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태백시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태백시 시기
태백시 위치
태백시청

태백시(太白市)는 대한민국 강원도 동남부에 위치해 있으며, 강원도 최남단에 위치한 시이다. 영동권 시군 중 동해안과 접하지 않은 유일한 내륙지역으로 동쪽으로는 삼척시 도계읍 및 가곡면, 서쪽으로는 영월군정선군, 남쪽으로는 경상북도 봉화군, 북쪽으로는 삼척시 하장면 및 신기면과 접해있다.[1]

개요[편집]

강원도의 남부 내륙, 좌표상으로는 동경 129° 06'∼128° 52', 북위 37° 03'∼37° 20'에 위치하며,태백산맥을 중심으로 동쪽에 자리 잡고 있어 영동지방에 속한다. 동서 길이는 27.1㎞, 남북 길이는 33.8㎞에 이르며, 면적은 303.47㎢로 강원도 전체 면적의 1.8%에 해당한다. 행정구역은 8개 행정동(17개 법정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시를 상징하는 꽃은 함박꽃, 나무는 주목(朱木), 새는 어치이며, 시를 대표하는 캐릭터는 태백시 탄광지대 깊은 곳에 사는 광부 요정을 형상화한 '씨 컴스(Seecomes)'와 태백산을 지키는 백호를 형상화한 '태붐(Taebum)'이다. 시청 소재지는 황지동이다.

1970년대 석탄 관련 광업으로 발전하였고, 장성탄광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무연 탄광이다. 대한민국의 유일한 고원 도시로서, 태백산을 비롯한 자연환경을 기반으로 휴양도시로 변모하고 있다. 관할 방송국은 강릉시에 있지만, 송신소는 태백시의 해발 1,500m 가 넘는 고지대인 함백산에 있기 때문에 안테나를 높게 뽑아 보면 삼척 방송이 대구광역시에서도 들린다. 태백산 국립공원이 유명하며, 4대강 중 2개인 한강낙동강이 이곳에서 발원한다. [2][3]

자연환경[편집]

태백산맥에서 분기한 태백산(太白山, 1,567m) 영동 산악 협곡지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매봉산 천의봉을 분수령으로 한 한강, 낙동강, 오십천의 발원지이다. 시의 형태는 중심부에 해발 1,171m의 연화산(蓮花山, 1,171m)이 위치하고 있고, 그 주위는 황지, 장성, 철암, 통리 등 4개 지역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시 전체가 매봉산(1,303m), 백병산(白屛山, 1,259m), 함백산(咸白山, 1,573m), 금대봉 등의 멧봉이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는 해발 650m의 고원 분지를 이루고 있다.

매봉산과 태백산을 중심으로 1,300m 내외의 고위평탄면(高位平坦面)이 발달해 있다.

하천은 시의 중북부에 있는 매봉산을 중심으로 북류하는 남한강(南漢江)의 상류인 골지천(骨只川)과 남류 하는 낙동강(洛東江)의 상류인 황지천(黃池川)·철암천(鐵巖川)이 있다. 게다가 동쪽에 동류하는 오십천(五十川)과 가곡천(柯谷川)이 있어 두부침식(頭部侵蝕)에 의한 하천쟁탈(河川爭奪) 현상이 활발하다.

평야는 거의 없으나 비교적 완만한 고위평탄면이 곳곳에 발달해 밭으로 이용된다. 지질은 주로 고생대 조선누층군의 석회암과 평안누층군의 지층이 분포하며, 오랜 지질시대의 지각운동을 받아 지질구조가 매우 복잡하다.

기후는 내륙 산간지대의 특징인 고랭지 기후와 산지기후가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기온은 비교적 낮으며, 겨울이 길고 봄·가을이 짧다. 태백지역의 기후대는 영동과 영서를 구분하는 태백산맥의 정점에서 영서 쪽으로 치우친 고지대 협곡의 고랭 지대로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엔 추운 산악형 기후를 갖고 있다. 과거 10년간(1994~2003) 연평균 기온은 8.7℃이며, 최고기온은 14.4℃, 최저기온은 3.6℃로 평균 기온차가 심하다.

연평균 강수량은 1,336.6㎜로 주로 여름철에 집중되며, 우천 일수는 100일 내외, 적설 기간은 40일 정도다. 한국의 기후구분상 중부내륙형 기후구와 북부 동안형 기후구, 남부 대륙형 기후구의 경계지점에 위치한다. 연평균기온 9.6°C, 평균 최고 15.1°C, 평균 최저 4.5°C이다. 극점최고 기온은 32.5°C, 극점 최저 기온은 –20.2°C, 연평균 강수량은 1,368.2㎜이다. 연평균 강수일수는 140일이다.[4]

역사[편집]

삼한 시대의 진한에 속한 부족국가로서 현 삼척시 사직동에 도읍을 둔 실직국(悉直國)에 속하였으나, 고구려 장수왕 때 사직국이 망하고 고구려의 영토가 되었다. 신라 지증왕 때에 이곳에 실직 주가 설치되었다가 무열왕 때에 북령이라 개칭하여 군사적 요충지가 되었다. 신라 경덕왕 때에 삼척군으로 개칭하였다. 이후 조선 시대에는 강원도와 강릉부 삼척군에 속하였다. *1977년에 황지읍 화전 출장소, 소도 출장소가 설치되었고, 1981년에 삼척군 장성읍과 황지읍을 합하여 태백시로 승격되었다.

  • 1960년 1월 1일: 삼척군 상장면이 장성읍으로 승격되었다.
  • 1963년 6월 25일: 삼척군 장성읍 적각리, 황지리, 소도리, 혈리, 통리, 창죽리, 화전리에 황지 출장소 설치되었다.
  • 1964년 2월 1일: 삼척군 장성읍 철암리에 철암 출장소 설치되었다.
  • 1973년 7월 1일: 황지 출장소가 황지읍으로 승격되었다.
  • 1977년 9월 22일: 삼척군 황지읍 화전, 소도 출장소 설치되었다.
  • 1981년 7월 1일: 삼척군 황지읍 및 장성읍 일원을 관할로 태백시가 설치되었다.
  • 1994년 12월 26일: 삼척군 하장면 원리, 상사 미리, 하사 미리, 조탄 리가 태백시로 편입되면서 사조 동 설치되었다.
  • 1998년 9월 10일: 16개동을 8개동으로 통폐합되었다.

산업[편집]

경지면적 796㏊ 중 밭이 786㏊, 논이 10㏊로 밭이 대부분이며 농가는 총 가구의 3%에 지나지 않는다. 주요 농산물은 감자와 옥수수 및 고랭지 채소 생산이 중심인데, 주로 해발 1,000m 지대에서 무·배추·양배추의 생산이 많다. 또, 주변 산지사면에는 초지(草地)가 많아 목축에 적합한데, 최근 젖소·돼지·칠면조 사육 및 양봉도 활발하다.

임업[편집]

산림면적 2만 3,977㏊ 중 침엽수림이 59,9%로 침엽수의 비중이 비교적 높으며, 1㏊ 당 입목축적량도 31.6m2로 많은 편이나 광산 주변의 벌목 및 폐석으로 인한 삼림의 파괴가 심각하다. 주요 임산물로 목재 생산이 많으며, 목재는 대부분 광산용 갱목으로 사용된다.

광공업[편집]

시의 탄전지대에서는 무연탄 약 5천만 톤, 석회석 약 5억 2천만 톤, 그 밖에 금·은·철 등 풍부한 광물이 매장되어 있다. 1960~70년대에 석탄이 국가의 주요 에너지로 각광을 받으면서 채굴이 활발했다. 그러나 1987년 말 정부의 석탄산업 합리화 정책에 따른 영세 탄광 정비 작업이 실시되면서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1987년 말 12만 명이었던 인구가 2005년 말 현재 5만 5천 명으로 줄었다. 정부는 태백 정선 지역 개발 계획안을 마련하고 폐광 지역을 중심으로 카지노장, 골프장, 스키장을 포함한 종합 레저타운을 조성하는 한편 대체 산업 육성과 태백산 도립공원 개발 등으로 활로를 찾고 있다. 이를 위하여 2008년까지 총 1,758억 원을 들여 태백산을 집중 개발할 계획이다.

특산물[편집]

태백산 한약재·태백산 김치·태백산 산나물·태백 총명 우유·세라믹 화장품·청정 참기름·들기름·화훼·버섯 고랭지 채소·고산 쌍화차 등이 유명하다.

교통[편집]

도로 교통은 일반국도 31·35·38호선이 지나간다. 국도 31호선은 부산시 기장군 일광면에서 울산시~경상북도~강원도 태백시를 거쳐 영월군~평창군~홍천군~인제군~양구군으로 이어지며, 당진영덕 고속도로·영동고속도로·서울양양 고속도로·동해고속도로 등과 접속한다. 국도 35호선은 부산시 북구 덕천동에서 경남~울산시~경북~태백시를 거쳐 삼척시~정선군~강릉시로 이어지며, 새만금 포항 고속도로·당진영덕 고속도로·동해고속도로 등과 접속한다. 국도 38호선은 충남 서산시 대산읍에서 경기도~충북~강원도 영월군~정선군~태백시를 거쳐 삼척시~동해시로 이어지며, 서해안 고속도로·평택 파주 고속도로·중부고속도로·세종 포천 고속도로·평택제천고속도로·중부내륙고속도로·중앙고속도로·동해고속도로 등과 접속한다. 2016년을 기준하여 도로 총 길이는 30만 3750m이며, 이 가운데 일반국도가 6만 8400m, 지방도가 1만 3840m이다. 터널은 총 2개, 교량은 총 55개가 건설되었다. 황지동에 시외버스터미널이 있다.

철도는 태백 지역에서 생산된 무연탄 수송을 위하여 1940년에 철암역~묵호역을 연결하는 철암선이 개통된 것을 비롯하여 1955년 영암선(영주~철암), 1962년 황지 지선(백산~황지), 1963년 황지 본선(통리~심포리) 등이 개통되었으며, 이들 노선은 1963년 영동선으로 통합되었다. 영동선은 경북 영주역을 기점으로 하여 태백시의 동점역~철암역~백산역~동백산역~솔안역을 거쳐간다. 백산역에서 태백 선과 접속하지만 여객을 취급하지 않기 때문에 태백삼각선과 접속하는 동백산역에서 환승한다. 1955년에 개통한 태백선은 충북 제천역을 기점으로 하여 태백시의 추전역~태백역~문곡역을 거쳐 백산역을 종점으로 한다. 동점역과 문곡역도 여객을 취급하지 않는 무배치간이역이며, 솔안역은 솔안터널 안에 있는 신호장이다.

관광[편집]

백두대간의 중추이자 태백산맥의 모산(母山)인 태백산은 1989년 도립공원으로 지정된 뒤 2016년에 국립공원으로 승격되었다. 황지천 하구에 형성된 구문소(求門沼) 지역은 고생대의 다양한 지질구조를 간직한 곳으로서 마당소·자개문·용소·삼형제폭포·여울목·통소·닭벼슬바위·용천 등 구문8경으로 불리는 뛰어난 경관을 갖추어 관광진흥법에 따라 관광지로 지정되었다.

관광 명소로는 태백산 천제단을 비롯하여 고생대의 보고(寶庫) 구문소, 양대 강 발원지와 삼수령(三水嶺), 매봉산 바람의 언덕, 함백산의 설경, 대덕산·금대봉의 야생화, 철암역두선탄장, 삼수동 산촌마을 등이 '태백 8경'으로 꼽힌다. 태백산 정상에 있는 천제단은 예로부터 하늘에 제사를 올리던 곳으로, 오늘날에도 개천절에 천제를 올린다. 삼수령은 한강·낙동강·오십천의 분수령을 이루는 고개로, 정상에서 조망하는 경관이 빼어나다. 매봉산 바람의 언덕은 삼수령 맞은편의 풍력발전단지를 가리키는데, 일출과 운해를 볼 수 있는 곳이며 양탄자처럼 깔린 드넓은 고랭지 배추밭이 장관을 이룬다. 주목 군락지로 이름난 함백산은 특히 눈 덮인 풍경이 아름답고, 생태계 보존지역으로 지정된 대덕산과 금대봉 일대는 야생화 군락지로 유명하다. 금대봉에는 한강의 발원지인 검룡소가 있다. 철암역두 선탄장은 탄광에서 채굴한 원탄을 선별하고 가공·처리하는 시설이 있는 곳으로, 1960~1970년대 국가 에너지 산업의 중추 역할을 하던 석탄산업을 상징하는 현장이다. 삼수동의 산촌마을은 민간 예언서인 《정감록》의 피란지로 알려진 곳으로, 일출과 눈 덮인 겨울 풍경, 고랭지 배추밭 경관 등으로 유명하다.

이 밖에 전국에서 가장 높은 지대(해발 920m)에 있는 석회동굴인 태백 용연굴, 낙동강의 발원지인 황지연못, 상장동 벽화마을, 탄광 체험을 할 수 있는 태백체험공원, 태백산 눈썰매장, 오투 리조트 스키장, 모터스포츠 경기장인 레이싱파크 등이 있으며, 휴양림 시설로는 태백 고원자연휴양림이 있다.

문화행사 및 축제[편집]

지역 문화행사와 축제로는 매년 10월 3일 개천절에 태백산 천제단에서 민족 통일·국태민안 등을 기원하는 '태백산 천제'가 열리는 것을 비롯하여 7~8월에 한강·낙동강 발원지 축제, 1~2월에 태백산 눈축제 등이 열린다. 민속놀이로는 화전민들이 음력 7월경에 추수 전 농사를 위하여 집집마다 돌아가며 두레 형식으로 퇴비를 장만한 데서 유래한 갈풀썰이놀이, 엽전을 나눠 받고 숫자 싸움을 벌이는 사시랭이놀이 등이 전래한다.

문화재[편집]

국가 지정 문화재로는 명승 1점(태백 검룡소), 천연기념물 2점(태백 장성 전기 고생대 화석 산지·태백 구문소 전기 고생대 지층 및 하식 지형), 국가 민속문화재 1점(태백산 천제단) 등이 있다. 시도 지정 문화재로는 유형문화재 1점(태백 장명사 목불좌상)과 기념물 2점(태백 용연굴·태백 월둔동굴), 문화재자료 2점(태백 본적 사지 삼층 석탑재·태백 유일사 소장 지장보살도 초본) 등이 있다. 이 밖에 태백 철암 역두 선탄시설과 태백 장성이 중교, 구(舊) 태백 등기소, 태백 경찰서 망루 등 등록문화재 4점이 있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태백시〉, 《위키백과》
  2. 태백시〉, 《네이버 지식백과》
  3. 태백시〉, 《나무위키》
  4. 태택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질문.png 이 문서는 로고 수정이 필요합니다.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태백시 문서는 한국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