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업
철도업(鐵道業)이란 다른 사람의 수요에 응하여 철도차량을 사용하여 유상(有償)으로 여객이나 화물을 운송하는 사업을 말한다.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철도는 대한제국 시기인 1899년 9월 18일에 개통된 경인선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주요 간선 노선은 이후에 일본을 중심으로 한 열강의 침탈로 1910년부터 1945년까지 36년간 일본에 점령당하며 군사·정치적 목적에 의해 생겨났다. 이후 주권을 찾은 뒤 대한민국이라는 국가를 세웠지만 극빈한 후진국이어서, 유엔·미국 등에서 차관을 들여와 일부 간선을 건설하고 철도차량을 수입했다.
1960~70년대 산업화 시대까지만 해도 철도는 자동차·항공운송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여객·화물 수송에서의 지위는 확고했지만, 1980년대 들어 시설의 노후화나 서비스의 부재 등으로 심각한 재정 악화와 서비스의 퇴보를 보였다. 그래서 지속적인 노후시설 대체와 서비스 개선 등으로 모습을 일신하고 있고, 도로수송의 적체나 항공수송의 고운임에 비해 저운임·신속·대량수송의 장점을 부각시키고 있다.
도시철도를 제외한 일반철도는 2004년 말까지 철도청을 통한 국영 체제였고, 2005년부터 지금까지도 한국철도공사에 의한 국영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적자가 쌓여갔지만, 국가에서 보조금을 지급하므로 다소 방만한 경영을 계속했는데(2014년 흑자 달성), 일부에서 이를 개혁하자는 주장이 나타나 2014년 12월에 수서 평택 고속선을 한국철도공사의 자회사가 운영하는 소위 '경쟁 체제'가 도입되었다. 경쟁체제 찬성론자는 이것이 경영합리화 작업의 일종이며 차후 서비스의 질이 높아져 이용하기에 편해질 것이라 보지만, 하지만 반대론자는 국가의 기간망인 철도를 여러 기업에서 운영한다면 시설물 구입이나 직원 채용 등에서 예산을 추가로 사용하게 되므로 되려 낭비가 있을 것으로 보았다.
1899년에 현재의 서울 지역에서 개통한 서울 전차를 시작으로, 대한민국의 대도시들에는 도시철도라고 불리는 자체적인 철도 교통망을 갖추게 되었다. 1974년에는 서울특별시에, 1985년에는 부산광역시에, 1997년에는 대구광역시에, 1999년에는 인천광역시에, 2004년에는 광주광역시에, 2006년에는 대전광역시에 개통되었다. 2020년 10월 현재 수도권 전철은 22개의 노선이(인천 도시철도 포함), 부산 도시철도는 6개의 노선이, 대구 도시철도는 3개의 노선이, 광주·대전 도시철도는 각각 1개의 노선이 운행 중인데, 도시의 수송력을 분담하는 중요한 교통수단이 되고 있다.[1]
여객 운송[편집]
간선 노선[편집]
지하철 및 광역전철을 제외한 대부분 철도는 한국철도공사가 운행한다. 이 철도는 제주특별자치도를 제외한 전국 각지를 연결하고 있다. 한편 1967년에는 일반 여객용 증기기관차가, 1995년에는 협궤 철도가 사라졌고, 경부선과 호남선의 과다한 여객 수요를 분산시키기 위해 2004년·2015년에 경부고속철도와 호남고속철도가 각각 개통되었다. 또한, 2007년에는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여객 영업을 하는 사설 철도인 인천국제공항철도가 개통되었는데, 이 노선을 운영하는 회사는 한국철도공사의 자회사로 편입되었다가 다시 사유화되었다. 한편 간선 철도망과 간선 고속도로망의 길이는 약 3000km로 거의 같은데, 이는 다른 세계 주요국에서 찾아보기 힘든 철도 인프라 과소 현상이라는 지적이 철도 학계에서 제기되고 있다.
도시철도[편집]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은 서울 지하철 1호선(서울 ~ 청량리)이다. 1971년 4월 12일 착공하여 1974년 8월 15일 개통하였는데, 이는 세계에서 22번째로 지어진 지하철 노선이다.[15] 이 구간은 도로를 뜯은 후에 지하 구조물을 만든 후 다시 메우는 방식인 개착식 공법으로 만들어졌는데, 지금은 도로 사정에 따라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서울역 ~ 청량리 구간과 함께 서울 ~ 인천 간의 경인선, 구로 ~ 수원 간의 경부선 구간을 직결 개통하였으며 이들 구간은 기존의 선로를 복선 전철화하여 운용하였다.
서울특별시의 경우, 1970~80년대에 개통된 지하철을 1기 지하철, 1990년대~2000년대 초반에 개통된 지하철을 2기 지하철, 2000년대 후반부터 개통된 지하철을 3기 지하철이라고 부른다. 현재 수도권 지역에는 1·2·3·4·5·6·7·8·9호선, 수인분당선, 경의중앙선, 경춘선, 경강선, 공항철도, 신분당선,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의정부 경전철, 용인 경전철, 우이신설선, 김포도시철도, 서해선이 운영되고 있다. 1, 2기 지하철은 서울교통공사에서, 9호선은 서울시메트로9호선에서, 수인분당선· 경의중앙선 · 경춘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 장항, 경인, 경원 계통 · 일산선 · 과천선 · 안산선 ㆍ경강선은 한국철도공사에서, 공항철도는 (주)공항철도에서, 신분당선은 (주)신분당선주식회사에서, 인천 도시철도는 인천교통공사에서, 우이신설선은 (주)우이신설경전철에서, 김포도시철도는 (주)김포골드라인운영에서, 서해선은 (주)이레일이 운영한다. 한편, 인천광역시의 지하철은 수도권 전철과 연계된 동일한 요금체계를 가지고 있어서 일반적으로 수도권 전철의 일부로 보지만, 수도권 전철과 별도의 지하철로 보는 시각도 있다.
1980년대에 부산광역시에서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이 개통된 것을 시작으로 김해, 양산으로 노선을 확대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부산, 경상남도에는 1·2·3·4호선은 부산교통공사에서, 부산김해경전철은 (주)부산김해경전철에서, 동해선은 한국철도공사에서 운영한다.
대구에는 1·2·3호선이, 대전과 광주에는 각각 1호선이 운영되고 있다. 각 노선은 도시에서 세운 공기업이 운영하고 있으며 각 도시철도 노선은 현재에도 계속 생겨나고 있다. 서울특별시에서는 새로이 건설되는 노선을 경량 전철로 지을 계획이며, 부산광역시와 대전광역시, 경기도에서는 노면 전차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화물운송[편집]
화물열차로는 시멘트나 컨테이너 등을 수송하며, 때로 공화차라 불리는 회송되는 빈 화차도 운행한다. 한편 우편물이나 곡물 등을 수송하는 화물열차는 분류상 여객열차의 범주에 들어간다.
2019년 기준으로 운송수단별 국내화물 운송분담률은 도로가 92.6%, 해운이 6%, 철도가 1.4%, 항공이 0%이다. 철도는 네 종류의 운송수단 가운데 세 번째를 차지하고 있다.
관광[편집]
대한민국에서는 1970년대 말까지만 해도 철도를 이용한 관광 문화는 그다지 발달하지는 않은 편이었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 일부 관광열차가 운행하였지만, 큰 호응을 얻지 못해 운행이 중단되었다.
2000년대에 들어 다양한 관광열차가 운행되기 시작했다. 2007년에는 코레일관광개발에서 강릉-삼척 구간을 운행하는 바다 열차가 등장했는데, 통근형 디젤 동차를 개조한 열차이다.[16] 2008년에 레일크루즈 해랑이라는 고급 관광열차가 개발되었으며, 이는 남아공의 블루트레인을 벤치마킹한 여행 상품으로, 1인당 요금은 100만원 전후 수준이다.
2013년에 '대한민국 5대 관광벨트'가 선정되었는데, 중부내륙벨트·동남블루벨트·남도해양벨트·서해골드벨트·평화생명벨트가 바로 그것이다. 2013년 4월에는 중부내륙벨트를 달리는 O-train과 V-train이, 같은 해 9월에는 남도해양벨트를 달리는 S-train이 운행하기 시작했다. 2014년 5월에는 평화생명벨트에 DMZ-train이, 2015년 2월에는 서해골드벨트에 G-train이 영업을 개시하였다. 동남블루벨트는 남도해양벨트에 통합되었고, 중부내륙벨트에서 분리된 강원청정벨트에 2015년 1월부터 A-train이 운행하고 있다.[2]
2020년에 들어서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각종 관광열차 운행이 취소되거나 결여되고 있다.[3]
운영[편집]
1894년 7월 30일(음력 6월 28일) 갑오개혁 관제공포 이후 조선 정부는, 내각 아래 공무아문에 철도국을 설치하였다. 철도국에는 참의 1명과 주사 2명이 임명되어 공식적으로 철도업무를 수행하게 되었다. 이어서 8월 6일(음력 7월 6일) 농상공부 직제를 개편하여 철도국을 농상공부에 이관하고, 철도사(司)를 설치하여 감독 1명과 사장 1명, 기사 2명, 주사 2명, 기수 5명 등 11명을 두었다. 아울러 8월 21일에는 다시 농상공부의 직제를 개편하고 철도사를 철도국으로 개칭함과 동시에, 세칙은 농상공부대신이 부령으로 정하도록 하였다. 조선 정부는 국유 철도를 직접 설치하지 않고, 부설권을 민간에게 부여한 뒤에 관리 감독하는 정부 기관으로 철도국을 설립했는데, 이는 영국과 미국의 초기 철도와도 유사한 방식이다.
1917년 7월 31일, 국유 철도의 운영이 남만주철도주식회사에 위탁되었다. 이로 인해 조선총독부 철도국이 폐지되었고, 서울에 남만주철도 경성관리국이 설치되었다. 1925년 4월 1일에 다시 조선총독부 직영 체제로 전환되었다.
철도청은 2004년 1월 1일 자로 시설 보유와 건설 부문이 한국철도시설공단으로 분할되었다. 또한, 2005년 1월 1일부터 철도 영업 부문이 한국철도공사(韓國鐵道公社)로 분할되어 출범하였으며[19], 2007년 5월부터 커뮤니케이션 명칭을 코레일(영어: KORAIL)로 일원화했다. 한국철도공사는 대한민국의 국유 철도 영업과 관련 사무를 담당하는 유일한 공기업이다. 2009년 9월에 본사를 정부대전청사에서 대전역 광장의 신 사옥으로 이전했다.
철도 문화[편집]
대한민국의 철도 문화재는 크게 문화재청이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정한 것과 한국철도공사의 자체 지정 시설물로 나눌 수 있다. 한국철도공사에서는 철도기념물과 준철도기념물 제도를 마련하여 철도 문화재를 보존하고 있다.
사적으로 등록된 것은 구 서울역사 하나뿐이다.
각주[편집]
- ↑ 〈철도(鐵道)〉,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왕성상 기자, 〈전국을 하나로 잇는 ‘5대 철도관광벨트’〉, 《아시아경제》, 2013-05-02
- ↑ 염지현 기자, 〈전‘코로나 여파에 관광열차 스톱’…5대 벨트 관광열차 잠정 중단〉, 《중앙일보》, 2020-02-26
참고자료[편집]
- 〈철도(鐵道)〉,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왕성상 기자, 〈전국을 하나로 잇는 ‘5대 철도관광벨트’〉, 《아시아경제》, 2013-05-02
- 염지현 기자, 〈전‘코로나 여파에 관광열차 스톱’…5대 벨트 관광열차 잠정 중단〉, 《중앙일보》, 2020-02-26
- 이덕희, 〈우리나라 철도의 역사〉, 《더사이언스타임즈》, 2004-04-25
- 나는 누군가, 〈철도문화〉, 《브런치》, 2018-08-22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