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0번째 줄: |
30번째 줄: |
| *페달조작 실수를 방지하기 위해 자신의 발에 맞지 않는 큰 사이즈의 신발 착용은 피한다. | | *페달조작 실수를 방지하기 위해 자신의 발에 맞지 않는 큰 사이즈의 신발 착용은 피한다. |
| *[[사이드 브레이크]]를 풀지 않고, 브레이크를 밟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시동을 켜는 습관을 기른다. | | *[[사이드 브레이크]]를 풀지 않고, 브레이크를 밟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시동을 켜는 습관을 기른다. |
− | *매트가 페달에 걸리지 않게 하고, 악셀페달 장치의 변형은 금지한다. | + | *매트가 페달에 걸리지 않게 하고, [[가속페달]] 장치의 변형은 금지한다. |
| *계기판에 엔진체크 경고등이 소등된 후 시동을 건다. | | *계기판에 엔진체크 경고등이 소등된 후 시동을 건다. |
− | *출발 전 엔진의 RPM이 1000이하임을 확인한다. | + | *출발 전 엔진의 RPM이 1000 이하임을 확인한다. |
| *시동을 켠후 장시간 대기시 'N'에 두지말고 'P'에 둔다.<ref>〈[https://news.joins.com/article/9260632 오토미션 전문가가 말하는 급발진 사고의 원인과 예방법]〉, 《중앙일보》, 2012-09-07</ref> | | *시동을 켠후 장시간 대기시 'N'에 두지말고 'P'에 둔다.<ref>〈[https://news.joins.com/article/9260632 오토미션 전문가가 말하는 급발진 사고의 원인과 예방법]〉, 《중앙일보》, 2012-09-07</ref> |
| | | |
2021년 7월 24일 (토) 22:50 판
급발진(急發進)은 운전자의 차량이 정지 또는 매우 낮은 출발 속도에서 운전자가 의도하지 않은 높은 출력이 굉음과 함께 나타나면서 차량을 제어할 수 없는 현상이다.
개요
급발진이란 말 그대로 자동차가 급가속으로 발진하는 것을 뜻한다. 자동변속 차량에서 차량이 정지되었거나 매우 낮은 속도로 운행 중 엑셀러레이터 페달을 밟지 않았거나 살짝 밟았음에도 엔진에서 비정상적인 굉음이 발생함과 동시에 차량이 운전자의 의도와는 다르게 매우 빠르게 발진을 한다. 급발진에 걸리게 되면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도 차량은 정지하지 않는다고 한다. 1987년 미국의 경우 급발진 사고가 자주 발생하면서 집단 소송이 제기되자 1년 동안 조사를 벌인 끝에 차량의 기계결함이 아닌 운전 미숙과 같은 인적 요인에서 비롯됐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발표한 적이 있다. 일본은 급발진 사고 대부분이 수동기어 변속장치에 익숙한 운전자가 자동기어 변속장치에 적응하지 못해 생겼다고 결론을 지은 적이 있다. 이후 선진국에서는 급발진 대책으로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아야만 시동이 걸리도록 하는 시프트룩 장착 의무화를 추진하였다.[1]
급발진 원인
전자제어유닛 오류
전자제어유닛(ECU)는 자동차의 전자화 엔진제어, 변속기, 자세제어, 에어백 제어, 타이어 공기압 관리등 다양한 곳 ECU의 통제를 받고 있다. 해당 ECU같은 경우 정상적인 차량의 경우 배터리에서 ECU로 전달되는 전압이 12~14볼트 사이이지만, 실험을 위해 7~14볼트 사이의 불안정한 전압 상태를 만들면 가속페달이 30%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갑자기 ECU가 리셋이 되며 가속페달을 100% 밟은 것처럼 차량의 속도가 빠르게 증가하였다.
진공배럭장치
진공배럭장치는 일반적인 유압식 브레이크에서 적은 힘으로 제동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게 만들어진 장치이다. 진공 펌프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페달의 힘을 4~5배로 키워 제동력을 높이는 장치이다. 급발진의 원인으로 페달의 담력을 높이는 역할만 해야하는 진공배럭장치의 압력서지 현상을 원인으로 꼽았다. 압력서지 현상이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배력장치의 진공호스에 압력이 가해지는데 이때 스로틀밸브에 오장동을 일으켜 엔진의 흡기 밸브에도 공기가 유입되면서 순간적으로 압력이 상승하여 가소 페달을 밟을 때만 열리게 된다. 스로틀밸브가 작동이 되어 차량 출력을 급상승 시켜 급발진을 유발하는 현상이다.[2]
잦은 브레이크 사용
브레이크를 자주 밟으면 압력이 공기흡기를 자극한 동시에 터보 시스템 효과를 낸다. 대부분 급발진이 발생하는 원인으로 자동차 설계가 잘못되어서 발생하는 것으로 아는 경우가 많은데 브레이크 배력 장치가 유발하는 압력 서지 현상으로 인해 급발진이 발생할 수도 있다.[3]
대처방법
브레이크 깊게 밟기
밟고 있던 엑셀페달에서 발을 재빨리 뗀 뒤 브레이크 페달을 한 번에 꾹 밟아줘야 한다. 당황해서 여러 번 브레이크를 나눠 밟게 되면 오히려 브레이크 압력이 잘 전달되지 않아 무력화되기 때문에 브레이크를 한 번 꾹 눌러야 한다.
기어를 중립으로
브레이크를 힘껏 밟은 상태에서 재빠르게 기어를 중립으로 옮겨야 한다. 기어를 중립으로 바꿔 자동차의 동력을 차단시켜줘야하기 때문이다. 막약 기어를 주차에 두게되면 핸들이 잠겨버려서 더 위험할 수 있다.
사이드 브레이크 올리기
사이드 브레이크로 최대한 속도를 낮춰 정지한다. 만약 차의 속도가 줄어들지 않은 상태에서 사이트 브레이크를 급하게 당겨 채울경우 자동차가 균형을 잃고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사이드 브레이크는 속도가 줄어든 상황에서 올리는 것이 좋다.[4]
주차된 차량에 들이박기
계속해서 급발진으로 차량이 멈추지 않고 피하지 못할 경우라면 큰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벽이나 주차된 차량에 들이 박는 것이 최우선이다. 본인의 자동차와 비슷한 크기로 된 차량에 부딪히는 것이 좋고 정면보다는 측면으로 부딪히는 것이좋다.[3]
예방
- 페달조작 실수를 방지하기 위해 자신의 발에 맞지 않는 큰 사이즈의 신발 착용은 피한다.
- 사이드 브레이크를 풀지 않고, 브레이크를 밟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시동을 켜는 습관을 기른다.
- 매트가 페달에 걸리지 않게 하고, 가속페달 장치의 변형은 금지한다.
- 계기판에 엔진체크 경고등이 소등된 후 시동을 건다.
- 출발 전 엔진의 RPM이 1000 이하임을 확인한다.
- 시동을 켠후 장시간 대기시 'N'에 두지말고 'P'에 둔다.[5]
각주
- ↑ 서부신문, 〈자동차 급발진 사고 방지 '세이프 카'〉, 《서부신문》, 2017-07-26
- ↑ 〈급발진시 어떻게 대처해야할까? 급발진 원인과 대처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AK셀카》, 2021-01-06
- ↑ 3.0 3.1 CARBY, 〈(카비 자동차 기초 상식)급발진 원인, 대처방법〉, 《네이버 포스트》, 2018-07-30
- ↑ 한국도로공사, 〈당황하기 쉬운 자동차 급발진 대처 방법〉, 《네이버 블로그》, 2019-10-14
- ↑ 〈오토미션 전문가가 말하는 급발진 사고의 원인과 예방법〉, 《중앙일보》, 2012-09-07
참고자료
- 서부신문, 〈자동차 급발진 사고 방지 '세이프 카'〉, 《서부신문》, 2017-07-26
- 〈급발진시 어떻게 대처해야할까? 급발진 원인과 대처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AK셀카》, 2021-01-06
- CARBY, 〈(카비 자동차 기초 상식)급발진 원인, 대처방법〉, 《네이버 포스트》, 2018-07-30
- 한국도로공사, 〈당황하기 쉬운 자동차 급발진 대처 방법〉, 《네이버 블로그》, 2019-10-14
- 〈오토미션 전문가가 말하는 급발진 사고의 원인과 예방법〉, 《중앙일보》, 2012-09-07
같이 보기
이 급발진 문서는 도로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교통 : 교통, 교통수단, 운전, 운송, 도로 □■⊕, GTX역, KTX역, 수도권 지하철역, 인천 지하철역, 부산 지하철역, 대구 지하철역, 대전 지하철역, 광주 지하철역, 철도역, 버스터미널, 공항, 항구, 국가어항, 한국철도, 중국철도, 일본철도
|
|
도로
|
1차선 • 2차선 • 3차선 • 4차선 • 6차선 • 8차선 • 10차선 • 12차선 • 16차선 • 가드레일 • 가로등 • 가로수 • 간선 • 간선노선 • 간선도로 • 간이역 • 갓길 • 거리 • 건널목 • 경사로 • 계단 • 고가도로 • 고속국도 • 고속도로 • 고속도로 차폐막 • 고속화도로 • 곡선구간 • 곡선도로 • 골 • 골목길 • 공로 • 공중보행교 • 과속단속 카메라 • 과속방지턱 • 광장 • 교각 • 교량 • 교차로 • 교통관제시설 • 교통섬 • 교통안전표지 • 구간 • 구름다리 • 국도 • 굴 • 급커브길 • 기찻길 • 길 • 길거리 • 나들목 • 난간 • 내리막길 • 노변 • 노변기지국 • 노선 • 노선도 • 논두렁 • 논둑 • 농로 • 눈길 • 단속카메라 • 대기차로 • 대교 • 대로 • 대로변 • 대피소 • 도로 • 도로교통 • 도로교통법 • 도로망 • 도로반사경 • 도로포장률 • 도시고속도로 • 도시철도역 • 둑 • 둘레길 • 들길 • 등굣길 • 등산로 • 등하굣길 • 땅굴 • 럼블스트립 • 로터리 • 맨홀 • 멜로디도로 • 모래길 • 미끄럼방지 홈 • 민자고속도로 • 민자도로 • 밭둑 • 뱃길 • 버스노선 • 버스노선도 • 버스신호등 • 버스전용차로 • 보도 • 보도블럭 • 보조간선도로 • 보행 • 보행등 • 보행자 • 보행자 우선도로 • 보행자 전용도로 • 복개 • 복개도로 • 복개천 • 복합교량 • 볼라드 • 부교 • 부유터널 • 분기점 • 블랙아이스 • 비보호 • 비상활주로 • 비탈길 • 비포장도로 • 빗길 • 빙판길 • 사거리 • 산길 • 산업도로 • 산책로 • 삼거리 • 샛길 • 서킷 • 소화전 • 수송로 • 순환도로 • 숲길 • 스마트교차로 • 스마트톨링 • 스마트 하이웨이 • 시골길 • 시내도로 • 실버존 • 십자로 • 아스팔트 도로 • 안전표지판 • 어린이 보호구역(스쿨존) • 언덕길 • 연륙교 • 연석 • 오거리 • 오르막길 • 오솔길 • 오프로드 • 온로드 • 올레길 • 왕복 • 요금소 • 우측보행 • 우측통행 • 우회로 • 운송로 • 원형교차로 • 유료도로 • 육거리 • 육교 • 이동로 • 이면도로 • 인도 • 일반국도 • 일반도로 • 임도 • 입체교차로 • 자갈길 • 자동차로 • 자동차 전용도로 • 자전거 전용도로 • 장애물 • 전면도로 • 전봇대 • 전용도로 • 정지선 • 졸음쉼터 • 좌측보행 • 좌측통행 • 중앙선 • 중앙분리대 • 지름길 • 지방도 • 지상 • 지상도로 • 지선 • 지정차로 • 지하 • 지하도 • 지하도로 • 지하보도 • 지하차도 • 지하철노선 • 지하철노선도 • 지하통로 • 직선구간 • 직선도로 • 진입로 • 진출로 • 진출입로 • 진흙길 • 진흙탕 • 차도 • 차량등 • 차량보조등 • 차량신호등 • 차로(찻길) • 차선 • 차폐막 • 철길 • 철도노선 • 철도노선도 • 철로 • 청소년 레드존 • 청소년 블루존 • 추월차로 • 출근길 • 출렁다리 • 출퇴근길 • 커브길 • 코너 • 콘크리트 도로 • 탄성볼라드 • 탐방로 • 태양광 패널 도로 • 터널 • 터널조명 • 터미널 • 톨게이트 • 통로 • 통행 • 통행권 • 통행량 • 통행료 • 퇴근길 • 편도 • 평면교차로 • 포장도로 • 표시선 • 표지판 • 하굣길 • 하늘길 • 하이패스 • 항로(항공로) • 해저터널 • 해파랑길 • 험로 • 현수교 • 현황도로 • 활주로 • 회전교차로 • 횡단보도
|
|
도로공사
|
경계석 • 골재 • 골조 • 관로매설공사 • 관리 • 교량건설 • 구거 • 구조 • 구조물 • 굴착 • 굴착공사 • 균열 • 기층 • 나무 • 노면 • 노면살수 • 노면제설 • 노면청소 • 노반 • 노상 • 노상면 • 노체 • 도랑 • 도로공사 • 도로관리 • 도로보수공사 • 도로설계 • 도로파손 • 도로폐쇄 • 도로포장 • 도로함몰 • 도로확장 • 롤러 • 말뚝 • 매설 • 매설공사 • 보도블럭공사 • 보조기층 • 상층노반 • 아스콘(아스팔트 콘크리트) • 아스팔트 • 아스팔트 포장 • 역청재 • 요철 • 자가증식 아스팔트 • 중간층 • 콘크리트 포장 • 터널공사 • 팟홀(포트홀) • 표층 • 피치 • 하층노반
|
|
역
|
GTX역 • KTX역 • 간이역 • 고속도로 휴게소 • 고속버스터미널 • 공항 • 관리역 • 국내공항 • 국제공항 • 나루터 • 도선장 • 무인역 • 반지하역 • 버스정류장 • 버스터미널 • 보통역 • 본역명 • 부두 • 부역명 • 선상역 • 선하역 • 승강장 • 시외버스터미널 • 신호소 • 신호장 • 여객역 • 역 • 역명 • 우주정거장 • 전철역 • 정거장 • 정류장 • 조차장 • 종점 • 지상역 • 지하역 • 지하철역 • 차량기지 • 철도역(기차역) • 포구 • 항구 • 항만 • 항만시설 • 헬리포트(헬리패드) • 화물역 • 환승역 • 휴게소
|
|
고속도로
|
경기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 경인고속도로 • 고창담양고속도로 • 광주대구고속도로 • 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 • 광주원주고속도로 • 남해고속도로 • 남해고속도로 제1지선 • 남해고속도로 제2지선 • 남해고속도로 제3지선 • 논산천안고속도로 •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 • 동해고속도로 • 무안광주고속도로 •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 상주영천고속도로 • 새만금포항고속도로 • 새만금포항고속도로 지선 • 서산영덕고속도로 • 서울양양고속도로 • 서천공주고속도로 • 서해안고속도로 • 세종포천고속도로 • 수도권외곽순환고속도로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 순천완주고속도로 • 아산청주고속도로 • 영동고속도로 • 오산화성고속도로 • 용인서울고속도로 • 울산고속도로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자유로 • 제2경인고속도로 • 제2영동고속도로 • 제2중부고속도로 • 제3경인고속화도로 • 중부고속도로 • 중부내륙고속도로 • 중부내륙고속도로 지선 • 중앙고속도로 • 중앙고속도로 지선 • 통영대전고속도로 • 평택시흥고속도로 • 평택제천고속도로 • 평택파주고속도로 • 함양울산고속도로 • 호남고속도로 • 호남고속도로 지선
|
|
대로
|
가양대로 • 강남대로 • 강남순환로 • 강동대로 • 강변북로 • 경부간선도로 • 경인로 • 공항대로 • 과천대로 • 관악로 • 국회대로 • 김포대로 • 남부순환로 • 내부순환로 • 녹사평대로 • 도산대로 • 동부간선도로 • 동작대로 • 마포대로 • 반포대로 • 방화대로 • 봉오대로 • 북부간선도로 • 분당내곡로 • 분당수서로 • 사평대로 • 삼일대로 • 서부간선도로 • 서초대로 • 성남대로 • 세종대로 • 송파대로 • 시흥대로 (서울) • 시흥대로 (시흥) • 신월여의지하도로 • 양재대로 • 언주로 • 여의대로 • 영동대로 • 올림픽대로 • 우면산로 • 위례대로 • 위례성대로 • 을지로 • 의사당대로 • 조정대로 • 종로 • 천호대로 • 청계로 • 청계천로 • 테헤란로 • 퇴계로 (서울) • 퇴계로 (안동) • 한강대로 • 한남대로
|
|
대교
|
가덕대교 • 가양대교 • 강동대교 • 강화대교 • 거가대교 • 거제대교 • 고군산대교 • 고덕대교 • 광안대교 • 광진교 • 구리암사대교 • 김포대교 • 남해대교 • 노량대교 (경남) • 노량대교 (서울) • 당산철교 • 동작대교 • 동호대교 • 마곡대교 • 마포대교 • 미사대교 • 반포대교 • 방화대교 • 서강대교 • 서해대교 • 성산대교 • 성수대교 • 시화대교 • 신거제대교 • 신행주대교 • 양화대교 • 영동대교 • 영종대교 • 올림픽대교 • 완도대교 • 울산대교 • 원효대교 • 월드컵대교 • 이순신대교 • 인천대교 • 일산대교 • 잠수교 • 잠실대교 • 잠실철교 • 진도대교 • 천호대교 • 청담대교 • 팔당대교 • 한강대교 • 한강철교 • 한남대교 • 한빛대교 • 행주대교
|
|
위키 :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