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순신

위키원
Jinshi2068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9월 30일 (월) 10:55 판 (새 문서: 썸네일|300픽셀|'''이순신''' '''이순신'''<!--이 순신-->(李舜臣)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다. == 개요 == * '''이순신'''은 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이순신

이순신(李舜臣)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다.

개요[편집]

  • 이순신은 조선 시대의 장군으로 임진왜란에서 삼도수군통제사로 수군을 이끌고 전투마다 승리를 거두어 왜군을 물리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본관은 덕수(德水)이고, 자는 여해(汝諧), 시호는 충무(忠武)이다. 1545년(인종 1) 4월 28일(음력 3월 8일) 한성부(漢城府) 건천동(乾川洞, 현재 인현동)에서 이정(李貞)과 초계 변씨(草溪卞氏)와의 사이에서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보성군수 등을 지낸 방진(方震)의 딸인 상주 방씨(尙州方氏)와 결혼하여 3남 1녀를 두었으며, 이 밖에 해주 오씨(海州 吳氏)와의 사이에 2남 2녀가 있었다. 1572년(선조 5) 훈련원(訓鍊院) 별과(別科)에 응시했으나 말에서 떨어져 왼쪽 다리가 부러지는 바람에 탈락하였다. 그래서 30세가 넘은 1576년(선조 9)에야 식년시(式年試) 무과(武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해 관직에 나섰다. 권지훈련원봉사(權知訓練院奉事)와 함경도의 동구비보(董仇非堡) 권관(權管), 발포수군(鉢浦水軍) 만호(萬戶) 등을 거쳐 건원보(乾原堡) 권관, 훈련원(訓鍊院) 참군(參軍)을 지냈다. 하지만 1583년(선조 16)에 부친상을 당해 관직에서 물러났다. 부친상을 마치고 1586년(선조 19) 사복시(司僕寺) 주부(主簿)로 다시 관직에 나서, 곧바로 함경도 조산보(造山堡) 만호(萬戶)로 임명되었다. 1643년(인조 21)에는 '충무(忠武)'의 시호를 받았고, 1659년(효종 10)에는 남해의 전적지에 그의 비석이 세워졌다. 1707년(숙종 33)에는 충청도 아산(牙山)에 세워진 그의 사당에 '현충(顯忠)'이란 호가 내려졌으며, 1793년(정조 17)에는 영의정으로 추증되었다. 그는 임진왜란에서 나라를 구한 영웅으로 숭배되어 통영 충렬사(忠烈祠, 1614년 건립, 사적 제236호), 여수 충민사(麗水忠愍祠, 1601년 건립, 사적 제381호), 아산 현충사(顯忠祠, 1706년 건립, 사적 제155호) 등에 배향되었다. 그의 묘는 충청남도 아산에 있다.[1]
  • 이순신의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여해(汝諧), 시호는 충무(忠武)였으며 한성 출신이었다. 문반 가문 출신으로 1576년(선조 9년)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함경도 동구비보 권관(종9품)을 시작으로 훈련원 봉사(종8품), 충청병사 군관, 전라도 발포진 수군만호(종4품), 훈련원 봉사(종8품), 함경남병사 군관, 훈련원 참군(정7품), 사복시 주부(종6품), 함경도 조산보 병마만호(종4품), 전라감사 조방장, 선전관, 전라도 정읍현감(종6품:태인현감 겸무), 전라좌도수군절도사(정3품)를 거쳐 정헌대부(정2품상계) 삼도수군통제사(종2품)에 이르렀다. 임진왜란 때 조선의 삼도수군통제사가 되어 부하들을 통솔하는 지도력, 뛰어난 지략, 그리고 탁월한 전략과 능수능란한 전술로 일본 수군과의 해전에서 연전연승해 나라를 구한 성웅(聖雄)으로 추앙받고 있다. 노량해전에서 전사한 뒤 선무공신 1등관에 추록되고 증 의정부우의정에 추증되고 덕풍군에 추봉 되었다가, 광해군 때 다시 증 의정부좌의정에 추증되고 덕풍부원군에 추봉 되었고, 정조 때에는 증 의정부영의정으로 가증(加贈)되었다. 고려 때 정5품 중랑장(中郎將)을 지낸 덕수 이씨의 시조 이돈수(李敦守)의 12대손이며, 조선 초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를 지낸 이변(李邊)[3]의 후손이다. 외가는 초계 변씨(卞氏), 처가는 온양 방씨(方氏, 당시에는 상주 방씨)이다. 그의 묘는 충청남도 아산시에 있다.[2]
  • 이순신은 16세기 말 조선의 명장이자 구국영웅이다. 임진왜란 및 정유재란 당시 조선 수군을 지휘했던 제독이었다. 시호는 충무공이다. 오늘날 대한민국에서 수많은 국민들이 존경과 흠모의 대상으로 삼으며, 그 존재만으로 애국심과 자부심을 갖게 해주는 한국사의 대표적인 구국영웅이다. 세종대왕과 함께 한국사 최고의 위인으로 높은 위상과 명성을 자랑하는 인물로, 대한민국 수도 서울의 중심 광화문 광장에 세워져 있는 대형 동상의 주인공이다. 또한 이순신의 이름을 딴 대교, 학교, 함선과 거리 등이 조성되어 있어서 한국인에게 이름이 가장 많이 언급되는 역사적 인물 중 하나이기도 하다.[3]
  • 이순신은 과거에 급제한 뒤 여러 번 승진하여 1591년(선조 24) 전라좌도수군절도사가 되었다. 이듬해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옥포, 사천포, 당포, 당항포, 한산도, 안골포, 부산포 등의 해전에서 연전연승을 거두고, 1593년(선조 26) 삼도수군통제사가 되었다. 그러나 1597년(선조 30) 조정에서는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가 바다를 건너올 것'이라는 일본이 흘린 거짓 정보에 속아 그에게 가토 기요마사를 생포하라 명하였다. 이순신은 일본의 계략임을 알고 이에 응하지 않았다가 파직되고 투옥되었다. 이후 우의정 등의 도움으로 간신히 목숨을 구한 이순신은 도원수 권율(權慄) 밑에서 백의종군하라는 선조의 명을 받았다. 그리하여 이순신은 1597년 4월 1일 옥에서 풀려나고, 3일 한양을 떠나 6월 4일 경상남도 합천의 초계 도원수부 초입까지 걸어 내려갔는데, 당시 하동을 거쳐 초계로 내려간 일정이 『난중일기(亂中日記)』에 고스란히 남아 있다. 원균(元均)이 일본군에 참패하고 전사하자 이순신은 다시 수군통제사로 임명되었다. 그는 곧 명량대첩으로 해상권을 회복했으나 노량해전에서 유탄에 맞아 전사하였다.[4]

이순신의 가계[편집]

  • 이순신의 조부 품앙공(楓巖公) 이백록(李百綠)은 중종 14년(1519년) 학행이 높고 문장 기절을 지녀 기묘사적에 들어갔다. 중종 17년(1522년) 임오 식년시(式年試) 생원 3등으로 생원이 되었으며 같은 해 사마 행검으로 생원 선교랑 참봉에 천제되었으나 (기묘사화)의 영향으로 나아가지 않았다. 이후 성균관 생원을 거쳤으나 문과 급제는 하지 못하였고 선교랑 평시서봉사를 지냈다. 중종 35년(1540) 품행의 문제로 탄핵되고 경기도 용인시 수지읍 고기리에서 여생을 보내다 중종 39년(1544) 중종의 국상에 결례를 범한 오해(삼남 이귀(李貴)의 혼사시 주육설판)로 의금부에서 곤장으로 복초(服招) 당한 후 녹안되었으며 회복하지 못하고 별세한 것으로 추정된다.
  • 이순신의 어머니 변씨(卞氏)의 문기(文記, 땅이나 집의 소유권을 증명하는 문서)에는 이순신이 형인 요신(堯臣)과 함께 어머니으로부터 외거노비 6~8명을 증여 받았으며, 충청도 은진(恩津)(현재의 충청남도 논산시) 지방에 있는 가옥과 토지도 물려받았다는 기록이 있다. 선조 22년에 아내 상주 방씨(온양 방씨)가 4형제에게 준 분재기 기록도 남아있다. 현충사 경내에 있는 고택 역시 이순신이 자신의 할아버지 백록으로부터 받은 것이라고 알려졌다.

옥포해전[편집]

  • 옥포해전은 이순신의 첫 승전을 알리게 된 해전이다. 1592년 (선조 25년) 6월 16일(음력 5월 7일) 정오 옥포항에서 정박하여 옥포에 침략했던 일본군을 공격하여 모두 26척을 침몰시켰으며, 잡혀있던 포로들을 구해내었다. 같은 날 오후에는 웅천현의 합포 앞바다에서 대선 4척, 소선 1척을 만나 이 또한 격파하였다. 전투는 17일(음력 5월 8일)에도 계속되었으며, 적진포에서 일본군이 보유한 군선 13척을 침몰시켰으나, 전세가 불리하여 육지로 도망간 적들을 쫓지는 못하였다. 이때 조선 조정은 이미 한양에서 파천하여 평안도로 후퇴하고 있었다. 27일(음력 5월 18일)에는 도원수 김명원(金命元)이 임진강 방어에 실패하여 일본군이 황해도까지 진격하는 것을 허용하고 말았다.

이순신 장검[편집]

  • 이순신 장검(李舜臣 長劍)은 충청남도 아산시 현충사에 있는 이순신 장군의 장검 2자루이다. 2023년 8월 24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길이 2m의 칼몸 2점과 1.45m의 칼집 2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칼날에는 이순신의 직접 지은 시구 '三尺誓天山河動色(삼척서천산하동색 : 석자 칼로 하늘에 맹세하니 산하가 떤다.)'와 '一揮掃蕩血染山河(일휘소탕혈염산하 : 한 번 휘둘러 쓸어버리니 피가 산하를 물들인다)'가 금동으로 입사(入絲)되어 있다. 이순신이 손수 사용했던 유물로 역사적 가치가 뛰어난 유물이다. 슴베에 새겨진 글귀를 통해 도검의 제작 이력을 확인할 수 있고, 이순신 후손에 의해 보존·전승되었다는 소장 이력까지 분명하여 학술적 가치도 뛰어나다. 1963년 1월 21일 이순신 유물 일괄이라는 명칭으로 옥로, 요대, 도배구대(복숭아 모양의 잔과 받침) 등과 함께 보물로 지정되었고, 2023년 8월 24일 이순신 장검 2자루만 별도로 분리되어 국보로 승격·지정되었다.

임진왜란[편집]

  • 임진왜란(壬辰倭亂)은 1592년(선조 25)부터 1598년까지 2차에 걸친 왜군의 침략으로 일어난 전쟁이며 1597년 제2차 침략전쟁을 따로 정유재란이라고 한다. 조선시대 남해안 지방에 왜구들이 자주 침략하자 1517년(중종 12) 조선 조정에서는 군국기무(軍國機務)를 장악하는 비변사(備邊司)라는 합좌기관(合坐機關)을 설치하여 이에 대비하였다. 1555년(명종 10)에는 왜구들이 전라도 해안가로 쳐들어와 을묘왜변을 일으켰다가 격퇴되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일본을 통일하여 실권을 장악하자 조선과 명나라 침략을 계획하게 되었다. 조선의 일부에서는 일본의 변화된 정치 상황을 인지하였고 영의정 이이(李珥)는 왜의 침략에 대비하여 10만 양병설(養兵說)을 주장하였다. 하지만 조선사회는 이미 오랜 평화 속에서 지배계층인 사대부의 편당(偏黨)정치가 심화되고, 전세제(田稅制)의 문란 등 여러 폐단으로 민심은 동요되고 대외적인 상황변화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 조정에서는 각 도에 왜군의 침공에 대비하여 성곽을 수축하고 군비를 정비하라는 명령을 내려도 몇 곳을 제외하고는 민폐를 야기시킨다는 원성만 높았으며 이에 동조한 일부 수령들도 전비(戰備)를 중지하라는 장계(狀啓)를 올리기도 하였다. 한편 일본을 통일한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가 대륙침공의 의도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은 1585년경부터였고 1587년에 그는 국내 통일의 마지막 단계에 이르러 규슈(九州)정벌을 끝마치고 대마도주(對馬島主) 소 요시시게(宗義調)에게 조선 침공의 뜻을 표명하였다.
  • 한성이 함락되고 함경도 지역까지 왜군의 침략을 당하고 있을 때 해상의 싸움은 전라도 해안으로 진출하는 왜병을 막아내고 있었다. 조선 수군의 편제와 전술은 고려 이래로 왜구 방어 위주였으므로 잘 정비되어 있었다. 따라서 각도에는 수영(水營)이 있어 이를 수군의 근간으로 하였다. 1592년 4월 14일 부산으로 침입한 왜선단(倭船團)에 경상좌수영과 우수영은 해상에서 제대로 싸움조차 하지 못한 채 대패하였다. 전라좌수영의 수군절도사로 있던 이순신은 경상우수영으로부터 왜군의 침입 보고를 받자 출동하여, 옥포(玉浦)의 첫 해전에서 승리를 거둔 후 당포(唐浦)·당항포(唐項浦)·한산도(閑山島)·부산 등지에서 계속 전과를 거두었다. 특히 한산도 앞바다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승리함으로써 역전의 발판을 마련하였다. 진주성(晉州城)싸움·행주산성(幸州山城)싸움과 더불어 임진왜란 3대첩으로 꼽는다. 이순신의 활약으로 해상권을 장악한 조선군으로 인해, 전라도 해안으로 진출하려던 왜군의 작전은 분쇄되었다. 해상에서의 승리와 함께 육지에서는 부산진·동래의 수성전(守城戰)과 김해성(金海城)의 저항, 경상우방어사(慶尙右防禦使) 조경(趙儆) 휘하의 돌격대장 정기룡(鄭起龍)의 추풍령전투, 밀양 작원(鵲院)에서의 밀양부사 박진(朴晉)의 선전, 유도대장(留都大將) 이양원(李陽元)의 해유령(蟹踰嶺) 승전 등 치열한 접전이 있었다.
  • 도요토미가 죽자 이를 계기로 왜군은 총퇴각하였다. 왜군의 가토가 울산의 도산성(島山城)에서 퇴각하고 순천의 고니시도 퇴각하려 했으나 이순신의 수군이 이를 차단하자 왜의 수군 300여 척이 이를 후원하려 노량(露梁)에 이르러 최후의 해전이 벌어졌다. 이순신은 명의 수사제독(水師提督) 진린(陳璘)과 합세하여 왜선 200여 척을 격파하여 임진왜란 최후의 이 해전에서 승리하고 장렬한 최후를 마쳤다. 이로써 전후 7년간에 걸쳤던 왜란은 조선·명·일본 3국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고 특히 싸움터였던 조선은 국토가 황폐화되고 백성은 도탄에 빠졌으며 정치·경제·문화·사회·사상 등 각 방면에 걸쳐 심각한 타격을 받았다. 따라서 위정자들의 급선무는 전란으로 인한 문물의 파괴, 재력의 탕진을 복구하는 것이었다. 정치·군사적인 면에 있어서는 비변사(備邊司)의 강화와 훈련도감을 비롯한 군사기구의 개편이 시작되었다.

한산도 대첩[편집]

  • 한산도대첩은 임진왜란의 3대 대첩 중 하나로, 1592년(선조 25) 8월 14일(음력 7월 8일) 한산도 앞바다에서 이순신 휘하의 조선 수군이 일본군을 크게 무찌른 해전이다. 이 전투에서 육전에서 사용되던 포위 섬멸 전술 형태인 학익진을 처음으로 펼쳤다. 이순신의 함대는 이억기의 함대와 함께 8월 12일(음력 7월 6일)에 출발하여 당일 노량에 이르렀고, 이곳에서 경상우수사 원균과 합류하였다. 이때 적선이 출몰하였다는 첩보를 얻어 8월 14일(음력 7월 8일) 큰배 36척, 중간배 24척, 작은배 13척을 만나 전투가 벌어졌다. 조선군 연합함대는 거짓으로 후퇴하는 척하여 적들을 큰 바다로 끌어낸 다음, 모든 군선들이 일제히 학익진 진형을 갖춰 지자총통, 현자총통, 승자총통을 발포하여 적함선을 궤멸시키는 데 성공하였다. 포격으로 적함을 깨뜨린 뒤 적함의 갑판에서 백병전을 벌여 일본군을 격퇴하였으며, 여러 명의 포로들을 구해내었다. 이날 일본군은 큰 배 한 척, 중간 배 일곱 척, 작은 배 여섯 척만이 후방에 있어 도망을 칠 수 있었다. 1592년 8월 15일(음력 7월 9일) 안골포에 적선 40여 척이 정박해 있다는 보고를 받아 8월 16일(음력 7월 10일) 학익진을 펼친채 진격하여 왜선 59척을 침몰시켰다. 한편, 음력 7월 말에 이르러서야 육전에서도 홍의장군 곽재우(郭再祐)가 승리하였으며, 홍계남(洪季男)이 안성에서 승리하였다.

이순신과 원균의 모순[편집]

  • 1592년 음력 6월 원균이 이순신과 연명으로 장계를 올리려 하였으나, 이순신이 먼저 단독으로 장계를 올렸다. 이로부터 각각 장계를 올려 조정에 싸움의 결과를 보고하였으며, 이 때문에 두 장군 사이에 골이 깊어지기 시작했다. 이순신은 자신의 일기 난중일기에서 원균의 성품과 인격에 문제가 많으며, 일의 처리에서도 불만인 점을 자주 기록하였다. 1593년 이순신이 삼도수군통제사가 되자 이순신의 명령을 받게 된 원균은 이에 반발하고 명령을 어기는 등 문제를 일으켜 두 사람의 틈이 더욱더 벌어졌다. 이순신은 조정에 원균과의 불화에 스스로 책임을 지고 자신을 파직시켜 달라고 청하자, 조정에서는 원균을 충청도 병마절도사로 옮겨 제수하였다. 이후 원균은 이순신에 대해 유언비어를 퍼뜨렸으며, 이원익(李元翼)이 체찰사로서 증거를 찾아내려 했으나, 오히려 이순신이 반듯하고 충성심이 강하다는 사실만 확인했다고 한다.
  • 이순신과 원균과의 대립은 각기 정파적인 입장과 맞물려서 갈등이 심화되었으며, 선조실록과 선조수정실록 조차도 이러한 두 인물에 대한 입장 차이가 심하다. 이에 대한 논의는 당시뿐만 아니라, 임진왜란이 끝나고 논공행상을 하는 자리에서도 진위 및 당부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미국과 영국 해군 교과서를 쓴 책인 '해전의 모든 것'(휴먼 앤 북스 펴냄)에서 이순신을 전설적인 명장 제독으로 추앙하는 반면, 원균은 조선 수군을 산 채로 매장한 최악의 제독으로 평가한다.

이순신묘[편집]

  • 이순신묘(李純信墓)는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에 있는 무의공 이순신의 묘. 광명시향토유적 제4호로, KTX 광명역 바로 앞 서독산 자락에 있다. 무덤의 봉분은 정사각형 호석을 두른 방형분이며, 앞면 3.26m, 옆면 3.98m 규모이다. 봉분 앞에는 문인석, 망주석, 상석, 향로석, 문방석 등의 석물이 놓여 있다. 문인석은 안상문, 당초문, 연판문이 새겨진 흔치 않은 형태이고, 망주석은 운각과 염의가 조각된 전형적 형태이다. 무의공 이순신(李純信, 1554~1611)은 충무공 이순신의 중위장으로 활약했고, 노량해전에서 충무공 전사 후 전군을 지휘했으며 후에 황해도병마절도사, 전라도수군절도사를 지냈다.

이순신생가터[편집]

  • 이순신생가터(李舜臣生家址)는 서울특별시 중구 인현동에 있는 이순신의 생가터이다. 충공 이순신은 1545년 4월 28일 한성부 건천동(乾川洞:마른내골)에서 이정(李貞)의 네 아들 중 셋째로 태어났다. 1956년 한글학회와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의 답사를 통해 지금의 서울특별시 중구 인현동1가 31-2번지가 생가터인 것으로 밝혀졌다. 생가터 부근은 옛 지명을 따라 마른내길이라고 부른다.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이순신(李舜臣,1545~1598)〉, 《두산백과》
  2. 이순신〉, 《위키백과》
  3. 이순신〉, 《나무위키》
  4. 이순신 백의종군의 길〉, 《향토문화전자대전》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이순신 문서는 역사인물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