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패스(Hi-pass)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와 유료도로의 통행료를 정차할 필요 없이 무선 통신으로 지불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개요
통행료를 지불할 때 요금소에 멈추지 않고 무선 또는 적외선 통신을 통해서 통행료를 지불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차량 내 탑재된 단말기(OBU + IC카드)와 무선 방식에 의한 정보교환을 통해 자동으로 요금이 결제되는 시스템을 말하며, 요금소에서 차량의 주행 중에 무인으로 요금을 징수하는 시스템이다. 차량 내에 설치된 하이패스 차량단말기와 노변의 안테나 간 무선통신을 이용해 주행 중인 상태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통행료를 지불하는 최첨단의 교통 서비스이고 DSRC(Dedicated Short-Range 사용하여 차량단말기와 요금소 설비와의 통행료 자동정산을 가능하도록 한다.[1]
역사
시행 초기(2000~2007)에는 수도권에서만 통용되었다. 적외선 방식만 사용하닥 전국 보급단계인 2007년 이후에는 라디오 주파수 방식을 도입하였고 앞 유리 코팅으로 인한 인식률 저하와 당시 정보통신부의 주파수 제한조치에 의해 적외선 방식도 계속 사용하게 되었다. 2010년에 일어난 제2경인고속도로 인천대교 구간 영종 나들목 근처의 버스와 승용차 추돌사고를 계기로, 하이패스 사고 감소를 위하여, 경찰청에서는 경찰청 고시를 통하여 하이패스 전용 차로 통과 속도 30km/h 위반 단속을 법제화하였다. 2011년에는 견인차량 등 특수차량 하이패스 이용 확대되었다. 2015년 10월 15일부터는 4.5T 이상 활물차도 하이패스를 사용하게 되었다. 고속도로 진입 시에는 일반차로를 이용할 수 없고, 화물차 전용 하이패스 차로로 통과해야 한다. 제한속도는 5KM/h로 일반 차량에 비해 낮은 편이고 화물차가 아니어도 이용할 수 있다.[2]
작동원리
하이패스를 작동하기 위해서는 전자 카드, 차량단말기, 톨게이트, 안테나가 있어야 한다. 안테나는 차를 인식하고 차량 단말기로 결제 정보를 요청하는 역할을 한다. 차랑 단말기는 안테나로부터 온 카드 결제정보를 인식해 카드 결제를 하고 결과를 다시 안테나로 보내서 결제를 완료한다. 시스템 구동 과정은 카드와 차량단말기 사이 처리 과정과 차량단말기와 안테나 간 처리 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 카드와 차량 단말기 사이 처리 과정에서 중요한 점은 카드가 접촉형 또는 비접촉형 방식으로 모두 구동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접촉형 통신은 카드 앞면에 급색으로 된 접촉판으로 전원공급이 되어서 외부와 통신이 이루어진다. 비접촉형 통신 방식은 교통카드를 생각하면 된다. 카드가 차량단말기에 신호를 보내는 동력은 카드 속 안테나 코일이 유도전기를 발생하면서 만들어진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류는 약하지만, 카드에 있는 반도체 칩을 동작시키기에는 충분하다. 차량단말기와 안테나 사이 정보처리 과정에서는 근거리 전용통신(DSRC)이 이용된다. DSRC는 차량을 위한 무선 전용 이동 통신으로 지능형 교통체계(IT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해진 규약과 기준에 부합하는 단방향 또는 양방향의 단거리 무선통신 채널이다. ITS에서 요구되는 정보들은 노변 기지국과 차량 간의 통신을 통해 서로에게 전달되어야 하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양쪽 장치 간의 무선고속패킷통신이 가능한 기술을 이용해야 한다. DSRC는 노변-차량 간 양방향 근거리 통신, 일 대다수의 통신 기능, 고속전송 기능, 값싸고 단순한 변조기술을 사용하는 특징을 가진다.[3]
종류
통신방식
- 통신방식
주파수 방식은 전파방식이기 때문에 차내 어디다가 둬도 톨게이트 통과 시 인식이 잘되는 방식이다. 이 전파방식의 장점은 차내에 어디다가 둬도 톨게이트 통과 시 인식이 잘되는 방식이다. 눈에 안 띄게 깔끔한 걸 원하는 이용자가 많이 이용하고 룸미러에 붙어있는 것이 대부분 주파수 방식이다. 단점은 어디서든 인식이 잘되는 만큼 전기소모가 많아서 시거잭이나 퓨즈 박스에 항상 연결해야 한다. 차량 내부에 어디에 둬도 좋지만, 전선의 마감처리를 하는 것과 설치가 번거롭다.
- 적외선 방식
적외선 방식은 주파수가 아니라 빛으로 교신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하이패스를 지갈 때 인식이 잘 되는 위치에 놔둬야 한다. 그래서 보통은 운전석 앞 유리 중앙 하단에 부착하거나 룸미러 뒤쪽에 붙이기도 한다. 가격이 주파수 방식보다 저렴하고 후불 전용 하이패스 카드를 구매하였을 때 무료로 제공해주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전력 소모량이 적어서 대부분 무선 형태이다. 단점은 빛으로 교신하기 때문에 잘 보이는 곳에 있어야 한다.
충전방식
- 무선충전
적외선 방식의 형태로 건전지가 두개 세개 정도 들어가거나, USB충전 방식으로 나뉜다. 무선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깔끔하나 배터리를 갈아야 된다는 단점이 있다.
- 유선충전
주파수 방식에서 많이 사용하고 시거잭을 연결해야하기 때문에 설치가 번거롭다.
- 태양열 충전
대부분 적외선 방식이 많다. 배터리 용량이 크지가 않아서 오래 지하에 주차했을 떄 방전이 되는 경우가 있다. 게다가 태양열 전기도 영구적인게 아니여서 오래 사용하거나 태양에 오래노출됫을 경우 충전이 잘 안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4]
위반처리
다음 사항으로 하이패스 차로를 정상적으로 이용하지 않은 경우 하이패스 위반차량으로 분류한다.
- 단말기를 장착하지 아니한 차량으로 이용한 경우
- 발급되지 않은 단말기를 장착하고 이용한 경우 또는 단말기에 등록된 차종정보와 실제 운행한 차종이 다른 경우
- 불량카드나 허가되지 않은 카드를 단말기에 삽입하여 이용한 경우
- 잔액이 부족하거나 잔액이 없는 카드를 단말기에 삽입하고 이용한 경우
- 카드를 단말기에 삽입하지 않았거나 정확한 위치에 삽입하지 않은 경우
- 긴급면제카드 또는 감면단말기에 등록된 차량번호와 운행차량번호가 상이한 경우
- 하이패스 입구차로로 고속도로 진입 후 24시간을 초과하여 톨게이트 출구를 이용한 경우
- 기타 통행료가 정상적으로 수납되지 않은 경우[5]
오류발생시 대처
단말기의 부착위치나 전원공급 불량, 전자카드의 미(오)삽입, 선불카드의 잔액부족(없음) 등 여러 가지 원인들에 의하여 정상적인 요금결재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 후미차량의 추돌사고 예방을 위하여 차량을 안전지대(광장부 갓길 및 무인운영 차로)로 이동한다.
- 차로계단 통로를 이용하여 사무실 방문 또는 차량을 영업소 주차장으로 이동하여 사무실을 방문해서 현금, 전자카드(선, 후불카드)로 즉시 납부한다.
- 즉시납부가 어려울 경우, 계좌입금또는 홈페이지에서 휴대폰, 신용카드를 이용한 통행료 납부도 가능하다.계좌입금 시 입금자명을 반드시 차량번호로 해야 납부확인 및 정상완납처리가 가능하다.본인의 성함 혹은 계좌주의 성함으로 입금하실 경우 반드시 확인전화를 해야한다.[6]
각주
- ↑ 〈하이패스〉, 《네이버 지식백과》
- ↑ 〈하이패스〉, 《나무위키》
- ↑ 김지윤 기자, 〈[생활TECH 편리한 하이패스의 원리는?]〉, 《 테크월드뉴스 》, 2019-07-01
- ↑ movie maker〈(무선충전식)하이패스 단말기 종류, 단점〉, 《블로그》, 2018-08-20
- ↑ 〈하이패스 위반처리〉, 《한국도로공사서비스》
- ↑ 〈하이패스이용 시 에러가 발생했을 때 통행료 납부방법은?〉, 《을숙도대교》
참고자료
- 〈하이패스〉, 《네이버 지식백과》
- 〈하이패스〉, 《나무위키》
- 김지윤 기자, 〈[생활TECH 편리한 하이패스의 원리는?]〉, 《 테크*월드뉴스 》, 2019-07-01
- movie maker〈(무선충전식)하이패스 단말기 종류, 단점〉, 《블로그》, 2018-08-20
- 〈하이패스 위반처리〉, 《한국도로공사서비스
- 〈하이패스이용 시 에러가 발생했을 때 통행료 납부방법은?〉, 《을숙도대교》
같이 보기
이 하이패스 문서는 도로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교통 : 교통, 교통수단, 운전, 운송, 도로 □■⊕, GTX역, KTX역, 수도권 지하철역, 인천 지하철역, 부산 지하철역, 대구 지하철역, 대전 지하철역, 광주 지하철역, 철도역, 버스터미널, 공항, 항구, 국가어항, 한국철도, 중국철도, 일본철도
|
|
도로
|
1차선 • 2차선 • 3차선 • 4차선 • 6차선 • 8차선 • 10차선 • 12차선 • 16차선 • 가드레일 • 가로등 • 가로수 • 간선 • 간선노선 • 간선도로 • 간이역 • 갓길 • 거리 • 건널목 • 경사로 • 계단 • 고가도로 • 고속국도 • 고속도로 • 고속도로 차폐막 • 고속화도로 • 곡선구간 • 곡선도로 • 골 • 골목길 • 공로 • 공중보행교 • 과속단속 카메라 • 과속방지턱 • 광장 • 교각 • 교량 • 교차로 • 교통관제시설 • 교통섬 • 교통안전표지 • 구간 • 구름다리 • 국도 • 굴 • 급커브길 • 기찻길 • 길 • 길거리 • 나들목 • 난간 • 내리막길 • 노변 • 노변기지국 • 노선 • 노선도 • 논두렁 • 논둑 • 농로 • 눈길 • 단속카메라 • 대기차로 • 대교 • 대로 • 대로변 • 대피소 • 도로 • 도로교통 • 도로교통법 • 도로망 • 도로반사경 • 도로포장률 • 도시고속도로 • 도시철도역 • 둑 • 둘레길 • 들길 • 등굣길 • 등산로 • 등하굣길 • 땅굴 • 럼블스트립 • 로터리 • 맨홀 • 멜로디도로 • 모래길 • 미끄럼방지 홈 • 민자고속도로 • 민자도로 • 밭둑 • 뱃길 • 버스노선 • 버스노선도 • 버스신호등 • 버스전용차로 • 보도 • 보도블럭 • 보조간선도로 • 보행 • 보행등 • 보행자 • 보행자 우선도로 • 보행자 전용도로 • 복개 • 복개도로 • 복개천 • 복합교량 • 볼라드 • 부교 • 부유터널 • 분기점 • 블랙아이스 • 비보호 • 비상활주로 • 비탈길 • 비포장도로 • 빗길 • 빙판길 • 사거리 • 산길 • 산업도로 • 산책로 • 삼거리 • 샛길 • 서킷 • 소화전 • 수송로 • 순환도로 • 숲길 • 스마트교차로 • 스마트톨링 • 스마트 하이웨이 • 시골길 • 시내도로 • 실버존 • 십자로 • 아스팔트 도로 • 안전표지판 • 어린이 보호구역(스쿨존) • 언덕길 • 연륙교 • 연석 • 오거리 • 오르막길 • 오솔길 • 오프로드 • 온로드 • 올레길 • 왕복 • 요금소 • 우측보행 • 우측통행 • 우회로 • 운송로 • 원형교차로 • 유료도로 • 육거리 • 육교 • 이동로 • 이면도로 • 인도 • 일반국도 • 일반도로 • 임도 • 입체교차로 • 자갈길 • 자동차로 • 자동차 전용도로 • 자전거 전용도로 • 장애물 • 전면도로 • 전봇대 • 전용도로 • 정지선 • 졸음쉼터 • 좌측보행 • 좌측통행 • 중앙선 • 중앙분리대 • 지름길 • 지방도 • 지상 • 지상도로 • 지선 • 지정차로 • 지하 • 지하도 • 지하도로 • 지하보도 • 지하차도 • 지하철노선 • 지하철노선도 • 지하통로 • 직선구간 • 직선도로 • 진입로 • 진출로 • 진출입로 • 진흙길 • 진흙탕 • 차도 • 차량등 • 차량보조등 • 차량신호등 • 차로(찻길) • 차선 • 차폐막 • 철길 • 철도노선 • 철도노선도 • 철로 • 청소년 레드존 • 청소년 블루존 • 추월차로 • 출근길 • 출렁다리 • 출퇴근길 • 커브길 • 코너 • 콘크리트 도로 • 탄성볼라드 • 탐방로 • 태양광 패널 도로 • 터널 • 터널조명 • 터미널 • 톨게이트 • 통로 • 통행 • 통행권 • 통행량 • 통행료 • 퇴근길 • 편도 • 평면교차로 • 포장도로 • 표시선 • 표지판 • 하굣길 • 하늘길 • 하이패스 • 항로(항공로) • 해저터널 • 해파랑길 • 험로 • 현수교 • 현황도로 • 활주로 • 회전교차로 • 횡단보도
|
|
도로공사
|
경계석 • 골재 • 골조 • 관로매설공사 • 관리 • 교량건설 • 구거 • 구조 • 구조물 • 굴착 • 굴착공사 • 균열 • 기층 • 나무 • 노면 • 노면살수 • 노면제설 • 노면청소 • 노반 • 노상 • 노상면 • 노체 • 도랑 • 도로공사 • 도로관리 • 도로보수공사 • 도로설계 • 도로파손 • 도로폐쇄 • 도로포장 • 도로함몰 • 도로확장 • 롤러 • 말뚝 • 매설 • 매설공사 • 보도블럭공사 • 보조기층 • 상층노반 • 아스콘(아스팔트 콘크리트) • 아스팔트 • 아스팔트 포장 • 역청재 • 요철 • 자가증식 아스팔트 • 중간층 • 콘크리트 포장 • 터널공사 • 팟홀(포트홀) • 표층 • 피치 • 하층노반
|
|
역
|
GTX역 • KTX역 • 간이역 • 고속도로 휴게소 • 고속버스터미널 • 공항 • 관리역 • 국내공항 • 국제공항 • 나루터 • 도선장 • 무인역 • 반지하역 • 버스정류장 • 버스터미널 • 보통역 • 본역명 • 부두 • 부역명 • 선상역 • 선하역 • 승강장 • 시외버스터미널 • 신호소 • 신호장 • 여객역 • 역 • 역명 • 우주정거장 • 전철역 • 정거장 • 정류장 • 조차장 • 종점 • 지상역 • 지하역 • 지하철역 • 차량기지 • 철도역(기차역) • 포구 • 항구 • 항만 • 항만시설 • 헬리포트(헬리패드) • 화물역 • 환승역 • 휴게소
|
|
고속도로
|
경기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 경인고속도로 • 고창담양고속도로 • 광주대구고속도로 • 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 • 광주원주고속도로 • 남해고속도로 • 남해고속도로 제1지선 • 남해고속도로 제2지선 • 남해고속도로 제3지선 • 논산천안고속도로 •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 • 동해고속도로 • 무안광주고속도로 •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 상주영천고속도로 • 새만금포항고속도로 • 새만금포항고속도로 지선 • 서산영덕고속도로 • 서울양양고속도로 • 서천공주고속도로 • 서해안고속도로 • 세종포천고속도로 • 수도권외곽순환고속도로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 순천완주고속도로 • 아산청주고속도로 • 영동고속도로 • 오산화성고속도로 • 용인서울고속도로 • 울산고속도로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자유로 • 제2경인고속도로 • 제2영동고속도로 • 제2중부고속도로 • 제3경인고속화도로 • 중부고속도로 • 중부내륙고속도로 • 중부내륙고속도로 지선 • 중앙고속도로 • 중앙고속도로 지선 • 통영대전고속도로 • 평택시흥고속도로 • 평택제천고속도로 • 평택파주고속도로 • 함양울산고속도로 • 호남고속도로 • 호남고속도로 지선
|
|
대로
|
가양대로 • 강남대로 • 강남순환로 • 강동대로 • 강변북로 • 경부간선도로 • 경인로 • 공항대로 • 과천대로 • 관악로 • 국회대로 • 김포대로 • 남부순환로 • 내부순환로 • 녹사평대로 • 도산대로 • 동부간선도로 • 동작대로 • 마포대로 • 반포대로 • 방화대로 • 봉오대로 • 북부간선도로 • 분당내곡로 • 분당수서로 • 사평대로 • 삼일대로 • 서부간선도로 • 서초대로 • 성남대로 • 세종대로 • 송파대로 • 시흥대로 (서울) • 시흥대로 (시흥) • 신월여의지하도로 • 양재대로 • 언주로 • 여의대로 • 영동대로 • 올림픽대로 • 우면산로 • 위례대로 • 위례성대로 • 을지로 • 의사당대로 • 조정대로 • 종로 • 천호대로 • 청계로 • 청계천로 • 테헤란로 • 퇴계로 (서울) • 퇴계로 (안동) • 한강대로 • 한남대로
|
|
대교
|
가덕대교 • 가양대교 • 강동대교 • 강화대교 • 거가대교 • 거제대교 • 고군산대교 • 고덕대교 • 광안대교 • 광진교 • 구리암사대교 • 김포대교 • 남해대교 • 노량대교 (경남) • 노량대교 (서울) • 당산철교 • 동작대교 • 동호대교 • 마곡대교 • 마포대교 • 미사대교 • 반포대교 • 방화대교 • 서강대교 • 서해대교 • 성산대교 • 성수대교 • 시화대교 • 신거제대교 • 신행주대교 • 양화대교 • 영동대교 • 영종대교 • 올림픽대교 • 완도대교 • 울산대교 • 원효대교 • 월드컵대교 • 이순신대교 • 인천대교 • 일산대교 • 잠수교 • 잠실대교 • 잠실철교 • 진도대교 • 천호대교 • 청담대교 • 팔당대교 • 한강대교 • 한강철교 • 한남대교 • 한빛대교 • 행주대교
|
|
위키 :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