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천군

위키원
(이천 군에서 넘어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북한 위치
강원도 (북) 위치
이천군 위치

이천군(伊川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북) 서남부에 위치해 있는 군이다.[1][2]

개요[편집]

이천군의 면적은 603.22km²이며 인구는 57,563명(2008)이다. 전 지역이 휴전선 이북에 있는 미수복지역이다. 남쪽으로 철원군 (북), 동쪽으로 평강군, 북쪽으로 판교군과 경계를 접한다. 서쪽에는 황해북도 토산군·신계군이 있다. 북동(산지리)~남서(사청리) 간의 길이는 33km이고, 북서(장동리)~동남(회산리) 간의 너비는 26km이며, 도 전체면적의 5.44%를 차지한다. 현재 행정구역은 1읍 22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군 소재지는 이천읍이다.

본래 고구려시기에는 이진매현이라고 불러오다가 통일신라시기에 이천현으로 고쳤다. '이진매'가 무슨 뜻인지 정확히 알 수 없는데 이 고장을 흐르는 임진강을 옛날 이물이라고 부른 데서부터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천현은 1895년에 이천군으로 되었다. 옛날 이천군을 화산이라고도 하였다. 화산은 에 갖가지 꽃들이 피어나는 아름다운 고장이라 하여 비롯된 지명이다.

강원도를 흔히 서울의 동쪽에 있는 도로 인식하지만, 이천군은 대부분의 영역이 경복궁보다도 서쪽에 있다. 이북 5도, 북한 행정구역 전부다. 그리고 이천군의 최서단이 서울의 최서단보다 더 서쪽에 있다.[3]

자연환경[편집]

이천군은 산줄기들로 둘러 싸여 분지 지형을 이루고 있다. 지세는 북서부와 동부가 높고 여기서 중부로 가면서 점차 낮아지고 있는데, 서쪽경계에 아호비령산줄기(阿虎飛嶺山-)가, 남동쪽경계에 새덕산줄기가 뻗어 있으며 여기에 석봉(808m), 고주애산(高柱崖山, 754m), 대왕덕산(大王德山, 788m), 기대봉(554m), 문백산(門白山, 796m), 삼각산(三角山, 529m), 삼무산(三茂山, 591m), 가래골봉(489m), 봉화산(烽火山, 543m) 등 해발 1,000m 이하의 산들이 솟아 있다. 강하천유역에는 좁은 긴 충적지들과 구릉들이 분포되어 있다.

이천군의 대부분 지역은 해발 200~400m 사이에 놓여 있다. 해발에 따른 분포를 보면 200m 이하 되는 지역이 18%를, 200~400m 되는 지역이 55%를, 400~800m 되는 지역이 26% 정도를 차지한다. 그리고 이천군 전체면적에서 5° 이하 되는 경사지는 22%, 5~25°되는 지역은 29%, 25°이상 되는 지역은 49%를 차지한다. 구성암석은 혼성암류, 편마암류들과 교대화강암이 기본으로 되어 있으며 남부지역에 상원계 암석들이 분포되어 있다. 지하자원으로는 니켈, 철, 동, 석회석, 이탄 등이 분포되어 있다.

기후는 대륙성기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연평균일조시간은 2,345.7시간이고 연평균일조율은 54%이다. 연평균기온은 8.7℃, 1월 평균기온은 -8.2℃, 7월 평균기온은 23.2℃, 10℃이상 적산온도는 3,392℃, 연평균강수량은 1,358.4mm이다. 첫서리는 10월 중순에, 마감서리는 4월 말경에 내린다. 연 평균상대습도는 75%이다. 바람은 북동풍이 우세하며 연평균풍속은 1.7m/s이다. 기본 수계는 임진강(臨津江)이다.

영역 내에 임진강과 그 지류들인 장동천(長洞川), 문동천(文童川), 동천(東川)을 비롯하여 길이 5km 이상 되는 하천이 10여 개가 유입되어 있는데, 그 가운데서 길이가 20km 이상 되는 하천이 3개, 10~20km 되는 하천이 4개가 있으며 그밖의 하천은 10km 이하의 작은 하천들이다. 유역면적이 100km2 이상 되는 하천은 4개이며 그밖의 하천들은 50km2 이하의 작은 하천들이다. 저수지로는 신당저수지(新塘貯水池)가 있다.

산림은 이천군 전체면적의 76%를 차지하고 있는데, 해발 400m 이하 되는 에는 소나무를 비롯하여 잣나무, 가래나무, 포플러나무, 조팝나무, 국수나무, 산초나무 등이 분포되어 있다. 특히 호두나무, 닥나무가 많이 자라고 있다. 해발 400~600m 되는 지역에는 소나무, 참나무, 음나무, 말채나무, 층층나무, 느릅나무, 박달나무, 피나무, 싸리나무, 만리화, 목란 등이 자라고 있으며 600~800m 되는 지역에는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갈참나무, 사스래나무, 고로쇠나무, 팽나무, 생강나무, 초피나무, 누리장나무 등이 자라고 있다. 산림 속에는 도토리, 밤, 머루, 다래, 삽주, 삼지구엽초, 도라지, 더덕, 고사리, 고비, 송이버섯 등 산중부원이 풍부하다.

동물로는 노루, 산토끼, 다람쥐, 청서, 여우, 너구리, 오소리, 산달, 살쾡이, 족제비, 열목어, 종개, 붕어, 잉어, 누치, 참마자 등이 서식하고 있다. 토양은 대부분 지역이 갈색산림토양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이 밖에 충적토와 진펄토양도 분포되어 있다.[4]

역사[편집]

이천군 지역과 주변 지역에서 대량의 청동기시대 유적들이 많이 발굴된 것은 청동기시대에 이천군 지역에 사람이 정착해 살았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삼국시대에는 고구려의 판도로 되어 이진매현(伊珍買縣)이라 하였고 신라 진흥왕 때 신라의 영토로 되었다. 통일신라 경덕왕시기에 이천현(伊川縣)으로 되어 토산군(兎山郡)에 속해 있었다. 고려왕조가 들어선 이후 995년(성종 14년)에 삭방도(朔方道)에 편입되었고 1018년(현종 9년)에 동주(東州)에 이속되었다. 조선왕조가 건립된 이후 1413년(태종 13년)에 강원도 이천현으로 되었다. 그 후 도호부(都護府)로 승격되었다가, 다시 현으로 강등되기를 거듭하였다.

1895년에 부군제를 실시하면서 개성부(開城府) 이천군으로 되었다가, 1896년에 13도제를 실시하면서 강원도 이천군으로 개편되어 동읍면(東邑面), 하읍면(下邑面), 하남면(河南面), 구고면(九皐面), 청룡면(靑龍面), 청포면(淸浦面), 방장면(方丈面), 고미탄면(古味呑面), 산내면(山內面), 낙양면(樂壤面), 판교면(板橋面) 등 11개 면을 관할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 시에 안협군(安峽郡)을 흡수하고 동읍면과 하읍면을 병합하여 읍내면(邑內面)으로, 청룡면과 청포면을 병합하여 용포면(龍浦面)으로, 하남면과 구고면을 병합하여 학봉면(鶴鳳面)으로, 안협군 군내면을 안협면(安峽面)으로, 안협군 동면을 이천군 동면(東面)으로, 안협군 서면을 이천군 서면(西面)으로 각각 개편하였으며, 1938년에 읍내면을 이천면(伊川面)으로, 고미탄면을 웅탄면(熊灘面)으로 개칭하였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웅탄면을 법동군에, 서면 일부와 동면 · 안협면 전체를 철원군에, 용포면 일부 · 산내면 일부와 판교면 · 낙양면 · 방장면 전체를 판교군에 각각 이관하고, 나머지 이천군의 이천면 · 학봉면 전체와 용포면 일부 · 산내면 일부 · 서면 일부를 병합하여 이천군을 재구성하였다.

이때 이천면의 신흥리 · 비석리 · 천안리 · 향교일리 · 향교이리 · 향교삼리 · 탑리를 병합하여 이천읍(伊川邑)으로, 이천면의 개상리 · 개하리를 병합하여 개천리(開川里)로, 이천면의 추목리 · 회산리를 병합하여 회산리(回山里)로, 이천면의 남좌리 · 안양리를 병합하여 건설리(建設里)로, 이천면의 신당리를 신당리(新塘里)로, 서면의 우미일리 일부 · 우미이리를 병합하여 우미리(友味里)로, 서면의 하화암리 일부 · 산참리를 병합하여 산참리(山站里)로, 서면의 축동리 · 하화암리 일부를 병합하여 축동리(軸洞里)로, 학봉면의 장항리 일부 · 서면의 상화암리 · 우미일리 일부를 병합하여 용정리(龍亭里)로, 학봉면의 사청리 일부 · 오현리를 병합하여 오현리(筽峴里)로, 학봉면의 대하현리 · 사청리 일부 · 장항리 일부를 병합하여 사청리(射廳里)로, 학봉면의 은행정리, 묵막리를 병합하여 은행정리(銀杏亭里)로, 학봉면의 회산리 · 성북리 일부를 병합하여 성북리(城北里)로, 학봉면의 신파리 · 학봉리를 병합하여 학봉리(鶴峯里)로, 학봉면의 성북리 일부 · 산내면 장재리 일부를 병합하여 장재리(長在里)로, 학봉면의 성호리 · 노동리 · 심동리 · 공수탄리를 병합하여 심동리(深洞里)로, 산내면의 장재리 일부 · 상하리를 병합하여 상하리(上下里)로, 산내면의 삼거리 일부 · 송정리를 병합하여 송정리(松亭里)로, 산내면의 삼거리 일부 · 화풍리 · 장동리를 병합하여 장동리(長洞里)로, 용포면의 용홍일리 일부 · 산지리를 병합하여 산지리(山旨里)로, 용포면의 창전리 · 문동리 · 호암리를 병합하여 문동리(文童里)로, 용포면의 무릉리를 무릉리(武陵里)로 각각 개편하여 1읍 21리를 관할하였다.

1954년에 이천읍 일부와 심동리 일부를 병합하여 이천군 신흥리(新興里)로 개편하였다. 2003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이천읍), 22리(개천리, 건설리, 용정리, 무릉리, 문동리, 사청리, 산지리, 산참리, 상하리, 성북리, 송정리, 신당리, 신흥리, 심동리, 오현리, 우미리, 은행정리, 장동리, 장재리, 축동리, 학봉리, 회산리)로 구성되어 있다. 이천군 소재지는 이천읍이다.[5]

산업[편집]

이천군의 경제는 농업과 지방공업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농업이 경제의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천군에서는 지대적 특성에 맞는 새 품종을 얻어내고 그 재배방법을 개선하는 한편 군중적 운동으로 새 땅을 찾기 위한 투쟁을 힘 있게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해마다 많은 곡물을 생산하고 있다. 농경지는 이천군 전체면적의 14% 정도 되는데, 그 가운데서 논이 16%, 밭이 77%, 과수밭이 5%, 뽕밭이 2% 정도 차지하고 있다. 주요 곡물로는 벼, 옥수수를 비롯하여 수수, 콩, 밀, 보리 등이 있다.

채소업에서는 무, 배추, 고추, 시금치, 양배추, 오이, 호박, 토마토, 가지, 파, 마늘, 수박 등이 재배된다. 이밖에 담배, 감자, 고구마를 많이 재배하고 있다. 축산업에서는 주로 소, 돼지, 양, 염소, 토끼, 닭, 오리 등을 사육하고 있는데, 특히 풀밭을 대대적으로 조성하고 초식성 가축을 늘리고 있다. 이밖에 뉴트리아를 많이 사육하고 있다. 양봉업이 발달하여 꿀벌식물을 이용하여 꿀을 많이 생산하고 있다.

과수업에서는 배, 사과, 복숭아, 살구 등이 산출된다. 양잠업에서는 산 경사지와 빈 땅을 이용하여 뽕나무밭을 조성하고 누에고치 생산량을 늘리고 있다. 지방공업은 식료품, 방직 및 피복, 일용, 건재, 제약공업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중 식료품공업이 기간을 이룬다.

주요 식료가공업체로는 이천장공장, 이천식료가공공장, 이천고기가공공장 등이 있는데, 여기에서는 된장, 간장, 고추장, 기름, 화학조미료, 과자, 사탕, 술, 맥주, 채소 및 고기가공품, 산나물가공품 등 제품이 생산된다. 방직 및 피복공업도 이천군 공업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주요 제품으로는 스프날론혼방천, 안감천, 날염천, 모기장천 등과 여러 가지 의류제품이 있다.

일용품공업은 목재일용품, 가죽일용품, 초물일용품, 학용품 등이 있는데 옷장, 이불장, 찬장, 책상, 걸상, 책장, 가방류, 겨울모자, 초물주단, 바구니 등 제품이 생산된다. 이밖에 벽돌, 토기와, 블록, 종이, 가성소다, 크롬산소다, 염산, 안료, 가루비누, 대중합제, 사포솔, 구명수, 영신환 등 제품들이 생산된다.[6]

교통[편집]

교통은 북부로 청년이천선이 통과하고 있으며 여기에 이천청년역, 송정역, 동점역, 하안역, 문동청년역이 설치되어 있다.

도로는 법동~이천, 김화~이천, 이천~토산, 이천~신참 간 도로가 달리고 있다. 이천~철원, 이천~산참, 이천~장동, 이천~오현, 이천~산지 간 정기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강원도 소재지인 원산시까지는 141km이다.[7]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이천군〉, 《위키백과》
  2. 이천군〉, 《나무위키》
  3. 조선향토대백과: 강원도 이천군 개요〉, 《네이버 지식백과》
  4. 조선향토대백과: 강원도 이천군 자연〉, 《네이버 지식백과》
  5. 조선향토대백과: 강원도 이천군 역사〉, 《네이버 지식백과》
  6. 조선향토대백과: 강원도 이천군 경제〉, 《네이버 지식백과》
  7. 조선향토대백과: 강원도 이천군 교통〉,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이천군 문서는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