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묘청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묘청

묘청(妙淸)은 고려 시대의 문신, 승려로 뒷날에 법명을 정심(淨心)으로 고쳤다. 서경 출신으로 인종 때 왕실 고문 자리까지 올랐다.[1]

개요

  • 묘청은 고려 중기의 승려, 문신이다. 속성(俗姓)과 가계, 출가 도량 등은 전하지 않는다. 1126년 서경파 관료들의 추천으로 인종의 왕사가 되었다. 그는 서경 천도론을 주장했으나 개경파 귀족인 김부식 등의 반대로 무산되었고, 1135년 칭제건원을 하고 대위국을 수립하였으나 1년 만에 진압되었다. 금나라 정벌론과 서경 천도론을 내세웠으나 모두 무산되었고, 평양성의 궁궐 축성과 성곽 개수를 추진하였다. 1135년(인종 13년) 묘청은 분사시랑(分司侍郞) 조광(趙匡)·병부상서 유담·사재소경(司宰小卿) 조창언(趙昌言)·안중영(安仲榮) 등과 함께 서경에서 거병한 뒤 군사를 보내어 절령(岊嶺) 길을 차단하고, 국호를 대위(大爲), 연호를 천개(天開), 군호(軍號)를 천견충의군(天遣忠義軍)이라 칭하고, 곧장 개경으로 진군하겠다고 밝힌다. 윤언이, 정지상 등과 함께 서경파의 지도자였다. 일명 정심(淨心)이라 불렸다. 서경의 반란 소식이 사실임을 확인한 인종은 백관을 소집하고 회의 끝에 반란군을 토벌하기로 결정했다. 그래서 김부식을 원수로 임명하고 내시 유경심, 조진약, 황문상을 서경으로 급파하여 군사행동을 중지할 것을 명령했다. 김부식의 대군이 출병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반란군 진영에서는 당황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개경군이 안북대도호부(안주)에 도착하면서 반란군 지역에 있던 많은 성들이 개경군에 호응하는 바람에 전세는 점차 대위국에 불리하게 진행되었다. 김부식은 그 순간을 놓치지 않고 반란군을 이끌던 장군들에게 항복을 종용했다. 이때 김부식을 원수로 하는 토벌군이 쳐들어오고 조광이 그를 참수 시켰다. 대위국은 1년여를 더 버티다 고려군에게 패망하여 그 자취가 사라지게 되었다. 그의 시신은 서경성을 난입한 고려 병사에 의해 다시 부관참시된다. 사망 당시 그의 나이는 미상이었다.[2]
  • 묘청은 고려 시대의 승려로 서경 천도(遷都)를 주장하였으나 개경 중신들의 반대로 좌절되었다. 이에 반란을 일으켰으나 부하에게 살해되었고 반란군은 김부식이 이끄는 관군에게 섬멸되었다. 정심(淨心)이라고도 한다. 서경(西京: 平壤) 출생. 검교소감(檢校少監) 백수한(白壽翰)을 통하여 근신(近臣)들과 접촉, 도참설(圖讖說)을 이용하여 중앙정계에 진출하였다. 1127년(인종 5) 왕실 고문으로 추대되자 인종에게 서경 천도를 주장하였다. 당시의 혼란한 내외정세를 이용, 개경(開京) 출신 구신(舊臣)들의 세력을 꺾기 위하여 서경천도(遷都)를 획책한 것이었다. 인종 또한 개경의 문벌 관료들이 득세하는 개경을 떠나 서경으로 천도하여 왕권강화를 모색하였다. 1129년 신궁을 낙성, 칭제건원(稱帝建元)을 청하고 금나라 공략 등을 건의하였으나 김부식(金富軾) 등 사대주의자들의 반대로 좌절되었다. 1134년 삼중대통지 누각원사(三重大統知漏刻院事)에 오르고 왕에게 천도를 계속 주청하였으나 불가능해지자 1135년 서경에 기반을 두고 국호를 대위(大爲), 연호를 천개(天開)라 하여 천견충의군(天遣忠義軍)을 조직, 반란을 일으켰다. 그러나 반란군은 원수(元帥) 김부식에게 섬멸되고 묘청 자신은 부하 조광(趙匡)에게 피살되어 개경에 효시되었다.[3]
  • 묘청은 고려전기 정지상, 백수한 등의 지지로 서경천도론을 제기한 승려. 서경(西京) 사람이다. 뒤에 이름을 정심(淨心)이라 고쳤다. 승려이면서도 도교(道敎)적인 요소를 함께 갖추었다. 풍수지리와 도참사상(圖讖思想)을 익힌 후 이를 바탕으로 서경천도(西京遷都)를 주장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결국 반란을 일으켰다.[4] 1135년 1월 26일 (고려 인종13) 승려 묘청(~1135)이 서경(지금의 평양) 천도운동(묘청의 난)을 시작했다. 서경천도운동은 묘청 등이 서경에서 일으킨 반란이다. 묘청을 포함해 서경인(서경을 중심으로 하는 세력)들을 주축으로 하는 세력이 당시 정치적 혼란을 틈타 개경(지금의 개성)에서 서경으로 천도를 주장했다. 아울러 이들은 '칭제건원(왕을 황제라 칭하고 연호를 제정)'과 '금국정벌'까지 주장했다. 그러나 수도 개경 조정의 반대에 부딪치자 서경을 중심으로 반란을 일으켰다. 묘청의 반란은 김부식(1075~1151)이 지휘하는 토벌군에 의해 진압됐다. 당시 묘청은 풍수지리설을 바탕으로, 고려가 어려움을 겪게 된 것은 '개경의 지덕(地德)이 쇠약했기 때문'이라고 역설했다. 이에 묘청은 '나라를 중흥하고 국운을 융성하게 하려면 지덕이 왕성한 서경으로 수도를 옮겨야 한다'고 주창했다. 당시 시대적 상황은 풍수지리설이 크게 성행하고 있어 묘청은 왕의 총애와 함께 많은 사람들의 지지를 받았다.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이 고려 사회에 끼친 영향은 컸다. 서경의 권력 지위가 추락했고 고려 조정 권력 구조의 균형이 무너졌다. 개경 세력을 견제하는 역할을 했던 서경 세력의 쇠퇴는 개경의 문벌 귀족 세력의 독주를 가능하게 했다. 이에 고려 사회는 보수적으로 분위기가 흐르게 되면서 크나큰 모순과 폐단을 낳고 무신정변 발생의 간접적인 원인이 된다.

묘청의 생애

  • 묘청은 1128년(인종 6)에 같은 서경 사람인 정지상(鄭知常), 분사검교소감(分司檢校少監) 백수한(白壽翰), 근신(近臣) 김안(金安) · 홍이서(洪彝敍) · 이중부(李仲孚), 대신(大臣) 문공인(文公仁) · 임경청(林景淸) 등의 지지를 받아 서경천도론을 처음 제기하였다. 상경(上京: 지금의 개성)은 이미 기운이 쇠했고 서경에는 왕기(王氣)가 있으니 그곳으로 천도하자고 했다. 서경의 임원역(林原驛)이 음양가에서 말하는 대화세(大華勢)이므로 이곳에 궁궐을 짓고 천도하면 가히 천하를 아우르게 되어 금(金)나라가 스스로 항복하고 36국이 모두 신하가 될 것이라 하였다. 묘청의 이러한 주장은 앞서 이자겸(李資謙)의 난으로 왕궁이 불타고 새로 등장한 금나라의 위협으로 점차 민심이 동요하던 상황과 결부되어 인종의 호응을 이끌어 낼 수 있었고 곧바로 천도를 위한 준비를 진행시킬 수 있었다. 인종은 묘청을 수가복전(隨駕福田)으로 삼고 친히 서경에 행차했으며, 곧 임원역에 궁궐을 짓기 시작해 다음 해 임원궁(林原宮)을 완성시켰다. 인종이 임원궁에 행차하자 이번에는 칭제건원(稱帝建元)과 금국정벌(金國征伐)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 1131년에는 임원궁에 호국백두악태백선인 실덕문수사리보살(護國白頭嶽太白仙人實德文殊師利菩薩) · 용원악육통존자 실덕석가불(龍園嶽六通尊者實德釋迦佛) · 월성악천선 실덕대변천신(月城嶽天仙實德大辨天神) · 구려평양선인 실덕연등불(駒麗平壤仙人實德燃燈佛) · 구려목멱선인 실덕비바시불(駒麗木覓船人實德毗婆尸佛) · 송악진주거사 실덕금강색보살(松嶽震主居士實德金剛索菩薩) · 증성악신인 실덕늑차천왕(甑城嶽神人實德勒叉天王) · 두악천녀 실덕부동우바이(頭嶽天女實德不動優婆夷) 등의 팔성당(八聖堂)을 지었다. 1132년에는 서경의 상서로움을 부각시키기 위해 일부러 기름을 넣은 큰 떡을 대동강에 담가두어 그 기름이 물 위로 떠오르면서 오색 빛을 내게 했으나 곧바로 발각당했다. 그럼에도 서경천도는 차질 없이 진행되어 1132년에는 대화궐(大華闕, 大花闕)이 창건되기에 이르렀다. 이때 대화궐에서 태일옥장보법(太一玉帳步法)이란 것을 펼쳐 보이며 이것이 도선(道詵)으로부터 강정화(康靖和)를 거쳐 자신에게 전수되었다고 주장하였다. 정지상 · 김안 등 지지자들에 의해 성인으로 받들어지면서 계속 서경천도를 강행했고, 1134년 삼중대통지누각원사(三重大通知漏刻院事)에 제수되고 자의(紫衣)를 하사받았다.
  • 1132년부터는 임원애(任元敳) · 이중(李仲) · 문공유(文公裕) · 임완(林完) 등 서경천도를 반대하는 문신들에 의한 탄핵이 끊이지 않았다. 더욱이 1134년 대화궐의 건룡전(乾龍殿)에 벼락이 치는 등 재이(災異)가 속출함에 따라 풍수도참에 기반을 둔 천도론이 점차 명분을 잃게 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인종에게 서경 행차를 요청했다가 김부식(金富軾) 등의 반대로 거부되고 더욱이 서경천도의 가능성 또한 희박해지자, 1135년 서경에서 분사시랑(分司侍郎) 조광(趙匡), 병부상서(兵部尙書) 유참(柳旵) 등과 함께 국호를 대위(大爲), 연호를 천개(天開)라 하고 난을 일으켰다. 그러나 조광의 배신으로 부하들에 의해 죽임을 당함으로써 묘청의 서경천도계획은 좌절되었다.

묘청의 난

  • 묘청의 난(妙淸-亂, 1135년 1월 19일(음력 1월 4일) ~ 1136년)은 고려 인종 때 승려 묘청 등의 금국정벌론과 서경 천도론이 개경 귀족들의 방해로 무산되자 서경(西京)에서 국호를 대위(大爲), 연호를 천개(天開), 군호(軍號)를 천견충의군(天遣忠義軍)이라 하여 대위국(大爲國)을 선언하고 일으킨 반란이다. 대위국이라는 새로운 국가이념 차원의 반란은 김부식이 지휘하는 진압군의 공격을 받고 내부 분열을 일으키기도 했으나, 1년간 치열하게 지속되었다.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민족주의 사학의 선구자인 단재 신채호는 묘청의 난을 두고 '조선 역사상 1천 년래 제1대 사건'이라 했다.
  • 묘청의 난에 대한 평가는 찬반이 분명하다. 조선 말 일제 강점기 초기에 활동했던 신채호는 민족사관의 입장에서 묘청의 난을 일천 년래 제일대사건으로 평가한다. 만일 성공했으면 조선사가 독립적 진취적으로 발전했으리라고 한탄한다(묘청 개인에 대하여는 광망하다는 표현을 쓰며 부정적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반론도 적지 않다. 당시 개경세력과 이에 반발한 지방 세력(서경) 간에 권력투쟁일 뿐이며, 금국정벌론 등은 단지 명분뿐이라는 것이다. 이 서경천도운동은 그들의 공리심과 서경인의 기질 등이 작용하였음은 물론이나, 그 밖에 그들의 정치적 혁신의 의욕도 간과할 수 없다. 당시 국내외의 정세에 비추어 개경의 타성적이며 부패한 귀족 사회의 생태를 좌시할 수 없어, 당시 인심을 지배하고 있던 음양도참설을 교묘히 이용하여 서경인 중심의 중흥정치를 베풀어 보고자 한 것이 그들의 당초의 이상이었다는 평가도 있다.

대위국

  • 대위국(大爲國)은 1135년(인종 13) 서경(西京:평양)에서 묘청(妙淸) 등이 세운 나라이다. 이자겸(李資謙) ·척준경(拓俊京)의 난으로 민심이 어수선할 때 서경의 승려 묘청은 고려에 큰 영향을 미친 도참설(圖讖說)을 교묘하게 이용하여 1128년(인종 6) 왕에게 서경천도(西京遷都)를 건의하였으며, 1129년(인종 7) 건원칭제(建元稱帝) ·금국정벌론(金國征伐論) 등을 주장하였다. 인종은 이에 마음이 움직여 전년부터 서경에 짓기 시작한 신궁(新宮)이 낙성되자 그 신궁의 건룡전(乾龍殿)에 거둥하여 군신(群臣)의 하례(賀禮)를 받기까지 하였다. 묘청 일파의 서경천도 속셈은 서울을 서경으로 옮기는 동시에 개경(開京)의 귀족세력을 꺾은 뒤 자기네들이 정권을 잡아 정치 혁신을 도모하자는 것이었므로, 이를 간파한 김부식(金富軾) 등의 보수사대파(保守事大派)는 묘청의 주장을 적극적으로 반대하였다. 정세가 이렇게 되자 묘청은 1135년(인종 13) 1월 서경분사시랑(西京分司侍郞) 조광(趙匡), 서경병부상서(西京兵部尙書) 유참(柳哳)등과 함께 서경을 중심으로 하여 반란을 일으켜 절령(岊 嶺), 즉 지금의 황해도 자비령(慈悲嶺) 이북의 길을 끊고 여러 고을의 군대를 강제로 징발하였다. 그리고 나라 이름을 대위, 연호를 천개(天開), 군대를 천견충의군(天遣忠義軍)이라 하였다. 당황한 조정에서는 묘청배척의 거두인 김부식 등에게 서경토벌의 대명을 내렸다. 김부식은 묘청을 편들었던 정지상(鄭知常) ·백수한(白壽翰) 등을 먼저 참수(斬首)한 뒤 서경에 가서 반란을 평정하였다. 이로써 묘청 등이 꿈꾸던 대위국의 혁신정치는 1년 만에 무너져버렸다.

동영상

각주

  1. 묘청〉, 《나무위키》
  2. 묘청〉, 《위키백과》
  3. 묘청(妙淸,?~1135)〉, 《두산백과》
  4. 묘청(妙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묘청 문서는 역사인물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