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소화전

위키원
sms1208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4월 29일 (금) 16:23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지상식 소화전
지하식 소화전

소화전(消火栓, 영어: fire hydrant, fire pump 또는 fireplug)은 소방 활동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시설이다. 소방차량에 연결하거나 직접 수관에 연결하여 화재를 진압하는데 사용한다. 상수도관과는 제수변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개요

소화전은 화재가 일어났을 때 긴급하게 소방용수를 사용 할 수 있도록 마련된 일종의 소방용 수도꼭지를 말한다. 소화 호스를 장치하기 위하여 상수도의 급수관에 설치하는 시설로, 옥내 소화전과 옥외 소화전으로 크게 구분된다.

인공수리(人工水利) 중에서 도시 방화수리(防火水利)로서 특히 중요한 시설이다. 소화전에 대한 설치기준이나 규격 등에 대해서는 소방법에 규정되어 있다. 소화전은 크게 옥내소화전과 옥외소화전으로 구별되며, 옥외소화전은 다시 지상식과 지하식으로 구별된다.

옥내소화전

옥내 소화전의 경우 소화수를 공급하는 밸브와 화재 현장까지 소화수를 공급하기 위한 연결 호스 등의 도구가 들어있는 도구함의 형태인데… 평상시에는 왠지 택배기사가 넣어두고 간 택배 물품을 가져가기 위한 용도로 열어보는 경우가 많다. 사실 소화전 내부에 물건을 넣으면 안된다! 물건(특히 무겁거나 날카로운 물건)을 넣고 빼는 과정에서 소방 호스가 엉키거나 훼손될 수 있기 때문.

아파트나 학교 등 건물 안에 층마다 있다. 소화전은 보통 2개의 문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위는 발신기이며 아래의 것이 소화전의 본체라 할 수 있는 부분이다. 아래의 큰 문을 열어보면 길다란 호스가 수납되어있고, 노즐 혹은 팁이라 부르는 관창, 그리고 방수구가 있다. 화재 시에 이 호스와 노즐을 방수구에 연결 후 사용하여 화재진압을 하는 용도로 사용하게 된다. 다만 이걸로 텔레비전에서나 나올 법한 대형 화재에는 대응이 힘드므로, 초기 진압이 가능할 정도의 불을 끄는 데에 사용된다.

그리고 근처에 소화기가 있다면 웬만하면 그걸 쓰는 것이 우선된다. 평소에 소화전에 대한 훈련이 되어 있지 않으면 쓰려고 허둥대다가 진화의 골든타임을 놓칠 수 있다. 또한 소화전은 물을 뿜는 장치라 A,B,C,D형 화재 중 A형 화재에만 쓸 수 있다.

A형 화재: 일반 가연성 물체의 발화

B형: 유류 화재

C형: 전기적 요인으로 인한 화재

D형: 금속 반응으로 인한 화재


일반적으로 D형은 일상에서 보기 힘들다. 휴대용 전자 기기의 리튬 이온 배터리가 발화하는 정도의 소량이면 그냥 소화기 뿌려도 대충 정리된다. 리튬 화재 그 자체는 일반적인 분말소화기로 진화가 어려우나, 개인용 배터리에 든 리튬은 상당히 소량이라, 소화기 가져오는 시간 정도면 이미 반응이 끝나서 탈 물질인 연료가 다 떨어져서 자연적으로 소화된다.

갤럭시 노트 7 폭발 사고 당시, 어떤 사람은 집 째로 홀라당 태워먹은 경우도 있는데, 반응이 진행되는 짧은 기간 동안에 사방으로 불꽃을 튀기면서 폭발, 불똥이 커튼이나 가구, 혹은 벽지 장판 등 내장재에 불을 옮기기 때문이다.

식용유에 불붙은 상황인 K형 화재나 멀티탭에서 난 불 C형 화재를 소화전의 물로 끄려 하면 더 큰 화재나 재난으로 번질 수 있다.

무엇보다 소화전은 전개하고 밸브 열고 물이 나오기까지 시간이 걸리는 데다, 훈련받지 않았거나 체력이 부족한 사람의 경우 사용이 어려운 편이다. 일단 소화기로 진화해보고 안되면 소방서에 연락한 뒤 소화전으로 추가 진화를 시도하자. 소화전으로도 눈에 띄는 성과가 안 보이면 그냥 탈출. 일반인한테 소화전 안 잠갔다고 뭐라고 안 하니까 그냥 일단 튀고 끄다가 죽으면 가장 잘못된 행동이다. 상황 전파 후 뒷일은 전문가인 방화관리자나 소방서에게 맡기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옥내소화전.jpg

윗부분은 발신기, 즉 화재경보 시스템이다. 가로로 눕혀져 있을 뿐, 보통의 발신기(세로로 길쭉하게 생겨 벽에 붙은 물건)와 같은 물건이다. 보통 가장 왼쪽에 플라스틱 유리로 덮여진 버튼이 있는데, 이를 누르면 화재 경종이 울리게 되어 경보를 하고, 화재 수신기가 있는 경비실이나 관리실에서 어디에 화재가 발생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자동화재속보설비가 설치되어 있는 시설의 경우 자동으로 인근 소방서로 연락이 간다. 소화전 윗뚜껑을 열어보면 전선이 좀 많이 있는데 이게 경비실 상황판에 정보를 알려주는 통신선들이다. 화재시 전기도 끊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소화전은 비상전원이 따로 연결돼 있다. 정전상태에서도 소화전의 경보기는 작동을 한다.

발신기의 경보음은 특성상 매우 크고 시끄럽기 때문에 한번 울리면 소화전이 있는 건물 전체에 들릴 정도이다. 이 때문에 공공장소에서 작동 오류나 혹은 누군가의 장난으로 발신기가 작동하면 큰 민폐. 특히 학교의 경우 1년에 한두번은 꼭 장난으로 발신기를 켜는 경우가 있다. 오래된 학교들은 지멋대로 자주 울리는데 적응된 학생과 선생님들은 저거 또 지랄이냐....이런 분위기.

발신기의 버튼 위에는 '전화'라 쓰인 스윙식 덮개가 있는데, 이는 스피커나 마이크가 달려있는 곳이 아니라, 소방시설 점검 때 사용하기 위해 있는 부분이다. 큼지막한 송수화기를 그 안의 소켓에 연결하면 경비실 등에 있는 발신기와 통화가 가능하다. 하지만 요새는 휴대전화가 일반화되어 쓰는 사람은 거의 없을 듯.

옥내 소화전의 호스는 접혀져 있기 때문에 물이 잘 흐를 수 있도록 완전히 전개해서 사용해야 한다. 처음에 접을 때 꼬이지 않도록 신경써서 접긴 하지만 소화전함에 접힌 채로 놔두고 밸브만 열어봤자 중간에서 호스가 꺾여 물이 안나온다. 이런 이유로 요즘에는 소화전 안에 호스 걸이를 설치해두는 경우도 있다. 빨래건조대 혹은 컵걸이 비슷한 구조로, 호스를 걸이의 가지에 걸어두는 구조. 공기와 접촉하는 면적이 늘어나 건조시간이 줄어드는 것과, 전개시 간단히 빼낼 수 있다는 것이 장점. 전개할 때 양쪽에서 안거나 잡은 다음, 당겨서 바닥에 던진 후 노즐을 잡고 달려가면 된다.

소화전을 사용할 때는 일반적으로 두 명 이상이 필요한데 한 명은 호스를 화재 현장까지 끌고가고 다른 한 명이 밸브를 열어야 하기 때문. 한 명이 두 동작을 모두 하긴 어렵다. 특히 불이 난 상황에서 혼자 소화전을 작동시켰다면 공무원 시험/소방공무원 문서 참조.

소화전 밸브는 당연하지만 끝까지 돌려야 한다. 수압 조절은 노즐로도 가능하다.

= 사용법

2인 1조가 기본이다. 왔다갔다 혼자서 다 해결해야하니 2인이 아니면 운용하기도 힘들다.

소화전 간단 사용법
1. 호스를 빼고 노즐을 잡으세요.

Open the fire wall cabinet and take out the hose and grab.

2. 밸브를 왼쪽으로 돌려 물을 틀어주세요.

Open the valve by turning left hand side.

3. 노즐을 왼쪽으로 돌려 물을 쏘세요.

Please return the nozzle to the left pour water.

우선 소화전 위의 발신기 버튼을 누르자. 이미 눌러져 경종이 울리고 있는 상태라면 상관 없다.

아랫쪽 호스함을 열고, 호스가 방수구에 제대로 결속되어있고, 호스 끝에는 노즐이 제대로 달렸는지 확인하자. 렌치가 있다면 한번 더 조여주는 것도 좋다. 여기서 중요한 점 하나. 소화전을 열고 노즐 상태를 확인하자. 좌우로 돌려봤을 때 노즐이 만약 잠긴 채 움직이지 않는다면, 그냥 놓고 튀던가 다른 방법을 찾아라. 소화전에 비치하는 노즐은 황동제인 경우가 있는데, 이게 너무 오래 방치되면 간혹 녹이 슬어서 굳어버린다. 열린 상태에서 굳었다면 그나마 희망이 있긴 하지만 방수 정지나 주수 조절을 마음대로 못하니 이것도 문제. 노즐이 시망 상태인 것도 모르고 호스 전개하고 물 틀고 해봤자 헛수고니, 이럴 때는 그냥 튀는 게 이득이다.

한 명(이하 주수자)은 노즐을 들고 화점을 향하고, 나머지 한 명(이하 보조자)은 호스가 꼬이거나 매듭, 꺾임이 생기지 않도록 잘 펴준다. 만약 화점이 가까워 호스가 남는다면, 보조자는 호스가 U자형이 되도록 호스 중간부를 잡고 주수자의 반대방향으로 움직여 펴준다.

설치 대상

옥내소화전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위험물 저장 및 처리시설 중 가스시설, 지하구 및 방재실 등에서 스프링클러설비 또는 물분무등소화설비를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는 업무시설 중 무인 변전소는 제외한다)은 다음의 어느 하나와 같다.

① 연면적 3천 제곱미터 이상(지하가 중 터널은 제외한다)이거나 지하층/무창층(축사는 제외한다)또는 층수가 4층 이상인 것 중 바닥면적이 600 제곱미터이상인 층이 있는 것은 모든 층

② 지하가 중 터널로서 길이가 1천 미터 이상인 터널

③ '①'에 해당하지 않는 근린생활시설, 판매시설, 운수시설, 의료시설, 노유자시설, 업무시설, 숙박시설, 위락시설, 공장, 창고시설, 항공기 및 자동차 관련 시설, 교정 및 군사시설 중 국방/군사시설, 방송통신시설, 발전시설, 장례식장 또는 복합건축물로서 연면적 1천5백 제곱미터 이상이거나 지하층/무창층 또는 층수가 4층 이상인 층 중 바닥면적이 300제곱미터 이상인 층이 있는 것은 모든층

④ 건축물의 옥상에 설치된 차고 또는 주차장으로서 차고 또는 주차의 용도로 사용되는 부분의 면적이 200제곱미터 이상인 것

⑤ '①' 및 '③'에 해당하지 않는 공장 또는 창고시설로서 [소방기본법 시행령] 별표 2에서 정하는 수량의 750배 이상의 특수가연물을 저장/취급하는 것

이후 호스가 제대로 펴졌다면 보조자는 호스함 내의 밸브를 연다. 이때, 주수자가 대비하지 못한 상태에서 수압이 갑자기 걸리면 40mm 호스라고 해도 노즐을 놓치거나 심하면 부상을 입을 가능성이 있으니, 주수자에게 확실히 방수 사실을 전달한다. 밸브를 한번에 갑자기 열기보단, 조금씩 적당히 열어준다. 이후 바로 주수자에게 향해 호스를 잡고 등을 받쳐준다. 보통 옥내 소화전은 40mm 방수구가 달려있기 때문에 보통 체력의 남성이라면 혼자서도 가능하긴 하지만 한 명이 받쳐주면 훨씬 수월하다.

주수자는 밸브를 열기 전 노즐이 잠겼는지 확인하고, 밸브가 열리면 수압에 대비한다. 이후 밸브를 열면 바로 물이 나오지 않고 호스 내의 공기가 빠지느라 잠시 수압이 일정치 않으니 주의하여야 한다. 보조자가 오길 기다리는 것도 좋다. 공기가 다 빠지면 제대로 방수가 시작된다.

정말 불가피하게 1인이 사용해야 한다면, 먼저 호스를 꺼낸 다음, 수압이 최저가 되게(혹은 잠글 수 있으면 잠그고) 노즐을 조절하고, 노즐을 꽉 잡은 상태에서 밸브를 끝까지 열거나 기동 버튼을 눌러 물을 튼 다음 소량의 물이 뿜어져 나오는 그 상태 그대로 들고 힘으로 밀어붙이며 화재 현장으로 진입한 다음 노즐을 조절해 본인이 견딜 수 있는 한도 내의 최대 수압으로 방수한다.

옥외소화전

옥외소화전은 도로변에 우뚝 서있는 십자가 형태의 그것이다. 보통의 경우 65mm 방수구 두개가 달려있으며, 간혹 더 큰 방수구 하나가 추가되어 세개의 방수구가 달린 경우도 있다. 소방차 탱크만으로 감당이 되지 않는 엄청난 규모의 화재가 발생할 시에 소방호스를 이용하여 소방차에 물을 계속 공급해 주는 역할을 한다. 유래는 런던 대화재 때 물을 구하기 힘들어지자 사람들이 도로 밑의 수도관을 파내서 사용한 것에서 부터다. 물 저장고 같은 게 아니라 상수도 그 자체와 연결되어 있기에, 여기서 물을 많이 쓴다고 딱히 물이 떨어질 일은 없다.

평소에도 화재출동 후 물보충 용도로 쓰이며 보통 소방서 인근에 소화전을 사용한다.

소화전의 가장 위쪽에 있는 것이 밸브이고, 양쪽에 달린 것이 캡이다. 캡과 밸브는 정사각형의 돌출부가 있는데, 여기에 소화전 렌치를 끼워서 돌리도록 되어있다. 캡은 악력이 좋다면 손으로도 어찌저찌 열 수 있지만 밸브는 절대 무리다. 소화전 렌치로도 상당한 힘을 요한다. 캡은 단순히 이물질 유입 방지 등을 위한 것이 아니라 꼭 필요한 물건이다. 양쪽의 방수구가 서로 통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호스를 연결하고 방수하려면 한쪽은 캡이 단단히 닫혀있어야한다. 이 캡이 없으면 수압이 전부 새버려서 제대로 물을 쏠 수가 없다. 그런데 이 캡을 팔아먹어서 돈을 챙기기 위해 도둑질 하는 자들이 있다니 참.

도시에는 없어서는 안될 필수시설 중 하나로, 대형 화재 진화시에 소방서의 펌프차와 탱크차가 이 소화전에 호스를 연결한다. 소방차가 쓰는 물의 양이 어마어마하기 때문에(보통 펌프차가 약 3천 리터, 탱크차가 6천-1만리터를 탑재하는데, 소방펌프(A-1급)를 이용하여 규격방수압력 8.5Kg/㎤으로 방수 시 방수량은 2,800L/min 이상으로 수천리터가 1~3분이면 사라진다) 굵은 65mm 수관을 사용하고 수압이 강하며, 이때문에 액션 영화의 차량 추격씬을 보다 보면 이걸 박고서 도로 한 가운데에서 거대한 분수처럼 물이 솟구치는 광경들을 쉽게 볼 수 있다.

옥외소화전에는 지상식과 지하식이 있다. 지상식 소화전은 보통 차도와 보도의 경계에 설치되는데, 이것은 야간 또는 눈 내릴 때에도 쉽게 발견할 수 있고, 작업도 빨리 할 수 있는데다가 청소나 표지 등에 비용이 들지 않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겨울철에 동결될 염려가 있다.

한편 지하식 소화전은 보도가 없는 도로에 설치되며, 그 속에 호스를 장치하는 데 필요한 접속구(接續口) 등을 가설한 것인데, 겨울철의 동결이나 노면상의 장애는 없으나 야간이나 적설시(積雪時)에는 발견하기 곤란하다. 옥외소화전의 주요 구성요소는 옥내소화전과 거의 같으나 방수압력이 노즐 끝에서 0.25 Mpa 이상이고 방수량이 350 ℓ/min 이상이 되도록 한다.

사용법

옥외소화전은 일반인들로서는 사용하기 어렵다. 수압의 문제보다 방수에 필요한 공구, 즉 호스, 소화전 렌치, 제수변 개방을 위한 제수변 핸들이 없으면 아예 물이 나오질 않기 때문. 주변에 일반인도 사용할 수 있도록 소화전 용구함을 설치해두고 그 안에 이런 물건들을 비치해두는 곳도 있긴 하지만 수는 적은 편.

우선 소화전 렌치에 캡의 홈을 끼운 뒤 렌치로 풀어, 한쪽의 캡을 열고 호스를 연결한다. 이때 호스는 수압이 새지 않도록 상당한 힘을 주어 조여야 한다. 이후 호스 연장이 필요하다면 좀 더 연결하고, 노즐이 연결되어있지 않다면 호스 끝에 노즐을 연결하거나, 소방차의 보수구에 연결한다. 노즐 역시 물이 새지 않도록 렌치 두개를 이용해 잘 조인다.

이후는 소화전 상단의 밸브를 렌치로 열어준다(시계 반대방향). 그 후는 옥내 소화전과 동일. 다만 이 쪽은 65mm 방수구이기 때문에, 수압이 상당히 높아 보조자 한명은 필수적이며, 호스를 놓쳤을 시에 더 위험한 것은 주지할 것.

설치 대상

옥외소화전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살물(아파트 등 위험물저장 및 처리시설 중 가스시설, 지하구 또는 지하가 중 터널은 제외한다)은 다음의 어느 하나와 같다. ① 지상 1층 및 2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9천제곱미터 이상인 것. 이 경우 같은 구내에 둘 이상의 특정소방대상물이 안전행정부령으로 정하는 연소의 우려가 있는 구조인 경우에는 이를 하나의 특정소방대상물로 본다.

② [문화재보호법] 제23조에 따라 국보 또는 보물로 지정된 목조건축물

③ '①'에 해당하지 않는 공장 또는 창고시설로서 [소방기본법 시행령] 별표2에서 정하는 수량의 750배 이상의 특수가연물을 저장/취급하는 것.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소화전 문서는 도로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