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장
함장(艦長, Commanding Officer)은 군함의 최고 책임자를 말한다. 민간 선박의 선장과 구분하고 있다.
[타고] 1개월 단위로 전기차가 필요할 때! 타고 월렌트 서비스 |
개요
함장은 군대나 해양경찰이 운용하는 군함과 경비함정의 지휘관이다. 해경의 경비함정 같은 경우에도 200톤 이상의 경비함은 함장이란 칭호를 사용하고 있다. 함장의 바로 밑 직위는 보통 일반적으로는 부함장이라고 하며, 대한민국 해군이나 일본 해상자위대의 공식 용어는 부장(Executive Officer, XO)이다. 서방과 한중일 해군과는 달리 조선인민군 해군은 200급 이하 혹은 200t급 이상의 함정의 지휘관의 직책명을 함장으로 부른다.[1] 함장의 계급은 대령이다. 구축함, 호위함, 잠수함 함장도 대령이고 항공모함의 함장도 대령이다. 배가 아무리 클지라도 함장의 계급은 대령이다. 사령관이 함께 함선에 탑승한다면 사령관은 함장보다 상위 계급자겠지만, 사령관이 탄 배의 우두머리는 어디까지나 함장이므로 배의 진로에 대해 함장에게 간섭하지 못한다. 함장은 배 위에서 막강한 권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해군 대령은 1등 항해사 자격증이 있기 때문에 제대 후 대부분 민간 선박의 선장으로 취직해 다시 배를 탄다.[2]
권위
군함이 영해를 벗어나 작전할 때는 독립된 영토로 대우받는다. 그래서 국기도 달고 치외법권지대가 된다. 작전 시 함장은 입법, 사법, 행정권을 모두 갖는다. 사법권의 경우 상부에 보고해 처리하는 게 관례지만 전시에는 사정이 달라진다. 함장은 배에 관한한 최종의 궁극적 권한을 갖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배를 버리고 떠나라는 이함(퇴함) 명령과 자침 명령(스스로 배를 가라앉혀 수장시키라는 명령)은 공식적으로 오직 함장만이 내릴 수 있다. 함장 유고 시에도 명목상으로는 부함장이 함장의 직위를 승계하지만, 퇴함과 자침 명령은 못 내리게 되어 있다. 평시와 전시 막론하고 홋줄을 풀고 바다에 나서는 순간 함장은 함내 선상반란 등의 죄목에 대해 즉결처분 권한을 갖는다. 함장의 권위는 대영제국으로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영국 여왕 엘리자베스 2세가 영국 로얄네이비 함정에 승선 후 배멀미를 심하게 하자 보좌관들이 좀 편한 함장석에 앉으라 권했다. 그러자 여왕은 대영제국의 영토인 해군 함정에서의 함장의 권위는 절대적이어야 한다며 거절했다. 그때부터 함장석은 신성불가침의 영역이되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이런 연유 등으로 인하여 공식적으로 함교의 함장석과 사관실의 함장석은 오직 함장만이 앉을 수 있다. 당연히 이 전통은 지금도 이어져 항모기동전단의 전단장 제독이 대령계급의 함장이 지휘하는 항모에 승함해서 해당 항모가 기함이 될지라도 배의 운용에 관해서는 대령급 함장의 명령이 우선이다. 공식적으로 함장실은 함장 전용이고, 전단장이든 함대사령관이든 하물며 해군대장도 함장실이 아닌 별도의 VIP실에서 머물러야 한다. 당연히 사관실에서 식사할 때도 대령 계급의 함장은 최상위 함장석에 앉고 스타 계급의 제독은 2석에 앉는 게 해군의 원칙이다.[3]
특이점
해군의 함정은 모두 해군 장교이면서 선박 운항과 관련한 사람들로만 구성되는 데 반해, 항공모함의 함장은 모두 파일럿 출신이다. 항공모함의 파일럿은 공군 소속이 아닌 해군 소속 비행사로 근무하지만 항공모함이 아닌 경우에는 함장이 될 수 없다. 비행기 조종사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항공모함은 배가 주력이 아니라 비행기가 주력인 배로써 항공모함의 주인은 기존의 함장 출신들이 아닌 파일럿 조종사 출신들로만 구성한다. 이는 항공기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전문가로서 배 위에 있는 항공기를 누구보다 빨리 정확하게 컨트롤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항공모함의 함장이 되기 위해서는 별도의 함선 운용 교육을 받아야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다른 함선의 함장이 되거나 지휘할 수는 없다. 항공모함을 제외하면 여전히 선박을 책임지는 선장이 아니라 해군 비행기 조종사이기 때문이다. 비행기 조종사가 유일하게 함장이 될 수 있는 길은 항공모함뿐이다. 항공모함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비행기인 만큼 항공모함의 함장에게도 마찬가지로 최우선은 비행기와 파일럿들이다. 함장이 파일럿 출신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비행기 조종사들은 함장을 전적으로 신뢰한다. 비행기를 알지 못하는 함장이 비행기를 지휘하는 것과는 다르기 때문이다. 비행기 조종사라고 해서 공군 출신이 항공모함 함장이 될 수는 없다. 해군 조종사로서 항공모함에서 근무한 경력이 있어야 한다. 자신이 비행기를 직접 몰고 항공모함에 이·착륙한 경험을 풍부하게 가지고 있어야 할 뿐더러 항공모함의 지휘를 받아 작전 임무를 수행해야 항공모함의 지휘 체계와 작동 체계를 알기 때문이다. 전문 함장 해군 출신들은 일반적인 전투함정 외 항공모함만큼은 운용할 수 없다. 항공모함만큼은 비행기 조종사와 함장이 모두 파일럿 출신들로 구성되어 해군 선박을 지휘하는 특이성을 갖고 있다.[4]
필요 능력
군함 중 잠수함은 함장이 혼자 잠망경으로 파악한다. 결국 함장의 결정에 따라 승조원의 생사가 갈린다. 이런 불확실한 상황에서는 함장이 승리와 생존, 안전 등 3가지를 고려해서 결정해야 한다. 하지만 이것으로는 상황을 판단할 정보가 부족하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의 잠수함 부대인 U-보트 부대장과 총사령관을 지낸 칼 되니츠 제독은 잠수함 함장은 직관적으로 판단하는 정신작용인 육감이 발달해야 한다고 말했다. 밖이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상대방을 어떻게 공격할 것인가를 결정하려면 함장은 독특한 감각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육감에는 함장의 지휘 철학과 오랜 경험이 반영되어 있다.[5]
각주
- ↑ 〈함장〉, 《나무위키》
- ↑ 이기동 기자, 〈地上 최고의 계급 대령:7·끝(공직 탐험)〉, 《서울신문》, 1998-10-24
- ↑ 아생, 〈배에서 함장, Captain 의 역사적 권위, 그 중요성〉, 《클리앙》, 2013-08-07
- ↑ 깨알석사, 〈항공모함 함장의 계급과 보직〉, 《티스토리》, 2014-12-15
- ↑ 이유종 기자, 〈"훌륭한 결정도 늦으면 무용지물... 잘못된 결정도 빨리하면 만회 기회 생기죠"〉, 《동아비즈니스리뷰》, 2013-07
참고자료
- 〈함장〉, 《나무위키》
- 이유종 기자, 〈"훌륭한 결정도 늦으면 무용지물... 잘못된 결정도 빨리하면 만회 기회 생기죠"〉, 《동아비즈니스리뷰》, 2013-07
- 아생, 〈배에서 함장, Captain 의 역사적 권위, 그 중요성〉, 《클리앙》, 2013-08-07
- 이기동 기자, 〈地上 최고의 계급 대령:7·끝(공직 탐험)〉, 《서울신문》, 1998-10-24
- 깨알석사, 〈항공모함 함장의 계급과 보직〉, 《티스토리》, 2014-12-15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