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계급"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잔글 (마르크스와 레닌의 관점)
5번째 줄: 5번째 줄:
  
 
==마르크스와 레닌의 관점==
 
==마르크스와 레닌의 관점==
* N.레닌은 “계급은 사람들의 집단이지만, 특정한 사회적·경제적 제도에서 그들의 지위가 다르기 때문에, 한쪽이 다른쪽의 노동을 독점할 수 있는 인간집단”이며, 또 “역사상 특정한 사회적 생산관계에서 지위를 달리하고 생산수단에 대한 관계를 달리하며, 사회적 노동조직에서의 역할, 즉 사회적 부(富) 중에서 그들이 처리할 몫의 취득방법과 양을 달리하는 인간의 대집단”이라고 규정하였다. 일반적으로 계급은 전체 사회에서 계통(階統:hierarchy)을 형성하고 사회적 세력 분배의 불평등에 따라 상하관계, 지배·피지배의 관계를 구성하는 사람들의 집단이며, 그것이 어떠한 요인에 의해 생기는 가를 밝히는 것이 그 규정의 내용이 된다.
+
* N.레닌은 '계급은 사람들의 집단이지만, 특정한 사회적·경제적 제도에서 그들의 지위가 다르기 때문에, 한쪽이 다른쪽의 노동을 독점할 수 있는 인간집단'이며, 또 “역사상 특정한 사회적 생산관계에서 지위를 달리하고 생산수단에 대한 관계를 달리하며, 사회적 노동조직에서의 역할, 즉 사회적 부(富) 중에서 그들이 처리할 몫의 취득방법과 양을 달리하는 인간의 대집단”이라고 규정하였다. 일반적으로 계급은 전체 사회에서 계통(階統:hierarchy)을 형성하고 사회적 세력 분배의 불평등에 따라 상하관계, 지배·피지배의 관계를 구성하는 사람들의 집단이며, 그것이 어떠한 요인에 의해 생기는 가를 밝히는 것이 그 규정의 내용이 된다.
 
* 계급은 계급차를 낳는 사회적 생산관계의 본질에 입각하여 역사적인 생성과정과 내용을 추구하고 [[자본주의]]사회에서 갖는 의의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있다. K.마르크스는 공산당선언에서 자본주의사회를 포함한 인류의 역사는 “계급투쟁의 역사”라고 규정하고, 《자본론》 등에서 역사법칙을 일관하는 물질적·사회적 토대와 계급의 존재 의의를 역사적 분석을 통하여 명확히 하였다. 마르크스주의에서 사회 발전은 그 특정단계의 생산력과 생산관계에 의하여 규정되며, 사회적 생산관계에서 생산수단의 소유·비소유에 따라 계급이 생기고 노동조직에서의 각자 역할이 결정된다. 이에 따라 지배·피지배, 착취·피착취의 관계가 생기고 서로 대립하는 계급의 존재가 사회구조상의 기본적 특질로 규정된다.  
 
* 계급은 계급차를 낳는 사회적 생산관계의 본질에 입각하여 역사적인 생성과정과 내용을 추구하고 [[자본주의]]사회에서 갖는 의의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있다. K.마르크스는 공산당선언에서 자본주의사회를 포함한 인류의 역사는 “계급투쟁의 역사”라고 규정하고, 《자본론》 등에서 역사법칙을 일관하는 물질적·사회적 토대와 계급의 존재 의의를 역사적 분석을 통하여 명확히 하였다. 마르크스주의에서 사회 발전은 그 특정단계의 생산력과 생산관계에 의하여 규정되며, 사회적 생산관계에서 생산수단의 소유·비소유에 따라 계급이 생기고 노동조직에서의 각자 역할이 결정된다. 이에 따라 지배·피지배, 착취·피착취의 관계가 생기고 서로 대립하는 계급의 존재가 사회구조상의 기본적 특질로 규정된다.  
 
*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생산수단의 소유 여부에 따라 노동자(프롤레타리아트)는 부르주아지에게 자신의 노동력을 상품으로 팔아 스스로의 생활을 확보해야 하고, 자본가계급(부르주아지)은 대가를 치르고 노동력을 사서 상품생산에서 이윤을 올리고 착취를 계속해 간다. 이러한 양자의 관계는 화해할 수 없는 것이며 계급적 대립으로 남는다. 이를 지양(止揚)하여 [[사회주의]]·[[공산주의]]를 건설하는 것이 곧 계급 없는 사회에 이르는 길이며 프롤레타리아트의 역사적 사명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계급 → 계급적 모순·대립 → 계급투쟁 → 계급지양의 전개(展開)를 역사 발전의 법칙으로 규정하였다.<ref name="두산백과"></ref>
 
*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생산수단의 소유 여부에 따라 노동자(프롤레타리아트)는 부르주아지에게 자신의 노동력을 상품으로 팔아 스스로의 생활을 확보해야 하고, 자본가계급(부르주아지)은 대가를 치르고 노동력을 사서 상품생산에서 이윤을 올리고 착취를 계속해 간다. 이러한 양자의 관계는 화해할 수 없는 것이며 계급적 대립으로 남는다. 이를 지양(止揚)하여 [[사회주의]]·[[공산주의]]를 건설하는 것이 곧 계급 없는 사회에 이르는 길이며 프롤레타리아트의 역사적 사명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계급 → 계급적 모순·대립 → 계급투쟁 → 계급지양의 전개(展開)를 역사 발전의 법칙으로 규정하였다.<ref name="두산백과"></ref>

2022년 7월 12일 (화) 16:51 판

계급(階級, class)은 일반적으로 사회 전체 내부에서 직업·신분·재산 등에 따라서 구별되는 사람들의 집단이다.

개요

계급이란 사회나 조직 내 지위의 단계 또는 사회적 이해관계의 차이에서 비롯된 대립적인 사회집단을 통칭하는 사회학 용어이다. 일반적으로 마르크스레닌이 규정한 생산관계에서 재산의 소유와 비소유, 또는 지배와 종속의 관계를 바탕으로 한 고전적 개념의 계급과, 경제적 생산관계 뿐만 아니라 정치적 권력관계나 사회적 역할관계를 파악하려는 경향의 현대사회에서 정의되는 계급으로 나뉘어 진다.[1][2]

마르크스와 레닌의 관점

  • N.레닌은 '계급은 사람들의 집단이지만, 특정한 사회적·경제적 제도에서 그들의 지위가 다르기 때문에, 한쪽이 다른쪽의 노동을 독점할 수 있는 인간집단'이며, 또 “역사상 특정한 사회적 생산관계에서 지위를 달리하고 생산수단에 대한 관계를 달리하며, 사회적 노동조직에서의 역할, 즉 사회적 부(富) 중에서 그들이 처리할 몫의 취득방법과 양을 달리하는 인간의 대집단”이라고 규정하였다. 일반적으로 계급은 전체 사회에서 계통(階統:hierarchy)을 형성하고 사회적 세력 분배의 불평등에 따라 상하관계, 지배·피지배의 관계를 구성하는 사람들의 집단이며, 그것이 어떠한 요인에 의해 생기는 가를 밝히는 것이 그 규정의 내용이 된다.
  • 계급은 계급차를 낳는 사회적 생산관계의 본질에 입각하여 역사적인 생성과정과 내용을 추구하고 자본주의사회에서 갖는 의의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있다. K.마르크스는 공산당선언에서 자본주의사회를 포함한 인류의 역사는 “계급투쟁의 역사”라고 규정하고, 《자본론》 등에서 역사법칙을 일관하는 물질적·사회적 토대와 계급의 존재 의의를 역사적 분석을 통하여 명확히 하였다. 마르크스주의에서 사회 발전은 그 특정단계의 생산력과 생산관계에 의하여 규정되며, 사회적 생산관계에서 생산수단의 소유·비소유에 따라 계급이 생기고 노동조직에서의 각자 역할이 결정된다. 이에 따라 지배·피지배, 착취·피착취의 관계가 생기고 서로 대립하는 계급의 존재가 사회구조상의 기본적 특질로 규정된다.
  •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생산수단의 소유 여부에 따라 노동자(프롤레타리아트)는 부르주아지에게 자신의 노동력을 상품으로 팔아 스스로의 생활을 확보해야 하고, 자본가계급(부르주아지)은 대가를 치르고 노동력을 사서 상품생산에서 이윤을 올리고 착취를 계속해 간다. 이러한 양자의 관계는 화해할 수 없는 것이며 계급적 대립으로 남는다. 이를 지양(止揚)하여 사회주의·공산주의를 건설하는 것이 곧 계급 없는 사회에 이르는 길이며 프롤레타리아트의 역사적 사명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계급 → 계급적 모순·대립 → 계급투쟁 → 계급지양의 전개(展開)를 역사 발전의 법칙으로 규정하였다.[1]

현대사회의 관점

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계급 구성은 기본적으로는 서로 대립하는 두 계급을 중심으로 하고 있으나, 갖가지 계급·계층이 동시에 존재하여 복잡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중간층의 존재를 무시할 수 없는데, 이는 소자영업자(小自營業者)를 중심으로 한 구(舊)중간층과 화이트칼라를 중심으로 한 신(新)중간층으로 구별된다. 이 경우 역사의 진행과 함께 중간층은 프롤레타리아로 전락한다는 마르크스의 학설에 대해서는 여러 상이(相異)한 견해가 제기되고 있으며, 또 신중간층을 어떻게 규정하느냐 하는 문제를 두고 대중사회론과의 연관하에 논의가 거듭되었다.[1] 그러므로 현대사회에서는 자본가계급과 노동자계급, 지배계급과 피지배계급, 또는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같이 대립적인 집단으로 구별하는 것이 아닌, 중산층, 프티 부르주아 또는 중간 계급 등의 개념을 추가하는 경향이 있다.[2]

각주

  1. 1.0 1.1 1.2 계급〉, 《두산백과》
  2. 2.0 2.1 김영모, 〈계급(階級)〉,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5

참고자료

  • 계급〉, 《두산백과》
  • 김영모, 〈계급(階級)〉,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5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계급 문서는 정치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