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고속도로

위키원
(Express Way에서 넘어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고속도로(Express Way)는 고속국도법 제2조에 따라 대한민국 자동차 교통망의 중축 부분을 이루는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자동차 전용의 고속교통에 속하는 자동차 전용 도로로서 고속국도를 일컫는 용어이다. 자동차 이외의 다른 교통수단의 통행이 허용되지 아니하며 사람이 걸어 다닐 수도 없다. 또한, 고속 통행을 보장하기 위하여 일정 지점에서만 입체교차로를 통하여 일반 도로와 연결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교차 지점에서 신호 대기 등으로 통행이 지연되는 것을 피하고 차량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도모하고 있다.

개요[편집]

고속도로는 대도시, 산업도시, 항만, 공항 등 정치/경제/문화상으로 특히 중요한 지역을 연결하는 간선도로 중에서, 자동차가 고속으로 안전하고 쾌적하게 주행할 수 있게 마련된 도로이다.[1] 또한 고속도로는 기간 도로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각 노선의 기점, 종점 및 경유지는 자연히 주요 도시들로 구성되며, 고속 도로망 전체로 보아서는 국가의 대동맥 기능을 하고 있다. 한국의 도로법에 따라, 전국 도로는 고속국도, 일반 국도, 특별시도, 지방도, 시도, 구 군도로 나누며, 고속도로는 일반 국도와 함께 중앙정부가 관할하고 있다.[2] 2019년 기준 국토교통부한국도로공사에서 건설 및 운영하여 대한민국에는 약 4,800km의 고속도로가 있으며 대한민국의 고속국도 제1호선인 경부고속도로를 비롯하여 51개의 고속도로 노선이 있다. 이 가운데 10개 노선은 민간 기업체가 운영하는 민자고속도로이다.[3]

연혁[편집]

  • 2020년 11월 13일 : 제32호선 아산 청주 고속도로 기점을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염성리'에서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냉정리'로 연장
  • 2020년 09월 01일 :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를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로 명칭 변경
  • 2018년 10월 01일 : 익산·포항 고속도로를 새만금포항고속도로로, 익산·포항 고속도로 지선을 새만금포항고속도로지선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1개 노선 신설 및 1개 노선 분할
  • 2018년 01월 12일 : 3개 노선 신설 및 2개 노선 통합
  • 2017년 12월 01일 : 경인고속도로 기점을 '인천광역시 남구 용현동'에서 '인천광역시 서구 가정동'으로 단축
  • 2016년 10월 19일 : 제19호선 구리포천고속도로 기점을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에서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장죽리'로 연장하고 제29호선 세종포천고속도로로 변경, 2개 노선을 연장
  • 2015년 12월 22일 : 제12호선 88올림픽고속도로 기점을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 보촌리'에서 '광주광역시 북구 문흥동'으로 연장하고 노선명을 광주대구고속도로로 변경
  • 2015년 03월 27일 : 국토교통부 고시로 고속국도 노선 지정
  • 2014년 07월 15일 : 도로법 전면개정으로 고속국도 노선지정령 폐지
  • 2013년 11월 05일 : 4개 노선 신설
  • 2012년 12월 27일 :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구간으로 하는 제14호 함양울산고속도로 신설, 통합 창원시 출범으로 기점, 종점 및 주요 경유지 조정
  • 2010년 12월 20일 :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구간으로 하는 제600호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신설
  • 2009년 12월 21일 : 제30호선의 종점이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서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으로 연장, 이에 따라 당진영덕고속도로로 노선명 변경
  • 2008년 11월 17일 : 2개 노선을 신설, 마산 외곽고속도로를 남해고속도로제1지선으로 변경, 2개의 노선 변경
  • 2008년 01월 03일 : 6개 노선을 신설, 4개 노선 노선번호 변경, 8개의 노선 변경
  • 2004년 11월 03일 : 3개 노선을 신설, 동해고속도로 경유지에 경상북도 경주시, 포항시 구간 추가
  • 2002년 12월 05일 : 3개 노선을 신설, 4개 노선 연장, 1개 노선 노선명 변경 및 경부고속도로 노선 단축
  • 2001년 08월 25일 : 고속도로 노선번호 부여 방식을 준공순서에서 간선축 2자리 숫자, 보조 축 3자리 숫자로 표기, 순환선은 해당 특별시/광역시 우편번호에 맞춰 X00 번대로 표기하여 고속도로 노선은 통합, 경부고속도로는 상징성을 고려하여 1번 유지
  • 1999년 08월 31일 : 제28호선 부산~울산선 신설
  • 1997년 08월 27일 : 8개 노선을 신설, 1개 노선 연장, 수도권 신공항 선을 인천국제공항 선으로 변경하고 3개 노선 변경, 구미~옥포 선을 중부내륙 선에 통합
  • 1996년 07월 01일 : 4개 노선을 신설, 1개 노선 연장, 1개 노선 변경 및 2개 노선 폐지, 16개 노선 변경
  • 1995년 01월 01일 : 지방자치법 개정으로 도농복합 시 출범에 따른 행정 구역 명칭 변경
  • 1993년 09월 27일 : 제20호선 수도권 신공항선 신설
  • 1992년 04월 29일 : 6개 노선을 신설, 2개 노선 노선명 변경, 1개 노선 연장, 10개 노선 기점/종점 변경
  • 1991년 07월 25일 : 2개 노선을 신설, 1개 노선 변경
  • 1989년 10월 20일 : 제14호선 중앙선 신설
  • 1988년 01월 14일 : 3개 노선 신설
  • 1985년 09월 12일 : 경인고속도로 기점을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평동'에서 '서울특별시 강서구 신월동'으로 단축
  • 1985년 05월 29일 : 제10호선 중부선 신설
  • 1984년 06월 28일 : 구마고속도로의 이현 분기점~팔달교 구간을 분리해 제7호의2 구마고속도로지선 신설
  • 1981년 11월 07일 : 제3호의2 대전~순천선의 지선 기점을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에서 '대구시 달성군 옥포면'으로 연장, 제9호선 88올림픽고속도로로 변경, 고속도로 노선명 변경
  • 1978년 06월 22일 : 3개 노선을 신설, 기존 6개 노선 경유지 변경
  • 1976년 03월 19일 : 제7호선 대구~마산선 신설
  • 1973년 08월 23일 : 제5호선 속초~삼척선 신설, 제4호선 서울~원주 선을 서울~강릉 선으로 연장
  • 1971년 12월 08일 : 제6호선 부산~순천선 신설
  • 1971년 08월 31일 : 1급 국도와 2급 국도의 노선지정령을 폐지, 고속국도노선지정령 제정
  • 1970년 04월 21일 : 1급 국도 제1-3호선 호남고속도로 신설
  • 1969년 04월 08일 : 2급 국도 제95호선 삭제, 1급 국도 제1-1호선 경부고속도로 신설
  • 1968년 01월 20일 : 2급 국도 제97호선 경부고속도로 지정
  • 1967년 09월 02일 : 대통령령 1급 국도와 2급 국도의 노선 지정의건을 통해 2급 국도 제95호선 경인고속도로 지정[3]

역사[편집]

국외

미국에서는 고속도로의 정의로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출입제한을 하고, 일반적으로 교차 부분을 입체교차로 하여 왕복 교통을 분리한 통과교통을 위한 간선도로이다. 그중에서도 특히 완전히 출입제한을 한 것을 프리웨이라고 규정하며 뉴욕 스테이트 스루웨이등이 이에 속한다. 독일히틀러가 수레와 말에 의한 교통이 수레와 말 자신을 위한 도로를 만들었듯이 기차는 자신을 위해 필요한 궤도선로를 만들었다. 따라서, 자동차도 자신을 위해 없어서는 안 되는 자동차도로를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건설된 독일의 아우토반이나, M-1, M-4의 이름으로 불리는 영국의 모터웨이, 태양도로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이탈리아의 아우토스트라다델솔레 등은 유럽의 대표적인 고속도로이다.[1]

국내

국내에서 고속도로의 건설이 논의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 초의 일로서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기간 중 정부는 의도하였던 경제개발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수송 부문의 획기적인 개선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전국적인 교통조사를 시행하였다. 이 조사에서 도로 교통 수요가 급증하는 반면 기존 도로의 수송 능력은 한계에 도달하여 고속도로의 신설이 불가피하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정부는 이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1967년 8월, 서울∼인천 등지의 고속도로 건설계획을 밝히게 되었고, 곧이어 경인·경부·울산·호남고속도로가 연차적으로 착공되었다. 그 뒤 경제성장에 따라 고속도로 건설계획은 수정과 확대를 거듭하여 1971년 10월에 공고된 국토종합개발계획에서 총연장 2,000여㎞, 16개 고속도로 노선을 제4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이 끝나는 1981년까지 완공하였다. 1960년대 중반 경인고속도로가 건설된 때부터 지금까지, 국내 고속도로 건설 과정은 대체로 10년 단위의 세 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제1기인 1960년대 중반에서 1970년대 중반까지는 고속 도로망의 기간 노선 형성기이다. 이 시기에 건설된 노선 연장이 가장 길며 전국 주요 도시들이 고속 도로망에 편입되었다. 제2기는 1970년대 중반에서 1980년대 중반까지로 이 기간은 기간 노선을 서로 연결하는 지선들이 개통되는 지선 건설기로 이름 지을 수 있다. 제3기는 1980년대 중반 이래 1990년대 중반까지로 이 시기는 노선 확충기로서 기존 노선의 차선 수가 늘고 수도권 외곽에 순환 노선이 대거 건설되는 특징을 보인다.[2]

특징[편집]

대한민국에서의 고속도로라는 말은 1960년대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던 말이었지만, 1968년 12월 서울∼인천 간 경인고속도로가 완공되면서 일반화되었다.[1] 고속도로는 고속교통에 공용되는 유료도로이며 자동차 전용 도로로서 이륜차 및 사람의 출입을 제한한다. 인터체인지에서만 진입과 출입이 가능하고 타 시설과의 연계를 제한하고 있으며 고속도로 간 또는 타 도로와 연결 시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입체교차를 한다.[4] 고속도로는 외국의 진/출입 지점이 제한된 고속도로와 같은 성격을 지닌다. 도로 시설로 보아 고속도로에 비견할 만하면서도 일반 도로와의 연결을 대부분 허용하는 도로는 고속화 도로라고 부르며, 대도시에서 시내 통과 교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일정 구간에 고속도로를 설치하는 경우, 이를 도시 고속도로라고 부른다.[2] 더불어 고속도로는 자동차의 고속 운행에만 사용하기 위해 지정한 도로로, 자동차의 고속주행을 목적으로 하므로 일반도로와 달리 최저제한속도 규정을 두고 있다. 최저제한속도 미만으로 운행하는 경우 범칙금 2만 원이 부과된다. 또한 편도 2차로 이상의 모든 고속도로에는 1차로를 앞지르기 차로로 지정하여 1차로가 앞지르기 차로이고 2차로는 모든 자동차의 주행차로가 된다. 편도 3차로의 고속도로라면 1차로가 앞지르기 차로, 2차로는 승용과 승합차의 주행차로이며 3차로는 모든 자동차의 주행할 수 있다. 고속도로의 버스전용차로를 이용할 수 있는 차량은 시장 등은 경찰청장이나 경찰서장과 협의하여 전용차로를 설치할 수 있는데 전용차로는 차의 종류나 승차 인원에 따라 지정된 차만 통행할 수 있는 차로이다. 고속도로의 버스전용차로는 9인승 이상의 승용차나 승합차이며 9인승 이상 12인승 이하는 6인 이상이 탑승하여야 운행이 가능하다.[5]

노선[편집]

노선번호를 통해 고속도로의 방향, 위치, 규모를 알 수 있다. 남북방향은 홀수 번호, 동서 방향은 짝수번호를 부여하되, 서쪽에서 동쪽 오름차순으로 남쪽에서 북쪽 오름차순으로 지정한다. 간선 노선은 남/북축은 끝자리 5 부여하고 동/서축은 끝자리 0 부여한다. 보조 노선은 남/북축은 끝자리 1, 3, 7, 9번 부여하고 동/서축은 끝자리 2, 4, 6, 8번을 부여한다. 두 자리까지는 관련된 간선노선 축 또는 보조노선 축 번호 부여용인 지선은 남/북측은 끝자리 1, 3, 5, 7번을 부여하고 동/서측은 끝자리 2, 4, 6, 8번을 부여한다. 순환 노선은 해당 지역별로 다음 표와 같이 첫째 자리를 부여하고 뒤에 00번을 부여한다.

노선 비교[3][4]
노선번호 노선명 시점 종점 길이
1 경부고속도로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동 416.6km
10 남해고속도로 전라남도 영암군 학산면 은곡리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성산리 106.8km
전라남도 순천시 서면 동산리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 166.3km
12 무안광주고속도로 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 피서리 광주광역시 광산구 운수동 41.3km
광주대구고속도로 광주광역시 북구 문흥동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본리리 176.0km
14 함양울산고속도로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 마산리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읍 삼정리 144.6km
15 서해안고속도로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 맥포리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동 336.6km
16 울산고속도로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동부리 울산광역시 남구 무거동 14.3km
17 익산평택고속도로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구덕리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 삼정리 132.0km
평택파주고속도로 경기도 평택시 오성면 안화리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내포리 109.7km
20 새만금포항고속도로 전라북도 김제시 진봉면 심포리 전라북도 완주군 상관면 의암리 55.1km
전라북도 완주군 상관면 의암리 전라북도 장수군 장계면 월강리 36.5km
대구광역시 동구 도동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대련리 69.4km
25 호남고속도로 전라남도 순천시 서면 동산리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고내리 194.2km
논산천안고속도로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고내리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응원리 82.0km
27 순천완주고속도로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복성리 전라북도 완주군 용진읍 용흥리 117.8km
29 세종포천고속도로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하봉리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장죽리 55.86km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장죽리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 71.1km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가채리 50.6km
30 당진영덕고속도로 충청남도 당진시 사기소동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남산리 55.9km
32 아산청주고속도로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냉정리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장대리 55.9km
35 통영대전고속도로 경상남도 통영시 용남면 동달리 대전광역시 동구 비룡동 215.3km
중부고속도로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석실리 경기도 하남시 춘궁동 117.2km
37 제2중부고속도로 경기도 이천시 마장면 표교리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월림리 127.4km
45 중부내륙고속도로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중리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어산라 301.7km
50 영동고속도로 인천광역시 남동구 만수동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송암리 234.4km
52 광주원주고속도로 경기도 광주시 추월읍 늑현리 강원도 원주시 가현동 57.0km
55 중앙고속도로 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동 강원도 춘천시 석사동 388.1km
60 서울양양고속도로 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동 강원도 양양군 서면 범부리 150.2km
65 동해고속도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 상직리 131.8km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상맹방리 강원도 속초시 노학동 122.6km
100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128.0km
102 남해고속도로 제1지선 경상남도 함안군 산인면 모곡리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동읍 용강리 17.9km
104 남해고속도로 제2지선 경상남도 김해시 부곡동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 20.6km
105 남해고속도로 제3지선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남문동 경상남도 김해시 진례면 산본리 15.3km
110 제2경인 고속도로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 70.0km
120 경인고속도로 인천광역시 서구 가정동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동 13.4km
130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강매동 36.5km
151 서천공주고속도로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옥포리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방문리 61.4km
153 평택시흥고속도로 경기도 평택시 청북읍 고잔리 경기도 시흥시 거모동 40.3km
171 오산화성고속도로 경기도 오산시 서랑동 경기도 화성시 안녕동 2.5km
용인서울고속도로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서울특별시 서초구 내곡동 22.9km
173 익산평택고속도로 경기도 평택시 현덕면 권관리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희곡리 5.7km
202 새만금포항고속도로지선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계면 현내리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용한리 24.0km
204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구덕리 전라북도 완주군 상관면 의암리 24.5km
251 호남고속도로지선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고내리 대전광역시 대덕구 신대동 54.0km
253 고창담양고속도로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예지리 전라남도 담양군 대덕면 운암리 42.5km
255 강진광주고속도로 전라남도 강진군 작천면 현산리 광주광역시 서구 벽진동 51.1km
292 세종포천고속도로 오송지선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보덕리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공북리 6.21km
300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 대전광역시 유성구 원내동 대전광역시 동구 비룡동 20.9km
301 상주영천고속도로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임포리 93.9km
400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경기도 화성시 마도면 쌍송리 경기도 여주시 산북면 용담리 82.27km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 2.4km
인천광역시 중구 신흥동3가 경기도 김포시 통진읍 도사리 28.5km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흥신리 경기도 파주시 파주읍 부곡리 25.4km
경기도 파주시 파주읍 부곡리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24.8km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무봉리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아신리 46.5km
451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면 지리 대구광역시 북구 금호동 30.0km
500 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치동 전라남도 장성군 남면 분향리 10.3km
551 중앙고속도로지선 경상남도 김해시 안동 경상남도 양산시 남부동 18.1km
600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우동리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화전리 48.8
700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천동 대구광역시 동구 상매동 32.4km


민자고속도로[편집]

민간고속도로는 민간이 자본을 투자하여 고속도로를 건설하고 유지/관리/운영하는 고속도로로,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에 관련 규정을 두고 있다. 정부로부터 토지보상비는 물론 건설비의 일부를 지원받으며 운영 주체가 민간사업자이므로 한국도로공사가 운영하는 노선과는 다른 통행요금 체제로 운영돤다. 또한 일정 기간이 지난 후 국가에 운영권이 귀속되는 것이 원칙이다.[6]

민자고속도로 비교[3]
운영기관 노선 운영 구간 운영기관
노선번호 노선명 시점 종점
경기고속도로 17 평택 파주 오성 나들목 봉담 나들목 2003년 12월 30일
171 오산 화성 서오산 분기점 안녕 나들목
400 수도권 제2순환 화성 분기점 동탄 분기점
경기 동서 순환 고속도로 경기도 화성시 마도면 쌍송리 화성 분기점 2016년 5월 16일
경수고속도로 171 용인 서울 흥덕 나들목 헌릉 나들목 2003년 12월 23일
부산 신항 제2배후도로 105 남해 제3지선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남문동 진례 분기점 2008년 3월 3일
부산울산고속도로 65 동해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 울산 분기점 2006년 5월 4일
상주영천고속도로 301 상주 영천 낙동 분기점 영천 분기점 2006년 12월 18일
서부내륙고속도로 17 익산 평택 익산 분기점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 삼정리 2015년 12월
173 익산 평택 지선 경기도 평택시 현덕면 권관리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희곡리
서서울고속도로 17 평택 파주 남광명 분기점 88 분기점 2008년 8월 29일
서울고속도로 100 수도권 제1순환 퇴계원 나들목 일산 나들목 2000년 5월 16일
서울문산고속도로 17 평택 파주 북로 분기점 내포 나들목 2007년 12월 21일
남고양 나들목 봉대산 분기점
서울 북부 고속도로 29 서울 포천 남구리 나들목 신북 나들목 2007년 10월 30일
소흘 분기점 양주 나들목
서울춘천고속도로 60 서울 양양 강일 나들목 춘천 분기점 2002년 11월 8일
수도권 서부 고속도로 17 평택 파주 봉담 나들목 남광명 분기점 2006년 12월 18일
남광명 분기점 성채 나들목/소하 나들목/소하 분기점
수도권 외곽 순환 고속도로 400 수도권 제2순환 소흘 분기점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창현리 2016년 12월 20일
신공항하이웨이 130 인천국제공항 용유/무의 나들목 북로 분기점 1995년 12월 6일
신대구부산고속도로 55 중앙 대동 분기점 동대구 분기점 1999년 12월 8일
옥산오창고속도로 32 아산청주 옥산 분기점 오창 분기점 2009년 6월 22일
인천김포고속도로 400 수도권 제2 순환 남항 교차로 서김포통진 나들목 2006년 12월 18일
인천대교 110 제2경인 공항신도시 분기점 학익 분기점 1999년 12월 23일
연수 분기점 송도 나들목
제2경인 연결 고속도로 110 제2경인 삼막 나들목 여수대로 나들목 2007년 7월 26일
제2서해안고속도로 153 평택 시흥 서평택 분기점 군자 분기점 2006년 12월 6일
제2영동고속도로 52 광주 원주 경기 광주 분기점 원주 분기점 2007년 5월 2일
제2외곽순환고속도로 400 수도권 제2순환 동탄 분기점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진우리 2012년 12월 26일
천안논산고속도로 25 논산 천안 논산 분기점 천안 분기점 1997년 7월 22일

각주[편집]

  1. 1.0 1.1 1.2 고속도로〉, 《네이버 지식백과》
  2. 2.0 2.1 2.2 고속도로〉, 《네이버 지식백과》
  3. 3.0 3.1 3.2 3.3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위키백과》
  4. 4.0 4.1 한국도로공사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ex.co.kr/
  5. 도로교통공단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koroad.or.kr/kp_web/index.do
  6. 민자고속도로〉,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고속도로 문서는 도로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