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왕자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왕자(王子, Prince)는 문자 그대로 임금의 아들을 의미한다. 임금의 딸인 왕녀와 마찬가지로 왕족에 해당된다.[1]

개요[편집]

왕자는 서양에서 황족이나 왕족의 남자나 특정의 영역을 지배하는 왕족의 칭호로서 사용되는 영어 단어이다. 대한민국의 한국어에서는 외래어로서 '프린스'라는 말을 그대로 사용하기도 하며, 번역할 때는 '왕자'로 옮기는 경우가 많다. 여성형인 프린세스(princess)는 '공주(혹은 왕녀)'로 번역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프린스와 프린세스는 중의적이어서 제후의 칭호로 사용되기도 한다.[2]

어형[편집]

동아시아권에서는 왕권 이양의 후보로 오른 왕자를 특히 왕세자라고 부른다. 왕이 아니라 황제의 후보라면 황태자이다. 출생 순서에 따라 1왕자, 2왕자, 3왕자 등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와 중국 역사에서는 왕자라는 호칭은 잘 쓰이지 않았고, 작위를 내려서 호칭으로 삼았다. ‘호동왕자’라는 식으로 단발적으로 쓰거나, 통일신라에서는 7~8세기에 효소왕부터 효성왕까지 한동안 왕자 칭호를 사용하기도 했지만 이것도 왕조 내내 쭉 쓰이진 않았다. 고려시대에는 ~공,~후라는 식의 명칭을 주로 사용했고 조선시대에서는 왕비의 아들은 대군, 후궁의 아들은 군이라고 했다. 고려시대에 쓴 ~공이라는 식의 작호는 조선 건국 초기에만 쓰였다. 태종 이방원을 정안대군이라고 부르지만 그건 후대의 명칭이고 당대에는 정안군, 정안공이라고 했었다. 중국에서는 통치자가 황제였기 때문에 황제의 아들들은 황태자를 제외하면 다 ~왕 이런 호칭으로 불렸다.

영어의 prince는 본래 라틴어의 princeps(1인자)에서 온 말로 왕의 아들을 뜻하기도 하지만 왕보다 한 단계 낮은 군주, 토후의 뜻을 지니고 있으며 작위의 한 종류일 수도 있다. prince는 duke와 비슷한 위치라서 대공으로 많이 번역하지만 엄밀히 같다고는 볼 수가 없다. prince를 대공으로 번역해버리면 grand prince의 번역어가 애매해지기도 하고. 이 작위는 일반적으로 왕의 자식들이 이런 지위를 받는 일이 많아서 왕자라는 뜻을 겸하게 된 것이다. 영국 왕태자(왕세자)의 칭호는 Prince of Wales인데, 웨일스 공이라고 번역하는 게 적절하다. 즉 웨일즈의 지배자가 스스로 ‘웨일즈 공’을 칭한 뒤에 잉글랜드가 웨일즈를 정벌했고, 나중에 잉글랜드 왕이 자기 후계자에게 이 칭호를 넘겨준 것이니 애초에 ‘왕자’라는 뜻이 아니다. 마키아벨리의 유명한 저작인 군주론도 영어로는 'the prince'라고 한다.

이러한 이유로 대공이나 공작을 가리키는 prince를 '왕자'로 오역하는 일이 종종 발생한다.[1]

동양[편집]

  • 신라 : 호칭은 왕자. 왕의 적자뿐 아니라 왕의 서자도 왕자라고 하였으며, 종친의 아들을 왕자라 하는 경우도 있었다. 따로 봉호를 내리지 않았으며, 보통은 진골인 관계로 이벌찬이나 이찬의 작위를 내렸다.
  • 고려 : 호칭은 왕자[11]. 어머니의 신분에 따라 처지가 달랐다. 어머니가 정식 왕비거나 신분이 높은 후궁이면 잘 먹고 았지만, 어머니의 신분이 미천하다면 왕위계승은 꿈도 못 꾸고 출가크리. 현종 이전까진 군으로 봉해졌다. 문종 대엔 오등봉작제 제정으로 인해 후작으로 봉해졌다가 공작으로 올려주는 것이 관례였다.[12]
  • 조선 : 왕의 적자는 대군, 왕의 서자는 군이라고 한다. 조선 초기에는 대군이 못해도 서너 명은 됐으나 조선 후기로 가면서 점점 손이 귀해져 효종(봉림대군)과 그의 동생 인평대군이 조선의 마지막 대군이 되었다. 보통 어릴 때에는 대군, 군 자가라 불리다가 7~8세에 XX대군(군)으로 봉해진다. 국초에는 이 봉호를 지을 때 좋은 뜻을 가진 한자로 작명을 했으나, 세종 때인 1437년(세종 19년)[13]부터 제도가 정비되면서 봉건제의 원칙에 따라 지역 이름을 따서 붙이게 되었다.
  • 중국 : 황제 국가면 황자로, 제후국이면 왕자로 칭했다. 황제국 경우에는 황자가 어느정도 자라면 왕으로 봉했다.[1]

서양[편집]

왕의 장남, 즉 제1왕자는 왕위계승자가 되기 때문에 어릴 때부터 제왕학 교육을 받으며 왕실 사람들이 신경을 많이 받고 차남까지는 보험용으로 관리를 좀 받지만 순번이 밀리면 적당히 공작 작위나 받아가거나 외국의 왕위 계승권자인 왕녀와 결혼해서 데릴사위로 가는 게 일반적이다.

서양은 첩이 아니라 정부가 있었는데, 어쨌든 정당한 혼인 관계인 첩의 소생과는 달리 정부의 소생은 아예 왕족으로 취급되지도 않는다. 왕족이 아니니 왕위 계승권 따위 있을 리가 없고, 왕이 그래도 자식이라고 챙겨줄 마음이 들었거나 어머니가 귀족 부인인 경우는 공작, 백작 정도의 작위를 받는 선에서 만족해야 했다.[1]

각주[편집]

  1. 1.0 1.1 1.2 1.3  〈왕자〉 《나무위키》
  2.  〈왕자〉 《위키백과》

참고자료[편집]

  • 왕자〉 《나무위키》
  • 왕자〉 《위키백과》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왕자 문서는 정치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