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성군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덕성군(德城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남도 북부에 위치해 있는 군이다.[1][2]
개요[편집]
덕성군의 면적은 1,581.5km²이며 인구는 97,617명(2008)이다. 서쪽은 신흥군, 남쪽은 홍원군과 북청군 동쪽은 리원군, 단천시, 허천군, 북쪽은 량강도 김형권군에 둘러싸인 내륙 지대에 위치하고 있다. 동서(보성리~신태리)의 길이는 50km이고, 남북(엄서리~철산노동자구)의 길이는 41km이며, 도 면적의 8.5%를 차지한다. 현재 행정구역은 1읍 1구 23리로 되어 있으며 군 소재지는 덕성읍이다.
덕성은 이 고장에 있는 대덕산에서 '덕'자를 따고 그 주위에 여러 산성이 있다 하여 성 '성'(城)자를 붙여 지은 이름으로서 조선시기부터 사용해 왔다. 덕성은 북청지역의 한 개 사였는데, 조선 말에 면으로 개편되었다가, 1952년에 신설된 덕성군의 소재지가 덕성면에 위치해 있다 하여 군지명을 덕성군이라 명명하였다.[3]
자연환경[편집]
덕성군은 대부분 높고 험한 산지로 되어 있다. 군 전체 면적에서 해발 200m 이하의 지역이 1.4%, 200~500m의 지역이 18.2%, 500~800m의 지역이 32.2%, 800~1,000m의 지역이 21.4%, 1,000m 이상의 지역이 26.8%를 차지한다.
덕성군의 북부에는 부전령산줄기, 동부에는 대덕산줄기, 서부에는 거두봉산줄기가 뻗어 있으며 북서부에 희사봉(2,117m), 북부에 남산(南山, 1,684m) · 후치령(厚峙嶺, 1,325m) · 검덕산(劍德山, 1,682m), 북동부에 대덕산(大德山, 1,445m), 동부에 망덕봉(望imagefont峰, 1,160m) · 궐령(蕨嶺, 559m), 남서부에 거두봉(擧頭峰, 1,303m) · 발의봉(發義峰, 1,477m), 서부에 차일봉(遮日峰, 1,667m) · 마산(馬山, 1,707m) · 사심봉(1,236m) · 천산대봉(天山大峰, 1,976m) 등이 솟아 있다.
덕성군의 지질은 시생대 낭림층군, 하부원생대 마천령계의 성진통 · 북대천통 · 남대천통의 지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주요 암석은 화강편마암, 결정편암, 대리암이며 주요 관입암은 하부원생대 이원암군의 섬장암, 반려암과 중생대 단천암군의 화강암이다. 주요 지하자원은 동, 금, 납, 아연, 석, 철, 흑연, 석면 등이 있다. 덕성군은 함경남도에서 기온이 낮고 강수량이 비교적 적은 지역에 속한다.
덕성에서 연평균기온은 8.5℃이고, 1월 평균기온은 -7.1℃이며, 8월 평균기온은 22.4℃이다. 연평균최고기온은 14.7℃이고 1월 평균기온은 -0.1℃이고 8월 평균최고기온은 27.2℃이며 연평균최저기온은 3.5℃, 1월 평균최저기온은 -12.2℃, 8월평균최저기온은 18.7℃이다. 최고극기온은 38.8℃(1980년 6월 5일), 최저극기온은 -22.3℃(1967년 12월 9일)였다.
0℃이상 적산온도는 3,616℃, 5℃이상 적산온도는 3,519℃, 10℃이상 적산온도는 3,216℃, 15℃이상 적산온도는 2,577℃이다. 연평균일조율은 54%이다. 첫 서리는 10월 중순, 마지막 서리는 4월 말에 내린다. 늦가을부터 초봄까지 북청남대천 계곡을 따라 내기바람이 분다.
연평균강수량은 797mm이며 그의 60%가 6~8월경에 집중되어 있다. 비가 가장 많이 내린 해의 연강수량은 1,280mm(1962년), 가장 적게 내린 해의 연강수량은 509mm(1980년)였다. 1일최대강수량은 168.6mm(1979년 8월 17일), 2일최대강수량은 228mm(1962년 8월 1~2일)였다. 눈이 많이 내리는 기간은 11월 중순부터 다음해 4월 초까지 139일 정도이다. 눈이 가장 많이 쌓인 높이는 58cm(1979년 1월 31일)였다. 군 영역으로는 북청남대천과 이 강에 유입되는 50여 개의 강하천이 흐르고 있다.
그 중 길이가 20km 이상인 하천은 거서천(車書川, 53.6km), 곤파천(坤坡川, 48.5km), 통괄령천(35.3km) 등이 있으며 그 밖의 하천들은 모두 길이가 5~20km인 중소하천들이다. 이 하천들은 일반적으로 길이가 짧고 유역너비가 좁으며 물매가 급한 산지하천의 특성을 띠고 있다. 덕성군에는 엄동저수지(嚴東貯水池)를 비롯한 관개용저수지와 보가 축조되어 있다.
산림은 덕성군 전체 면적의 89%로서 함경남도에서 산림이 가장 많은 군의 하나이다. 산림축적량에서 침엽수가 70%를 차지하는데 소나무, 잣나무, 전나무, 분비나무, 가문비나무, 잎갈나무 등이 주요 수종을 이루고 있으며 그 외 참나무, 물푸레나무, 피나무, 고로쇠나무 등 활엽수들도 분포되어 있다. 덕성군에서 가장 높은 지대인 희사봉마루에는 아한대성식물인 눈측백나무, 곱향나무가 자라고 있다.
이 밖에 덕성군에는 잣나무, 가래나무, 산초나무, 쪽동백나무, 딱총나무 등 가치 있는 경제식물들도 재배하고 있다. 산림에는 머루, 다래, 송이버섯, 더덕, 참나물, 고비, 두릅, 산마늘 그리고 당귀, 족도리풀, 삼지구엽초, 오미자, 삽주 등 산중부원이 풍부하다. 덕성군의 동물상은 비교적 다양한데 산양, 검은담비, 곰, 여우, 너구리, 오소리, 멧돼지, 노루 등 산짐승들이 서식하고 있다. 후치령에서는 조선특산아종나비인 후치령숫돌나비가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주요 토양은 표백성토양, 포백화갈색산림토양, 갈색산림토양이며 강하천 연안을 따라 일부 충적토도 분포되어 있다.[4]
역사[편집]
광복 전 북청군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다. 1952년 12월에 전 북청군의 상거서면(上車書面) · 하거서면(下車書面) · 이곡면(泥谷面) · 성대면(星垈面)의 전체 리와 덕성면(德城面)의 13개 리를 통합하여 덕성군을 구성하고, 덕성면의 수동일리 · 수동이리 · 죽전리를 병합하여 덕성읍(德城邑)을, 덕성면의 동장내리 일부와 나하대일리 · 나하대이리를 병합하여 나하대리(羅荷坮里)를, 덕성면의 주의동일리 · 주의동이리 · 어은리 · 서흥리를 병합하여 주의동리(周義洞里)를, 덕성면의 이망지일리 · 이망지이리 · 만항리를 병합하여 이망지리(泥望只里)를, 이곡면의 송전리 · 중리를 병합하여 송중리(松中里)를, 니곡면의 삼강리 · 가산리를 병합하여 인동리(仁洞里)를, 이곡면의 제초리 · 제중리를 병합하여 중동리(中洞里)를, 성대면의 보성일리 · 보성이리를 병합하여 보성리(寶星里)를, 성대면의 조양리 · 수동리와 수서리 일부를 병합하여 동중리(東中里)를, 성대면의 수서리 일부와 평리 · 양평일리를 병합하여 장흥리(獐興里)를, 성대면의 승동일리 · 승동이리 · 양평이리를 병합하여 양승리(陽勝里)를, 하거서면의 임동리 · 임서리를 병합하여 임자동리(荏子洞里)를, 하거서면의 월상리 · 월중리 · 월하리를 병합하여 월근대리(月近擡里)를, 하거서면의 상신흥리 · 하신흥리를 병합하여 신흥리(新興里)를 각각 신설하고, 이곡면의 고립리 · 삼기리 · 노평리를 병합하여 삼기리(三岐里)로, 이곡면의 장생리 · 직동리를 병합하여 직동리(直洞里)로, 상거서면의 상동리 · 상서리를 병합하여 상돌리(上乭里)로, 상거서면의 중돌리 · 하돌리를 병합하여 중돌리(中乭里)로, 상거서면의 엄동리 · 엄서리를 병합하여 엄동리(嚴東里)로, 덕성면의 수서리를 덕성군 수서리(水西里)로, 이곡면의 상일리를 덕성군 상일리(上一里)로, 이곡면의 상이리를 덕성군 상이리(上二里)로, 성대면의 창성일리를 덕성군 창성일리(昌星一里)로, 성대면의 창성이리를 덕성군 창성이리(昌星二里)로, 상거서면의 신태리를 덕성군 신태리(新泰里)로, 상거서면의 수서리를 덕성군 엄서리(嚴西里)로, 하거서면의 덕우대리를 덕성군 덕우대리(imagefont友坮里)로 각각 개편하여 1읍 26리를 관할하였다.
1953년에 월근대리 일부를 분리하여 엄서리에 편입하였고, 1956년 9월에 나하대리 일부를 덕성읍에 편입하는 동시에 나머지 일부를 북청군에 이관하였다. 1981년에 이망지리를 낙원리(樂園里)로 개칭하였고, 1984년에 상일리와 상이리를 병합하여 철산노동자구(鐵山勞動者區)를 신설하였다. 2002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덕성읍), 1구(철산노동자구), 23리(덕우대리, 동중리, 낙원리, 보성리, 삼기리, 상돌리, 송중리, 수서리, 신태리, 신흥리, 양승리, 엄동리, 엄서리, 월근대리, 인동리, 임자동리, 장흥리, 주의동리, 중돌리, 중동리, 직동리, 창성일리, 창성이리)로 구성되어 있다. 덕성군 소재지는 덕성읍이다.[5]
산업[편집]
덕성군의 공업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는 것은 광업이다. 주요 광물생산지는 덕성광산(德城鑛山)이며 여기서는 자철석이 생산된다. 광산에는 노천채굴장과 많은 양의 광석을 처리할 수 있는 선광장이 있다. 여기서 생산되는 철정광은 주로 황해제철연합기업소(黃海製鐵聯合企業所)에 공급된다. 덕성군은 임산자원 또한 풍부하여 함경남도의 통나무산지로 되어 있다. 생산된 통나무는 주로 함경남도 내의 탄광, 광산들에 공급되며 건설용재, 일용품자재로도 이용된다.
덕성군에는 갱목사업소(坑木事業所)와 채벌사업소(採伐事業所)가 있다. 덕성군에는 거서천과 곤파천의 수력자원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중소형발전소들이 건설되어 있다. 생산된 전기는 덕성군내의 지방산업공장들에 공급되고 있다. 지방공업은 덕성군 공업총생산액의 90% 이상을 차지한다. 덕성군에는 수십 개의 지방산업공장들이 있는데, 그중 식료품공업이 가장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 덕성군에서는 농산물과 축산물, 산중부원을 이용하여 장류와 기름, 청량음료 그리고 과일 및 채소, 산나물 가공품을 비롯하여 갖가지 식료품을 생산하고 있다.
일용품 공업에서는 찬장, 옷장 등을 생산하는 목제일용품과 털모자, 가죽장갑 등을 생산하는 털가죽가공제품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그 외에도 천, 옷, 종이, 손전등, 전지, 축전지, 악기류, 식기류, 전동기, 변압기, 가성소다, 염산, 비누, 색감 등 여러 가지 제품들이 생산된다. 덕성군에서는 많은 약초를 재배하여 여러 가지 의약품도 생산하고 있다. 벽돌과 기와도 생산된다. 농업에서 농경지의 대부분이 거서천하류와 북청남대천 연안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농경지 면적에서 논이 19%, 밭이 58%, 과수 밭이 18%를 차지하며 주요 농산물은 옥수수, 벼, 콩 등이 있다. 밀, 보리, 수수도 생산된다. 옥수수는 낙원리 · 삼기리 · 덕성읍에서, 벼는 낙원리 · 임자동리 · 삼기리에서 많이 생산된다. 콩은 낙원리와 인동리를 비롯하여 여러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다. 강낭콩도 많이 재배하고 있는데, 삼기리와 장흥리를 비롯한 덕성군내의 모든 지역에서 강낭콩을 심고 있다. 덕성군에서는 담배, 깨, 박하, 유채 등 공예작물도 재배한다.
중동리에서는 지황, 황기, 익모초와 같은 약초를 많이 재배하고 있다. 채소는 덕성군 내의 모든 리들에서 특히 덕성읍, 낙원리, 삼기리에서 더 많이 생산되고 있는데, 주로 재배되는 채소는 배추, 무, 양배추, 시금치, 오이, 가지 등이 있다. 삼기리, 중동리, 송중리에서는 고추가 많이 산출된다. 덕성군은 또한 이름난 과일산지의 하나로서 덕성군 내의 낮은 산과 산비탈들에는 과수밭이 많이 조성되어 있으며 주요 과일로는 사과, 배, 복숭아, 살구, 자두 등이 있다.
과수밭 면적에서 사과밭이 80% 이상을 차지한다. 이 곳에서 산출되는 덕성사과는 알이 크고 빛이 고우며 향기롭고 맛이 좋아 널리 알려져 있다. 사과는 낙원리, 임자동리, 주의동리, 엄동리, 삼기리에서 주로 재배된다. 배는 엄동리 · 월근대리 · 임자동리 · 낙원리에서, 복숭아는 낙원리 · 엄동리 · 삼기리 · 수서리에서 많이 재배된다. 소, 양, 염소, 돼지, 토끼, 닭, 오리 등 가축을 많이 사육하고 있다. 덕성군에는 누에고치와 뽕나무 모를 생산하는 덕성잠업농장이 있다.[6]
교통[편집]
덕성군의 교통 운수는 주로 철도운수와 도로 운수에 의거하는데, 이곳에는 덕성선 철도가 부설되어 있으며 여기에 덕성(德城), 주의동(主義洞), 양승(陽勝), 도평(島坪), 삼기(三岐), 송중(松中), 상일(上一), 상리(上里) 등 역이 설치되어 있다.
신북청에서 북청, 덕성을 지나 후치령을 넘어 양강도 혜산시로 가는 1급 도로, 장흥리에서 궐령을 넘어 이원으로 가는 2급 도로, 삼기리에서 통팔령을 넘어 양강도 김형권읍으로 가는 2급도로, 그리고 읍과 리들을 연결하는 3급도로가 있어 편리한 교통망을 형성하고 있다. 덕성군 소재지인 덕성읍에서 함경남도 소재지 함흥시까지는 136km이다.[7]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 ↑ 〈덕성군〉, 《위키백과》
- ↑ 〈덕성군〉, 《나무위키》
- ↑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남도 덕성군 개요〉, 《네이버 지식백과》
- ↑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남도 덕성군 자연〉, 《네이버 지식백과》
- ↑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남도 덕성군 역사〉, 《네이버 지식백과》
- ↑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남도 덕성군 경제〉, 《네이버 지식백과》
- ↑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남도 덕성군 교통〉,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편집]
- 〈덕성군〉, 《위키백과》
- 〈덕성군〉, 《나무위키》
-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남도 덕성군 개요〉, 《네이버 지식백과》
-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남도 덕성군 자연〉, 《네이버 지식백과》
-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남도 덕성군 역사〉, 《네이버 지식백과》
-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남도 덕성군 경제〉, 《네이버 지식백과》
-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남도 덕성군 교통〉, 《네이버 지식백과》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