풋브레이크(foot brake)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힘을 이용하여 바퀴를 제동시키는 것으로 발을 이용해서 조작하는 브레이크를 말한다. 주브레이크라고도 한다.
풋브레이크는 운전 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브레이크로 말 그대로 발을 이용한 브레이크다. 수동변속기 차량의 경우 클러치와 액셀러레이터 가운데 위치하며 자동변속기 차량의 경우 액셀러레이터 좌측 편에 있다. 풋브레이크의 조작 기구로는 바퀴와 함께 회전하는 드럼, 디스크와 밀착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슈, 밴드에 라이닝 또는 페이싱이 부착되어 있다.[1] 풋브레이크는 페달을 밟는 힘을 통해 마스터 실린더에 담겨 있는 브레이크액에 강한 유압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렇게 발생한 유압은 결국 디스크와 패드를 마찰 시켜 제동력을 만드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또한 오랜 시간 풋브레이크를 사용하게 되는 긴 언덕길에서는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풋브레이크를 오래 밟고 있으면 브레이크 장치가 과열되어 차량의 제동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러면 베이퍼록 현상 또는 페이드 현상이 발생해 제동이 불가능해져 사고의 위험성도 매우 커지게 된다.[2]
작동 원리[편집]
풋브레이크는 발로 밟아서 자동차의 속도를 줄이거나 멈추는 것으로 운전자가 가장 자주 사용하는 장치이다. 풋브레이크를 밟으면 브레이크액이 강하게 유입되고 그로 인해 마찰재가 바퀴의 회전축에 있는 원통이나 금속 원판과 맞닿게 된다.[3] 또한 풋브레이크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힘을 이용해 제동력을 얻는데 페달을 밟으면 바퀴와 함께 회전하는 드럼 또는 디스크에 마찰이 발생하게 되고 이를 통해 차량이 멈춰서게 된다. 일반적으로 바퀴의 안쪽에 결합되어 있는 브레이크 드럼 또는 브레이크 디스크 등에 마찰재를 붙여 그 마찰력을 이용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데 유압식, 배력식, 공기식 등 여러 가지 방식이 있다.[4][5]
주의사항[편집]
긴 내리막길에서 풋브레이크를 자주 사용하게 되면 브레이크 디스크와 브레이크 패드가 붙어 있게 됨으로써 브레이크 패드의 허용범위를 넘어서는 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다. 브레이크 패드는 소재에 따라 허용온도가 있으며 그 온도를 초과하게 되면 마찰계수가 낮아지면서 제동력이 순식간에 저하된다. 이렇게 되면 아무리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도 차량이 멈추지 않는 페이드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 풋브레이크를 과도하게 밟게 되면 브레이크 디스크와 브레이크 패드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브레이크 페달과 브레이크 패드를 밀어주는 피스톤의 브레이크 오일까지 열이 전달된다. 오일의 온도가 비등하게 되면 브레이크 호스 내에 기포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는 아무리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도 브레이크가 듣지 않게 된다. 따라서 풋브레이크를 오랜 시간 사용하는 것은 주의해야 한다.[6]
- 페이드 현상
페이드 현상은 브레이크 조작을 반복적으로 시행하여 드럼과 슈 사이에 마찰열이 축적되어 마찰계수가 저하하는 현상을 말한다. 브레이크 작용은 자동차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를 브레이크 장치에서 열에너지로 바꾸어 열에너지를 공기 중에 발산하는 것이다. 이러한 페이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드럼의 냉각 성능을 향상하고 마찰계수의 변화가 적은 라이닝을 사용해야 한다. 또 드럼 부위의 열이 심하면 자동차를 세워 열을 식혀야 한다.[7]
- 베이퍼록 현상
베이퍼록 현상은 연료 회로 또는 브레이크 장치 유압회로 내에 액체가 증발하여 기포가 생기는 것이다. 긴 내리막길 주행 등에서 유압 브레이크를 과도하게 사용했을 때 마찰열에 의해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베이퍼록 현상이 일어나면 브레이크를 밟아도 그 작용이 둔해지므로 위험하다. 베이퍼록 현상은 긴 내리막에서 과도하게 브레이크를 사용하거나 드럼과 라이닝의 끌림에 의한 과열로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실린더, 브레이크슈, 리턴 스프링의 소손에 의한 잔압 저하 또는 불량 오일 사용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다. 베이퍼록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엔진 브레이크를 병행하여 풋브레이크를 과도하게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또한 드럼과 라이닝의 간극을 조정하고 마스터 실린더의 보충 구멍이 막히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 스프링을 교환하여 잔압을 올리고 양질의 오일로 교환해야 한다. 더불어 브레이크 오일을 교환하되 규정된 것을 사용하고 다른 것과 섞어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7]
- ↑ 〈풋 브레이크〉, 《네이버 지식백과》
- ↑ 한국타이어, 〈(초보운전 팁) 브레이크의 종류 - 풋브레이크, 엔진 브레이크, 사이드 브레이크〉, 《네이버 블로그》, 2013-12-10
- ↑ 키즈현대, 〈내 차가 멈추는 방법! 자동차 브레이크에 숨겨진 이야기〉, 《네이버 포스트》, 2019-07-08
- ↑ 최양해 기자, 〈내리막길 브레이크 파열 막는다 ‘배기’와 ‘풋’ 브레이크 병행사용이 최선〉, 《상용차신문》, 2017-05-23
- ↑ 〈주 브레이크〉, 《네이버 지식백과》
- ↑ 오토데일리, 〈내리막길서 풋 브레이크 자주 밟으면 절대 안되는 이유?〉, 《네이버 포스트》, 2016-05-19
- ↑ 7.0 7.1 큐리미, 〈유압식 브레이크〉, 《네이버 블로그》, 2020-08-06
참고자료[편집]
- 〈풋 브레이크〉, 《네이버 지식백과》
- 한국타이어, 〈(초보운전 팁) 브레이크의 종류 - 풋브레이크, 엔진 브레이크, 사이드 브레이크〉, 《네이버 블로그》, 2013-12-10
- 키즈현대, 〈내 차가 멈추는 방법! 자동차 브레이크에 숨겨진 이야기〉, 《네이버 포스트》, 2019-07-08
- 최양해 기자, 〈내리막길 브레이크 파열 막는다 ‘배기’와 ‘풋’ 브레이크 병행사용이 최선〉, 《상용차신문》, 2017-05-23
- 〈주 브레이크〉, 《네이버 지식백과》
- 오토데일리, 〈내리막길서 풋 브레이크 자주 밟으면 절대 안되는 이유?〉, 《네이버 포스트》, 2016-05-19
- 큐리미, 〈유압식 브레이크〉, 《네이버 블로그》, 2020-08-06
같이 보기[편집]
이 풋브레이크 문서는 운전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교통 : 교통, 교통수단, 운전 □■⊕, 운송, 도로, GTX역, KTX역, 수도권 지하철역, 인천 지하철역, 부산 지하철역, 대구 지하철역, 대전 지하철역, 광주 지하철역, 철도역, 버스터미널, 공항, 항구, 국가어항, 한국철도, 중국철도, 일본철도
|
|
운전
|
ACC 모드 • FSD • OFF 모드 • ON 모드 • P턴 • S코스 • T코스 • U턴 • 가감속 • 가속 • 가속도 • 가속성 • 감속 • 개문발차 • 경고 • 경유 • 경유지 • 고속 • 고속주행 • 곡예운전 • 공기저항 • 공기저항계수(CD값) • 공주거리 • 공회전 • 과속 • 관제 • 교대 • 교대시간 • 교차 • 구동 • 구동력 • 구름저항 • 급가속 • 급감속 • 급발진 • 급속 • 급정거 • 급제동(급브레이크) • 급출발 • 끼어들기 • 난폭운전 • 내구연한 • 냉간시동 • 노면소음 • 노킹 • 눈뽕 • 다운포스 • 대리운전 • 대포차 • 대향차 • 도로주행 • 도착 • 도착지 • 동승 • 뒷차 • 드라이브스루 • 드라이브인 • 락크롤링(락크라울링) • 레브매칭 • 레이싱(경주) • 로드홀딩 • 마력 • 만석 • 매직 카펫 라이드 • 모니터링 • 모닝노크 • 모범운전 • 모터스포츠 • 목적지 • 무면허운전 • 무인운전 • 무임승차 • 반자율주행 • 반클러치 • 발레모드 • 발차 • 방어운전 • 방음 • 법인대리운전 • 변속 • 보복운전 • 부스트모드 • 불법운전 • 불법유턴 • 불법택시 • 불법행위 • 빗길운전 • 사각지대 • 사납금 • 사선주행 • 서행 • 서행운전 • 소음 • 속도 • 속도위반 • 속력 • 수막 • 수막현상 • 스마트모드 • 스텔스차량 • 스포츠모드 • 스포츠 브레이크 • 승차(탑승) • 승차감 • 승차권 • 승하차 • 시각 • 시내주행 • 시동 • 시력 • 시승 • 시야 • 시야각 • 시운전 • 안전 • 안전거리 • 안전속도 • 안전운전 • 안전운행 • 앞지르기 • 앞차 • 야간운전(야간주행) • 양력 • 양력계수(CL값) • 양방통행 • 언더라이드 • 에코모드 • 엔진브레이크 • 역주행 • 열간시동(온간시동) • 옆차 • 예열 • 오토파일럿 • 와류 • 완전자율주행 • 완주 • 운임 • 운전 • 운전미숙 • 운전습관 • 운행 • 원격시동 • 위험 • 음주운전 • 음주측정기 • 응시 • 이동 • 이동권 • 일방통행 • 일시정지 • 자율주행 • 저속 • 저속주행 • 전방 • 전방주시 • 전진 • 전진기어(D) • 전후방 • 접근차 • 정속 • 정속주행 • 정지 • 정지거리 • 정차 • 제동 • 제동거리 • 제동력 • 제동성 • 제로백 • 제로턴 • 제어 • 제한속도 • 조작 • 졸음운전 • 주간운전(주간주행) • 주시 • 주행 • 주행거리 • 주행모드 • 주행저항 • 중립 • 중립기어(N) • 중속 • 중앙선 침범 • 직진 • 진동 • 차간거리 • 차박 • 차선변경 • 청각 • 청력 • 초보운전 • 추월 • 출발 • 출발지 • 출입 • 충격 • 충돌 • 측면 • 측방 • 칼치기 • 컴포트모드 • 컴포트 브레이크 • 크랩주행 • 크리핑 • 토크 • 통과 • 통행 • 트랙션 • 트롤리 딜레마 • 파킹기어(P) • 편제동 • 풋브레이크 • 풍절음 • 픽업 • 하이스트모드 • 하차 • 하차감 • 항력(드래그포스) • 항속거리 • 헛바퀴 • 환승 • 회생제동 • 횡단 • 후방 • 후열 • 후진 • 후진기어(R) • 휠핑 • 흡수 • 힐앤토
|
|
코너링
|
그립주행 • 급커브 • 급핸들 • 급회전 • 드리프트주행 • 랩타임 • 반시계방향 • 불법우회전 • 불법좌회전 • 선회 • 슬로우인 패스트아웃 • 시계방향 • 실조향각 • 아웃 인 아웃 • 액셀워크 • 언더스티어 • 역회전 • 오버그립 • 오버스티어 • 우측 • 우회전 • 접지력(그립) • 조향 • 조향각 • 좌우측 • 좌측 • 좌회전 • 카운터스티어 • 코너링 • 코너링 그립 • 코너링 테크닉 • 파워오버스티어 • 피봇턴 • 피시테일 • 한계그립 • 핸들링 • 회전 • 회전반경
|
|
운전자
|
고령운전자 • 관제사 • 기관사 • 기장 • 난폭운전자 • 대리운전기사 • 대리운전업체 • 동승자 • 마이카족 • 모범운전자 • 버스기사 • 부기장 • 선원 • 선장 • 손님 • 쇼퍼 • 스튜어드 • 스튜어디스 • 승객 • 승무원 • 승차정원 • 안내양 • 우주비행사 • 운전기사 • 운전병 • 운전자 • 음주운전자 • 장애인 운전자 • 조수 • 조종사(파일럿) • 졸음운전자 • 초보운전자 • 탑승객 • 탑승자 • 택시기사 • 트럭기사 • 함장 • 항해사
|
|
주차
|
고임목 • 공영주차장 • 공용주차장 • 기계식 주차장 • 노상주차장 • 노외주차장 • 무인주차장 • 반자주식 주차장 • 발레파킹 • 부설주차장 • 불법주정차 • 불법주차 • 셀프주유소 • 스마트주차 • 실내주차 • 실내주차장 • 실외주차(야외주차) • 실외주차장(야외주차장) • 옥상주차장 • 원격주차 • 이중주차 • 입차 • 자동주차 • 자동출차 • 자율주차 • 자주식 주차장 •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 전방주차 • 주기장 (건설기계) • 주기장 (항공기) • 주유 • 주유건 • 주유기 • 주유소 • 주정차 • 주정차 금지구역 • 주차 • 주차공간 • 주차구역 • 주차권 • 주차기어 • 주차대행 • 주차료 • 주차면 • 주차시설 • 주차위반 • 주차장 • 주차타워 • 중립주차 • 지상주차장 • 지하주차장 • 직각주차 • 차고 • 차고지 • 출차 • 평행주차 • 후방주차
|
|
면허 • 관리
|
국제운전면허증 • 단속 • 도로교통법 • 등록 • 등록기준지 • 면허 • 면허정지 • 면허취소 • 무면허 • 사용본거지 •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 연습면허 • 운전면허 • 운전면허시험 • 운전면허증 • 운전학원 • 임시운행허가 • 자동차관리법 • 자동차등록원부 • 자동차등록증 • 자동차세 • 장롱면허 • 저공해 차량 스티커 • 취득세 • 폐차 • 폐차장 • 형간전환
|
|
위키 :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