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못
연못은 넓고 오목하게 팬 땅에 물이 괴어 있는, 늪보다 작은 공간을 말한다. 연못은 못에서 파생된 말이며 현대에는 연꽃이 있건 없건 못을 그냥 연못이라 부른다. 대개 자연적인 과정에서 만들어진 것을 가리키지만, 미관을 위해 인공으로 만든 곳도 연못이라 한다.
못의 개요
못은 자연적으로나 인위적으로 넓고 깊게 팬 땅에 늘 물이 괴어 있는 곳을 가리킨다. 못을 뜻하는 글자로는 지(池)・소(沼)・당(塘)・방축(防築)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지는 못 자체를 가리키는 글이고, 소는 자연의 힘으로 땅이 우묵하게 팬 자리에 늘 물이 괴어 있는 곳을 뜻하는 글이다.
우리말로는 이것을 늪이라고 하며 못보다는 규모가 큰 것을 가리키는 말로 쓰여왔다. 그러나 지자와 결합하여 지소(池沼)라 할 때는 온갖 못을 가리키는 말이 된다. 당은 원래 물을 막기 위하여 쌓은 둑을 가리키는 글자로써 못을 만들기 위하여 쌓은 둑을 지당(池塘)이라 하다가 인위적으로 꾸민 못을 가리키는 말로 전용되어왔다.
또한, 방축도 당과 같은 뜻의 말인데, 이것 역시 그 뜻이 변하여 인위적으로 조성된 못을 가리키는 말로 쓰여왔으며 일반적으로 방죽이라고 발음한다. 부여의 궁남지(宮南池)를 그 고장 사람들이 마래방죽이라고 부르는 것이 그 한 예이다. 이처럼 못에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것도 있고, 인위적으로 꾸며놓은 것도 있다.
못은 여러 가지 목적에 따라 꾸며진다. 고대사회에서는 농경지의 관개를 위한 저수지와 군사상의 필요에 따르는 군용지(軍用池)가 주로 조성되었다.
저수지의 예로는 백제가 조성해 놓은 벽골제(碧骨堤)와 신라 때 것으로 알려진 의림지(義林池), 공검지(共檢池)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군용지로서는 신라의 반월성과 고구려 안학궁(安鶴宮)의 수비를 위하여 성루 밑에 파놓은 해자와 안학궁에 딸린 피난 산성인 대성산성(大聖山城) 속에 파놓았던 수많은 용수지(用水池) 등이 알려져 있다.
연못의 어원
문화가 점차 발달하여감에 따라 왕궁이나 권력자들의 저택 안에 정원이 꾸며지기 시작하였다. 정원을 꾸미는 목적은 아름다운 경관을 즐기기 위해서이다. 경관의 아름다움은 지형과 물, 그리고 식물이라는 세 가지 요소에 의하여 형성되며 그 어느 한 요소가 빠져도 아름다운 정원은 꾸며낼 수가 없다.
그러한 까닭에 정원 안에 물을 끌어들이기 위한 여러 가지 기법이 고안되었으며, 그 가운데에서 가장 손쉽고 보편적인 것이 못을 파놓는 방법이었다. 또한, 못의 운치를 돋우기 위하여 물속에 섬을 쌓아 올리거나 수초를 심어 가꾸는 방법이 실시되었다.
고려시대가 되어 불교가 성행하는 한편, 송나라와의 빈번한 교류가 시작되면서 유학자인 주돈이(周敦頤)가 지은 그 유명한 「애련설 愛蓮說」이 소개되었다. 이러한 일들의 영향을 입어 수초로서는 연(蓮)을 즐겨 가꾸는 경향이 늘어나 마침내는 정원 안에 꾸며놓은 못을 연못 또는 연지・연당 등으로 부르기에 이른다.
불교가 국교로서 성행함에 따라 도성 안팎에는 수많은 사찰이 지어졌고 사찰마다 보편적으로 연지가 꾸며지는데 이것은 선(禪)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즉, 연지의 물가에 세워지는 모정(茅亭)은 분향전차(焚香煎茶)하여 참선하는 자리로서 마련되며, 물속에 심어 가꾸어지는 연꽃은 식선(識禪)의 방도가 되었던 것이다.
사찰에서의 이러한 풍습은 민간의 은일(隱逸)을 즐기는 사람들 사이에서 관심거리가 되어 일반 저택의 정원에도 연못을 꾸미는 일이 보편화하여갔다. 한편, 궁궐 속에서도 연못이 꾸며졌다.
역사가 담긴 연못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인공 연못인 부여 궁남지와 천년 신라의 역사를 담은 경주 서출지는 역사가 담긴 아름다운 연못이다.
궁남지
궁남지는 사적 제 135호,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인공 연못이다. <삼국사기> 백제본기 무왕 35년(634)조에 '3월에 궁성(宮城) 남쪽에 연못을 파고 20여 리나 되는 먼 곳에서 물을 끌어들였으며, 물가 주변의 사방에는 버드나무를 심고, 못 가운데에는 섬을 만들어 방장선산(方丈仙山)을 본땄다'라고 되어 있다.
이 기록을 근거로 궁 남쪽에 만들었다 하여 궁남지라 부른다.
무왕 때 만들어진 연못이라 그런지 이곳에는 무왕이 태어났다는 전설이 남아 있다. 궁궐에서 혼자 나와 살고 있는 어느 여인이 이 연못에 사는 용과 교통하여 아들을 낳았는데, 그가 바로 나중의 무왕이라는 전설이다.
현재 궁남지의 모습은 전체적으로 타원형으로 둥그스름하면서 가운데 작은 섬이 있고, 연못가에 버드나무가 운치 있게 늘어져 있다. 풍경의 포인트가 되고 있는 섬의 다리와 정자 포룡정은 1971년에 세워졌다.
궁남지에 들어서면 현대에 조성한 연꽃 단지들이 먼저 반기고, 그 너머로 연못이 펼쳐진다. 연못가를 따라 산책로가 조성되어 전체적으로 걸어볼 수 있다. 여름에 연꽃이 피면 더욱 보기 좋은데, 7월에 절정을 이루며, 8월까지도 피어 있는 연꽃들이 제법 있다.
서출지
경주 남산 동쪽 기슭에 자리 잡고 있는 연못이 서출지이다. 사적 제 138호.
풍천 임씨 소유인 이요당이라는 제법 오래된 정자 앞에 있는 연못인데, 이요당은 1664년 임적이 세웠다. 정자 앞 좁은 마당에는 다른 곳에서 가져온 듯한 연꽃 대좌가 1개 놓여 있다. 이 정자에는 일반인들이 출입할 수 없다.
이 서출지(書出池)라는 이름에는 재미있는 유래가 전한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신라 소지마립간 10년(488년) 때였다. 어느 날 왕이 천천정에 이르렀을 때 쥐와 까마귀가 나타나 울더니 쥐가 말하기를, '까마귀가 가는 곳을 살피라' 하였다. 사람을 시켜 쫓았는데, 피촌이라는 동네에 이르러 돼지 두 마리가 싸우는 것을 구경하다가 까마귀가 간 곳을 잊어버렸다. 이 때 한 노인이 연못 속에서 나와 봉투를 주면서 말하기를, '뜯어보면 두 사람이 죽을 것이요, 그렇지 않으면 한 사람이 죽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봉투를 받아든 왕은 '어차피 죽는 거라면 한 사람이 죽는 것이 좋겠다'라고 하였다. 그런데 이때 '한 사람은 바로 왕을 가리키는 말이옵니다. 뜯어보십시오'라는 일관(日官)의 말을 듣고 결국 봉투를 뜯으니, 편지에 '거문고 갑을 쏘아라'는 글이 적혀 있었다.
궁궐에 돌아온 왕이 거문고 갑을 쏘니 그 속에 궁녀와 승려가 들어가 있었다. 이들은 서로 사통하여 왕을 죽일 음모를 꾸미고 있었다 한다. 두 사람은 곧 사형을 당했다. 이후로 노인이 나타나 서찰을 준 연못을 서출지(書出池, 글이 나온 연못)라 이름 붙였다고 한다.[1]
각주
- ↑ 홍윤호, 〈역사가 깃든 한여름 연꽃 여행 부여 궁남지, 경주 서출지〉, 《오마이뉴스》, 2018-07-13
참고자료
- 〈연못〉, 《네이버국어사전》
- 〈연못〉, 《나무위키》
- 〈연못〉,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홍윤호, 〈역사가 깃든 한여름 연꽃 여행 부여 궁남지, 경주 서출지〉, 《오마이뉴스》, 2018-07-13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