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SKD"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차이 없음)

2024년 6월 14일 (금) 12:55 기준 최신판

SKD(semi knock-down)는 부품을 일부 조립하여 수출하는 방식이다.

타고 월렌트 대형 가로 배너.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타고] 1개월 단위로 전기차가 필요할 때! 타고 월렌트 서비스

개요[편집]

SKD는 부분적으로 조립된 후 최종 조립을 위해 다른 장소로 배송되는 차량을 말한다. 차체 조립과 도장 공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수춯한 해외 공장에서 나머지 부품을 조립하는 받식이다. SKD로 분해하면 CKD보다 비교적 수월하게 완성차를 만들 수 있다. 부품은 일반적으로 사전 조립되며 최종 조립만 진행한다. 이러한 제작 방식은 일반적으로 숙련된 노동력이 부족하거나 일정 수준의 현지 작업 과정을 요구하는 정부 규제가 있을 때 사용된다. SKD 차량은 조립 비용이 낮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CKD 또는 CBU 차량보다 가격이 저렴하다.[1][2] KOTRA 다카무역관에 따르면 방글라데시완성차 수입 관세율은 배기량에 따라 127.7~442.6%지만, CKD와 SKD 관세율은 모두 89%에 불과하다.[3]

특징[편집]

  • 부분 분해 : SKD 방식은 완전히 분해하는 CKD와 달리 주요 부품들만 분해하여 수출한다. 이는 조립 과정에서 필요한 부품의 수와 복잡성을 줄일 수 있다.
  • 공정 효율성 : 일부 부품이 조립된 상태로 수출되므로, 현지에서의 조립이 더 빠르고 효율적이다. 이는 생산 시간 단축과 인건비 절감에 기여한다.
  • 비용 절감 : 부품 상태로 수출하면 관세 및 운송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현지 생산 시 추가적인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 현지화 : 현지에서 조립을 진행함으로써 현지 시장의 요구에 맞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으며, 현지 고용 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다.

사용 사례[편집]

자동차[편집]

현대자동차㈜, 기아㈜ 등 국내 자동차 제조사는 SKD 방식을 사용하여 해외 시장에 자동차를 공급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인도, 중국, 아프리카 등의 국가에서 SKD 방식으로 생산된 자동차를 조립하여 현지 시장에 판매하고 있다. 특히 현대자동차㈜는 남아시아 지역에 KD 공장을 꾸준히 늘리고 있다. 2022년 방글라데시(SKD·연 3,000대), 2023년 스리랑카(SKD·연 3,000대)·네팔(SKD·연 7,000대) 등 남아시아 4곳에 SKD 공장을 구축했다. 2010년대 후반까지는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등 주로 동남아에 KD 공장을 설립했다. 남아시아에 KD 공장을 지속적으로 설립하는 이유는 남아시아 시장의 성장성 때문이다. 인도는 세계 3위 자동차 시장이 되었고 주변국인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네팔 등도 신차 수요 증가가 기대되고 있다.[4]

비교[편집]

CBU, CKD 및 SKD의 주요 차이점은 각 방법에 필요한 조립 방식이다. CBU 차량은 완전히 조립되어 추가 작업이 필요 없는 반면, CKD 및 SKD 차량은 추가 조립 작업이 필요합니다. CKD 차량은 일반적으로 부품이 사전 조립되지 않기 때문에 SKD 차량보다 더 많은 조립 작업이 필요하다. 한편 각 방법의 비용은 다양한데, CBU 차량이 가장 비싸고, 그 다음이 CKD이며, SKD가 가장 저렴하다. 이 셋을 상황에 맞게 선택하는 것은 비용, 숙련된 노동력의 가용성, 정부 규제를 포함한 다양한 요소를 해결할 수 있는 중요한 해결책이 될 수 있다.[2]

각주[편집]

  1. [아하!]자동차 업종의 CKD, "흩어지면 산다?"〉, 《아이투자》, 2011-02-24
  2. 2.0 2.1 채지평 기자, 〈[알쏭달쏭 국제통상] 자동차 수출입의 감초, 'CBU, CKD, SKD' 바로 알기〉, 《국제통상신문》, 2023-02-22
  3. 김형규 기자, 김일규 기자, 〈현대차, 투싼 '부분조립 수출'…동남아 공략 강화〉, 《한국경제》, 2023-03-01
  4. 이동희 기자, 〈인도 옆 네팔에 현대차 공장…떠오르는 남아시아 시장에 '조립' 전술〉, 《뉴스1》, 2024-05-17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SKD 문서는 자동차 제조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