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양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동아시아 위치 지도}} 썸네일|300픽셀|'''북한''' 위치 썸네일|300픽셀|평안남도 위치 파일...) |
(차이 없음)
|
2024년 4월 3일 (수) 09:55 기준 최신판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신양군(新陽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동부에 위치해 있는 군이다.[1][2]
개요[편집]
신양군의 면적은 737.20㎢이며 인구는 59,115명(2008)이다. 북쪽으로 맹산군, 동쪽으로 함경남도 요덕군, 고원군, 남쪽으로 양덕군, 회창군, 황해북도 신평군, 서쪽으로 북창군, 성천군, 회창군과 접한다. 군소재지는 신양읍이며, 대동강 지류인 평원천을 끼고 자리하여 있다.
1952년에 평양남도 양덕군의 일부와 성천군의 일부를 병합하여 신설된 군으로서 대부분 양덕군의 지역으로 이루어졌으므로 새로운 양덕군이라는 뜻에서 새로울 신(新)자에 양덕군의 양(陽)자를 붙여 신양군이라 하였다.[3]
자연환경[편집]
신양군은 대동강의 지류인 비류강(沸流江) 상류연안의 내륙산간지대에 위치해 있는데, 영역 내에서 가장 높은 곳은 운봉리에 있는 백산(白山, 1,449m)이고 가장 낮은 곳은 덕흥리의 비류강바닥(95m)이다. 동부지역에 북대봉산줄기(北大峯山-)와 그 지맥이 뻗어 있으며 여기에 백산, 북대봉(北大峯, 1,326m)을 비롯하여 해발 1,000m 이상의 높은 산들이 솟아 있다.
비류강의 서쪽지역은 북대봉산줄기보다 낮은 천성산줄기(天聖山-)와 그의 지맥들로 둘러싸여 있는데, 여기에는 사악산(四嶽山, 870m), 시루봉(741m) 등 산이 솟아 있다. 비류강의 지류인 평원천(平原川)의 남쪽지역에는 만산령산(萬山嶺山, 951m), 기대봉(818m), 자하산(紫霞山, 1,217m) 등 산과 령이 솟아 있으며 양덕군과의 경계에는 늘밭고개(743m), 덕고개(503m)를 비롯한 고개들이 분포되어 있다.
신양군은 신양분지(新陽盆地)에 위치해 있는 신양읍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이 산지 지형을 이루고 있는데, 15°이하의 경사지는 신양군 영역의 23%에 불과하고 절반에 가까운 지역이 25°이상의 경사지로 되어 있다. 지질은 낭림층군, 상원계, 황주계층의 퇴적변성암과 단천암군의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북서방향으로 놓인 장림단층, 송전단층, 관성단층 등이 분포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철, 금, 납, 아연, 텅스텐, 안티몬, 니켈, 수은, 초무연탄, 흑연 등이 매장되어 있다.
이 지역은 평안남도에서 일조율과 기온이 낮고 강우량이 많은 지역의 하나이다. 또한 지형이 복잡하기 때문에 기후의 차이도 크다. 연평균일조율은 46%로서 평안남도에서 일조율이 가장 적은 지역에 속한다. 일조율은 가장 높은 3월에 57%이고 가장 낮은 7월에 30%이다.
연평균기온은 8.2℃로서 기온이 낮은 양덕, 맹산 등 지역들보다는 0.9℃ 높다. 1월 평균기온은 -9.5℃, 8월 평균기온은 23.3℃이다. 지금까지의 최고극기온은 35.8℃(1956년 8월 2일)였고, 최저극기온은 -30.7℃(1967년 1월 15일)였다. 신양군내에서 용연, 용운, 운봉, 송동 등 해발이 높은 지역은 신양읍에 비하여 연평균기온이 1.0℃ 정도 낮고 덕흥, 장산, 송전 등 비교적 낮은 지역은 신양읍에 비하여 1.0℃ 정도 높다. 연평균강수량은 1,282mm이다. 첫서리는 10월 초에, ‘마감서리’는 다음해 4월 말에 내린다. 연평균풍속은 0.7m/s로서 평안남도에서 바람이 가장 약하게 부는 지역이다.
신양군의 기본 수계는 비류강이다. 비류강은 민봉산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흐르다가 장성리 일대에서 방향을 바꾸어 서쪽으로 흐르며 사개리에서 다시 방향을 바꾸어 남서쪽으로 흘러 성천군으로 유입된다. 이밖에 길이 5km 이상 되는 하천이 모두 10개 유입되어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하천은 맹산개(孟山-), 평원천(平原川), 풍전개, 선소천 등이 있다.
산림은 신양군 전체면적의 81%를 차지하는데 소나무, 잣나무, 잎갈나무, 전나무, 분비나무, 가문비나무 등이 주요 수종을 이루고 있으며 이밖에 신갈나무, 사스래나무, 피나무, 단풍나무, 가래나무, 엄나무, 박달나무, 황벽나무, 물푸레나무 등도 분포되어 있다.
전반 지역이 풍부한 산림 자원을 가지고 있지만 특히 북대봉산줄기 일대는 산림자원량이 풍부하고 그 종적구성 역시 아주 다양하다. 북대봉산줄기의 주봉의 하나인 북대봉은 온대남부요소식물분포에서 북쪽한계선으로 되고 있으며 북한 중부지대에서 수직대성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대표적인 중산성산의 하나이다. 이 산에서는 식물의 종적구성이 매우 다양하고 금강초롱을 비롯한 진귀한 식물들과 약용식물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
신양군의 모든 리들에 1,000정보 이상의 산림면적이 분포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 장성리와 쌍룡리는 6,500여 정보의 넓은 산림면적을 가지고 있다. 산림은 광복 전 왜적들의 약탈로 파괴되고 황폐화되었었다. 광복 후 신양군에서는 자연개조방침에 근거하여 산림의 질적 구성을 개선하고 그 축적량을 제고하기에 힘을 기울였다. 신양군에서는 해마다 250여 정보의 산림에 잣나무, 잎갈나무를 비롯한 경제림을 조성하였는데, 현재 잣나무를 비롯한 기름나무숲은 관성리 · 사개리 · 창개리 등 지역에, 잎갈나무숲은 용운리 · 창개리 등 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있다.
산림축적량이 많은 지역은 장성리와 운봉리이다. 이 지역의 산림 속에는 밤, 도토리, 참나물을 비롯한 여러 가지 산중부원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 도토리는 신양군의 모든 리들에 분포되어 있으나 특히 장성리와 운봉리 일대에서 많이 산출되며, 밤은 송전리와 백석리에서, 머루와 다래는 용연리와 송전리에서 많이 산출된다. 신양군은 내륙산간지역으로서 동물지리구계로 볼 때 조선저지소구에 속한다.
비류강 상류수역에는 종개, 하늘종개, 금강모치와 같은 냉수성 어류와 송사리, 누치, 미꾸라지, 행베리, 자그사니, 참마자 등 온수성 어류를 포함한 약 20종의 민물고기들이 분포되어 있으며, 신양군의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산림 속에는 40여 종의 익조와 고슴도치, 두더지, 주름코박쥐 등 벌레먹는 짐승류가 분포되어 있다. 그밖에 신양군에는 청개구리, 참개구리, 들꿩, 꿩, 다람쥐, 청서, 여우, 너구리, 노루, 고라니 등 동물들도 서식하고 있다. 토양의 대부분은 갈색산림토양이며 하천연안들에는 충적토와 논토양이 분포되어 있다.[4]
역사[편집]
신양군 지역은 원래 평안남도 양덕군과 성천군에 소속되어 있었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양덕군(陽德郡)의 쌍룡면(雙龍面) · 화촌면(化村面) · 오강면(吳江面)과 성천군(成川郡)의 대구면(大邱面)을 병합하여 신양군을 구성하였는데, 이때 양덕군 쌍룡면의 용전리 · 송전리 · 정옥리 · 용반리를 병합하여 신양읍(新陽邑)으로, 양덕군 화촌면의 풍계리 · 여의리 · 문암리 · 화암리를 병합하여 사개리(四介里)로, 양덕군 화촌면의 문흥리와 오강면 월명리를 병합하여 문명리(文明里)로, 양덕군 화촌면의 쌍평리와 창개리를 병합하여 창계리(滄溪里)로, 양덕군 화촌면의 평곡리 · 백석리 · 장성리를 병합하여 백석리(白石里)로, 양덕군 오강면의 등암리 · 신흥리 · 용담리를 병합하여 용운리(龍雲里)로, 양덕군 오강면의 용포리 · 연봉리 · 용반리를 병합하여 용련리(龍蓮里)로, 양덕군 오강면의 장원리와 창리를 병합하여 장성리(長城里)로, 양덕군 오강면의 신봉리 · 봉암리 · 신풍리를 병합하여 운봉리(雲峯里)로, 성천군 대구면의 원평리와 별창리를 병합하여 창평리(倉坪里)로, 성천군 대구면의 신장리와 광산리를 병합하여 장산리(長山里)로, 성천군 대구면의 지동일리와 지동이리를 병합하여 지동리(池洞里)로, 성천군 대구면의 화인리와 천동리를 병합하여 화천리(華泉里)로, 양덕군 쌍룡면의 중리와 북창리를 병합하여 쌍룡리(雙龍里)로, 양덕군 쌍룡면의 관봉리와 반성리를 병합하여 관성리(冠城里)로, 양덕군 화촌면의 용흥리와 쌍룡면 화락리를 병합하여 용화리(龍和里)로, 양덕군 쌍룡면의 평창리와 용봉리를 병합하여 광흥리(光興里)로 각각 개편하여 1읍 16리를 관할하였다.
1953년에 용화리를 분리하여 관성리와 백석리에, 백석리 일부를 관성리에, 관성리 일부를 광흥리에 각각 편입하고, 신양읍을 송전리(松田里)로 강등하면서 창평리와 화천리 일부를 병합하여 신양읍으로 개편하였다. 1967년에 양덕군의 평원리(平元里), 송동리(松洞里)와 성천군 덕흥리(德興里)를 흡수하였고, 1983년에 평원리와 화천리를 병합하여 인평노동자구(仁坪勞動者區)를 신설하였다. 2003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신양읍), 1구(인평노동자구), 16리(관성리, 광흥리, 덕흥리, 용연리, 용운리, 문명리, 백석리, 사개리, 송동리, 송전리, 쌍룡리, 운봉리, 장산리, 장성리, 지동리, 창계리)로 구성되어 있다. 신양군 소재지는 신양읍이다.[5]
산업[편집]
신양군의 경제구조는 광업과 임업, 지방공업, 농촌 경제 등 부문으로 이루어졌다. 신양군의 중앙공업에서 첫 자리를 차지하는 것은 광업이다. 광업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증대된 갱목의 수요량은 임업의 발전을 가능케 하였다. 신양군의 주요 통나무산지는 덕흥, 사개, 창개, 용연, 백석, 문명 일대이다.
지방공업은 기계, 식료품, 일용품, 종이, 피복 등 공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계공업부문에서는 신양군 내의 지방산업공장들의 설비보수를 담당하면서 생산공정을 기계화, 자동화하는 데 필요한 설비들과 부속품들을 생산하고 있다. 식료품공업은 간장, 된장, 기름 생산과 산열매가공, 양곡가공 부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신양군의 산열매가공은 평안남도에서 의의를 가지고 있는데, 그 주요 업체는 장성식료가공공장(長城食料加工工場)이다. 이밖에 사탕, 과자, 고기가공품, 과일가공품 등 여러 가지 식료품들을 생산하고 있다.
일용품공업은 군의 주요 공업부문의 하나로서 수지일용품, 가죽가공품, 초물제품, 부엌세간 등 제품들이 산출되고 있다. 신양군에서는 풍부한 산림자원을 이용하여 이불장, 양복장, 책장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가구들을 생산하고 있다. 초물제품생산은 일용품공업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 이밖에 신양군에서는 종이, 털모자, 천, 옷 등도 산출되고 있다.
농업에서는 곡물 생산을 위주로 축산업과 과수업, 누에치기 등 다각적인 농촌경리의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농경지는 신양군 전체면적의 15% 되는데, 그 중 밭이 86%, 논이 4%, 과수밭이 4%, 뽕밭이 5%를 차지한다. 농경지의 대부분이 평원천과 그 지류들의 좁은 골짜기들을 따라 산경사지에 분포되어 있다.
신양군은 농경지의 분포에서도 일련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해발 500m 이상 되는 지역에 분포된 농경지가 71%를 차지하며 800m 이상의 높은 지대에도 25%가 분포되어 있다. 또한 농경지의 86%가 16~25°의 급한 경사지에 조성되어 있다. 이러한 자연조건을 고려하여 신양군에서는 새 땅을 많이 개간하여 곡물생산량을 증가하는 한편 토지정리와 토지개량사업을 크게 벌였다.
주요 곡물은 옥수수, 벼, 콩 등이다. 옥수수는 군 곡물생산량의 90%를 차지하며 주요 산지는 신양읍, 인평노동자구, 지동리, 덕흥리, 장산리, 송전리, 광흥리, 백석리 등이 있다. 채소업은 신양읍, 인평노동자구, 덕흥리 등 지역에서 발달되어 있는데 주로 무, 배추, 시금치를 비롯한 일반채소와 갖가지 양념감채소를 재배하고 있다. 축산업은 군의 농촌경리에서 곡물생산 다음으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신양군에서는 자연 방목지로 적합한 자연지리조건을 이용하여 주로 돼지, 소, 양, 닭, 토끼 등 가축을 사육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 소, 양, 염소는 주로 방목하고 있다.
신양군은 광복 전까지 과일나무를 재배하지 못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었다. 광복 후 신양군에서는 경사지들을 일구어 많은 과수원을 조성하였는데, 주로 사과, 배, 복숭아, 자두, 살구 등이 산출되고 있다. 송전, 관성, 백석 등 지역들을 비롯한 석회암 지역들에서는 수백 정보의 뽕밭을 새로 조성하여 누에고치를 생산하고 있다.[6]
교통[편집]
교통은 이 지역의 평원천을 따라 평라선이 신양군내의 3개 리와 인평노동자구, 신양읍을 통과하고 있는데, 그 길이는 27.4km이다. 여기에는 지수역(智水驛), 인평역(仁坪驛), 신양역(新陽驛) 등이 설치되어 있다.
도로는 평양~원산 간 1급도로, 희천~평산 간 도로가 달리고 있으며 이밖에 신양군내 여러 지역과 주변 군들을 연결하는 도로가 개설되어 있다.[7]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 ↑ 〈신양군〉, 《위키백과》
- ↑ 〈신양군〉, 《나무위키》
- ↑ 〈신양군 (新陽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남도 신양군 자연〉, 《네이버 지식백과》
- ↑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남도 신양군 역사〉, 《네이버 지식백과》
- ↑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남도 신양군 경제〉, 《네이버 지식백과》
- ↑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남도 신양군 교통〉,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편집]
- 〈신양군〉, 《위키백과》
- 〈신양군〉, 《나무위키》
- 〈신양군 (新陽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남도 신양군 자연〉, 《네이버 지식백과》
-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남도 신양군 역사〉, 《네이버 지식백과》
-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남도 신양군 경제〉, 《네이버 지식백과》
-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남도 신양군 교통〉, 《네이버 지식백과》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