울 동안은 강이 얼어붙는 결점이 있으나, 아무르강에 비하면 결빙기가 짧기 때문에 수로(水路)의 항행 가치는 아무르강 본류에 비해 더 높다. 하얼빈이 기선 항행의 중심이며, 강물이 풍부한 시기에는 지린(吉林) 부근까지 작은 배의 운항이 가능하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91%B9%ED%99%94%EA%B0%95 쑹화강]〉, 《위키백과》</ref> | ||
59번째 줄: | 60번째 줄: | ||
* 뉴스핌,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5379097&memberNo=12175785&vType=VERTICAL 14억 대륙인의 젖줄 7대 하천과 강]〉, 《네이버포스트》, 2019-09-18 | * 뉴스핌,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5379097&memberNo=12175785&vType=VERTICAL 14억 대륙인의 젖줄 7대 하천과 강]〉, 《네이버포스트》, 2019-09-18 | ||
− | ==같이 보기== | + | == 같이 보기 == |
* [[호수]] | * [[호수]] | ||
* [[하천]] | * [[하천]] |
2024년 8월 20일 (화) 23:07 판
송화강(松花江sōng huā jiāng)은 중국 동북지방(東北)의 지린시(吉林)와 헤이룽장성(黑龍江) 하얼빈시를 관류하는 하천이다. 중국어 발음에 따라 쑹화강이라고도 부른다.
개요
- 송화강은 만주어로는 숭가리강이라고 한다. 길이 약 1,960km로서, 아무르강(黑龍江)의 최대 지류이다. 송화강은 백두산(白頭山)의 천지(天池)에서 발원하여 북서쪽으로 흘러 중국 지린성 북서단의 싼차허(三岔河)에서 남류하는 눈강(嫩江)을 합친 뒤 북동쪽으로 방향을 바꾼다. 하얼빈시(哈爾濱)를 거쳐 이란진(依蘭)에서 무단강(牧丹江)을 합치고, 다시 자무쓰(佳木斯)를 지나 헤이룽장성 북동단에서 본류(헤이룽강)에 합류한다. 상류부는 창바이산지(長白山地)를 흘러내리는데, 유역에 삼림이 무성하다. 산지 어귀에 축조된 펑만(豊滿)댐에 의해 조성된 쑹화호(松花湖:저수용량 110억t)는 발전·관개·수운·양어 및 하류의 홍수조절 등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중·하류 유역은 동북평원의 북반부에 해당하는 중국 유수의 농업지대로, 대개는 흑토지대를 이루어 옥수수·수수 등 식량작물을 비롯한 콩·아마·사탕무 등의 주산지이다. 습지가 많은 하류 쪽의 삼강평원(三江)에서도 국영농장에 의한 개간이 추진되고 있다. 쑹화강은 둥베이 최대의 내륙수로로 하류는 하얼빈에서부터 기선의 항행이 가능하고, 그 상류도 지린까지 범선이 다닐 수 있어, 하얼빈이 수상교통의 중심지가 되고 있다. 그러나 겨울에는 결빙기간이 약 5개월이나 되어 배의 운항이 끊어지고 대신 썰매가 이용된다. 주된 수송물자는 농산물과 임산물이지만 연안에는 하얼빈 외에 지린 ·자무쓰 등 신흥공업도시가 있어 공업제품의 수송량도 적지 않다.[1]
- 송화강은 백두산 천지에서 발원한 강으로, 아무르강의 가장 큰 지류이다. 한자어 발음에 따라 송화강이라고도 한다. 쑹화강은 둥베이에 자리 잡은 지린성과 헤이룽장성의 비옥한 둥베이 평원 북부를 관통한다. 강의 길이는 1,927km이다. 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5개월의 겨울 동안은 강이 얼어붙는 결점이 있으나, 아무르강에 비하면 결빙기가 짧기 때문에 수로(水路)의 항행 가치는 아무르강 본류에 비해 더 높다. 하얼빈이 기선 항행의 중심이며, 강물이 풍부한 시기에는 지린(吉林) 부근까지 작은 배의 운항이 가능하다.[2]
- 송화강은 백두산의 천지에 있는 비룡폭포에서 시작해 지린성, 헤이룽장성 지역을 흐르는 강이다. 중국어로는 '松花江(쑹화장)', 만주어로는 숭가리 울라(ᠰᡠᠩᡤᠠᡵᡳ ᡠᠯᠠ )이라고 하는데, 여기서 '숭가리'는 은하수를 뜻한다. 길이는 약 1,960km로 아무르강의 최대 지류이다. 송화강은 백두산의 천지에서 발원하여 북서쪽으로 흘러 지린성 북서단의 삼차하(三岔河)에서 남류 하는 눈강(嫩江)을 합친 뒤 북동쪽으로 유로를 바꾼다. 하얼빈을 거쳐 무단장에서 합치고, 다시 자무쓰(佳木斯)시를 지나 헤이룽장성 북동단에서 본류(아무르강)에 합류한다. 산지 어귀에 축조된 풍만(豊滿)댐에 의해 조성된 송화호(저수용량 110억t)는 발전, 관개, 수운, 양어 및 하류의 홍수 조절 등에 크게 기여한다. 주된 수송물자는 농산물과 임산물이지만 연안에는 하얼빈 외에 지린, 자무쓰 등 신흥 공업도시가 있어서 공업제품의 수송량도 적지 않다. 이 일대는 예맥족과 숙신계의 근거지였다. 고대 국가 부여의 근거지가 이 강 유역인 지린~창춘~눙안일대였고, 부여에서는 이 강을 엄리대수(奄利大水)라 불렀다. 주몽이 부여에서 남쪽 오녀산성으로 이주하면서 물고기와 자라의 도움으로 건넌 강이 바로 이 강이다. 금나라 시조 온얀 아쿠타가 활동하던 지역이며, 아이신기오로 누르하치가 여러 여진 세력을 침공해 하나로 병합한 지역이기도 하다.[3]
- 송화강은 요하(辽河, 랴오허), 하이허(海河, 해하), 황하(黃河, 황허), 화이허(淮河, 회하), 장강(长江, 창장), 주강 등과 함께 7대 수계의 하나로 만주어(满语)로는 백색(白色)의 강(江)이라는 의미를 지니는 흑룡강(黑龙江, 헤이룽장)의 최대 지류이다. 백두산 천지에서 발원하여 동남에서 서북으로 흐르며 헤이룽장성(黑龙江省)과 지린성(吉林省) 경계를 쑹위안시(松原市, 송원시) 북부에서 눈강(嫩江, 넌장)과 합류한 후 동북쪽으로 방향을 바꾼다. 길이는 2,308㎞이며 유역면적은 54.6만㎢이다. 주요 지류로 눈강(嫩江)을 제외하고도 후란허(呼兰河, 호란하), 무단장(牡丹江, 목단강), 탕왕허(汤旺河), 샤오링허(少陵河, 소릉하) 등이 있다. 유역을 지나는 도시로 하얼빈시, 자무쓰시(佳木斯市, 가목사시), 쑹위안시(松原市) 및 지린시(吉林市, 길림시)가 있다.
송화강에 놓여진 다리
- 송포대교(松浦大桥)
- 사환동장교(四环东江桥)
- 사환태대교(四环台大桥)
- 쑹화강대교(松花江大桥)
- 왕만철로교(王万铁路桥)
- 양명탄대교(阳明滩大桥)
- 쑹화강공로대교(松花江公路大桥)
송화호
- 중국 둥베이(東北) 지린성(吉林省)의 쑹화강(松花江) 상류에 있는 인공호이다. 호수면 면적 425㎢, 최대수심 77.5m, 저수량 108억㎥, 호수면 해발 266.5m이다. 중국 지린성 중부, 지린시(市) 남동부 및 융지(永吉)·쟈오허(蛟河)·화댄(樺甸) 등의 성(省)과 시 사이에 있는 쑹화강 상류에 위치한다. 지린시 남동쪽에 펑만(豊滿)댐을 건설함으로써 조성된 인공호수이다. 1937년 일본 자본으로 댐공사를 시작했으나 완공하지 못한 것을 중국 정권이 이어받아 1953년에 완공하였다. 호수에 딸린 펑만발전소는 63만kw의 출력 규모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무송(霧松)이 유명하며, 문화유적으로는 스룽비(石龍壁)·우후도(五虎島)· 워룽탄(臥龍潭)·아오타이(鰲臺) 등이 있다.
송화강의 생태환경
- 송화강은 중국 둥베이(東北) 지방에 있는 하천이다. 전체 길이 1,927㎞. 헤이룽강(黑龍江)의 지류로 백두산(白頭山)에서 발원하여 북서쪽으로 흐르다가 푸위 현(扶餘縣)에서 눈강(嫩江)과 합쳐지면서 쑹화강이 된다. 둥장 시(同江市)에서 헤이룽 강과 합쳐지는데 만주어로 '하늘의 강'이라는 뜻이다. 이 강은 11~4월까지 얼며, 헤이룽장 성(黑龍江省)에서 가장 넓은 평야 면적을 차지한다. 이곳에서는 옥수수가 많이 생산되며, 콩, 조 등도 생산되는데 최근에는 논농사도 이루어지고 있다. 하천 유역에는 한국인이 많이 거주하고 있는데 이 지역은 한국의 독립운동 역사와 관련이 깊다.
- 송화강은 길이 약 1,960km. 헤이룽강[黑龍江]의 최대 지류이다. 백두산(白頭山)의 천지(天池)에서 발원하여 북서쪽으로 흘러 지린성 북서단의 싼차허(三岔河)에서 남류하는 눈강(嫩江)을 합친 뒤 북동쪽으로 유로를 바꾼다. 하얼빈(哈爾濱)을 거쳐 이란(依蘭)에서 무단강(牧丹江)을 합치고, 다시 자무쓰(佳木斯)를 지나 헤이룽장성 북동단에서 본류(헤이룽강)에 합류한다. 상류부는 창바이산지(長白山地)를 흘러내리는데, 유역에 삼림이 무성하다. 산지 어귀에 축조된 펑만(豊滿)댐에 의해 조성된 쑹화호(松花湖:저수용량 110억t)는 발전·관개·수운·양어 및 하류의 홍수조절 등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중·하류 유역은 둥베이 평원의 북반부에 해당하는 중국 유수의 농업지대로, 대개는 흑토지대를 이루어 옥수수·수수 등 식량작물을 비롯한 콩·아마·사탕무 등의 주산지이다. 습지가 많은 하류 쪽의 싼장(三江) 평야에서도 국영농장에 의한 개간이 추진되고 있다. 쑹화강은 둥베이 최대의 내륙수로로 하류는 하얼빈에서부터 기선의 항행이 가능하고, 그 상류도 지린까지 범선이 다닐 수 있어, 하얼빈이 수상교통의 중심지가 되고 있다. 그러나 겨울에는 결빙기간이 약 5개월이나 되어 배의 운항이 끊어지고 대신 썰매가 이용된다. 주된 수송물자는 농산물과 임산물이지만 연안에는 하얼빈 외에 지린 ·자무쓰 등 신흥공업도시가 있어 공업제품의 수송량도 적지 않다.
- 송화강 유역은 북온대 계절풍 기후구에 속하여 사계절이 분명하다. 여름에는 따뜻하고 비가 많으며, 겨울에는 한랭하고 건조하다. 연간 온도차가 비교적 크다. 송화강 유역은 산들이 중첩되고 원시 삼림이 넓게 분포되어 있어 장백산, 대흥안령, 소흥안령 등의 목재 측적량은 10억㎥나 되며 중국에서 면적이 가장 큰 삼림 창고이기도 하다. 송화강 유역에는 광산 자원이 풍부한데 주로 석탄과 금, 동, 철 등이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다. 송화강 유역의 수자원 총량은 880.28억㎥이고 지표수와 지하수 자원의 합은 851.5억㎥이다. 송화강 유역에는 수력 자원도 풍부한데 주로 서쪽으로 흐르는 송화강의 주류와 눈강 및 목단강과 같은 지류에 비교적 집중되어 있다.
송화강의 발원지
- 송화강의 발원지는 두 곳으로 남쪽 발원지와 북쪽 발원지로 나뉜다. 남쪽은 장백산(長白山)의 주봉인 천지에서 발원하고 북쪽은 대흥안령(大興安嶺) 지맥인 이륵호리산(伊勒呼里山) 중부 남쪽의 남옹하(南瓮河)에서 발원한다.
- 남쪽 발원지에서 시작된 송화강의 총 길이는 958㎞이고 유역 면적은 7.34만㎢로 송화강 유역 총 면적의 14.33%를 차지하며 송화강 총 수량의 39%를 공급한다. 북쪽 발원지에서 시작된 송화강의 총 길이는 1,370㎞이고 유역 면적은 29.7만㎢이며 송화강 유역 면적의 51.9%를 차지한다. 송화강은 부여의 주요 교통로이다. 읍루와의 교통로는 길림시-제2 송화강-제1 송화강-가목사 경로, 길림시-오상(육로)-납림하-제1 송화강-가목사 경로, 길림시-빈현(육로)-제1 송화강-가목사 경로가 있다. 옥저와의 교류는 길림시-제2 송화강-납법하-교하-돈화-두만강 유역으로 이어지는 루트이고, 탁리국과의 교통로는 길림시-제2 송화강-눈강-조원으로 이어진다.
지도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동영상
각주
참고자료
- 〈강〉, 《나무위키》
- 〈쑹화강〉, 《위키백과》
- 〈송화강〉, 《나무위키》
- 〈쑹화강(松花江 송화강)〉, 《두산백과》
- 〈쑹화호(Songhua, 松花湖 송화호)〉, 《두산백과》
- 이북도민작가 이동현, 〈백두산은 송화강의 제2 지류 발원지, 송화강은 아무르강(흑룡강성)의 지류〉, 《네이버블로그》, 2021-01-29
- 뉴스핌, 〈14억 대륙인의 젖줄 7대 하천과 강〉, 《네이버포스트》, 2019-09-18
같이 보기
동아시아 같이 보기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