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제련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썸네일|300픽셀|'''석포제련소''' '''제련소'''(Refinery, 製鍊所)는 광석, 천연자원에서 금속을 추출하여 산업에...)
 
(개요)
4번째 줄: 4번째 줄:
  
 
==개요==
 
==개요==
 +
제련소는 [[제련]]을 하는 장소로 [[구리]], [[아연]], [[연]], [[마그네슘]], [[니켈]] 등과 같은 목적 금속을 생산한다. 제련소는 비철금속 광석을 매입하여 제련과 정련 과정을 거쳐 괴(塊, Base Metal) 형태의 순도가 높은 비철금속을 생산한다. 제련소는 공장 건설에 막대한 자본이 소요되는 자본집약적 산업이며 설비투자금액이 크고 안정된 품질의 제품 생산을 위해서는 장기간 기술 축적이 필요하다. 비철금속 제련업은 초기 투자 부담이 매우 커 독점 또는 복점적인 시장구조를 보이고 있다. 국내 시장의 경우 전기동은 엘에스니꼬동제련이 독점 생산하고 있으며 아연은 고려아연과 영풍 2개사가, 연은 고려아연만이 생산하고 있다. 고려아연과 영풍이 계열사 관계라는 점을 고려하면 아연시장 역시 사실상 독점구조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시장집중도가 매우 높은 독점 및 복점 구조하에 있는 비철금속 제련회사들은 기업간의 경쟁 강도가 매우 약하고 전방산업 교섭력 또한 우수하여 대표적인 비철금속 국제시세인 LME(London Metal Exchange) 시세를 비교적 쉽게 국내 가격에 전가시킬 수 있는 가격 협상력을 보유하고 있다.
 +
 +
제련소에서 생산되는 비철금속은 산업의 비타민으로서 [[전기]], [[전자]], [[반도체]], [[통신]], [[자동차]], 조선, [[철강]], [[기계]], [[화학]], 건축, 방위산업 등 전 산업의 기초 소재는 물론 국민 생활의 필수 용품 소재로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중국은 글로벌 비철금속 소비 및 생산량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세계 1위의 비철금속 소비 및 생산 국가로, 글로벌 수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등 글로벌 수급에 중국의 수급 동향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은 견조한 수요 성장세를 바탕으로 비철금속 수요가 자체 공급을 상회하는 전반적인 공급 부족 양상을 보이면서 글로벌 시장의 공급과잉 양상을 완충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주요 비철금속별로 중국이 글로벌 수급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영향 정도가 다소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전기동의 경우 중국 국내 주택 투자 및 전력 인프라 확대 과정에서 빠른 소비 성장을 보이면서 만성적인 공급 부족 구조가 유지되고 있으며 아연의 경우에도 공급 부족 구조로 중국 국내 수요 충족을 위해 수입 비중이 확대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ref>〈[http://www.nonferrous.or.kr/about/?act=sub1 인사말]〉, 《한국비철금속협회》</ref>
  
 
==한국 제련소==
 
==한국 제련소==

2022년 7월 18일 (월) 16:20 판

석포제련소

제련소(Refinery, 製鍊所)는 광석, 천연자원에서 금속을 추출하여 산업에 이용 가능한 형태로 제조하는 시설을 말한다. 철광석에서 철강을 제조하는 사업소는 제철소라 하고 비철금속 또는 그 합금을 제조하는 사업소를 제련소라고 한다. 광석, 천연자원 이외의 금속설(金屬屑), 드로스(dross) 등에서만 금속을 제조하는 사업소는 제련소라고 할 수 없다.[1][2]

개요

제련소는 제련을 하는 장소로 구리, 아연, , 마그네슘, 니켈 등과 같은 목적 금속을 생산한다. 제련소는 비철금속 광석을 매입하여 제련과 정련 과정을 거쳐 괴(塊, Base Metal) 형태의 순도가 높은 비철금속을 생산한다. 제련소는 공장 건설에 막대한 자본이 소요되는 자본집약적 산업이며 설비투자금액이 크고 안정된 품질의 제품 생산을 위해서는 장기간 기술 축적이 필요하다. 비철금속 제련업은 초기 투자 부담이 매우 커 독점 또는 복점적인 시장구조를 보이고 있다. 국내 시장의 경우 전기동은 엘에스니꼬동제련이 독점 생산하고 있으며 아연은 고려아연과 영풍 2개사가, 연은 고려아연만이 생산하고 있다. 고려아연과 영풍이 계열사 관계라는 점을 고려하면 아연시장 역시 사실상 독점구조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시장집중도가 매우 높은 독점 및 복점 구조하에 있는 비철금속 제련회사들은 기업간의 경쟁 강도가 매우 약하고 전방산업 교섭력 또한 우수하여 대표적인 비철금속 국제시세인 LME(London Metal Exchange) 시세를 비교적 쉽게 국내 가격에 전가시킬 수 있는 가격 협상력을 보유하고 있다.

제련소에서 생산되는 비철금속은 산업의 비타민으로서 전기, 전자, 반도체, 통신, 자동차, 조선, 철강, 기계, 화학, 건축, 방위산업 등 전 산업의 기초 소재는 물론 국민 생활의 필수 용품 소재로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중국은 글로벌 비철금속 소비 및 생산량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세계 1위의 비철금속 소비 및 생산 국가로, 글로벌 수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등 글로벌 수급에 중국의 수급 동향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은 견조한 수요 성장세를 바탕으로 비철금속 수요가 자체 공급을 상회하는 전반적인 공급 부족 양상을 보이면서 글로벌 시장의 공급과잉 양상을 완충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주요 비철금속별로 중국이 글로벌 수급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영향 정도가 다소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전기동의 경우 중국 국내 주택 투자 및 전력 인프라 확대 과정에서 빠른 소비 성장을 보이면서 만성적인 공급 부족 구조가 유지되고 있으며 아연의 경우에도 공급 부족 구조로 중국 국내 수요 충족을 위해 수입 비중이 확대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3]

한국 제련소

환경 문제

관련 뉴스

각주

  1. 제련소〉, 《나무위키》
  2. 제련소〉, 《네이버 지식백과》
  3. 인사말〉, 《한국비철금속협회》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제련소 문서는 자동차 제조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