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금강군

위키원
(金剛郡에서 넘어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북한 위치
강원도 (북) 위치
금강군 위치

금강군(金剛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북) 동남부에 위치해 있는 군이다.[1][2]

개요[편집]

금강군의 면적은 1,472.82km²이며 인구는 54,211명(2008)이다. 동쪽으로 고성군, 서북쪽으로 회양군, 서쪽으로 창도군과 접한다. 남쪽은 한반도군사분계선을 사이에 두고 대한민국 통치하의 강원도이다. 동서(단풍리~화천리) 간의 길이는 30km이고, 남북(청두리~단풍리) 간의 길이는 51km이며, 도 전체면적의 13.28%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행정구역은 1읍 26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군 소재지는 금강읍이다.

금강군 이름은 금강산에서 따왔다. 이름이 '금강'이라서 일각에서는 북한의 경제개발구 중 하나인 금강산관광특구를 이곳으로 착각하고 있으며 특히 영미권 자료에서 이런 표기가 많이 보인다. 그러나 금강산관광특구는 우리가 잘 아는 고성군 (북) 온정리 일대, 과거 현대에서 투자했던 금강산 관광지 일대이며 이곳과는 관계가 없다. 북한의 원산 금강산국제 관광지대 안에 또 금강산관광특구가 따로 중첩되어 있는 형태다보니 이런 오해가 발생한 것이다.[3]

자연환경[편집]

금강군은 산지가 많고 복잡한 지형을 이루고 있는 산간지대이다. 북부와 동부 경계를 따라 태백산줄기가, 남부에는 매봉산줄기가, 서부에는 먹포령산줄기가 뻗어 있다. 태백산줄기에는 백적산(白敵山, 1,150m), 매산(1,230m), 선창산(仙蒼山, 1,226m), 오봉산(五峯山, 1,261m), 금강산(비로봉, 1,639m), 차일봉(遮日峯, 1,528m), 국사봉(國士峯, 1,383m), 무산(霧山, 1,319m) 등 높은 산들이 연봉을 이루고 있다.

먹포령산줄기에는 시루봉(1,267m), 옥밭봉(1,239m), 성봉대산(1,240m) 등 높은 산이 솟아 있으며 매봉산줄기에는 구레산(1,350m), 1211고지를 비롯한 해발 1,000m 이상의 높은 산들이 솟아 있다. 이밖에 왕장산(1,095m), 춘양산(春陽山 1,145m), 백암산(白巖山, 1,240m), 먹포령(825m), 마패령(馬牌嶺, 686m), 직동령(直洞嶺, 932m) 등 높은 산과 영들이 솟아 있다.

해발에 따른 분포를 보면 해발 400m 미만의 지역이 4%를, 400~1,000m 되는 지역이 80%를, 1,000m 이상 되는 지역이 16%를 차지한다. 경사도에 따른 분포를 보면 25°이상의 급경사를 가진 산지가 금강군 전체면적의 56%를 차지한다. 태백산줄기에서 먹포령산줄기, 매봉산줄기가 갈라지고 그 사이에 금강천과 북한강(北漢江) 상류의 골짜기가 형성되어 북서~남동 방향으로 길게 놓여 있다.

지형은 금강산 일대가 가장 높고 그로부터 남북으로 가면서 점차 낮아지는데, 금강산 일대는 천태만상의 기묘한 지형을 이루고 있으며, 깊은 계곡들과 폭포, 담소, 기암괴석 등이 분포되어 있다. 지질은 혼성암류, 교대화강암, 편마암들과 상원계지층들 그리고 혜산암군의 화강암들이 분포되어 있다. 지하자원으로는 텅스텐, 몰리브덴, 니켈, 금, 은, 동, 납, 아연, 수정, 중정석유화철, 형석, 석회석, 초무연탄 등이 매장되어 있다.

기후는 대륙성기후의 특징을 보이고 있는데, 연평균기온은 7.2℃, 1월 평균기온은 -8.5℃, 7월 평균기온은 21.2℃, 최고극기온은 33.4℃(1972년 7월 18일), 최저극기온은 -27.4℃(1980년 12월 30일), 10℃이상 적산온도는 2,862℃, 연평균강수량은 1,201.9mm이다. 바람은 금강읍지구에서 남서풍이 우세하며 연평균풍속은 2.1m/s이다. 특징적인 기후현상은 여름에 태백산줄기를 넘어오는 차고 누기진 새바람이 부는 것이다.

기본 수계는 북한강의 최상류와 그 지류들로 이루어졌는데, 북부에서는 북한강이, 중부에서는 태백산줄기의 서쪽 경사면에서 발원하는 금강천(金剛川)이, 남부에서는 소양강(昭陽江)과 수입천(水入川)의 지류인 직동천(直洞川)이 흐른다. 하천들은 물매가 급한 경사면을 따라 흐르기 때문에 산악하천의 특성을 띠고 있으며 대부분의 유역의 평균너비가 좁고 하천망밀도가 조밀하다. 북한강, 금강천, 소양강 등 길이가 5km 이상인 하천이 29개 유입되어 있는데, 기본 하천은 금강천이며 이 하천유역에는 내금강(內金剛)의 옥영폭포(玉永瀑布)를 비롯하여 수많은 폭포들이 있다.

금강군은 북한의 식물분포구에서 중부온대구에 속한다. 산림은 금강군 전체면적의 88.8%를 차지하는데, 내금강 일대의 식물상은 금강군의 식물분포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주요 수종으로는 소나무, 참나무, 피나무, 전나무, 단풍나무, 가래나무, 고로쇠나무, 잣나무, 물푸레나무 등이 있다. 내금강리에는 100~200년 자란 전나무들이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다. 이 지역에는 세계적으로 1속 1종인 금강인가목과 금강초롱을 비롯하여 특산식물들이 분포되어 있다. 이밖에 약용식물, 산과, 산나물 등이 풍부하며 특히 금강산의 산삼과 오미자는 예로부터 이름이 높다.

동물로는 노루, 곰, 멧돼지, 산양, 족제비, 여우, 너구리, 오소리, 살쾡이, 산달, 수달, 고슴도치, 뿔박쥐, 뻐꾸기, 종다리, 꾀꼬리, 할미새, 금강모치 등이 분포되어 있다. 토양은 대부분 지역에 갈색산림토양이 분포되어 있으며 해발 1,200m 이상 되는 지역에 표백화갈색산림토양이, 하천유역에 충적토가 일정량 분포되어 있다.[4]

역사[편집]

금강군 지역은 본래 강원도 (북) 회양군의 지역이었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강원도 회양군 내금강면(內金剛面)의 전체 리와 사동면(泗東面)의 11개 리, 안풍면(安豊面)의 18개 리, 인제군 서화면의 1개 리, 양구군 수입면의 3개 리로 강원도 금강군을 신설하였는데, 이때 회양군 내금강면의 말휘일리 · 말휘이리 · 유동리를 병합하여 금강읍(金剛邑)으로, 회양군 내금강면의 속사동일리와 속사동이리를 병합하여 속사리(束沙里)로, 회양군 내금강면의 하현리 · 상현리 · 하소곤리를 병합하여 현리(縣里)로, 회양군 내금강면의 상회이리 · 하회이리와 양구군 수입면의 분지수리를 병합하여 하회리(下檜里)로, 회양군 내금강면의 병이무지리와 중산리를 병합하여 병무리(竝武里)로, 회양군 내금강면의 상소곤일리 · 상소곤이리를 병합하여 소곤리(小坤里)로, 회양군 내금강면의 하북점리 일부와 상북점리를 병합하여 북점리(北店里)로, 회양군 내금강면의 순갑일리 · 순갑이리와 하북점리 일부를 병합하여 순갑리(順甲里)로, 회양군 내금강면의 봉현리 · 추동리를 병합하여 현동리(縣洞里)로, 회양군 내금강면의 온정동리 일부와 신풍일리 · 신풍이리를 병합하여 신풍리(新豊里)로, 회양군 내금강면의 온정동리 일부와 금강원리를 병합하여 금천리(金泉里)로, 회양군 내금강면의 삼억동리 · 정양동리 · 장연리를 병합하여 내강리(內剛里)로, 회양군 내금강면의 하신원리와 상신원리를 병합하여 신원리(新院里)로, 회양군 안풍면의 가동리 · 화천리 · 본리를 병합하여 화천리(化川里)로, 회양군 안풍면의 흥인동리 · 방목일리 · 방목이리를 병합하여 방목리(方目里)로, 회양군 안풍면의 풍미일리 · 풍미이리 · 성동리 · 장치동일리를 병합하여 풍미리(豊美里)로, 회양군 안풍면의 화산리 · 안미리 · 추동리를 병합하여 안미리(安美里)로, 회양군 안풍면의 용암리 · 신창리를 병합하여 용암리(龍巖里)로, 회양군 안풍면의 상세동리 · 중세동리를 병합하여 세동리(細洞里)로, 회양군 사동면의 이교리 · 쌍계평리를 병합하여 신교리(新橋里)로, 회양군 사동면의 마전동리 · 신읍리 · 광동리를 병합하여 신읍리(新邑里)로, 회양군 사동면의 상구만리 · 금곡리를 병합하여 곡산리(曲山里)로, 회양군 사동면의 상점방리 · 산월리 · 사동리 · 간점방리를 병합하여 산월리(山月里)로, 양구군 수입면의 청송리와 두포리를 병합하여 청두리(靑杜里)로, 인제군 서화면 이포리를 금강군 이포리(伊布里)로 각각 개편하고 회양군 안풍면의 장치동이리를 금강군 금풍리(金豊里)로 개칭하여 1읍 25리를 관할하였다.

1953년에 인제군 서화면 창송리 일부가 이포리에, 인제군 서화면 서호리 일부가 청두리에 편입되었고, 1954년에 풍미리 일부가 금풍리에 흡수되었으며, 1961년에 금천리 일부가 신풍리에, 병무리 일부가 북점리에, 방목리 일부가 화천리에 각각 편입되었다. 1977년에 신풍리를 단풍리(丹楓里)로 개칭하였으며, 1987년에 산월리 · 곡산리를 창도군에 이관하고, 화천리 일부를 창도군 명우리에 편입하였다. 1999년에 병무리와 내강리를 병합하여 내금강리(內金剛里)를 신설하였고, 2000년 11월에 창도군의 오천리(烏川里), 송거리(松巨里), 백현리(栢峴里), 문등리(文登里), 천리(泉里), 인패리(印佩里), 철벽리(鐵壁里), 대정리(大井里), 면천리(綿川里)가 편입되었다.

2003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금강읍), 26리(금천리, 금풍리, 내금강리, 단풍리, 용암리, 문등리, 방목리, 백현리, 북점리, 세동리, 소곤리, 속사리, 송거리, 순갑리, 신교리, 신원리, 신읍리, 안미리, 오천리, 이포리, 청두리, 풍미리, 하회리, 현동리, 현리, 화천리)로 구성되어 있다. 금강군 소재지는 금강읍이다.[5]

산업[편집]

금강군의 공업은 식료품, 채취, 방직 및 피복, 일용품, 기계 공업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주요 업체로는 금강장공장, 금강식료공장, 금강량곡가공공장, 금강직물공장, 금강일용품생산협동조합, 금강피복공장, 금강독공장 등이 있다. 주로 여러 가지 된장, 간장, 고추장, 사탕, 과자, 맥주, 오미자시럽, 잣과자, 초무연탄, 스프천, 비날론혼방천, 어린이옷, 학생복, 작업복, 가구, 질그릇, 모피제품, 김치독, 단지 등 수십 가지 제품들을 생산하고 있다. 이밖에 금강기계수리공장, 금강농기구공장, 금강농기계작업소, 금강제약공장, 금강종이공장 등이 있다.

농업에서는 곡물생산을 위주로 하면서 채소, 과수, 누에고치, 축산물을 생산하고 있다. 농경지는 군 전체면적의 8.3% 되는데, 그 중에서 옥수수밭이 약 70%, 논이 약 20%를 차지하고 있다. 옥수수는 주로 내금강, 신원 등 지역에서 많이 재배되고 벼는 현리, 순갑리, 이포리 등 지역에서 재배되며 감자는 금천에서 많이 재배된다. 채소업에서는 주로 무, 배추, 양배추, 고추, 마늘, 토마토, 오이, 가지 등이 재배된다. 그 가운데서 무가 38.4%, 배추가 25.8%를 차지하고 있다. 내금강 · 하회 · 소곤 · 신원 등지에서 생산되는 무는 군 생산량의 40%를 차지하며, 배추는 신원리 · 내금강리 · 현리 등지에서 많이 생산하고 있다.

축산업에서는 자연사료 원천이 풍부한 자연 지리적 조건을 이용하여 주로 소, 돼지, 닭, 오리, 양 등 가축을 사육하고 있다. 특히 소 사육량은 강원도에서 첫 자리를 차지한다. 과수업에서는 사과와 배, 복숭아가 주종을 이루고 있는데, 배는 북점리 · 신원리 · 안미리 등 지역에서, 사과는 소곤리 · 내금강리 등 지역에서, 복숭아는 북점리 · 하회리 등 지역에서 많이 산출된다. 양잠업이 발달되어 있는데, 뽕밭면적은 강원도 내의 군들 가운데서 비교적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주요 누에고치산지는 금천리, 소곤리, 내금강리 등 지역이다.[6]

교통[편집]

교통은 갈화~양구, 금강~온정 간 도로가 개설되어 있다. 금강~창도, 금강~고성, 금강~내금강리, 금강~현리 간 정기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금강읍에서 원산시까지는 129km, 고성까지는 44km이다.[7]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금강군〉, 《위키백과》
  2. 금강군〉, 《나무위키》
  3. 조선향토대백과: 강원도 금강군 개요〉, 《네이버 지식백과》
  4. 조선향토대백과: 강원도 금강군 자연〉, 《네이버 지식백과》
  5. 조선향토대백과: 강원도 금강군 역사〉, 《네이버 지식백과》
  6. 조선향토대백과: 강원도 금강군 경제〉, 《네이버 지식백과》
  7. 조선향토대백과: 강원도 금강군 교통〉,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금강군 문서는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