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46번째 줄: |
46번째 줄: |
| * [[과태료]] | | * [[과태료]] |
| | | |
− | {{도로|토막글}} | + | {{운전|토막글}} |
2022년 6월 12일 (일) 17:45 판
과속(過速)이란 자동차 주행을 허용 속도 이상의 속도로 주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과속 단속
과속 단속은 속도 제한을 지키지 않는 차량을 단속하는 행위를 말한다.[1] 경찰의 교통단속장비는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속도위반 단속장비(고정식, 이동식), 신호위반 단속장비, 교차로통행위반 단속장비, 구간속도위반 단속장비를 이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무인교통단속장비는 ‘97년 32대를 처음 도입한 이래, 교통사고건수, 사망자수를 크게 감소시켜 전국적으로 확대 설치되었으며, 2012년 9월말 기준으로 고정식 5,090대와 이동식 407대를 설치하여 운영되고 있다. 속도위반 단속의 효과는 교통공학적 측면에서 볼 때, 먼저 교통위반 단속에의해 운전자의 운전행태가 개선되며, 개선된 운전행태는 교통소통 및 교통안전성을 개선시키고, 그 결과 교통사고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냈다.[2]
과속 단속 장비
- 고정식 카메라 : 고정식 단속 카메라는 속도 제한 표지판과 함께 상공에 매달려 있어서 운전자가 쉽게 확인이 가능하다. 속도를 측정하는 것은 카메라가 아니라 그 앞에 설치된 센서이다. 카메라 앞 25M 내외의 도로 바닥에 2~30m 간격으로 센서가 심어져 있고 차량이 센서를 밟고 지나가는 시간을 계산해 평균 속도를 측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카메라 앞에서만 속도를 줄이는 것만으로 단속을 피할 수 없다.
- 이동식 단속 카메라 : 이동식이라고 불리는 이유는 카메라가 이동하기 때문이다. 단속 구간 도로 옆에 철제로 만든 부스를 여러 개 세워놓고, 일정 기간마다 경찰들이 단속 카메라의 위치를 옮기는 것이다. 운전자는 카메라 부스 위치는 알 수 있지만 실제로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지 알수가 없다. 따라서 단속을 피하기 위해서는 부스가 있는 모든 구간에서 속도를 줄여야 한다. 또한 이동식 단속 카메라는 레이저로 속도를 측정한다. 이 측정거리가 약 1200m로 넓기 때문에 카메라 앞에서 멈추는 방법으로 단속을 피할 수 없다.
- 구간 단속 카메라 : 구간 단속 카메라는 단속 구간의 처음과 끝에 설치되어 있다. 단속 구간을 달리는 동안 평균 속도를 계산해 속도위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시작 지점의 속도, 종료 지점의 속도, 구간 내 평균속도를 단속하는 것이다. 때문에 단속 지역에서만 감속한 후 속도를 높여 빠져나가는 사람들을 막는데 효과적이다.[3]
과속 단속 기준
- 속도
- 제한속도 60km / 단속기준 71km
- 제한속도 70km / 단속기준 85km
- 제한속도 80km / 단속기준 95km
- 제한속도 90km / 단속기준 105km
- 제한속도 100km / 단속기준 122km
- 제한속도 110km / 단속기준 132km
- 과태료
- 속도위반 20km 까지 승용차 4만원, 승합차 4만원
- 속도위반 21km~40km까지는 승합차 8만원, 승용차 7만원
- 속도위반 41km~60km까지는 승합차 11만원, 승용차 10만원
- 속도위반 61km 이상은 승합차 14만원, 승용차 13만원[4]
캥거루 효과
캥거루 효과란 운전자가 과속 단속을 피하기 위해 과속 단속카메라가 있는 곳에서만 순간적으로 속도를 줄였다가 단속카메라를 지나가자마자 속도를 올리는 운전자들의 행태를 뜻하는 말이다. 정지와 점프를 반복하여 뛰는 모습이 캥거루를 닮았다고 하여 이러한 이름이 붙혀졌다, 캥거루 효과로 인해 교통사고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한 과속 단속카메라의 실효성이 떨어지자 구간 과속단속이 생겼고 구간 과속단속은 위험구간이 시작되는 지점과 끝나는 지점에 각각 카메라를 설치하여 지나가는 차량의 구간 평균속도를 측정해 단속하는 방식이다. 구간거리를 구간을 통과한 시간으로 나눈 값, 즉 평균속도를 단속의 기준으로 삼아 평균속도가 제한속도보다 크다면(제한통과시간보다 짧다면) 적어도 한 번은 속도위반을 했다고 판단하는 것이다.[5]
과속방지턱
과속방지턱이란 안전 시설물 중 하나로 차량의 주행 속도를 낮추기 위해 노면에 설치하는 턱이다. 방지턱이 설치되는 장소들은 보행자의 통행량이 많은 구간, 보호가 필요한 노약자들이 많은 구간이고 주로 어린이 보호구역 등 시속 30km 이하로 주행해야 하는 도로에 설치해 차량의 속도를 제한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불법주차나 노상주차를 하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겸하고 있다.[6]
각주
- ↑ 〈과속 단속〉, 《위키백과》
- ↑ 이호원, 주두환, 현철승, 정준하, 박부희, 이철기 〈쏘카, 라이드플럭스와 자율주행 확대…연내 제주 세종 등지로 확대〉, 《한국ITS학회논문지》, 2013-12-03
- ↑ 〈고정식 혹은 이동식, 단속 카메라는 어떻게 다를까?〉, 《키즈현대》, 2020-02-27
- ↑ 제주고속, 〈[1]〉, 《제주고속공식블로그》, 2020-02-21
- ↑ 〈캥거루효과〉, 《네이버 지식백과》
- ↑ 에이제이셀카, 〈안전을 위한 과속방지턱의 모든 것!〉, 《네이버 포스트》, 2018-12-11
참고자료
- 〈과속 단속〉, 《위키백과》
- 이호원, 주두환, 현철승, 정준하, 박부희, 이철기 〈쏘카, 라이드플럭스와 자율주행 확대…연내 제주 세종 등지로 확대〉, 《한국ITS학회논문지》, 2013-12-03
- 〈고정식 혹은 이동식, 단속 카메라는 어떻게 다를까?〉, 《키즈현대》, 2020-02-27
- 제주고속, 〈[2]〉, 《제주고속공식블로그》, 2020-02-21
- 〈캥거루효과〉, 《네이버 지식백과》
- 에이제이셀카, 〈안전을 위한 과속방지턱의 모든 것!〉, 《네이버 포스트》, 2018-12-11
같이 보기
이 과속 문서는 운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
|
교통 : 교통, 교통수단, 운전 □■⊕, 운송, 도로, GTX역, KTX역, 수도권 지하철역, 인천 지하철역, 부산 지하철역, 대구 지하철역, 대전 지하철역, 광주 지하철역, 철도역, 버스터미널, 공항, 항구, 국가어항, 한국철도, 중국철도, 일본철도
|
|
운전
|
ACC 모드 • FSD • OFF 모드 • ON 모드 • P턴 • S코스 • T코스 • U턴 • 가감속 • 가속 • 가속도 • 가속성 • 감속 • 개문발차 • 경고 • 경유 • 경유지 • 고속 • 고속주행 • 곡예운전 • 공기저항 • 공기저항계수(CD값) • 공주거리 • 공회전 • 과속 • 관제 • 교대 • 교대시간 • 교차 • 구동 • 구동력 • 구름저항 • 급가속 • 급감속 • 급발진 • 급속 • 급정거 • 급제동(급브레이크) • 급출발 • 끼어들기 • 난폭운전 • 내구연한 • 냉간시동 • 노면소음 • 노킹 • 눈뽕 • 다운포스 • 대리운전 • 대포차 • 대향차 • 도로주행 • 도착 • 도착지 • 동승 • 뒷차 • 드라이브스루 • 드라이브인 • 락크롤링(락크라울링) • 레브매칭 • 레이싱(경주) • 로드홀딩 • 마력 • 만석 • 매직 카펫 라이드 • 모니터링 • 모닝노크 • 모범운전 • 모터스포츠 • 목적지 • 무면허운전 • 무인운전 • 무임승차 • 반자율주행 • 반클러치 • 발레모드 • 발차 • 방어운전 • 방음 • 법인대리운전 • 변속 • 보복운전 • 부스트모드 • 불법운전 • 불법유턴 • 불법택시 • 불법행위 • 빗길운전 • 사각지대 • 사납금 • 사선주행 • 서행 • 서행운전 • 소음 • 속도 • 속도위반 • 속력 • 수막 • 수막현상 • 스마트모드 • 스텔스차량 • 스포츠모드 • 스포츠 브레이크 • 승차(탑승) • 승차감 • 승차권 • 승하차 • 시각 • 시내주행 • 시동 • 시력 • 시승 • 시야 • 시야각 • 시운전 • 안전 • 안전거리 • 안전속도 • 안전운전 • 안전운행 • 앞지르기 • 앞차 • 야간운전(야간주행) • 양력 • 양력계수(CL값) • 양방통행 • 언더라이드 • 에코모드 • 엔진브레이크 • 역주행 • 열간시동(온간시동) • 옆차 • 예열 • 오토파일럿 • 와류 • 완전자율주행 • 완주 • 운임 • 운전 • 운전미숙 • 운전습관 • 운행 • 원격시동 • 위험 • 음주운전 • 음주측정기 • 응시 • 이동 • 이동권 • 일방통행 • 일시정지 • 자율주행 • 저속 • 저속주행 • 전방 • 전방주시 • 전진 • 전진기어(D) • 전후방 • 접근차 • 정속 • 정속주행 • 정지 • 정지거리 • 정차 • 제동 • 제동거리 • 제동력 • 제동성 • 제로백 • 제로턴 • 제어 • 제한속도 • 조작 • 졸음운전 • 주간운전(주간주행) • 주시 • 주행 • 주행거리 • 주행모드 • 주행저항 • 중립 • 중립기어(N) • 중속 • 중앙선 침범 • 직진 • 진동 • 차간거리 • 차박 • 차선변경 • 청각 • 청력 • 초보운전 • 추월 • 출발 • 출발지 • 출입 • 충격 • 충돌 • 측면 • 측방 • 칼치기 • 컴포트모드 • 컴포트 브레이크 • 크랩주행 • 크리핑 • 토크 • 통과 • 통행 • 트랙션 • 트롤리 딜레마 • 파킹기어(P) • 편제동 • 풋브레이크 • 풍절음 • 픽업 • 하이스트모드 • 하차 • 하차감 • 항력(드래그포스) • 항속거리 • 헛바퀴 • 환승 • 회생제동 • 횡단 • 후방 • 후열 • 후진 • 후진기어(R) • 휠핑 • 흡수 • 힐앤토
|
|
코너링
|
그립주행 • 급커브 • 급핸들 • 급회전 • 드리프트주행 • 랩타임 • 반시계방향 • 불법우회전 • 불법좌회전 • 선회 • 슬로우인 패스트아웃 • 시계방향 • 실조향각 • 아웃 인 아웃 • 액셀워크 • 언더스티어 • 역회전 • 오버그립 • 오버스티어 • 우측 • 우회전 • 접지력(그립) • 조향 • 조향각 • 좌우측 • 좌측 • 좌회전 • 카운터스티어 • 코너링 • 코너링 그립 • 코너링 테크닉 • 파워오버스티어 • 피봇턴 • 피시테일 • 한계그립 • 핸들링 • 회전 • 회전반경
|
|
운전자
|
고령운전자 • 관제사 • 기관사 • 기장 • 난폭운전자 • 대리운전기사 • 대리운전업체 • 동승자 • 마이카족 • 모범운전자 • 버스기사 • 부기장 • 선원 • 선장 • 손님 • 쇼퍼 • 스튜어드 • 스튜어디스 • 승객 • 승무원 • 승차정원 • 안내양 • 우주비행사 • 운전기사 • 운전병 • 운전자 • 음주운전자 • 장애인 운전자 • 조수 • 조종사(파일럿) • 졸음운전자 • 초보운전자 • 탑승객 • 탑승자 • 택시기사 • 트럭기사 • 함장 • 항해사
|
|
주차
|
고임목 • 공영주차장 • 공용주차장 • 기계식 주차장 • 노상주차장 • 노외주차장 • 무인주차장 • 반자주식 주차장 • 발레파킹 • 부설주차장 • 불법주정차 • 불법주차 • 셀프주유소 • 스마트주차 • 실내주차 • 실내주차장 • 실외주차(야외주차) • 실외주차장(야외주차장) • 옥상주차장 • 원격주차 • 이중주차 • 입차 • 자동주차 • 자동출차 • 자율주차 • 자주식 주차장 •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 전방주차 • 주기장 (건설기계) • 주기장 (항공기) • 주유 • 주유건 • 주유기 • 주유소 • 주정차 • 주정차 금지구역 • 주차 • 주차공간 • 주차구역 • 주차권 • 주차기어 • 주차대행 • 주차료 • 주차면 • 주차시설 • 주차위반 • 주차장 • 주차타워 • 중립주차 • 지상주차장 • 지하주차장 • 직각주차 • 차고 • 차고지 • 출차 • 평행주차 • 후방주차
|
|
면허 • 관리
|
국제운전면허증 • 단속 • 도로교통법 • 등록 • 등록기준지 • 면허 • 면허정지 • 면허취소 • 무면허 • 사용본거지 •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 연습면허 • 운전면허 • 운전면허시험 • 운전면허증 • 운전학원 • 임시운행허가 • 자동차관리법 • 자동차등록원부 • 자동차등록증 • 자동차세 • 장롱면허 • 저공해 차량 스티커 • 취득세 • 폐차 • 폐차장 • 형간전환
|
|
위키 :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