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속"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급속'''(Rapidity, 急速)은 급하고 빠른 정도를 나타내는 말이다. ==급속충전기== 급속충전기는 완전 방전 상태에서 80% 충전까지 30분이...)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급속'''(Rapidity, 急速)은 급하고 빠른 정도를 나타내는 말이다. | + | '''급속'''(Rapidity, 急速)은 급하고 빠른 정도를 나타내는 말이다. 반대말은 '''[[완속]]'''이다. |
+ | |||
+ | ==급속충전== | ||
+ | [[급속충전]]은 시간적인 여유가 없을 때 축전지를 [[자동차]]에 설치한 채로 급속충전기를 이용하여 축전지 용량의 50% [[전류]]로 [[충전]]하는 방법이다. 규격의 전류 값보다 큰 전류를 흐르게 하여 짧은 시간 충전하는 것이기 때문에 긴급을 필요로 할 때 단시간에 대전류 밀도로 충전하는 방식이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918249&cid=50324&categoryId=50324 급속 충전]〉, 《네이버 지식백과》</ref> | ||
==급속충전기== | ==급속충전기== | ||
− | + | ===특징=== | |
+ | [[급속충전기]]는 완전 방전 상태에서 80% [[충전]]까지 30분이 소요되고, 주로 [[고속도로]] 휴게소, 공공기관 등 외부장소에 설치된다. [[충전기]]는 고용량의 [[전력]]을 공급해야 하므로 50kW급이 주로 설치된다. 사용요금은 100km당 2,700원 정도이다. | ||
+ | |||
:{|class=wikitable width=900 | :{|class=wikitable width=900 | ||
|+<big>'''차종별 충전방식'''</big> | |+<big>'''차종별 충전방식'''</big> | ||
69번째 줄: | 74번째 줄: | ||
|align=center|68만 원 | |align=center|68만 원 | ||
|align=center|56만 원 | |align=center|56만 원 | ||
+ | |} | ||
+ | |||
+ | ===최근 현황=== | ||
+ | 2021년, [[서울]]특별시는 [[전기자동차]]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2020년 서울 시내 주요 [[공영주차장]], 관공서 등에 공용 급속충전기 200기를 추가 설치했다. 이를 통해 서울 시내 전기자동차 급속충전기는 총 789기까지 확대됐다. 추가 설치된 200기 중 서울시가 직접 설치했거나 자치구/민간을 지원해 설치한 급속충전기는 60기이며, 이 가운데 51기는 지하철역, 구청 등 17개 공영주차장에 집중적으로 설치됐다. 이 밖에도 서울시청 등 관공서와 송월동 공공 차고지 등 공공시설에 설치해 전기자동차 이용자들이 접근성이 좋은 곳에서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도록 했다. 서울시는 대시민 설문조사를 통해 전기자동차 이용자들이 실질적으로 원하는 충전소 위치와 평상시 느끼는 불편사항 등을 적극적으로 반영했다. 서울시가 실시한 친환경 교통수단 이용 관련 대시민 설문조사 2020 결과, 전기자동차 이용자 절반 이상이 주거지 인근에서 주로 [[충전]]을 한다고 응답했다. 주거지 외에 충전소 설치를 희망하는 장소로는 주요 공영주차장 35%가 가장 많았다. 전기자동차 구매의 가장 큰 장애 요인으로 [[충전소]] 부족과 느린 충전[[속도]]를 꼽았다. 서울시가 2020년에 설치한 60기는 공영주차장, 다중이용시설 13개소로 29기, 서울시청 서소문 청사 등 공공시설 3개소로 6기, 여러 개 충전기를 집중적으로 설치해 대기 없이 이용 가능한 서울형 집중충전소 5개소로 25기이다. 서울시는 2019년부터 단독으로 민간충전사업자에게 공용 급속충전기 설치비를 지원했으며, 2020년에는 공영주차장과 다중이용시설 13개소에 급속충전기 29기를 설치 및 완료해 운영 중이다. 서울시는 2021년도 민간사업자 지원으로 급속충전기 20기 이상을 설치할 계획이다. 공영주차장 내 전기자동차 충전기를 이용할 경우 관련 조례에 따라 1시간 주차요금이 면제되고 시민들의 충전요금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서울시 운영 [[급속충전소]]에 설치된 17개소 급속충전기 29기를 한시적으로 무료 운영한다. 2020년 서울시는 대기 없이 24시간 이용 가능한 서울형 집중충전소 5개소 급속충전기 25기를 설치했다. 2021년에도 자치구 공개모집을 통해 8개소에 급속충전기 24기를 추가로 구축할 계획이다. 서울형 집중충전소는 급속충전기 3기 이상을 집중적으로 설치하고 24시간 개방해 전기자동차 이용자가 대기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시설이다. 대표적인 서울형 집중충전소인 양재 솔라스테이션에는 급속충전기 6기가 설치돼 하루 40대 이상의 전기자동차가 이용하고 있다.<ref>서울특별시, 〈[https://mediahub.seoul.go.kr/archives/2000150 전기차 충전 더 빠르게! 급속충전기 200기 추가 설치]〉, 《내 손안에 서울》, 2021-01-12</ref> 더불어 정보는 2021년 미래차 30만대 시대를 달성하고 전기자동차 충전기 3만기로 급속충전기 3,000기와 수소충전기 100기 이상을 신설할 방침이다. [[환경부]]는 자동차 제작사의 저공해차 보급목표를 2020년 15%에서 18%로 상향했다. 전기자동차, [[수소자동차]]는 10%로 지정했다. 또한 공공기관에서 사용하는 신규 차량 80% 이상을 전기자동차와 수소자동차로 구매하도록 할 계획이다. 민간기업 대상으로는 오는 2030년까지 보유 차량 100%를 전기자동차와 수소자동차로 전환하도록 하는 K-EV100 프로젝트를 유도한다. 더불어 미래차 충전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유형별로 충전기를 전략적으로 배치할 계획이다. 전기자동차의 경우 최적 입지 시스템을 구축해 2021년 3만 충전기를 전략적으로 배치한다. 기존 충전기보다 3배 이상 빠른 초 급속충전기도 확충하고 [[수소충전소]]의 경우 2021년까지 180기를 구축하기 위해 전국 배치계획을 세우고 인/허가 특례와 사업자 연료비 지원 등을 추진한다. 홍남기 부총리는 "소비자들이 전기자동차 구매를 주저하는 이유로 충전소 부족, 장시간 충전 등을 지적하는 만큼 충전소 확충과 함께 충전 시간 단축이 시급하다"며 "설치 비용이 많이 들어 민간의 자발적 설치가 제한적인 급속충전기는 공공부문이 선도해 2,280기를 직접 설치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민간사업자 지원을 통해 접근성과 수익성 높은 곳에 289기를, 운전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기존 [[주유소]]에도 충전기 구축비 지원을 통해 300기를 설치하겠다"며 "충전 시간을 대폭 단축한 초 급속충전기도 공공부문에서 최초로 43기 설치하고, 자동차 기업이 자체적으로 80기 이상 설치할 수 있도록 전력, 부지확보, 건축 등을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다.<ref>박성우 기자,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2/01/2021020102843.html 정부, 올해 전기차 급속 충전기 3000기 확충... 공공부문 2280기]〉, 《조선비즈》, 2021-02-01</ref> | ||
+ | |||
+ | ==급속충전소== | ||
+ | 2021년, 정부가 무공해차 30만 대를 보급하기 위해 보조금 체계를 개편하고 충전소 등 인프라를 확대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주유소보다 더 편리한 전기자동차 급속충전 환경을 조성한다고 밝혔다. [[빅데이터]] 분석으로 충전 수요가 높은 [[고속도로]] [[휴게소]], [[주유소]] 등 이동거점에 급속충전기 2800여 기, 초 급속충전기 123기 이상을 설치한다. 이를 통해 누적 1만 2,000기가 넘는 주유소 수준의 전기자동차 급속충전 환경을 조성하기로 했다. [[수소자동차]] 충전소 역시 차량 대비 충전소가 부족한 수도권에 2021년까지 50기 이상을 집중적으로 구축한다. 더불어 [[그린벨트]], 도시공원 등에도 충전소 설치가 가능하도록 입지규제를 개선하기로 했다.<ref>천권필 기자, 〈[https://news.joins.com/article/23994847 전기차 급속충전소 주유소만큼 생긴다…“고속도로 등 이동거점 설치”]〉, 《중앙일보》, 2021-02-18</ref> | ||
+ | |||
+ | :{|class=wikitable width=1000 | ||
+ | |+<big>'''급속충전소 개수'''</big><ref>전력 빅데이터 센터 공식 홈페이지 - https://home.kepco.co.kr/kepco/BD/BDBAPP008/BDBAPP008.do?menuCd=FN33020108#</ref> | ||
+ | !align=center|지역구분 | ||
+ | !align=center|급속충전기 대수 | ||
+ | !align=center|지원 차종 | ||
+ | |- | ||
+ | |align=center|서울특별시 | ||
+ | |align=center|70 | ||
+ | |align=center|[[SM3]] Z.E, [[레이 EV]], [[쏘울 EV]], [[닛산]](Nissan) [[리프]], [[아이오닉 일렉트릭]], [[비엠더블유]](BMW) [[i3]], [[스파크 EV]], [[볼트 EV]], [[테슬라]](Tesla) | ||
+ | |- | ||
+ | |align=center|[[경기도]] | ||
+ | |align=center|43 | ||
+ | |align=center|SM3 Z.E, 레이 EV, 쏘울 EV, 닛산 리프, 아이오닉 일렉트릭, 비엠더블유 i3, 스파크 EV, 볼트 EV, 테슬라 | ||
+ | |- | ||
+ | |align=center|[[인천]]광역시 | ||
+ | |align=center|10 | ||
+ | |align=center|SM3 Z.E, 레이 EV, 쏘울 EV, 닛산 리프, 아이오닉 일렉트릭, 비엠더블유 i3, 스파크 EV, 볼트 EV, 테슬라 | ||
+ | |- | ||
+ | |align=center|[[강원도]] | ||
+ | |align=center|35 | ||
+ | |align=center|SM3 Z.E, 레이 EV, 쏘울 EV, 닛산 리프, 아이오닉 일렉트릭, 비엠더블유 i3, 스파크 EV, 볼트 EV, 테슬라 | ||
+ | |- | ||
+ | |align=center|[[충청남도]] | ||
+ | |align=center|11 | ||
+ | |align=center|SM3 Z.E, 레이 EV, 쏘울 EV, 닛산 리프, 아이오닉 일렉트릭, 비엠더블유 i3, 스파크 EV, 볼트 EV, 테슬라 | ||
+ | |- | ||
+ | |align=center|[[충청북도]] | ||
+ | |align=center|26 | ||
+ | |align=center|SM3 Z.E, 레이 EV, 쏘울 EV, 닛산 리프, 아이오닉 일렉트릭, 비엠더블유 i3, 스파크 EV, 볼트 EV, 테슬라 | ||
+ | |- | ||
+ | |align=center|[[세종특별자치시]] | ||
+ | |align=center|9 | ||
+ | |align=center|SM3 Z.E, 레이 EV, 쏘울 EV, 닛산 리프, 아이오닉 일렉트릭, 비엠더블유 i3, 스파크 EV, 볼트 EV, 테슬라 | ||
+ | |- | ||
+ | |align=center|[[대전광역시]] | ||
+ | |align=center|11 | ||
+ | |align=center|SM3 Z.E, 레이 EV, 쏘울 EV, 닛산 리프, 아이오닉 일렉트릭, 비엠더블유 i3, 스파크 EV, 볼트 EV, 테슬라 | ||
+ | |- | ||
+ | |align=center|[[경상북도]] | ||
+ | |align=center|34 | ||
+ | |align=center|SM3 Z.E, 레이 EV, 쏘울 EV, 닛산 리프, 아이오닉 일렉트릭, 비엠더블유 i3, 스파크 EV, 볼트 EV, 테슬라 | ||
+ | |- | ||
+ | |align=center|[[대구광역시]] | ||
+ | |align=center|24 | ||
+ | |align=center|SM3 Z.E, 레이 EV, 쏘울 EV, 닛산 리프, 아이오닉 일렉트릭, 비엠더블유 i3, 스파크 EV, 볼트 EV, 테슬라 | ||
+ | |- | ||
+ | |align=center|[[전라북도]] | ||
+ | |align=center|20 | ||
+ | |align=center|SM3 Z.E, 레이 EV, 쏘울 EV, 닛산 리프, 아이오닉 일렉트릭, 비엠더블유 i3, 스파크 EV, 볼트 EV, 테슬라 | ||
+ | |- | ||
+ | |align=center|[[전라남도]] | ||
+ | |align=center|50 | ||
+ | |align=center|SM3 Z.E, 레이 EV, 쏘울 EV, 닛산 리프, 아이오닉 일렉트릭, 비엠더블유 i3, 스파크 EV, 볼트 EV, 테슬라 | ||
+ | |- | ||
+ | |align=center|[[광주광역시]] | ||
+ | |align=center|15 | ||
+ | |align=center|SM3 Z.E, 레이 EV, 쏘울 EV, 닛산 리프, 아이오닉 일렉트릭, 비엠더블유 i3, 스파크 EV, 볼트 EV, 테슬라 | ||
+ | |- | ||
+ | |align=center|[[경상남도]] | ||
+ | |align=center|36 | ||
+ | |align=center|SM3 Z.E, 레이 EV, 쏘울 EV, 닛산 리프, 아이오닉 일렉트릭, 비엠더블유 i3, 스파크 EV, 볼트 EV, 테슬라 | ||
+ | |- | ||
+ | |align=center|[[울산광역시]] | ||
+ | |align=center|15 | ||
+ | |align=center|SM3 Z.E, 레이 EV, 쏘울 EV, 닛산 리프, 아이오닉 일렉트릭, 비엠더블유 i3, 스파크 EV, 볼트 EV, 테슬라 | ||
+ | |- | ||
+ | |align=center|[[부산광역시]] | ||
+ | |align=center|53 | ||
+ | |align=center|SM3 Z.E, 레이 EV, 쏘울 EV, 닛산 리프, 아이오닉 일렉트릭, 비엠더블유 i3, 스파크 EV, 볼트 EV, 테슬라 | ||
+ | |- | ||
+ | |align=center|[[제주특별자치도]] | ||
+ | |align=center|10 | ||
+ | |align=center|SM3 Z.E, 레이 EV, 쏘울 EV, 닛산 리프, 아이오닉 일렉트릭, 비엠더블유 i3, 스파크 EV, 볼트 EV, 테슬라 | ||
|} | |} | ||
74번째 줄: | 160번째 줄: | ||
==참고자료== | ==참고자료== | ||
+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918249&cid=50324&categoryId=50324 급속 충전]〉, 《네이버 지식백과》 | ||
* 저공해차 통합누리집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ev.or.kr/portal/chargerkind | * 저공해차 통합누리집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ev.or.kr/portal/chargerkind | ||
+ | * 서울특별시, 〈[https://mediahub.seoul.go.kr/archives/2000150 전기차 충전 더 빠르게! 급속충전기 200기 추가 설치]〉, 《내 손안에 서울》, 2021-01-12 | ||
+ | * 박성우 기자,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2/01/2021020102843.html 정부, 올해 전기차 급속 충전기 3000기 확충... 공공부문 2280기]〉, 《조선비즈》, 2021-02-01 | ||
+ | * 천권필 기자, 〈[https://news.joins.com/article/23994847 전기차 급속충전소 주유소만큼 생긴다…“고속도로 등 이동거점 설치”]〉, 《중앙일보》, 2021-02-18 | ||
+ | * 전력 빅데이터 센터 공식 홈페이지 - https://home.kepco.co.kr/kepco/BD/BDBAPP008/BDBAPP008.do?menuCd=FN33020108# | ||
==같이 보기== | ==같이 보기== |
2021년 6월 15일 (화) 11:20 기준 최신판
급속(Rapidity, 急速)은 급하고 빠른 정도를 나타내는 말이다. 반대말은 완속이다.
급속충전[편집]
급속충전은 시간적인 여유가 없을 때 축전지를 자동차에 설치한 채로 급속충전기를 이용하여 축전지 용량의 50% 전류로 충전하는 방법이다. 규격의 전류 값보다 큰 전류를 흐르게 하여 짧은 시간 충전하는 것이기 때문에 긴급을 필요로 할 때 단시간에 대전류 밀도로 충전하는 방식이다.[1]
급속충전기[편집]
특징[편집]
급속충전기는 완전 방전 상태에서 80% 충전까지 30분이 소요되고, 주로 고속도로 휴게소, 공공기관 등 외부장소에 설치된다. 충전기는 고용량의 전력을 공급해야 하므로 50kW급이 주로 설치된다. 사용요금은 100km당 2,700원 정도이다.
차종별 충전방식 구분 차종 충전방식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블루온, 레이, 쏘울, 아이오닉 DC 차데모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아이오닉, 코나, 니로, 쏘울 DC콤보 7핀 르노삼성자동차㈜ 조에 DC콤보 르노삼성자동차㈜ SM3 ZE AC 3상 한국지엠㈜ 스파크, 볼트 DC콤보 비엠더블유 i3 DC콤보 닛산 리프 DC 차데모
충전요금 비교[2] 구분 휘발유차 경유차 급속충전 인하 전 급속충전 인하 후 연비 13.1km/L 17.7km/L 6.3km/kWh 6.3km/kWh 연료비 1,499.65원/L 1,292.58원/L 313.1원/kWh 255.7원/kWh 100km당 연료비 11,448원 7,302원 4,970원 4,059원 연간 연료비 157만 원 1,100만 원 68만 원 56만 원
최근 현황[편집]
2021년, 서울특별시는 전기자동차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2020년 서울 시내 주요 공영주차장, 관공서 등에 공용 급속충전기 200기를 추가 설치했다. 이를 통해 서울 시내 전기자동차 급속충전기는 총 789기까지 확대됐다. 추가 설치된 200기 중 서울시가 직접 설치했거나 자치구/민간을 지원해 설치한 급속충전기는 60기이며, 이 가운데 51기는 지하철역, 구청 등 17개 공영주차장에 집중적으로 설치됐다. 이 밖에도 서울시청 등 관공서와 송월동 공공 차고지 등 공공시설에 설치해 전기자동차 이용자들이 접근성이 좋은 곳에서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도록 했다. 서울시는 대시민 설문조사를 통해 전기자동차 이용자들이 실질적으로 원하는 충전소 위치와 평상시 느끼는 불편사항 등을 적극적으로 반영했다. 서울시가 실시한 친환경 교통수단 이용 관련 대시민 설문조사 2020 결과, 전기자동차 이용자 절반 이상이 주거지 인근에서 주로 충전을 한다고 응답했다. 주거지 외에 충전소 설치를 희망하는 장소로는 주요 공영주차장 35%가 가장 많았다. 전기자동차 구매의 가장 큰 장애 요인으로 충전소 부족과 느린 충전속도를 꼽았다. 서울시가 2020년에 설치한 60기는 공영주차장, 다중이용시설 13개소로 29기, 서울시청 서소문 청사 등 공공시설 3개소로 6기, 여러 개 충전기를 집중적으로 설치해 대기 없이 이용 가능한 서울형 집중충전소 5개소로 25기이다. 서울시는 2019년부터 단독으로 민간충전사업자에게 공용 급속충전기 설치비를 지원했으며, 2020년에는 공영주차장과 다중이용시설 13개소에 급속충전기 29기를 설치 및 완료해 운영 중이다. 서울시는 2021년도 민간사업자 지원으로 급속충전기 20기 이상을 설치할 계획이다. 공영주차장 내 전기자동차 충전기를 이용할 경우 관련 조례에 따라 1시간 주차요금이 면제되고 시민들의 충전요금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서울시 운영 급속충전소에 설치된 17개소 급속충전기 29기를 한시적으로 무료 운영한다. 2020년 서울시는 대기 없이 24시간 이용 가능한 서울형 집중충전소 5개소 급속충전기 25기를 설치했다. 2021년에도 자치구 공개모집을 통해 8개소에 급속충전기 24기를 추가로 구축할 계획이다. 서울형 집중충전소는 급속충전기 3기 이상을 집중적으로 설치하고 24시간 개방해 전기자동차 이용자가 대기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시설이다. 대표적인 서울형 집중충전소인 양재 솔라스테이션에는 급속충전기 6기가 설치돼 하루 40대 이상의 전기자동차가 이용하고 있다.[3] 더불어 정보는 2021년 미래차 30만대 시대를 달성하고 전기자동차 충전기 3만기로 급속충전기 3,000기와 수소충전기 100기 이상을 신설할 방침이다. 환경부는 자동차 제작사의 저공해차 보급목표를 2020년 15%에서 18%로 상향했다. 전기자동차, 수소자동차는 10%로 지정했다. 또한 공공기관에서 사용하는 신규 차량 80% 이상을 전기자동차와 수소자동차로 구매하도록 할 계획이다. 민간기업 대상으로는 오는 2030년까지 보유 차량 100%를 전기자동차와 수소자동차로 전환하도록 하는 K-EV100 프로젝트를 유도한다. 더불어 미래차 충전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유형별로 충전기를 전략적으로 배치할 계획이다. 전기자동차의 경우 최적 입지 시스템을 구축해 2021년 3만 충전기를 전략적으로 배치한다. 기존 충전기보다 3배 이상 빠른 초 급속충전기도 확충하고 수소충전소의 경우 2021년까지 180기를 구축하기 위해 전국 배치계획을 세우고 인/허가 특례와 사업자 연료비 지원 등을 추진한다. 홍남기 부총리는 "소비자들이 전기자동차 구매를 주저하는 이유로 충전소 부족, 장시간 충전 등을 지적하는 만큼 충전소 확충과 함께 충전 시간 단축이 시급하다"며 "설치 비용이 많이 들어 민간의 자발적 설치가 제한적인 급속충전기는 공공부문이 선도해 2,280기를 직접 설치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민간사업자 지원을 통해 접근성과 수익성 높은 곳에 289기를, 운전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기존 주유소에도 충전기 구축비 지원을 통해 300기를 설치하겠다"며 "충전 시간을 대폭 단축한 초 급속충전기도 공공부문에서 최초로 43기 설치하고, 자동차 기업이 자체적으로 80기 이상 설치할 수 있도록 전력, 부지확보, 건축 등을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다.[4]
급속충전소[편집]
2021년, 정부가 무공해차 30만 대를 보급하기 위해 보조금 체계를 개편하고 충전소 등 인프라를 확대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주유소보다 더 편리한 전기자동차 급속충전 환경을 조성한다고 밝혔다. 빅데이터 분석으로 충전 수요가 높은 고속도로 휴게소, 주유소 등 이동거점에 급속충전기 2800여 기, 초 급속충전기 123기 이상을 설치한다. 이를 통해 누적 1만 2,000기가 넘는 주유소 수준의 전기자동차 급속충전 환경을 조성하기로 했다. 수소자동차 충전소 역시 차량 대비 충전소가 부족한 수도권에 2021년까지 50기 이상을 집중적으로 구축한다. 더불어 그린벨트, 도시공원 등에도 충전소 설치가 가능하도록 입지규제를 개선하기로 했다.[5]
급속충전소 개수[6] 지역구분 급속충전기 대수 지원 차종 서울특별시 70 SM3 Z.E, 레이 EV, 쏘울 EV, 닛산(Nissan) 리프, 아이오닉 일렉트릭, 비엠더블유(BMW) i3, 스파크 EV, 볼트 EV, 테슬라(Tesla) 경기도 43 SM3 Z.E, 레이 EV, 쏘울 EV, 닛산 리프, 아이오닉 일렉트릭, 비엠더블유 i3, 스파크 EV, 볼트 EV, 테슬라 인천광역시 10 SM3 Z.E, 레이 EV, 쏘울 EV, 닛산 리프, 아이오닉 일렉트릭, 비엠더블유 i3, 스파크 EV, 볼트 EV, 테슬라 강원도 35 SM3 Z.E, 레이 EV, 쏘울 EV, 닛산 리프, 아이오닉 일렉트릭, 비엠더블유 i3, 스파크 EV, 볼트 EV, 테슬라 충청남도 11 SM3 Z.E, 레이 EV, 쏘울 EV, 닛산 리프, 아이오닉 일렉트릭, 비엠더블유 i3, 스파크 EV, 볼트 EV, 테슬라 충청북도 26 SM3 Z.E, 레이 EV, 쏘울 EV, 닛산 리프, 아이오닉 일렉트릭, 비엠더블유 i3, 스파크 EV, 볼트 EV, 테슬라 세종특별자치시 9 SM3 Z.E, 레이 EV, 쏘울 EV, 닛산 리프, 아이오닉 일렉트릭, 비엠더블유 i3, 스파크 EV, 볼트 EV, 테슬라 대전광역시 11 SM3 Z.E, 레이 EV, 쏘울 EV, 닛산 리프, 아이오닉 일렉트릭, 비엠더블유 i3, 스파크 EV, 볼트 EV, 테슬라 경상북도 34 SM3 Z.E, 레이 EV, 쏘울 EV, 닛산 리프, 아이오닉 일렉트릭, 비엠더블유 i3, 스파크 EV, 볼트 EV, 테슬라 대구광역시 24 SM3 Z.E, 레이 EV, 쏘울 EV, 닛산 리프, 아이오닉 일렉트릭, 비엠더블유 i3, 스파크 EV, 볼트 EV, 테슬라 전라북도 20 SM3 Z.E, 레이 EV, 쏘울 EV, 닛산 리프, 아이오닉 일렉트릭, 비엠더블유 i3, 스파크 EV, 볼트 EV, 테슬라 전라남도 50 SM3 Z.E, 레이 EV, 쏘울 EV, 닛산 리프, 아이오닉 일렉트릭, 비엠더블유 i3, 스파크 EV, 볼트 EV, 테슬라 광주광역시 15 SM3 Z.E, 레이 EV, 쏘울 EV, 닛산 리프, 아이오닉 일렉트릭, 비엠더블유 i3, 스파크 EV, 볼트 EV, 테슬라 경상남도 36 SM3 Z.E, 레이 EV, 쏘울 EV, 닛산 리프, 아이오닉 일렉트릭, 비엠더블유 i3, 스파크 EV, 볼트 EV, 테슬라 울산광역시 15 SM3 Z.E, 레이 EV, 쏘울 EV, 닛산 리프, 아이오닉 일렉트릭, 비엠더블유 i3, 스파크 EV, 볼트 EV, 테슬라 부산광역시 53 SM3 Z.E, 레이 EV, 쏘울 EV, 닛산 리프, 아이오닉 일렉트릭, 비엠더블유 i3, 스파크 EV, 볼트 EV, 테슬라 제주특별자치도 10 SM3 Z.E, 레이 EV, 쏘울 EV, 닛산 리프, 아이오닉 일렉트릭, 비엠더블유 i3, 스파크 EV, 볼트 EV, 테슬라
각주[편집]
- ↑ 〈급속 충전〉, 《네이버 지식백과》
- ↑ 저공해차 통합누리집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ev.or.kr/portal/chargerkind
- ↑ 서울특별시, 〈전기차 충전 더 빠르게! 급속충전기 200기 추가 설치〉, 《내 손안에 서울》, 2021-01-12
- ↑ 박성우 기자, 〈정부, 올해 전기차 급속 충전기 3000기 확충... 공공부문 2280기〉, 《조선비즈》, 2021-02-01
- ↑ 천권필 기자, 〈전기차 급속충전소 주유소만큼 생긴다…“고속도로 등 이동거점 설치”〉, 《중앙일보》, 2021-02-18
- ↑ 전력 빅데이터 센터 공식 홈페이지 - https://home.kepco.co.kr/kepco/BD/BDBAPP008/BDBAPP008.do?menuCd=FN33020108#
참고자료[편집]
- 〈급속 충전〉, 《네이버 지식백과》
- 저공해차 통합누리집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ev.or.kr/portal/chargerkind
- 서울특별시, 〈전기차 충전 더 빠르게! 급속충전기 200기 추가 설치〉, 《내 손안에 서울》, 2021-01-12
- 박성우 기자, 〈정부, 올해 전기차 급속 충전기 3000기 확충... 공공부문 2280기〉, 《조선비즈》, 2021-02-01
- 천권필 기자, 〈전기차 급속충전소 주유소만큼 생긴다…“고속도로 등 이동거점 설치”〉, 《중앙일보》, 2021-02-18
- 전력 빅데이터 센터 공식 홈페이지 - https://home.kepco.co.kr/kepco/BD/BDBAPP008/BDBAPP008.do?menuCd=FN33020108#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