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일반지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썸네일|300픽셀|한국 일반지도 '''일반지도'''(一般地圖, 영어: General Map)란 지형과 사물의 위치를 나타낸 지도로...)
 
잔글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한국 일반지도.png|썸네일|300픽셀|한국 일반지도]]
 
[[파일:한국 일반지도.png|썸네일|300픽셀|한국 일반지도]]
'''일반지도'''(一般地圖, 영어: General Map)란 지형과 사물의 위치를 나타낸 지도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지도이다.
 
  
영토에 대해 통일된 [[축척]]으로 국가가 제작하며 다른 주제도 및 특수도의 기본도로 널리 사용된다.
+
'''일반지도'''<!--일반 지도-->(一般地圖, 영어: General Map)란 [[지형]]과 [[사물]]의 [[위치]]를 나타낸 [[지도]]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지도이다. 일반지도는 [[영토]]에 대해 통일된 [[축척]]으로 [[국가]]가 제작하며 다른 [[주제도]] [[특수도]]의 [[기본도]]로 널리 사용된다.
  
 
== 개요 ==
 
== 개요 ==
10번째 줄: 9번째 줄:
 
일반적으로 지도라고 하는 것은 대부분 지형도를 말한다. 지형도는 지물(地物), 지모(地貌)의 위치와 수목 경지・지표 식생과 피복 상태, 지명과 행정 경계 등 자연(自然), 인문(人文)에 대한 제반 사회사상(事象)이 상세히 표현되어 있어 국가 기본도는 물론 다른 목적으로 쓰이는 지도 제작의 기초가 된다.
 
일반적으로 지도라고 하는 것은 대부분 지형도를 말한다. 지형도는 지물(地物), 지모(地貌)의 위치와 수목 경지・지표 식생과 피복 상태, 지명과 행정 경계 등 자연(自然), 인문(人文)에 대한 제반 사회사상(事象)이 상세히 표현되어 있어 국가 기본도는 물론 다른 목적으로 쓰이는 지도 제작의 기초가 된다.
  
지형은 여러 가지로 나타낼 수가 있는데,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등고선에 의한 것이다. 한국의 지형도는 국립지리원에서 5만분의 1, 2만 5,000분의 1, 1만 5,000분의 1 등의 축척으로 만들어진다.
+
지형은 여러 가지로 나타낼 수가 있는데,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등고선]]에 의한 것이다. 한국의 지형도는 [[국립지리원]]에서 5만분의 1, 2만 5,000분의 1, 1만 5,000분의 1 등의 축척으로 만들어진다.
  
 
평면상에 지형을 표시하는 방법엔 자연적 도법과 부호적 도법이 있다.
 
평면상에 지형을 표시하는 방법엔 자연적 도법과 부호적 도법이 있다.

2022년 2월 27일 (일) 22:09 판

한국 일반지도

일반지도(一般地圖, 영어: General Map)란 지형사물위치를 나타낸 지도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지도이다. 일반지도는 전 영토에 대해 통일된 축척으로 국가가 제작하며 다른 주제도특수도기본도로 널리 사용된다.

개요

일반지도는 건설부에서 만든 축척 1만분의 1, 2만 5,000분의 1, 5만분의 1의 지형도처럼 산지・하천・해안선 등의 자연 형태, 논・밭・삼림 등의 토지 이용 상태, 취락・도로철도 등의 인문 사항 등 지표면의 일반적인 형상을 축척에 따라 골고루 그려 놓은 지도를 말한다. 가장 널리 쓰이는 5만분의 1 지형도는 실제 토지 길이 1km를 2cm로 줄인 것으로, 국내 국토 전부가 빠짐없이 실려 있는 것이다. 2만 5,000분의 1 지형도에는 대도시와 그 주변의 지역이 그려져 있다. 지형도를 읽으면 어떤 지역의 땅 모양과 그곳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알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일반지도는 지세도, 지방도, 한국전도, 세계 지도 등이 있다.

지형도

일반적으로 지도라고 하는 것은 대부분 지형도를 말한다. 지형도는 지물(地物), 지모(地貌)의 위치와 수목 경지・지표 식생과 피복 상태, 지명과 행정 경계 등 자연(自然), 인문(人文)에 대한 제반 사회사상(事象)이 상세히 표현되어 있어 국가 기본도는 물론 다른 목적으로 쓰이는 지도 제작의 기초가 된다.

지형은 여러 가지로 나타낼 수가 있는데,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등고선에 의한 것이다. 한국의 지형도는 국립지리원에서 5만분의 1, 2만 5,000분의 1, 1만 5,000분의 1 등의 축척으로 만들어진다.

평면상에 지형을 표시하는 방법엔 자연적 도법과 부호적 도법이 있다.

  • 자연적 도법 : 음영법, 영선법
  • 부호적 도법 : 단채법, 점고법, 등고선법[1]

지형도는 토포그래피(topography)라는 영어에서 번역된 용어이며 토포그래피란 소지역을 기술한다는 뜻과 땅의 모양, 즉 지형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지형도는 땅의 형태, 즉 산·강·평야 등을 주로 나타낸 주제도(主題圖)와 소지역의 도로, 촌락과 도시, 공공 시설물 등을 빠짐없이 나타낸 일반도(一般圖)의 양면을 갖추고 있다.

축척은 미터법을 쓰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프랑스독일일본 등에서는 5만 분의 1 지형도가 일반적이나 영국미국에서는 1마일이 지도에 1인치가 되도록 하는 6만 3,360분의 1 축척 지도를 만들어왔다. 그러나 미국에서도 군사용 지도는 5만 분의 1 지형도를 쓰고 있고 일반용도 6만 2,500분의 1 축척으로 개정하였다.

지형도는 정밀삼각망(精密三角網) 측량이 기초가 되며 현지 측량으로 각 도엽이 완성된다. 우리나라 지도는 1918년에 전국 722도엽인 5만 분의 1 지형도가 일본 군부에 의해서 완성되었다. 광복 후에는 미군 측지부대가 항공사진의 촬영과 함께 기존의 5만 분의 1 지형도와 2만 5,000분의 1 시가도의 편집과 제작 사업을 수행하였다.

1957년 8월에 우리나라의 국방부 산하 기관으로 지리연구소가 창설되어 지도 제작 사업을 맡게 되고, 1961년 2월 이 사업은 내무부 국립건설연구소에 이관되었다. 1970년대에 들어서서 국토의 건설과 이용이 활발해짐에 따라 그 실시에 필요한 지도 제작을 전담하는 건설부 국립지리원을 1974년 11월 발족시켰다.

국립지리원에서는 항공사진에 의한 5만 분의 1 지형도의 정비와 2만 5,000분의 1 지도의 작성을 연차적으로 실시하여 완성하였고, 5년을 주기로 수정과 보완을 계속하고 있다. 5만 분의 1 지형도를 기본도로 하고 있던 지리원에서는 2만 5,000분의 1 지형도를 기본도로 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5만 분의 1 지도를 수정, 보완하고 있다.

정밀한 지형도는 국토 개발은 물론 각종 인문 사회적 계획 수립에도 없어서는 안 될 기초 자료가 되므로 지형도 제작 기술과 정확하고 풍부한 내용은 그 나라의 문화 정도를 가늠하는 척도의 하나가 되기도 한다.[2]

지세도

지표의 형태 및 지표에 분포하는 사물을 정확하고 상세하게 그린 지도이다. 등고선으로 땅의 높낮이를 나타낸다. 우리나라에서는 5000분의 1, 2만 5000분의 1, 5만분의 1 의 축척으로 된 세 종류가 발행되고 있다.

장점은 지형(산맥, 평지)과 바다의 수심 등을 색깔로 알 수 있으며 단점은 국가와 지역의 위치, 국경 간의 경계선 파악이 힘들다.

북한 지도 공개

2009년 촬영 함경북도 나진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은 그간 대북 관련 국가기관에만 제공하던 북한지역의 지형도, 위성지도, 수치지형도를 2014년 3월 28일부터 민간에 공개하였다.

공개되는 북한 지도(지형도, 위성지도, 수치지형도)는 '07~'09년 제작된 1/25,000 및 1/50,000 축척으로 북한의 국토 현황은 물론 건물・도로・철도 등 최근 도시발전 모습까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북한 전역의 위성지도와 지형도를 한권의 책으로 묶은 '북한지도집'을 발간하고 홈페이지를 통해 전자책(pdf) 형태로 서비스한다.

실제로, 해외 지도 포털(구글 등) 지도와 비교해 보면 도시의 모습이나 지명 등이 최신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간, 북한 지도는 남・북한 경제협력이나 통일에 대비한 중요한 정책자료로 대북 업무를 담당하는 국가기관에만 제공되어 왔으나, 이번 정보 공개를 통해 민간기업의 대북 경제협력과 통일 연구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토지리정보원은 북한 지도를 지속적으로 수정・갱신하여 국민에게 최신의 북한 국토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며, 통일에 대비해 앞으로 북한의 주요 도심지역까지 확대한 상세지도(1/5,000 축척 등)를 제작할 방침이다.[3]

각주

  1. 지형도〉, 《위키백과》
  2. 지형도(地形圖)〉,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윤철수 기자, 〈닫혀있던 북한지도, 일반에 공개...평양 모습은?〉, 《헤드라인제주》, 2014-03-27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일반지도 문서는 운송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