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군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시중군(時中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자강도 중북부에 위치해 있는 군이다.[1][2]
개요
시중군의 면적은 602.33㎢이며 인구는 41,842(2008)명이다. 북쪽과 서쪽으로 만포시, 동쪽으로 장강군·강계시, 남쪽으로 위원군과 접한다. 동서(영흥리~노남리) 간의 길이는 32km이고, 남북(약수리~천장리) 간의 길이는 38km이며, 도 전체면적의 3.59%를 차지한다. 현재 행정구역은 1읍 14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군 소재지는 시중읍이다.
1952년에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자강도 장강군과 만포군의 일부 지역을 분리하여 새로 군을 설립하면서 만포군의 원 시중면(時中面)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하여 시중군(時中郡)이라 하였다. 시중면은 시상면과 시하면의 일부 지역을 통합하여 이루어졌는데, 시상면(時上面)과 시하면(時下面)이 원래 이 지역에 있던 시천방의 위쪽지역과 아래쪽지역이라는 데서 유래된 지명이다. 시천방(時川坊)의 시천(時川)은 몸을 씻거나 빨래를 하는 개울이 있는 지역이라는 데서 유래되었다.[3]
자연환경
시중군은 전반적으로 산지가 우세한 군이다. 군의 동부와 남부에는 높은 산들이 솟아 있는데, 여기에 매바위산(1,135m), 중지봉(1,241m), 시루봉(1,355m) 등 해발 1,000m 안팎의 높은 산과 안룡령(705m), 판막령(955m) 등 높은 영들이 있다. 산줄기는 장자강에 의해 단절되어 산줄기형태를 거의 찾아볼 수 없을 정도이다. 지형은 동부와 남동부가 높고 여기서 서쪽과 북서쪽으로 점차 낮아지는 지세를 이루고 있다. 시중군에서 가장 높은 곳은 남부의 시루봉이고 가장 낮은 곳은 서부의 장자강 기슭으로서 해발 220m 정도이며 그 높이차이가 1,100m나 된다.
이 지역에는 해발 400m 이하의 낮은 지대가 약 3분의 1을 차지하며 해발 800m 아래 지대는 90% 정도로서 저산성산지가 우세하다. 전반적으로 낮은 지대로 되어 있으나 경사가 심한 지대가 많아 대조적인 특징을 나타낸다. 물매가 15°미만의 지대가 20% 정도 차지하고 있는데, 자강도에서 그 비율이 가장 높다. 25°이상의 급한 경사면을 가진 지대는 3분의 2로서 그 비율이 훨씬 높다.
동부와 남동부에 있는 산들은 대부분 산릉선과 산 경사면이 급경사를 이루고 있으며 벼랑과 테일러스들이 발달되어 있다. 북부의 이남천 유역일대와 십이집산 일대에는 석회암지형체가 발달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석회암깔대기와 석회동굴들이 여러 곳에 분포되어 있다. 장자강과 그 지류들의 연안에는 4개 계열의 단구들이 발달되어 있다.
지질은 시생대 변성암들이 넓게 분포되어 있으며 일부 지역에 연화산암군과 압록강암군의 관입체들과 상원계, 황주계, 중생대의 연무리통의 지층이 분포되어 있다. 주요 기반암은 편마암, 화강암, 규암, 이회암, 석회암, 고회암, 점판암, 대리암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여기에는 금, 동, 납, 아연, 텅스텐, 흑연, 인회석, 유화철, 석회석, 이탄 등 지하자원이 분포되어 있다.
기후는 전형적인 대륙성기후의 특성을 보이고 있다. 기온의 하루 및 연 교차가 주변 시, 군들에 비하여 크고 특히 겨울철 기온이 낮다. 연평균기온은 5.4℃, 1월 평균기온은 -16.4℃, 7월 평균기온은 23.3℃, 10℃이상 적산온도는 3,057℃, 연평균최고기온은 12.8℃, 연평균최저기온은 -0.7℃, 연평균강수량은 964.7mm이다. 첫서리는 10월 초, 마감서리는 다음해 5월 초에 내린다. 눈은 10월 하순부터 다음해 4월 중순까지 내린다. 주풍은 북서풍이며 연평균풍속은 1m/s이다. 연평균상대습도는 76%로서 자강도에서 가장 높은 지역의 하나이다.
하천은 장자강과 여기에 흘러드는 이남천, 풍룡천 등이 유입되어 있다. 이밖에 장자강호가 있다. 이 지역에는 길이가 5km 이상 하천이 9개 있으며 그 가운데서 길이가 20km 이상인 하천은 2개, 10~20km인 하천은 2개, 그밖의 하천들은 10km 미만의 하천이다. 하천들의 유역평균너비는 5km, 유역의 완전도는 0.2~1.0, 물매는 21.5‰, 가권물매는 16.4~26.1‰, 하천망밀도는 0.32km/km2이다. 구창골천을 제외한 하천들의 물매는 느리다. 약수터로는 외귀약수터 등이 있다. 북한 식물분포구에서 온대북부구에 속한다.
산림은 시중군 전체면적의 83.3%를 차지하고 있는데, 해발 800m 이하 지역에는 소나무와 참나무 혼성림이, 800m~1,000m 되는 지역에는 피나무와 참나무를 주로 하는 혼성림이, 1,000m 이상 지역에는 삼송류와 사스래나무를 주로 하는 혼성림이 분포되어 있다. 주요 수종으로는 잎갈나무, 분비나무, 가문비나무, 소나무, 참나무, 피나무, 사스래나무, 물푸레나무, 자작나무, 잣나무 등이 있다. 광복 후 잣나무, 잎갈나무, 가래나무, 아까시나무숲을 비롯하여 1만 4,400여 정보의 산림을 새로 조성하였다.
산림 속에는 머루, 다래, 산딸기, 도토리, 돌배, 고사리, 고비, 도라지, 두릅, 참나물, 송이버섯, 삽주, 오미자, 삼지구엽초, 당귀 등 산중부원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 동물로는 족제비, 너구리, 오소리, 여우, 노루, 할미새, 산새, 동고비, 박새, 올빼미, 꾀꼬리, 촉새 등이 서식하고 있다. 토양은 갈색산림토양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표백화갈색산림토양은 높은 산봉우리들에, 충적토는 강과 지류들이 합류하는 지역들에, 논토양은 장자강 연안을 따라 분포되어 있으며 진펄토양이 반점모양으로 널려 있다.[4]
역사
시중군 지역은 본래 자강도 장강군과 만포군의 지역이었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장강군 곡하면(曲河面) · 어뢰면(漁雷面)과 만포군 시중면(時中面)의 전체 리를 병합하여 자강도에 시중군을 신설하였는데, 이때 시중면의 외시천리 · 전평리를 병합하여 시중읍(時中邑)으로, 곡하면의 쌍신리를 쌍신리(雙新里)로, 곡하면의 부의리 · 의진리를 병합하여 의진리(義眞里)로, 곡하면의 흥주리를 흥주리(興洲里)로, 곡하면의 쌍부리를 쌍부리(雙富里)로, 어뢰면 천성리를 천성리(天城里)로, 어뢰면의 천장리를 천장리(天章里)로, 어뢰면의 풍룡리를 풍룡리(豊龍里)로, 어뢰면의 종인리 · 노인리를 병합하여 종인리(從仁里)로, 어뢰면의 풍청리를 풍청리(豊淸里)로, 시중면의 내리 · 상청리를 병합하여 상청리(上淸里)로, 시중면의 청가리 · 안찬리를 병합하여 안찬리(安贊里)로, 시중면의 심포리 · 심귀리를 병합하여 심귀리(深貴里)로, 시중면의 노남리 · 남파리를 병합하여 노남리(魯南里)로, 시중면의 연평리를 연평리(淵坪里)로 각각 개편하여 1읍 14리를 관할하였다. 1958년에 안찬리 일부 지역이 상청리에 편입되었다.
1961년에 만포군 약수리(藥水里), 흥판리(興判里), 이남리(吏南里)를 흡수하고 흥주리를 강계시에 이관하였으며, 흥판리 일부를 이남리에, 노남리 일부를 만포군 연상리에 각각 편입하였다. 1995년에 의진리, 쌍신리가 강계시에 이관되었으며, 1998년에 쌍부리가 영흥리(永興里)로 개칭되었다. 2003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시중읍), 14리(노남리, 이남리, 상청리, 심귀리, 안찬리, 약수리, 연평리, 영흥리, 종인리, 천성리, 천장리, 풍룡리, 풍청리, 흥판리)로 구성되어 있다. 시중군 소재지는 시중읍이다.[5]
산업
시중군의 경제는 현대적인 설비와 기술로 장비된 30여 개의 중앙공업 및 지방공업과 여러 모로 발전된 농촌 경제가 이루어져 있다. 주요 공업 부문은 임업, 광업, 기계공업, 화학공업, 방직 및 피복공업, 건재공업, 일용품공업, 식료품공업, 종이공업 등이 있다. 임업은 지역 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주요 업체로는 시중임산사업소가 있다. 통나무의 주요 채벌지는 천장, 종인 일대이다. 여기서 생산된 통나무는 북한 경제 여러 부문에 쓰인다.
시중군에는 석회석을 채굴하는 시중광산이 있다. 전국적 의의를 가지는 탄산칼슘 산지로도 유명하다. 기계공업부문에서는 주로 광업과 농촌경제 부문을 발전시키는 데 필요한 기계설비들과 기계부속품들을 생산하고 있다. 광산기계수리공장, 탐사기계수리공장, 기계수리공장, 농기구공장들에서는 주철뽈, 쇠알, 변속기어, 용접봉을 비롯하여 각종 기계부속품들과 농기구들을 생산하고 있다. 화학공업부문에서는 가성소다, 염산, 칠감, 색감 등을 생산하고 있다. 방직공장에서는 스테이플파이버를 비롯한 여러 가지 천을, 피복공장에서는 학생옷, 작업복, 어린이옷 등을 생산하고 있다.
시멘트공장과 벽돌공장에서는 시멘트와 벽돌, 블록을 비롯한 건설 건재를 생산하고 있다. 유리공장에서는 판유리와 함께 여러 가지 유리일용품을 생산하고 있다. 일용품공업은 목재일용품, 문화일용품, 초물일용품, 도자기일용품 등으로 이루어졌다. 여기에는 목재일용품생산협동조합, 실험기구공장, 초물공장, 모피공장, 독공장, 가내생산협동조합 등 업체들이 있는데 주요 제품은 이불장, 찬장, 밥상, 교구비품, 털모자, 가죽장갑 등이 있다.
장공장과 채소가공공장에서는 장류와 기름, 산채가공품, 고기가공품을 비롯하여 40여 가지의 식료품을 생산하고 있다. 이밖에도 종이공장, 제약공장 등을 비롯하여 지방산업공장들이 발족되어 있다. 농업에서는 곡물생산을 기본으로 하면서 축산업, 과수업, 잠업 등 여러 부문을 다같이 발전시키고 있다. 농경지 가운데서 논이 12%, 밭이 75%, 과일밭이 3%, 뽕밭이 8%를 차지한다. 주요 곡물로는 옥수수, 벼, 콩, 보리 등이 있는데 벼는 상청리, 풍룡리, 이남리, 약수리 등 지역이 주요 산지로 되어 있고 옥수수는 풍룡리, 이남리, 상청리, 심귀리 등 지역이 주요 산지로 되어 있다.
채소는 배추, 무, 시금치, 고추, 오이, 마늘, 호박, 토마토, 가지, 파 등을 재배하고 있다. 공예작물로는 들깨, 역삼, 약초 등이 있다. 과수업은 안찬, 풍룡, 약수, 이남, 연평, 상청리 등 지역에서 발달되어 있는데 주로 배, 자두, 포도, 사과 등이 산출되고 있다. 축산업에서는 배합사료공장을 비롯한 축산기지를 갖춰놓고 고기, 우유, 알, 털 등 축산물 생산을 늘리고 있다. 가축은 주로 소, 양, 염소, 토끼, 돼지, 닭, 오리 등을 사육하고 있다. 양잠업도 발달되어 있는데 그 주요 산지는 풍청, 풍룡, 영흥, 이남, 흥판 등 지역이다. 시중군에서는 피나무, 싸리나무, 아까시나무 등을 이용하여 양봉업도 발전시키고 있다.[6]
교통
교통은 장자강 기슭을 따라 만포선이 통과하고 있으며 여기에 쌍부역, 안찬역, 시중역 등 역이 설치되어 있다. 도로는 강계~만포, 시중~상청, 연평~풍용~약수~이남 간, 심귀~노남 간 도로가 달리고 있다.
이 밖에 장자강호를 이용하여 수상통로가 개설되어 있는데, 그 중심지는 시중항이다. 시중항에는 장자강해운사업소가 있다. 시중~연하(만포시) 간 정기항로가 개설되어 있는데 배가 닿는 주요 지점은 도상계, 심귀, 노남, 남파, 풍청, 연하(만포시) 등지이다.[7]
지도
동영상
각주
- ↑ 〈시중군〉, 《위키백과》
- ↑ 〈시중군〉, 《나무위키》
- ↑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북도 시중군 개요〉, 《네이버 지식백과》
- ↑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북도 시중군 자연〉, 《네이버 지식백과》
- ↑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북도 시중군 역사〉, 《네이버 지식백과》
- ↑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북도 시중군 경제〉, 《네이버 지식백과》
- ↑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북도 시중군 교통〉,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
- 〈시중군〉, 《위키백과》
- 〈시중군〉, 《나무위키》
-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북도 시중군 개요〉, 《네이버 지식백과》
-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북도 시중군 자연〉, 《네이버 지식백과》
-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북도 시중군 역사〉, 《네이버 지식백과》
-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북도 시중군 경제〉, 《네이버 지식백과》
-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북도 시중군 교통〉, 《네이버 지식백과》
같이 보기
동아시아 같이 보기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