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밥집
국밥집은 국밥을 파는 음식점을 말한다. 대체로 김치나 깍두기, 부추무침과 겉절이, 석박지 등 밑반찬을 함께 제공한다.
국밥은 국에다가 밥을 넣어 말아먹는 한국의 문화이자 요리의 통칭이다. 한국을 대표하는 국민 음식을 꼽았을 때 국밥이 있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대중적 인지도가 높으며 역사도 깊다.
국밥의 범위와 응용성은 무궁무진하다. 순대국에 말아먹으면 순대국밥, 콩나물국에 말아먹으면 콩나물국밥이 되는 식이다.
역사
국밥을 국에 밥을 말아먹는 모든 행위로 간주하여 범위를 넓게 보면, 그 역사는 한국의 식문화의 시작과 그 맥을 같이할 것이다. 그러나 행위가 아닌 하나의 요리의 범위에서 살펴보면 생각보다 오래되지는 않았다. 조선 초기 문신이었던 유순(1441~1517)이 지은 오언고시인 십삼산도중(十三山途中)에 국밥, 즉 탕반(湯飯)이 언급 되는게 최초이다. 그리고 사극에서 묘사된 주막에서 국밥을 파는 장면은 빨라도 조선시대 중기부터이다.
조선 중기 문신인 윤국형(1543-1611)이 지은 문소만록(聞韶漫錄)을 보면 전국을 유랑하며 본 견문중 주막에 관한 얘기가 나온다. 영호남에 주막이라는 것이 있기는 하지만 오로지 술과 잠자리를 제공할 뿐, 나머지는 제공되지 않는다고 나온다. 그리하여 많은 여행자들이 개인의 짐을 비롯한 먹거리까지 가지고 다닌다고 나온다. 물론 임진왜란 시기라 물자가 부족했던 시기였다는 사정이 다소 있기는 하나 실제 다른 문헌들을 찾아보더라도 여행자들은 쌀이나 보리, 조, 수수와 같은 곡식과 미역, 북어 등의 건조 식량, 장이나 소금 따위의 부식을 들고 다니면서 스스로 해결하거나, 민가에 여분의 대가를 치르고 음식을 부탁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실제로 주모가 음식을 만드는 게 아니라 여행자가 음식 재료를 대고 요리를 해주는 형편이라는 것이다. 이는 그럴 수밖에 없던 것이 조선 후기가 되어서도 한양을 비롯한 주요 대도시를 제외한 지방은 화폐를 쓰는 일이 거의 전무했다. 지방에서 돈의 역할을 하던 것은 쌀과 무명이었고, 돈을 내고 밥을 사먹는 행위 자체가 성립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때문에 밥을 해먹으려면 최소한 쌀 같은 곡식은 스스로 준비해갈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하지만 상공업이 그나마 발달하는 조선 후기로 갈수록 화폐가 향촌 사회에도 제대로 자리를 잡으면서 마을 사이마다 주막이 생기고, 이에 따라 주막이 발전하면서 음식을 제공하는 것 또한 가능해졌다.
당시 조선시기까지는 이런식으로 사회가 굴러갔다. 우선 어느 보부상이 지방의 특산물을 구매한 뒤 이것을 도성에 팔려고 한다. 이에 보부상이 가다가 밤이 깊어지면 보부상은 인근 마을로 가서 형편이 괜찮아보이는 집의 대문을 두들겨서 숙식을 요청하고, 특별한 거부 사유가 없다면 집주인은 보부상을 받아들인다. 이후 집주인은 보부상에게 저녁 식사를 제공할뿐만 아니라 화장실과 잠자리를 내어준다. 애초에 그 집에는 모든 가족 구성원들의 저녁 식사를 위해 음식을 넉넉히 준비해두었었고, 손님 맞이용 방도 미리 마련되어 있었으니 문제될것은 전혀 없다. 그리고 집주인은 손님과 함께 술잔을 기울이면서 보부상으로부터 지방에서는 뭐가 제철이고 그곳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도성에서는 언제쯤 과거 시험이 열릴 예정이고 임금님의 평판은 어떤지 등 이런저런 유용한 다른 지방 소식들을 전해듣는다. 다음날 보부상은 집주인의 호의에 감사를 표하며 다시 길을 떠나며, 집주인은 보부상에게 전달받은 정보들을 바탕으로 자기 집 아들내미를 언제쯤 도성으로 보내서 과거 시험을 보게 할지, 만약 아들이 과거에 합격해서 관리가 된 후 지방 감독관으로 파견된다고 하면 어떤 지역으로 가는게 좋다고 권유할 수 있는지 등을 분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훗날 그 집 아들내미가 정보를 바탕으로 과거를 보러 가면 가다가 밤이 깊어졌을때 인근 마을로 가서 형편이 괜찮아보이는 집의 대문을 두들겨서 숙식을 요청하고, 특별한 거부 사유가 없다면 집주인은 이 젊은 선비를 받아들여 저녁 식사를 제공할뿐만 아니라 화장실과 잠자리를 내어준다. 그리고 집주인은 젊은 선비와 함께 술잔을 기울이면서 선비로부터 그의 고향과 관련된 이야기나 그의 목적지와 여행 목적(과거 시험)등 유용한 소식들을 전해듣는다. 다음날 선비는 집주인의 호의에 감사를 표하며 다시 길을 떠나며, 집주인은 선비에게 전달받은 정보들을 바탕으로 자기 집 딸내미를 어느 집으로 시집을 보낼지, 손주를 언제쯤 과거 시험을 보게 할지 등을 분석할 수 있게 된다.
즉 이런 식으로 여행객들은 가까운 유력자의 집에서 숙식을 해결하면서 댓가로 귀중한 정보들을 제공하는 식으로 사회구조가 유지되었고, 그러니 '음식을 돈받고 판매하는' 행위가 존재하기가 어려웠다. 그리고 당연하지만 손님에게 식사를 대접할떄는 한상 제대로 차려서 대접해드리지 없어보이는 국밥 한그릇 따위를 내줄 일은 더더욱 없으니 국밥류가 발달하기가 어려웠다. 물론 언제나 그런건 아니고 당대 최고의 해장국으로 명망이 높았던 효종갱같이 돈 받고 파는 국밥 음식도 있긴 했으나 이 경우는 화폐가 활발하게 유통되었던 수도권에서나 가능한 현상이였고 지방에서는 그런 거 없었다.
국밥집의 개념으로 돌아오면 이렇게 조선 후기부터는 외식이라는 문화가 상공업에 발맞춰 본격적으로 자리를 잡으면서 한양]에는 수많은 장국밥집들이 생겨났다. 그리고 이 장국밥집들 중에서 매우 유명했던 곳으로는 19세기에 조선 헌종조차 변복하고 자주 드나들었다는 설이 있는 무교탕반이라는 곳이 있다. 신분의 고하에 관계없이 인기가 좋았던 곳으로 장국밥을 주로 팔았다. 지금이야 국밥이 다양하고, 이 시대의 장국밥은 현대인에겐 맛이 없어 먹지도 않겠지만, 그 당시에는 인기가 매우 좋았다. 간장 또는 된장을 사용하여 국물의 간을 맞춰 이름이 장국밥인데, 흔히 유행했던 다른 지방의 국밥들이 시래기 등을 가지고 끓인 채소국밥인 반면 이 국밥은 고기를 듬뿍 사용하였다고 한다. 개량을 거쳤는지, 그대로 지속되었는지 모르나 오랫동안 명성을 유지하여 작고한 월탄 박종화 선생의 표현에 의하면 이 집은 "양지머리만 가지고 국밥을 만들어도 충분한데 젖통 부위 고기를 넣고 또한 갖가지 고명으로 양념한 산적까지 넣어주니 고기와 산적이 어우러져 천하진미가 따로 없다." 하였다. 하지만 이후에 신분이 낮은 사람이나 먹는 것으로 여겨졌던 설렁탕이 특유의 냄새와 푸짐함, 고소함 등을 무기로 일제강점기 내내 득세하면서 장국밥은 서서히 자취를 감추었다. 해방 이후 물자가 풍족해지면서 경상도에서 유명했던 돼지국밥이나 전주에서 유명했던 콩나물국밥 등도 많이 인기를 끌면서 그 외 여러가지 다양한 국밥들이 다양한 변모를 걸쳐 현재까지 이른다.
참고로 설렁탕에 대한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다. 설렁탕은 일제강점기 시절에는 현재의 짜장면과 같거나 혹은 못한 수준의 음식이었다. 여기서 말하는 수준이란 음식의 인기가 아니라 그 시대에 이 음식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말한다. 값싸게 먹을 수 있는 외식 메뉴 중 제일 저렴하지만 그 어느 누구도 고급 요리라고는 생각하지 않는 요리였다. 펄펄 끓는 가마솥에 뽀얀 국물이 당시로써는 저급하다 느꼈는지 식당에 가서 먹는 것보다는 배달이 흥하였다. 일례로 1929년 <별건곤(別乾坤)>이라는 월간지의 1929년 12월 호에는 설렁탕을 절절히 묘사했다. 짧게 요약하면 '설렁탕집의 주인은 백정이고 그릇은 옹기 그릇이라 장국밥에 비해 점잖치 못한 차림새' 때문에 드러내놓고 설렁탕을 한 그릇 먹는 게 점잖은 사람들, 특히 조선이 망하기 전 양반 노릇하던 사람들에게는 쉽지 않은 일이었다고 한다. 또한 1930년대 당시 조선총독부의 고시가격에 따르면 비빔밥 1그릇이 15전인데 비해 설렁탕은 1그릇에 5전이었다. 즉 남는 뼈나 고기 따위를 끓여서 양을 불려먹는 일종의 싸구려 음식이었던 것.
이런 설렁탕의 배달 문화에 대해서는 당대의 사회상을 다룬 염상섭의 삼대에서도 몹시 생동감 넘치게 묘사되어 있다. 주머니 사정이 가벼운 병화도 종종 사먹을 수 있는 비교적 값 싼 음식이면서, 막 보급되기 시작한 전화를 통한 주문도 가능했다. 하지만 부잣집 도련님인 덕기가 설렁탕을 먹은 것을 본 지인이 '저런! 설렁탕을 어떻게 자셨소?' 라고 놀라서 한마디 할 정도로 싸구려 음식 취급을 받았던 것. 또한, 해당 작품을 보면 설렁탕을 주문하면 큰 투가리에 담아서 배달해 주고, 먹는 사람들은 집에 있는 그릇에 나눠 부어 먹고, 식은 설렁탕을 다시 데워 먹기 위해 투가리를 난로에 올려놓는 등 취식 행태도 접할 수 있다.
그리하여 체면을 중시하는 문화 속에서 배달업을 발달시켜 틈새 시장을 파고든 탓에, 설렁탕은 최초의 패스트푸드이자 짜장면 같은 배달 음식의 대표주자가 되었다. 현재의 설렁탕이 나이 지긋하신 분들이 뜨끈하게 한 그릇 먹는 나름 점잖은 식사라고 인식되는 것을 생각해보면 참으로 격세지감이다.
많은 국밥에는 시래기, 우거지, 콩나물 등의 채소, 다양한 종류 및 형태의 고기, 두부, 선지 등이 재료로 들어간다. 이러한 국밥의 재료를 생각해보면, 영양소 측면에서는 생각 외로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등 3대 영양소와 각종 무기질이 제법 균형있게 들어간 괜찮은 음식이다. 국밥의 종류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지방이 포함된 고기가 제법 들어있고, 국물에 밥을 말아먹으니 탄수화물 또한 당연하다. "OO 먹을 돈이면 차라리 뜨끈한 국밥 든든하게 먹고 말지"라는 인터넷 밈이 마냥 농담만은 아닌 셈이다.
국밥집 종류
- 선짓국
- 순대국밥
- 소머리국밥
- 굴국밥
- 돼지국밥
- 따로국밥
- 콩나물국밥
- 평양온반
- 수구레국밥
- 해장국
동영상
참고자료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