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무안군

위키원
Liqinglin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7월 21일 (금) 08:33 판 (새 문서: 썸네일|300픽셀|'''무안군 군기''' 썸네일|300픽셀|'''무안군 위치''' 파일:무안군청.jpg|썸네...)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무안군 군기
무안군 위치
무안군청

무안군(務安郡)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서부 무안반도에 있는 군이자, 전라남도청 소재지이다. 서쪽은 신안군, 남서쪽에는 목포시, 북쪽은 영광군·함평군, 동쪽으로 영산강을 건너 영암군 나주시와 접한다.[1]

개요[편집]

무안군은 동경 126°15'∼126°32', 북위 34°44'∼35°08'에 위치한다. 면적은 446.94㎢이고, 인구는 2023년 6월 기준 90,520명이다. 행정구역으로는 3개 , 6개 , 416개 행정리(103개 법정리)가 있다. 군청은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성동리에 있다. 군을 상징하는 꽃은 국화이고 나무는 느티나무, 새는 백로이다.

무안군 남부 삼향읍 남악 신도시에 전라남도청이 있는데, 지역 주민들은 남악 신도시를 사실상 목포시의 연장선으로 여기는 경향이 강하다. 특산품은 낙지와 양파 지리적 표시제 대한민국에는 무안 양파와 무안 백련차가 등록되어 있다.[2][3]

자연환경[편집]

노령산맥의 한 지맥이 비옥한 나주 평야를 지나 전라남도의 서남단에 무안반도(務安半島)를 형성하였고, 다시 여기서 갈라져 나간 해제 반도(海際半島)와 망운 반도(望雲半島)가 있으며, 해안선의 길이는 220.3㎞에 달한다.

육지나 도서를 막론하고 높이 400m 이상의 산지는 없으며, 승달산(僧達山, 318m)·국사봉(國師峰, 283m)·감방산(坎方山, 258m) 등의 과 낮은 구릉평지로 이어져 있다.

하천으로는 몽탄천(蒙灘川)·남창천(南倉川)·제왕천이 영산강으로 흘러든다. 그 밖에도 크고 작은 하천이 15개 정도 있으나 특별히 발달한 하천은 없고 영산강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해안은 침강해안으로 굴곡이 심하고 조석간만의 차가 큰데다 바다가 멀리까지 얕기 때문에 항만의 발달에 불리하다. 연안에 2개의 유인도와 25개의 무인도가 있다.

한반도 남서쪽 해안에 위치하므로 온화한 해양성기후를 나타낸다. 연 평균기온 14.0℃, 1월 평균기온 1.0℃, 8월 평균기온 26.1℃이며, 연 강수량은 1,483㎜이다.[4]

역사[편집]

신석기 시대 유물로는 영산강과 해안선 주변에서 출토된 뗀석기와 반달돌칼 등이 있다. 청동기시대와 철기시대의 유물·유적은 전군지역(全郡地域)에 걸쳐 분포되어 있는 고인돌과 몽탄면에서 출토된 반달돌칼 등이다. 이런 점으로 보아 이 지역에 이미 선사시대의 정치기구가 존재 했을 가능성이 충분히 상정되나, 마한의 고지(古地)로서 여러 소국 중 어느 국가의 영토였는지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다.

백제의 영역에 포함된 것은 369년(근초고왕 24)으로 나타나지만, 완전한 정복이었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된다. 이것은 이 지역에서 출토된 사창리의 옹관묘를 비롯해 망운면·운남면·삼향읍·해제면 등지의 옹관묘·석실분 등이 백제문화계통과 크게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백제 때는 물아혜군(勿阿兮郡)으로 불렸고 신라 시대인 757년(경덕왕 16)에 무안군으로 고쳐졌다. 그리고 함풍현과 다지현·해제현·진도현 등 현재의 함평과 진도지역까지 영속지로 관할하게 되었다. 892년(진성여왕 6) 견훤(甄萱)이 건국한 후백제의 영역이 되었으며, 909년(효공왕 13) 왕건(王建)에 의해 점령됨으로써 뒷날 고려 건국의 기초를 제공하였다. 견훤의 군사를 격파했다는 파군교(破軍橋)의 이야기가 전해 오고 있다.

944년(혜종 1) 물량군(勿良郡)으로 개칭되었다. 이는 혜종의 어머니 장화왕후 오씨(莊和王后吳氏)의 출신지가 이곳이었다는 사실이 작용했던 것 같다. 991년(성종 10) 다시 무안군으로 고쳐 부르게 되었으나, 나주군의 속군으로 예속됨으로써 신라 시대에 비해 그 영역과 기능이 크게 축소되었다. 1172년(명종 2)에 이르러 비로소 감무(監務)를 파견하게 되었고, 1391년(공양왕 3) 왜구의 침입에 대응하는 조처로서 성산극포권농방어사(城山極浦勸農防禦使)가 설치되었다.

조선 시대인 1413년(태종 13) 처음으로 현감을 두었다. 세종대에 읍성이 정비될 때 정한 행정편제나 영역이 거의 고정되어 조선 말기까지 계속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의하면 이때의 가구는 315호, 인구는 1,030명(남정만의 수)이었다.

한편, 대굴포(大掘浦)에 전라수군처치사를 설치, 24척의 전선과 1,895명의 선군(船軍)을 배속했고, 목포만호와 다경포만호에 각각 8척의 전함과 490여 명의 선군이 주둔하였다. 세조대의 진관체제 하에서는 대굴포의 수군처치사영이 해남으로 옮겨가 우수영이 되었다.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 때 이 고장 주민들은 보평산전투를 통해 왜군의 침입을 저지하였다.

1895년 관제개혁 때 나주부 예하의 무안군이 되었고, 1896년 도서지방이 지도군(智島郡)으로 분리되었다. 1897년 10월 목포진의 개항으로 이곳에 감리서(監理署)가 설치되자 무안군도 부로 승격, 청사를 목포로 이전했고 부윤이 감리를 겸임하였다.

1903년 7월 목포 감리서가 따로 설치되자 무안부는 다시 무안군으로 강등되었다. 1906년 다시 무안부로 승격하고 감리가 폐지되어 부윤이 업무를 맡게 되었다. 이 때 함평군의 다경면·해제면, 영광군의 월경지인 망운면·다경면, 나주군의 월경지인 망운면·삼향면을 편입하였다.

1910년 목포부로 개칭하여 무안의 명칭이 없어졌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다시 분리하여 목포부와 무안군으로 독립하였다. 그 해 지도군 일대와 완도군의 팔금면, 진도군의 도초면이 편입되었고, 이후 이들 도서지역의 분할 이속이 빈번하게 반복되었다. 1939년 성곡면을 몽탄면으로 개칭하였다.

무안지역은 동학운동이 상당히 활발했던 곳으로 배상옥(裵相玉)·최장현(崔壯鉉) 등이 접주(接主)로 활동하였다. 한말의 의병투쟁에는 김익수(金益洙)·박임상(朴琳相)·박집중(朴執中) 등의 의병장들이 두드러지게 활동하였다. 1919년 3월 19일 성남리 만창(萬昌)마을에서 김순기(金淳基)·정신섭(丁信燮)·박용규(朴溶奎) 등이 주도한 만세시위는 전라남도의 만세운동을 선도한 것이었다.

1957년 면성면(綿城面)을 무안면으로 개칭하고 1963년 이로면을 폐지해 일부는 목포시에, 일부는 삼향면에 이관시켰다. 1969년 도서지방을 신안군(新安郡)이라 하여 분리, 독립시킴으로써 군의 영역이 육지부의 8개 면으로 줄어들었다.

1968년 12월 16일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도서부는 신안군으로, 육지부는 무안읍·일로읍 및 삼향(三鄕)·몽탄(夢灘)·청계(淸溪)·현경(玄慶)·망운(望雲)·해제(海際)면 등 2읍 6개면이 무안군을 구성하였으나 1983년 전국행정구역 조정에 따라 운남출장소가 운남면이 되었다.

1987년에는 삼향면 옥암리·대양리가 목포시로 편입되었고, 1992년에 현경면 양학 3·4리가 무안읍에 편입되어 신학 1·2리가 되었다. 2009년 삼향면 남악리를 신설하였고, 2011년에 삼향면이 삼향읍으로 승격되었다. 현재 3읍 6면으로 구성되어있다.

산업[편집]

전체 면적 중 농경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43%로 이중 논이 45.5%, 밭이 54.5%로 임야가 적고 밭농사가 발달된 지역이다. 농가 인구는 3만 8413명로 전체 인구의 53.8%를 차지하나 대부분 반농반어의 겸업 형태이다.

주요 농산물로는 쌀·콩·고구마·마늘·양파·담배·두류 ·맥류 등이 있다. 특히 양파는 전국 총생산의 약 20%, 마늘은 약 10%를 차지하며 고구마는 153ha에서 연간 3,235t이 생산되고 있다. 사질 및 점토질의 비옥한 토양에 무안광산에서 생산되는 석회비료를 사용함으로써 많은 수확을 얻고 있다.

연안은 굴곡이 심한 리아스식 해안으로 수산자원이 풍부하다. 1,213 어업가구에서 885척의 어선을 보유하고 있으며, 각종 양식장에서는 미역·피조개 등이 생산되고, 낙지를 비롯한 다양한 어류가 생산된다. 특히 해조류의 생산액은 수산물 어획고의 절반에 육박한다.

광주광역시에 있던 전라남도청이 여기로(정확히는 남악신도시 쪽) 옮겨진 덕분에 공무원들의 유입 등으로 무안의 경제는 성장하고 있다. 도청 이전 효과 외에도 과거부터 농업과 어업으로도 경제활동을 꾸준히 하고 있어서 전라남도에서도 경제력이 제법 상위권이다.

혁신도시, 도청 등의 신도시를 유치한 여타 군 지역과 마찬가지로 시 승격을 꿈꾸고 있지만, 저출산 및 갈수록 점점 심화되는 수도권 집중 현상은 여기도 피해갈 수 없는지라 시 승격 가능성은 시 승격 기준을 억지로 낮추지 않는 이상은 상당히 낮다. 분명 도청 유치로 인구수가 늘어나기는 했지만 그 효과가 언제까지 지속될지, 시 승격을 바라볼 만큼 늘 수 있을지는 기약이 없다. 2만 명 증가하는데 5년 걸렸으나 이후로 인구 증가 속도가 확연히 줄어들고 있다.

교통[편집]

1번 국도와 호남선 철도가 남북으로 관통한다. 1번 국도는 무안군 삼향읍과 청계면, 무안읍을 거쳐 가고, 호남선은 무안역·몽탄역·일로역 등 무안군의 3개 역에 정차한다. 그밖에 철도 교통으로 2004년 3월에 개통된 산업철도 대불선이 일로역을 거쳐 간다.

고속도로는 서해안고속도로(고속국도 15)가 무안군 삼향읍을 기점으로 하여 일로읍~몽탄면~무안읍을 거쳐 경기도 광명시와 서울 금천구로 연결된다. 또 2008년 5월 무안군 망운면을 기점으로 하여 함평군과 나주시를 거쳐 광주광역시 광산구를 종점으로 하는 무안 광주 고속도로가 완전 개통되었다. 고속국도 12호선의 일부인 무안 광주 고속도로는 무안공항에서 77번 국도와, 북무안에서 24번 국도와, 함평 분기점에서 서해안고속도로와 접속한다.

도로 총연장은 418.499㎞로 포장률은 69.2%이다. 그 가운데 고속도로는 29.5㎞(포장률 100%), 국도는 76.269㎞(포장률 98.7%), 지방도는 139.13㎞(포장률 58.4%), 군도는 173.6㎞(포장률 59.7%)이다.

관광[편집]

무안·망운·해제반도 및 여러 섬들이 수려한 천혜의 해상경관을 이루고, 승달산 등 개발 가능한 잠재적 관광자원을 보유하고 있지만 아직 널리 알려진 관광지는 없다. 다만, 인근 목포시민과 군민은 봄철 벚꽃이 만발할 때면 삼향읍 유교리의 군산동, 여름철에는 톱머리해수욕장, 가을철 단풍 때는 승달산 등을 즐겨 찾는다. 또, 승달산·군산동을 지나 서해바다에 펼쳐지는 다도해의 무수한 작은 섬들은 마치 한 폭의 동양화를 연상케 한다.

망운면 피서리에 있는 톱머리 해수욕장은 길이가 2㎞이다. 지하수가 풍부하고 경사가 완만한데다 200년생 해송이 백사장에 줄지어 서 있으며, 수질이 깨끗한 편이다. 해수욕·찜질 등과 함께 썰물 때는 고동줍기·굴따기 등도 할 수 있고 낙지·도미·숭어 등을 값싸게 즐길 수 있다. 이곳에는 야영장과 약간의 숙박시설·탈의실·샤워장 등 편의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홀통유원지 겸 해수욕장은 현경면 소재지에서 해제면 쪽으로 15㎞쯤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바다낚시 및 해수욕이 가능하다. 망운면 원송현 마을 나루터를 중심으로 1㎞쯤 모래가 깔려 있고 물이 맑아 해수욕장으로 좋은 조건을 갖추었으나, 휴식공간·민박·숙박 등의 시설 확충이 요구되고 있다.

조금나루 유원지는 4㎞가 넘는 백사장에 송림까지 갖추어진 천혜의 해수욕장이다. 또, 바다낚시를 하기 위해 많은 관광객이 찾는 해제면 송석리 도리포는 조용하고 횟집이 많아 주말의 가족 휴식처로 적당하다. 이곳은 세발낙지와 오도리(새우)가 유명하며 분재영농조합이 있다는 것이 큰 특색이다. 청계면 도대리에는 골프장이 들어섰다. 그 밖에도 몽탄면의 항공우주관, 학전시장, 초의선사 탄생지, 도요지 등도 관광자원화하고 있다.

주요 사찰로는 승달산 중턱에 자리한 목우암(牧牛庵)이 있고 읍내에는 약사사(藥師寺)가 있다. 약사사에는 약사여래불상(藥師如來佛像)과 범종각(梵鐘閣)이 보존되어 있다. 해제면 산길리에 있는 원갑사(圓甲寺)는 영광의 불갑사(佛甲寺), 영암의 도갑사(道甲寺)와 함께 남도의 삼갑사(三甲寺)로 불리는 전통사찰이다.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팽나무·개서나무숲, 천연기념물인 가마리의 동백나무, 무안읍 용월리의 백로·왜가리 서식처 등이 있어서 영산강하구언과 해안일주도로가 포장되어 새로운 관광지로 각광받을 수 있을 것이다.

문화행사 및 축제[편집]

매년 5월이면 군민의 날 행사가 있고, 매년 8월 말이나 9월 초에는 회산 연꽃 방죽 일대에서 무안 연꽃 축제가 열린다. 양파 아가씨선발대회와 도리포 해맞이 행사도 매년 개최되고 있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무안군〉, 《위키백과》
  2. 무안군〉, 《네이버 지식백과》
  3. 무안군〉, 《나무위키》
  4. 무안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질문.png 이 문서는 로고 수정이 필요합니다.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무안군 문서는 한국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