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운터스티어
카운터스티어(counter steer)는 레이싱 테크닉의 하나로, 뒷바퀴가 오른쪽으로 미끄러지면 핸들을 오른쪽으로, 뒷바퀴가 왼쪽으로 미끄러지면 핸들을 왼쪽으로 꺾는 것을 말한다.
개요[편집]
카운터스티어는 오버스티어로 인해 차량을 몰고자 하는 방향보다 앞바퀴가 더 안쪽을 향하게 되었을 때 스티어링휠을 돌리고 있던 반대 방향으로 틀어서 차의 트랙션을 다시 찾는 기술이다. 즉, 속도가 줄여지지 않은 채 급커브에 진입하여 차에 무리한 현상들이 나타날 때 모든 무리수를 재조정하는 운전 기법이다. 스티어링휠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반대로 돌리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 카운터스티어를 이용하면 뒷바퀴의 미끄러짐을 막고 스핀을 방지할 수 있다. 왼쪽 커브를 주행 중에 핸들을 역방향인 오른쪽으로 꺾으므로 역핸들이라고도 한다. 조향륜의 트랙션만을 찾은 채로 뒤를 그대로 미끄러트리면 드리프트가 된다.[1][2] 오버스티어링이 발생했을 때 차의 후미가 틀어지는 방향 쪽으로 핸들을 틀어주어 접지력을 회복하고 커브를 안전하게 탈출하는 기법이며, 커브길이 아닌 곧은 길에서도 급 가속하거나, 급 브레이크를 밟으면 차량 무게나 도로 조건에 따라 차량이 뒤틀어지는 상황이 발생되었을 때 후미가 틀어지는 방향으로 핸들을 틀어 주어 차량 스핀을 막아줄 때 사용하는 기법인 것이다. 그러나 중요한 포인트는 순간적으로 후미가 틀리는 방향으로 핸들을 조작하여 접지력을 회복하고 마비되었던 핸들의 기능이 살아나면 진행 방향으로 재빨리 핸들을 틀어주어 커브를 마무리해야 한다는 것이다.[3]
원리[편집]
오버스티어는 의도한 스티어양보다 차량이 안쪽으로 더 밀리는 현상이다. 이는 후륜의 그립이 전륜 대비 약하기 때문에 뒤쪽이 미끄러지면서 발생한다. 이에 대처하기 위해 스티어링을 반대로 돌려 줌으로써 반시계 방향 모먼트를 만들어 줘야 한다. 카운터스티어 방법에는 두 가지 중요한 포인트가 있다. 첫 번째는 차량의 뒤가 흐르는 것을 빠르게 파악하고, 카운터가 자연스럽게 들어가면 그 양과 속도를 오버스티어가 일어나는 정도에 맞춰서 조금 더 조정해 주면 된다. 두 번째 포인트는 카운터스티어 이후에 원복을 해 주는 타이밍이다. 카운터스티어를 넣은 후 원복을 하는 타이밍은 차량이 다시 앞 방향으로 돌아오는 타이밍에 맞춰서 돌려야 한다. 마치 오버스티어가 나는 타이밍에 맞춰서 카운터스티어를 넣어 주듯이 카운터스티어도 오버스티어가 수렴하는 타이밍에 맞춰서 복원해야 한다. 카운터스티어는 매우 적당히 넣고 나서 원복을 너무 빨리 하거나 느리게 해서 역 카운터가 걸리는 위험한 상황도 올 수 있으므로 카운터 원복 후에는 반드시 가고자 하는 방향을 바라볼 수 있게 핸들을 정렬하는 것이 좋다.[4]
위험성[편집]
빠른 속도로 주행 도중 물체를 피한다거나, 급차로 변경을 하는 민폐 차량을 피한다거나 할 때 차량 뒤쪽이 먼저 미끄러지며 핸들을 꺾은 것보다 차가 더 돌아가는 오버스티어 상황에서는 대부분 차체 자세 제어장치가 보조해 주지만 눈길 같은 경우는 타이어 자체의 접지력이 낮기 때문에 어떻게 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카운터스티어를 잘못 구사할 경우, 지나치게 큰 타각을 주면 리버스스티어가 발생하며, 한 박자 늦게 카운터스티어를 시전하면 드리프트처럼 차량이 스핀을 하게 된다. 즉, 마찰력을 잃고 돌아 버리거나 심한 롤링으로 반대편 타이어의 그립이 갑자기 돌아오면서 반대 방향으로 또다시 오버스티어를 경험하게 되는데, 이는 브레이킹과 잘못된 카운터스티어로 인해 발생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제로카운터라는 기술을 사용하게 된다. 제로카운터는 핸들을 정중앙까지만 오버스티어의 반대 방향으로 돌려 주는 기술이다. 이때 브레이킹을 할 것인지 액셀을 밟을 것인지는 그 상황과 차량의 성격에 맞는 선택을 해야 한다.[1]
상황별 대처 방법[편집]
- 급작스런 가속으로 차량의 앞바퀴가 노면과의 접지력을 잃고 헛돌고 있는 경우는 핸들의 조작에 의한 방향 선회가 불가능하다. 급작스런 가속이나 기타의 이유로 앞바퀴가 접지력을 잃고 헛돌 때의 해결 방법은 아주 간단하다. 엑셀러레이터에서 발을 떼는 것만으로 접지력은 간단히 해결되며 차량의 후미가 틀어지고 있다면 후미가 틀어지는 방향으로 핸들을 한번 틀어주었다가 진행방향으로 다시 틀어주면 된다. 다만 눈길 등 미끄러움이 원인일 때는 타이어와 노면의 마찰계수에 의해 자동차가 움직이려는 힘, 즉 무게 이동하려는 힘 만큼 더 앞으로 밀려가므로 최대한 무게중심 이동을 줄이는 것이 상책이다.
- 급격한 제동으로 앞바퀴가 잠기었을 때도 마찬가지로 핸들 조작에 의한 방향 선회가 불가능하게 되고 관성에 의해 차량은 밀려가는 방향으로 계속 밀려가는 상황이 발생된다. 이는 위와 반대되는 상황으로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잠깐 떼어 주는 것만으로도 접지력은 해결된다. 급브레이크 상황에서 접지력을 유지하기 위해 개발된 브레이크가 ABS 브레이크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운전자들이 급박한 상황에서 브레이크를 뗀다는 것은 훈련되지 않으면 쉽지 않은 일이며 상황에 따라 접지력을 확보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은 아닐 수도 있다. 평상시에 넓은 공터에서 급브레이크를 밟고 접지력을 잃는 상황을 미리 체험해 보는 훈련이 위급한 상황에서 생명을 지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커브의 각도에 맞추어 미리 속도를 줄이지 못하고 코너에 진입하였거나 눈·비 또는 기타의 이유로 인한 노면의 미끄러움을 예상하지 못하고 코너에 진입한 경우에는 차량이 코너의 깊이나 미끄러움에 적응하지 못하고 관성의 법칙에 의해 차량은 코너를 틀지 못하고 계속 앞으로 밀려가는 상황이 생긴다. 이때 달리고 있는 차량의 관성의 힘은 이미 앞 타이어 코너 외측의 노면 접지력의 한계를 넘어선 상황인 것이다. 커브 길을 달리던 차량이 절벽 아래로 떨어진다든가, 가드레일을 추돌하는 사고 등이 모두 이러한 원인에서 발생되는 것이다. 대부분의 일반적인 운전자들은 차량이 관성의 힘이 접지력을 넘어 코너를 이탈하려고 할 경우나 관성의 힘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전복되려고 할 때 이탈하려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핸들을 꺽을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차량의 무게 중심의 이동을 더욱 가속화하여 도로 이탈이나 스핀, 또는 전복사고를 불러오는 결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이럴 때 사용하는 운전 기법이 카운터 스티어인 것이다. 즉 차량의 후미가 정상적인 괘적을 벗어나 커브 길의 바깥쪽(관성의 힘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나가려 할 때 순간적으로 핸들을 관성의 힘이 작용하는 쪽으로 돌려주었다가 다시 진행하려는 방향으로 틀어주는 동작을 진행하려는 방향의 반대로 핸들을 돌려준다고 하여 역핸들 또는 카운터스티어라고 하는 것이다.[3]
각주[편집]
- ↑ 1.0 1.1 〈카운터 스티어〉, 《나무위키》
- ↑ 〈카운터 스티어〉, 《네이버 지식백과》
- ↑ 3.0 3.1 〈안전을 위한 카운터 스티어링 방법〉, 《비즈북》
- ↑ beyondt, 〈(드라이빙 원리) 누구나 가능한 카운터 스티어 - 카운터 스티어는 어려운 기술이 아닙니다 -〉, 《네이버 블로그》, 2020-06-22
참고자료[편집]
- 〈카운터 스티어〉, 《나무위키》
- 〈카운터 스티어〉, 《네이버 지식백과》
- beyondt, 〈(드라이빙 원리) 누구나 가능한 카운터 스티어 - 카운터 스티어는 어려운 기술이 아닙니다 -〉, 《네이버 블로그》, 2020-06-22
- 〈안전을 위한 카운터 스티어링 방법〉, 《비즈북》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