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평원군

위키원
Liqinglin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4월 7일 (일) 14:17 판 (새 문서: {{동아시아 위치 지도}} 썸네일|300픽셀|'''북한''' 위치 썸네일|300픽셀|평안남도 위치 파일...)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북한 위치
평안남도 위치
평원군 위치

평원군(平原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서쪽에 위치해 있는 군이다.[1][2]

개요[편집]

평원군의 면적은 451.53㎢이며 인구는 179,492명(2008)이다. 서쪽으로 황해에 접해 있으며 남서쪽은 증산군, 남쪽은 대동군, 동쪽은 평양시·평성시, 북쪽은 숙천군과 접해 있다. 서남~동북(한천노동자구~신성리) 간의 길이는 42km이고, 북서~남동(삼봉리~상송리) 간의 너비는 14km이며, 평안남도 전체면적의 3.8%를 차지한다. 현재 행정구역은 1읍 2구 29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군 소재지는 평원읍이다.

고구려 때 오늘의 평안남도 평원군과 숙천군 일대를 넓은 벌지대라 하여 평원이라고 불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 시에 당시의 영유군 · 순안군 · 숙천군 · 증산군 · 평양부의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이 지역에 군을 신설하면서 고구려시기의 옛이름을 그대로 따서 평원군(平原郡)이라고 하였다.[3]

자연환경[편집]

평원군은 평야 지대로서 평원군 면적의 약 95%가 해발 200m 미만의 지역으로 되어 있다. 지형은 동부지역이 비교적 높고 남서부지역으로 점차 낮아지는 지세를 이루고 있다. 중부에는 북동~남서 방향으로 오석산 줄기가 뻗어 있는데, 이 산줄기서해 바닷가의 화진벌과 보통강 상류유역을 가르는 분수령을 이룬다. 북동쪽경계에는 강룡산(降龍山, 445m), 동쪽경계에는 전좌봉(殿座峯, 316m), 남쪽경계에는 흑룡산(黑龍山, 203m) · 봉수산(烽燧山, 203m) · 만덕산(萬德山, 248m)이 솟아 있으며 이밖의 곳곳에 대원산(大圓山, 204m), 불곡산(佛谷山)과 같은 야산들과 해발 100m 좌우의 구릉들이 분포되어 있다.

기반암은 퇴적변성암과 화강암, 편마암, 규암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여기에는 인회석, 규석, 이탄, 철, 사금, 납, 아연 등 지하자원이 분포되어 있다. 산림 면적은 평원군 전체면적의 약 27%를 차지하는데 소나무, 삼엽송, 잎갈나무가 주요 수종을 이루고 있으며 이밖에 참나무, 아까시나무, 밤나무, 오리나무, 단풍나무, 싸리나무, 국수나무, 개암나무 등도 분포되어 있다. 산림 속에는 삼지구엽초, 족도리풀, 삽주, 고사리, 고비, 두릅 등 경제식물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 토양은 구릉 지대에는 갈색산림토양이, 해안 지대와 하천 연안에는 충적토 및 논토양이, 바닷가 기슭에는 간석지토양이 분포되어 있다. 서해 기슭에는 넓은 간석지가 전개되어 있다.

평원군은 바다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해양성기후의 특징을 강하게 보이고 있다. 연평균기온은 9.4℃인데, 기온이 가장 높은 8월 평균기온은 24.3℃이고 가장 낮은 1월 평균기온은 -7.7℃이다. 연평균강수량은 약 995mm인데, 그 중 63%가 여름철에 집중된다. 첫눈은 11월 18일경에 내리며 마감눈은 다음해 3월 26일경까지 온다. 연평균풍속은 2.8m/s이며 남동풍이 우세하다. 해안지대에서는 봄과 여름에 바다에서 육지쪽으로 바람이 많이 분다. 평원군의 기본 수계는 서해로 흘러드는 중교천(中橋川), 문흥천(文興川), 화진천(和津川)과 보통강의 상류이다. 이 하천들은 모두 평지하천으로서 물매가 느리다.

저수지는 평원저수지(平原貯水池), 만풍동저수지(萬豊洞貯水池), 견룡저수지(見龍貯水池), 자일저수지(紫日貯水池), 심정저수지, 양교저수지(兩橋貯水池), 동암저수지(東巖貯水池), 상송저수지(上松貯水池), 송림저수지(松林貯水池), 장흥저수지(長興貯水池) 등이 건설되어 있다. 석교리에는 만성위염과 만성간염치료에 이용되는 약수터가 있다.[4]

역사[편집]

평원군 지역은 먼 옛날부터 사람이 거주하고 있었다. 삼국시대에 고구려의 영역으로 되어 청계(淸溪)라고 불렀다. 고려왕조가 건립된 이후 평원군 지역에 방어사(防禦使)를 설치하고 995년에는 패서도(浿西道)에 편입시켰다. 1018년(현종 9년)에 서경(西京)의 직속현으로 되어 영청(永淸)이라고 불렀다. 그 후 영청현은 한동안 용강현(龍江縣)에 들어갔다가 다시 복귀되었으며, 1256년(고종 43년)에 안인진(安仁鎭)에 들어갔다.

그러다가 고려 말기 1358년(공민왕 7년)에 다시 영청현으로 복귀되었다. 조선왕조가 건립된 이후 1396년(태조 5년)에 영녕현(永寧縣)으로 개편하였다. 1423년(세조 5년)에 영유현(永柔縣)으로 개칭되었다. 조선 말에 현을 군으로 개편하면서 영유군(永柔郡)으로 되었다.

1895년에 영유군은 동부면(東部面), 중부면(中部面), 서부면(西部面), 백로면(白鷺面), 덕지면(德池面), 상계면(上界面), 수남면(水南面), 청지면(靑池面), 화산면(禾山面), 용흥면(龍興面), 통호면(通湖面), 연하면(蓮下面), 갈하면(葛下面), 해률면(海栗面), 소호면(沼湖面) 등 15개 면을 관하에 두고 있었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 시에 영유군 · 순안군(順安郡) · 숙천군(肅川郡)과 증산군(甑山郡) · 평양부(平壤府)의 각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평원군을 신설하였는데, 이때 순안군의 군내면 · 정방면 · 송현면을 병합하여 순안면(順安面)으로, 순안군의 공전면 · 평천면을 병합하여 공평면(公平面)으로, 순안군의 연화면 · 동화면을 병합하여 양화면(兩花面)으로, 영유군의 동부면 · 중부면 · 서부면을 병합하여 영유면(永柔面)으로, 순안군 자덕면을 평원군 자덕면(自德面)으로, 순안군 동두면을 평원군 동두면(東頭面)으로, 순안군 용흥면을 평원군 용흥면(龍興面)으로, 영유군의 백로면 · 덕지면 · 상계면을 병합하여 노지면(鷺池面)으로, 영유군의 수남면 · 청지면 · 화산면을 병합하여 청산면(靑山面)으로, 영유군의 용흥면 · 통호면 · 연하면 · 갈하면을 병합하여 용호면(龍湖面)으로, 영유군의 해률면 · 소호면을 병합하여 해소면(海蘇面)으로, 숙천군의 당리면 · 평리면 · 고리면 · 보민면을 병합하여 서해면(西海面)으로, 숙천군의 삼리면 · 성산면 · 취리면을 병합하여 조운면(朝雲面)으로, 숙천군의 동부면 · 서부면 · 우상면 · 우하면을 병합하여 숙천면(肅川面)으로, 숙천군의 법리면 · 애산면 · 상검면 · 하검면을 병합하여 검산면(檢山面)으로, 숙천군의 송리면 · 동산면을 병합하여 동송면(東松面)으로, 증산군의 초곡면 · 진방면을 병합하여 한천면(漢川面)으로, 평양부의 덕산면을 평원군 덕산면(德山面)으로 각각 개편하여 18개 면을 관할하였다.

같은 해 10월에 용흥면이 석암면(石巖面)으로 개칭되었고, 1929년에 동두면과 석암면을 병합하여 동암면(東巖面)을, 공평면과 자덕면을 병합하여 공덕면(公德面)을 각각 신설하였으며, 영유면이 평원면(平原面)으로 개칭되었다. 1947년에 순안면, 양화면, 동암면을 대동군(大同郡)에 이관하였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숙천면 · 해소면 · 조운면 · 서해면 · 검산면 · 동송면의 전체 리와 용호면의 7개 리를 숙천군에, 덕산면의 7개 리를 대동군에 각각 편입하고 나머지 노지면 · 평원면 · 청산면 · 공덕면 · 한천면의 전체 리와 용호면의 8개 리 · 덕산면의 7개 리를 병합하여 평원군을 새로 구성하였는데, 이때 평원면의 대부리 · 이화리 · 괴천리 · 영덕리를 병합하여 평원읍(平原邑)으로, 평원면의 어파리와 공덕면의 장재리 · 흥운리 · 산송리를 병합하여 장흥리(長興里)로, 공덕면의 용암리 · 용흥리 · 병상리 · 퇴남리를 병합하여 용상리(龍上里)로, 공덕면의 퇴현리 · 상이리 · 퇴상리 · 법흥리를 병합하여 신성리(新成里)로, 공덕면의 간리 · 성교리 · 상량수리 · 하량수리를 병합하여 양교리(兩橋里)로, 공덕면의 향암리 · 적암리 · 괴전리 · 원리를 병합하여 원암리(院巖里)로, 평원면의 장림리와 공덕면의 송매리를 병합하여 송림리(松林里)로, 평원면의 월정리 · 자일리 · 월평리를 병합하여 월일리(月逸里)로, 평원면의 부용리(芙蓉里) · 송석리를 병합하여 송석리(松石里)로, 평원면의 원류리 · 화림리 · 어은리를 병합하여 삼봉리(三峯里)로, 노지면의 용암리 · 대송리 · 정림리를 병합하여 대암리(大巖里)로, 노지면의 용정리와 용당리를 병합하여 대정리(大井里)로, 노지면의 문명리 · 대주리 · 추흥리를 병합하여 문흥리(文興里)로, 덕산면의 탑리 · 제리 · 삼정리를 병합하여 덕제리(德濟里)로, 덕산면의 원오리 · 대포리 · 호려리를 병합하여 덕포리(德浦里)로, 청산면의 운탑리와 구원리를 병합하여 운봉리(雲峯里)로, 노지면의 석소리 · 쌍암리와 용호면의 연교리를 병합하여 석교리(石橋里)로, 용호면의 매전리 · 중항리 · 어당리를 병합하여 매전리(梅田里)로, 용호면의 청운리와 청산면의 용암리 · 송현리를 병합하여 청룡리(靑龍里)로, 용호면의 운봉리 · 안연리 · 뇌송리를 병합하여 운룡리(雲龍里)로, 한천면의 감륙리 · 감칠리 · 감팔리를 병합하여 화진리(和津里)로, 한천면의 신성리 · 예지리 · 인의리와 청산면의 운송리를 병합하여 신송리(新松里)로, 청산면의 계산리 · 남흥리 · 개수리를 병합하여 남산리(南山里)로, 청산면의 금봉리 · 교산리 · 보방리를 병합하여 청보리(靑寶里)로, 한천면의 감삼리 · 감사리와 덕산면 동하리를 병합하여 심원리(深源里)로, 한천면의 감일리 · 감이리 · 감오리를 병합하여 송화리(松花里)로 각각 개편하여 1읍 25리를 관할하였다.

1954년에 월일리 일부가 평원읍에 편입되었으며, 1967년에 송석리의 일부가 삼봉리에 흡수되고 장흥리가 어파노동자구(漁波勞動者區)로 개편되었다. 1972년에 순안군의 산음리(山陰里), 석암리(石巖里), 용이리(龍二里), 상송리(上松里)가 이관되면서 산음리가 원화리(元和里)로 개칭되었다.

1990년에 새로 개간한 간석지와 운룡리 일부 · 매전리 일부 · 신성리 일부를 병합하여 대풍리(大豊里)를 신설하였으며, 1992년에 화진리 일부와 신송리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한천노동자구(漢川勞動者區)를 신설하였다. 1997년 5월 원암리 일부가 용이리에 흡수되었다.

2003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평원읍), 2구(어파노동자구, 한천노동자구), 29리(남산리, 대암리, 대정리, 대풍리, 덕제리, 덕포리, 양교리, 용상리, 용이리, 매전리, 문흥리, 삼봉리, 상송리, 석교리, 석암리, 송림리, 송석리, 송화리, 신성리, 신송리, 심원리, 운룡리, 운봉리, 원암리, 원화리, 월일리, 청룡리, 청보리, 화진리)로 구성되어 있다. 평원군 소재지는 평원읍이다.[5]

산업[편집]

평원군의 경제구조는 대체로 농업광업, 지방공업, 수산업으로 이루어졌다. 농업은 평원군의 경제발전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평원군에서는 벼생산을 기본으로 하는 농산업과 함께 과수업, 축산업, 잠업 등 여러 가지 농업부문이 다같이 발달되어 있다. 평원군에서는 곡물 생산량을 제고하기 위하여 지대특성에 맞게 많은 간석지를 개간하였고 또 토지개량사업을 크게 벌였다.

특히 평원저수지, 만풍동저수지, 견룡저수지를 비롯한 큰 저수지들을 신설 및 개건 확장하는 것과 함께 자일저수지, 심정저수지, 양교저수지, 동암저수지, 상송저수지, 송림저수지, 장흥저수지 등 중소규모의 저수지들을 건설하고 많은 물길을 냈으며 수리구조물들을 건설하여 곡물 생산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전체 농경지면적 가운데서 논이 70%를 차지하는데, 주요 곡물은 벼이며 그밖에 옥수수, 콩, 수수 등도 재배하고 있다. 이밖에 들깨, 참깨, 피마자 등 공예작물과 배추, 무, 양배추, 시금치, 가지, 오이 등 채소 그리고 고구마를 재배하고 있다.

과수업에서는 사과, 배, 복숭아, 포도 등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그 가운데서 사과가 64%를 점한다. 축산업에서는 주로 소, 돼지, 양, 염소, 토끼, 닭 등 가축을 사육하고 있다. 평원군의 공업은 광업과 지방공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광업은 평원군의 공업에서 첫 자리를 차지한다. 광업에서 큰 의의를 차지하는 것은 인회석생산이다. 이밖에 운모도 산출된다.

지방공업은 식료품공업, 직물공업 및 피복공업, 일용품공업, 종이공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방공업에서 첫 자리를 차지하는 것은 식료품공업이다. 이밖에 평원군에서는 여러 가지 천과 옷, 일용품과 화학제품, 건재품, 종이, 약품, 악기 등이 산출되고 있다. 평원군은 서해의 수산기지의 하나이다. 평원군에는 한천수산사업소와 한천수산협동조합, 신송수산협동조합, 평원수산협동조합, 용호수산협동조합 등 수산기업소들이 있으며 여기서 생산되는 주요 수산물은 멸치, 까나리, 준치, 전어, 곤쟁이, 조개류 등이다.[6]

교통[편집]

교통은 동부지역으로 평의선이 통과하고 있고 여기에 어파역(漁波驛)이 설치되어 있으며 서부지역으로는 남동선이 통과하고 있고 여기에 대풍역과 한천역이 설치되어 있다.

도로는 평양~향산 간 고속도로, 평양~신의주 간 1급 도로와 남포~신안주 간 도로가 통과하고 있으며 평원군 내 각 리, 노동자구들을 연결하는 도로망이 구축되어 있다. 평양시까지는 약 40km이며 평안남도 소재지인 평성시까지는 32km이다.[7]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평원군〉, 《위키백과》
  2. 평원군〉, 《나무위키》
  3.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남도 평원군 개요〉, 《네이버 지식백과》
  4.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남도 평원군 자연〉, 《네이버 지식백과》
  5.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남도 평원군 역사〉, 《네이버 지식백과》
  6.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남도 평원군 경제 〉, 《네이버 지식백과》
  7.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남도 평원군 교통〉,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평원군 문서는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