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인구(人口, Population)는 특정한 나라, 지역에 사는 사람의 수를 말한다. 사망과 출생, 혼인, 이혼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인구의 숫자가 결정되며 이민, 귀화 등 인구의 이동도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다.
개요
2020년 주요 의학 잡지인 렌싯(The Lancet)에 발표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20년 7월 기준 전 세계 인구는 78억 명이다.
전 세계 인구는 1800년 기준 10억 명, 1959년 30억 명을 넘어서고 1987년 50억 명, 2011년에는 70억 명으로 증가했다. 유엔에 따르면 2023년에는 80억 명, 2100년에는 110억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다. 오픈 액세스 통계를 공개하는 사이트 OWID(Our World in Data)에 따르면 인류 역사 대부분은 인구 증가 속도는 비교적 느렸다. 기원전 1만 년 전 400만 명이 지구에 살고 있었으며 서기 1000년까지 1억 9,000만 명까지 증가했다고 추정되고 있다.
이후 1300년 발생한 전염병이 세계적으로 유행하면서 전 세계 인구는 33∼55% 감소했다. 이후 1700년부터 1800년까지 산업혁명에 의해 인구 증가에 박차를 가하고 1927년에는 인구가 20억 명에 도달하고 1950년까지 공중위생 향상과 항생제 발견으로 인해 평균 수명이 늘어나 1959년에는 30억 명, 1999년에는 60억 명까지 증가하고 있다.
또 연평균 인구 증가율은 기원전 1만 년에서 서기 1700년까지 0.04%, 1920년부터 1950년까지 1%, 1960년대 후반부터 1998년까지 2.04%다. 유엔 인구 통계 학자인 사라 헤르토크(Sara Hertog)는 1900년대 후반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건 아이들의 사망률 감소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베이비붐 때문이라고 말한다.
최근에는 인구 증가율이 크게 감소하고 있으며 2020년 인구 증가율은 1.05%지만 증가율 감소가 모든 지역에서 일어나고 있는 건 아니다. 예를 들어 2020년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인구 증가율은 2.7%로 전 세계 평균을 크게 웃돈다. 사하라 사막 이남 인구 증가율이 높은 출산율 증가와 사망률 저하 주요 원인이라고 한다.
출산율은 전 세계 인구를 추정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수치 중 하나다. 여성 1명이 출산 가능하게 되는 나이에 낳는 아이 평균 수를 나타낸 합계 출산율이 증가하는 인구는 증가한다. 이 합계 출산율은 북미와 유럽에선 1.7인 반면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선 4.6이다. 지역에 따라 출산율 차이가 발생하는 점에 대해선 인간 개발과 여성 교육, 고용 문제 등이 관계하고 있다. 여성에게 남성과 동일한 교육 기회를 주어진 경우 출산이 늦은 아이가 줄어드는 연구 결과 외에도 도시화도 출산율 감소로 이어진다.
사망률도 중요한 수치다. 모든 국가가 국민 출생과 사망을 기록하는 건 아니기 때문에 정확한 수치를 파악하기는 어렵다고 여겨지고 있지만, 인구통계학자는 평균 수명 등 다른 수치를 이용해 사망률을 추정한다. OWID에 따르면 1800년 이전에 전 세계 모든 지역 평균 수명은 30세 정도였지만 1995∼2000년에는 65세까지 증가했고 2019년 기준으로는 72.6세다. 평균 수명도 지역에 따라 다르며 2016년 시점 아프리카 전체에선 61.2세, 유럽에선 77.5세다.[1]
인구 증감 추이
유엔은 2100년쯤 정점에 달해 109억명이 되고, 한국 인구는 줄어서 3879만명 정도가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하지만 세계 인구의 정점은 21세기 중반에 찾아오고, 2100년 한국 인구는 현재의 반 토막도 힘들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각국 정부가 출산율 재고를 위해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서다.
미국 워싱턴대 의과대학 산하 보건계량분석연구소(IHME)가 의학저널 <랜싯>에 발표한 논문에서 세계 인구는 2064년에 97억명을 기록해 정점을 찍은 뒤 감소세로 돌아서, 2100년에는 88억명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2019년 발표된 유엔 경제사회국의 분석에서 세계 인구는 2100년 109억명 되면서 출산율이 저하돼 감소세로 돌아설 것으로 예측됐다. 이번 연구는 세계 인구의 정점이 무려 40여년 빨리 찾아온다고 전망했다.
이 연구에서 한국 인구는 2100년 2678만명으로 예측됐다. 한국은 2031년에 인구 정점인 5429만명을 기록한 뒤 감소세로 돌아선다는 것이다. 모든 인구에게 교육 등 혜택을 제공하는 '지속가능한 목표'(SDG) 추세 분석에 따르면 한국 인구는 현재 인구 5267명의 절반도 안 되는 2472만명까지 감소한다. 유엔은 2017년 보고서에서 2100년 한국 인구를 3879만명으로 예측한 바 있다.
한국뿐만 아니라 일본, 타이, 이탈리아, 스페인 등 23개국도 2100년이면 현재 인구의 절반 이하로 떨어진다. 현재 1억2836만명인 일본은 이미 2017년 정점을 지나서 5972만명으로 줄어든다.
인구 대국인 중국과 인도도 인구감소를 피할 수 없다. 현재 14억1248만명의 중국은 2024년에 정점인 14억3191만명을 기록한 뒤 2100년이면 7억3189명까지 줄어든다. 인도는 현재 13억8056만명에서 2048년에 16억560만명으로 최고에 오른 뒤 2100년에는 10억9315만명이 된다. 인구의 노령화가 특히 심화돼, 노동 가능 인구의 감소는 더욱 클 것으로 분석됐다. 중국의 노동 가능 인구는 9억5천만명에서 3억5천만명으로 감소하고, 인도도 7억6천200만명에서 5억7천800만명으로 준다.
세계 인구변화에서 가장 낙관적인 시나리오를 받은 국가는 미국이다. 미국은 현재 3억2484만명에서 2062년 3억6375만명으로 정점을 지나지만, 완만한 감소세를 보여 2100년에는 3억3581만명을 기록한다. 2100년에도 현재 인구보다 많은 것이다.
특히, 미국은 2100년에 다시 경제적으로 수위를 차지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됐다. 현재 추세대로라면, 미국은 2035년 중국에 경제적으로 추월당한다. 하지만 중국의 노동 가능 인구가 줄어드는 반면 미국은 이민 등으로 노동 가능 인구가 유지돼, 2098년이면 다시 경제 규모가 1위로 올라선다는 것이다.
그러나,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 인구는 약 30억명으로 세배 가까이 팽창하고, 그중에서도 특히 나이지리아 인구는 2100년 8억명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이에 따라 나이지리아는 국내총생산(GDP) 규모가 10위권으로 진입한다.
이 연구는 2100년 195개 국가 중 185개국이 인구감소를 막을 수 있는 출산율인 2.1명보다 낮은 출산율을 보일 것이라고 예측했다. 한국 등 부유한 국가들이 경제 성장을 이어가려면 아이를 원하는 가정에 지원을 아끼지 않고, 유연한 이민정책을 도입하는 게 최선의 방법이라고 연구는 제안했다.[2]
우리나라 현황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인구동향조사 출생・사망통계 잠정 결과'를 보면 2021년 출생아수는 26만500명으로, 2020년(27만2300명)보다 4.3% 줄었다. 통계가 작성된 1970년 이래 역대 최저다. 출생아 수는 2002년부터 15년간 40만명대를 유지하다 2017년 30만명대로 떨어졌다. 이후 2020년에 20만명대로 진입한 뒤 계속 감소하고 있다.
출생과 관련된 모든 지표가 인구감소를 가리킨다. 인구 1000명당 새로 태어난 사람의 비율인 조출생률(5.1명)도 역대 최저다. 합계 출산율은 0.81명으로 1년 전보다 0.03명 하락했다. 가임기간 동안 여성이 아이를 1명도 낳지 않는다는 의미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7개 회원국 중 합계출산율이 1명 미만인 곳은 한국이 유일하다.
출생아 수의 선행지표인 혼인 건수는 처음으로 10만건대로 하락했다. 2021년 1∼12월 누적 혼인 건수는 19만2509건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9.8%(2만993건) 감소했다. 코로나19로 결혼식을 미룬 이들을 감안하더라도 감소 폭이 크다. 그렇다고 일상회복 이후 혼인 건수가 대폭 증가할 가능성도 높지 않다.
출생아 수는 역대 최저를 기록한 반면 사망자 수는 31만7800명으로 역대 가장 많았다. 1년 전보다 1만2800명(4.2%) 증가했다. 고령자 인구가 많은 만큼 앞으로도 사망자수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2021년 한국 인구는 5만7300명 줄었다. 1년 전(-3만2600명)보다 2만명 넘게 줄어든 것이다. 경기(8700명), 세종(2200명), 울산(600명)를 제외한 경북(-1만900명), 전남(-9100명) 등 나머지 14개 시도는 모두 자연감소했다. '2020~2070년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자연감소 규모는 2060년 56만명이지만 지금 속도라면 감소폭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3]
각주
- ↑ 이원영 기자, 〈전 세계 인구는 어떻게 추정할까〉, 《테크레시피》, 2021-03-15
- ↑ 정의길 기자, 〈세계인구 2100년 88억명…한국은 인구 반토막〉, 《한겨레》, 2020-07-15
- ↑ 반기웅 기자, 〈'인구절벽' 가팔라지는 한국... 출생 역대 최저 사망 역대 최다〉, 《경향신문》, 2022-02-03
참고자료
- 〈인구〉, 《위키백과》
- 이원영 기자, 〈전 세계 인구는 어떻게 추정할까〉, 《테크레시피》, 2021-03-15
- 정의길 기자, 〈세계인구 2100년 88억명…한국은 인구 반토막〉, 《한겨레》, 2020-07-15
- 반기웅 기자, 〈'인구절벽' 가팔라지는 한국... 출생 역대 최저 사망 역대 최다〉, 《경향신문》, 2022-02-03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