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평산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동아시아 위치 지도}} 썸네일|300픽셀|'''북한''' 위치 썸네일|300픽셀|황해북도 위치 파일...)
 
잔글
 
4번째 줄: 4번째 줄:
 
[[파일:평산군 위치.png|썸네일|300픽셀|평산군 위치]]
 
[[파일:평산군 위치.png|썸네일|300픽셀|평산군 위치]]
  
'''평산군'''<!--평산 군-->(兎山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 남부에 위치해 있는 군이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8F%89%EC%82%B0%EA%B5%B0 평산군]〉, 《위키백과》</ref><ref>〈[https://namu.wiki/w/%ED%8F%89%EC%82%B0%EA%B5%B0  평산군]〉, 《나무위키》</ref>   
+
'''평산군'''<!--평산 군-->(平山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 남부에 위치해 있는 군이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8F%89%EC%82%B0%EA%B5%B0 평산군]〉, 《위키백과》</ref><ref>〈[https://namu.wiki/w/%ED%8F%89%EC%82%B0%EA%B5%B0  평산군]〉, 《나무위키》</ref>   
  
 
== 개요 ==
 
== 개요 ==

2024년 5월 7일 (화) 14:02 기준 최신판

북한 위치
황해북도 위치
평산군 위치

평산군(平山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 남부에 위치해 있는 군이다.[1][2]

개요[편집]

평산군의 면적은 545.19km²이며 인구는 123,646명(2008)이다. 북쪽으로 서흥군·신계군, 동쪽으로 금천군, 서쪽으로 린산군, 남쪽으로 황해남도 봉천군과 접한다. 동서(예성리~청수리) 간의 길이는 23km이고, 남북(옥촌리~임산리) 간의 길이는 34km이며, 도 전체면적의 5.76%를 차지한다. 현재 행정구역은 1읍 2구 20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군 소재지는 평산읍이다.

이 지역은 조선왕조가 설립된 이후 1413년에 고려시기의 평주(平州)를 평평한 덕지대와 평야로 되어 있는 군이라 하여 평산군이라 개칭하였다. 고려 초에 통일신라 때에 편성된 영풍군(永豊郡)을 평주로 개편하였다.

일제 강점기때 이곳은 일본인이 개발한 형석 광산과 농구를 수리하는 곳이 있었을 뿐이었다. 광복 이후에, 이곳은 크게 발전되었다. 현재 대리석광산, 화강석 광산 등이 있으며, 북조선의 석재 공업 중심지이다.

태백산성(太白山城)은 문화재로서 평산군에 있는 산성으로 고구려시기에 지어졌다.

북한의 핵개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곳 중 하나로 북한 최대의 우라늄 광산 중 하나가 평산군 마장산 인근에 위치해 있다. 우라늄 광산 옆에 있는 정련정광 공장은 북한 최대의 우라늄 정광 시설이며, 이곳에서 정광된 우라늄을 재료로 만든 핵무기들 또한 이곳을 중심으로 황해도 곳곳에 다수 배치되어 있다.

평산 신씨와 남주 박씨의 본관이 이곳 지역이다.[3]

자연환경[편집]

평산군은 멸악산줄기의 남동부에 위치해 있는데, 서부지역과 북부지역이 높고 동부와 남부지역으로 가면서 낮아지는 지형을 이루고 있다. 해발 200m 미만의 구릉과 평야 지역이 약 74%를 차지한다. 북부와 서부 변두리를 따라 뻗은 멸악산줄기에는 감악산(減惡山, 585m), 약대산(藥-山, 507m), 금동산(金銅山, 523m), 멸악산(滅惡山, 818m)을 비롯한 해발 500m 이상의 산들이 솟아 있으며 남부와 동부지역에는 철봉산(鐵峰山, 503m), 학봉산(鶴峰山, 401m)이 솟아 있다. 지층은 상부원생대의 상원계와 구현계, 하부고생대의 황주계 및 중생대의 대보계 퇴적층이 분포되어 있고 상부원생대와 중생대의 관입암들도 있다.

주요 암석들로는 석회암, 편암, 화강암, 천매암, 흑운모화강암, 섬록암 등이 있는데, 여기에는 동, 금, 납, 아연, 몰리브덴을 비롯한 유색금속자원과 형석, 석회석, 대리석, 화강석을 비롯한 비금속자원이 매장되어 있다. 와현리 일대에는 슬레이트자원이 무진장하게 분포되어 있다. 토양은 갈색산림토양, 적갈색토양, 충적토, 논토양이다. 평산군은 황해북도에서 비교적 따뜻한 지역의 하나이다.

연평균기온은 9.8℃, 1월 평균기온은 -6.7℃, 8월 평균기온은 24.5℃, 최고극기온은 34.8℃(1967년 8월 8일), 최저극기온은 -25.6℃(1964년 2월 13일), 10℃이상 적산온도는 3,632℃이다. 연평균강수량은 1,296.8mm, 연최대강수량은 2,047mm(1966년), 연최소강수량은 708.4mm(1921년)이다. 7, 8월에 연강수량의 53.8%가 내린다. 첫서리는 10월 11일경에, 마감서리는 4월 14일경에 내린다.

주풍은 북서풍이며 연평균풍속은 2.2m/s이다. 길이 5km 이상의 하천이 14개 있는데, 큰 하천으로는 예성강, 남천(南川), 누천(漏川), 용두천(龍頭川) 등이 있다. 평산군 영역 내에서 예성강의 길이는 약 45km이며 남천은 34.6km, 누천은 43.9km, 용두천은 22.5km이다. 남천의 지류를 막아 건설한 어사저수지(御史貯水池)와 용두천을 막아 건설한 봉천저수지(鳳川貯水池), 노천(露川)을 막아 건설한 청수저수지(淸水貯水池)를 비롯하여 5개의 저수지가 있다.

평산군은 북한 식물분포에서 온대중부분포구와 온대남부분포구의 점이적인 지대로 되어 있다. 산림은 평산군 전체 면적의 63%를 차지하는데 소나무, 신갈나무, 떡갈나무, 굴참나무, 잣나무 등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이 밖에 갈참나무, 상수리나무, 창성잎갈나무, 밤나무, 가래나무, 엄나무 등 교목들이 분포되어 있다.

야산에는 개암나무, 싸리나무, 산초나무를 비롯한 떨기나무들과 억새, 그늘사초, 삽주, 원추리 같은 초본식물들이 많이 자라고 있다. 그리고 산경사지에는 밤나무가 많다. 동물로는 노루, 산토끼, 여우, 살쾡이, 뻐꾸기, 종다리, 크낙새, 박새 등이 서식하고 있다. 평산군에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는 평산엄나무, 평산대추나무, 용궁리동물화석, 용궁리공룡발자리화석, 평산크낙새서식지 등이 있다.[4]

역사[편집]

평산군 지역의 예성리에서 구석기시대의 동굴유적이 발견된 것은 이 시기부터 평산군 지역에 인류가 생존해 있었던 것을 설명해 주고 있다. 삼국시대에는 고구려의 판도로 되어 다지홀(多知忽), 대곡군(大谷郡)으로 불렸고, 통일신라 때에는 영풍군으로 개칭되었으며, 고려 왕조가 들어서서는 평주로 되었다. 조선이 설립된 이후 1413년에 평산군으로 되었고, 1415년에 평산도호부(平山都護府)로 승격되었다.

1895년에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개성부(開城府) 평산군으로 되었고, 1년 후에 전국13도제를 실시하면서 황해도 평산군으로 되어 읍내방(邑內坊), 금암방(金岩坊), 보산방(寶山坊), 서봉방(西峯坊), 문구방(文區坊), 상월방(上月坊), 하월방(下月坊), 신읍방(新邑坊), 세곡방(細谷坊), 고지방(古之坊), 적암방(積岩坊), 방동방(方洞坊), 궁위방(弓位坊), 마산방(馬山坊), 안성방(安城坊), 개일방(介日坊), 도륭방(道隆坊) 등 17개 방을 관할하였다.

후에 궁위방 · 도륭방 · 개일방 · 방동방을 연안군(延安郡)에 이관하고, 나머지 방을 면으로 개편하여 문구면(文區面), 고지면(古之面), 금암면(金岩面), 마산면(馬山面), 보상면(寶上面), 보하면(寶下面), 상월면(上月面), 서상면(西上面), 서하면(西下面), 세상면(細上面), 세하면(細下面), 신읍면(新邑面), 주암면(舟岩面), 안성면(安城面), 외읍면(外邑面), 적암면(積岩面), 인산면(麟山面), 화천면(花川面), 용산면(龍山面) 등 19개 면을 관할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 시에 보상면 · 보하면 · 서상면 · 서하면 · 주암면 · 신읍면 · 세상면 · 세하면 · 문구면 · 화천면을 통폐합하여 보산면(寶山面) · 서봉면(西峯面) · 신암면(新岩面) · 세곡면(細谷面) · 문무면(文武面)으로 각각 개편하였다. 1917년에 외읍면을 평산면(平山面)으로 개칭하였고, 광복 직후에 보산면을 남천면(南川面)으로 개칭하였으며, 적암면(積岩面)은 연백군에 이관하였다.

1952년 12월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세곡면 · 용산면 · 고지면 · 마산면을 평천군에, 평산면의 2개 리를 금천군에, 신암면 · 인산면 · 상월면과 문무면의 13개 리를 인산군에 각각 편입하고, 나머지 즉 안성면 · 남천면 · 금암면 · 서봉면의 전체 리와 평산면의 5개 리, 문무면의 3개 리 그리고 금천군(金川郡) 동화면(冬火面)의 5개 리를 병합하여 황해도 평산군을 새로 구성하였는데, 이때 남천면의 남천일리 · 남천이리 · 남천삼리 · 신남천일리 · 신남천이리 · 신남천삼리 · 신남천사리를 병합하여 평산읍(平山邑)으로, 남천면의 노동리 · 보산리 · 양암리를 병합하여 평화리(平和里)로, 남천면의 월하리와 운천리를 병합하여 월천리(月川里)로, 남천면의 삼가리 · 두무리 · 갈탄리를 병합하여 탄교리(灘橋里)로, 평산면의 빙고리 · 산성리 · 은담리를 병합하여 산성리(山城里)로, 금천군 동화면의 문탄리와 법천리를 병합하여 기탄리(岐灘里)로, 평산면의 직하리와 단구리를 병합하여 복수리(復水里)로, 금암면의 재궁리 · 부정리 · 용촌리를 병합하여 용궁리(龍宮里)로, 금암면의 강정리 · 대촌리 · 한포리를 병합하여 한포리(汗浦里)로, 금암면의 필대리 · 저탄리 · 화암리를 병합하여 옥촌리(沃村里)로, 서봉면의 당우리 · 해수리 · 월봉리 · 장륙당리를 병합하여 해월리(海月里)로, 금천군 동화면의 매남리 · 매서리 · 어양리를 병합하여 해상리(海相里)로, 서봉면의 어사천리 · 범안리 · 봉동리를 병합하여 봉천리(鳳川里)로, 서봉면의 용두리와 삼산리를 병합하여 삼룡리(三龍里)로, 서봉면의 상령리 · 주촌리 · 진포리를 병합하여 주포리(舟浦里)로, 서봉면의 철봉리와 만탄리를 병합하여 봉탄리(峰灘里)로, 안성면의 설현리와 총수리를 병합하여 와현리(瓦峴里)로, 안성면의 속실리 · 물개리 · 발참리를 병합하여 물개리(物開里)로, 안성면의 마유리 · 유천리 · 당인리를 병합하여 삼천리(三泉里)로, 안성면의 제암리 · 양촌리 · 덕암리를 병합하여 양암리(陽岩里)로, 문무면의 청수리 · 한정리 · 화랑리를 병합하여 청수리(淸水里)로, 남천면의 산막리와 수구리를 병합하여 산수리(山水里)로 각각 개편하여 1읍 21리를 관할하였다.

1954년 10월 황해북도 평산군으로 되면서 탄교리 일부와 산수리 일부를 통합하여 임산리(林山里)로 개편하고 용궁리 일부를 평천군 용천리(龍川里)에, 옥촌리 일부를 용궁리에 각각 편입하였다. 1958년 6월에 양암리와 물개리 일부를 서흥군에 편입하였고, 와현리가 일부 지역을 분리하여 평산읍에 넘기고 와현노동자구(瓦峴勞動者區)로 승격되었다. 1963년 11월 와현노동자구를 다시 와현리로 강등하였다. 1967년 10월 물개리를 청학노동자구(靑鶴勞動者區)로 승격하였으며, 인산군 상암리(象岩里)를 흡수하였다. 1982년 9월 해상리가 예성리(禮城里)로 개칭되었으며, 1991년 9월 평화리가 평화노동자구(平和勞動者區)로 승격되었다.

2002년 10월 현재 행정구역은 1읍(평산읍), 2구(청학노동자구, 평화노동자구), 20리(기탄리, 예성리, 용궁리, 임산리, 복수리, 봉천리, 봉탄리, 산성리, 산수리, 삼룡리, 삼천리, 상암리, 옥촌리, 와현리, 월천리, 주포리, 청수리, 탄교리, 한포리, 해월리)로 구성되어 있다. 평산군 소재지는 평산읍이다.[5]

산업[편집]

평산군의 경제는 중앙공업과 지방공업, 농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공업에서는 채굴공업과 지방원료원천에 기초한 지방공업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중앙공업에서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공업은 전국적 의의를 가지는 대리석, 화강석, 형석, 슬레이트 생산부문과 건재공업, 희유금속생산을 위한 채굴업이다. 지난 6 · 25전쟁 시기와 전후 복구건설 시기 이 고장의 풍부한 석재자원개발을 위한 슬레이트광산, 대리석광산, 화강석공장이 개발됨으로써 평산군은 전국적 의의를 가지는 석재공업기지의 하나로 전변되었다.

지하자원이 풍부해, 임산리 부근에서는 슬레이트, 봉천리 일대에서는 대리석·화강암 등이 많이 채굴되고 있으며, 군의 여러 곳에서 나는 형석은 질과 양에서 세계적인 자랑거리로 되어 있다.

지방공업은 식료품, 기계, 방직 및 피복, 화학, 제약, 유리 및 도자기, 팔프 및 종이, 일용품 공업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방공업에서 식료품공업이 첫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데, 주요 제품으로는 된장, 간장, 기름, 당과류, 고추장, 주스, 술, 청량음료 등이 있다. 이밖에 가구류, 털가죽가공품, 부엌세간, 천과 옷, 종이, 만년필, 수지제품, 의약품 등 제품도 산출되고 있다.

농경지 면적에서 논이 25%, 밭이 60%, 과수밭이 10%, 뽕밭이 4%이다. 군 곡물 생산에서 첫 자리를 차지하는 옥수수는 전반적 지역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벼는 주로 예성강 연안의 옥촌리, 용궁리, 한포리, 복수리, 기탄리, 산수리 일대에서 많이 생산되고 있다.

채소업에서는 배추, 무, 양배추, 오이, 고추, 파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 공예작물도 발달되어 있는데 담배, 들깨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과수업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사과, 배, 복숭아, 대추 등이 있다. 축산업에서는 소, 돼지, 양, 염소, 오리, 토끼, 닭을 많이 사육하고 있는데, 이를 위한 돼지공장, 오리공장, 토끼목장이 설치되어 있다. 양잠업에서는 고치가 80% 이상을 차지한다.[6]

교통[편집]

교통의 기본은 철도 운수이다. 평산군은 평부선에서 청년이천선이 갈라지는 지역이다. 평산군 영역 내의 철도길이는 55km이며 그 가운데서 인입선의 길이가 9km이다. 군에는 평부선철도의 평산역과 물개역, 태백산성역, 한포역, 청년이천선 철도의 기탄역이 설치되어 있다. 도로는 평양~개성 간 고속도로가 통과하고 있고 신계, 봉천(황해남도) 방향으로 이어지는 도로가 개설되어 있다. 평산~평천(황해남도), 평산~신계, 평산~금천, 평산~서흥, 평산~용궁, 평산~상암, 평산~해상, 평산~주포, 평산~청학, 평산~산수, 평산~청수 간 정기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황해북도 소재지인 사리원시까지는 약 70km이다.

예성강의 한포(汗浦)까지는 상당히 큰 배가 다닌다.[7]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평산군〉, 《위키백과》
  2. 평산군〉, 《나무위키》
  3. 조선향토대백과: 황해북도 평산군 개요〉, 《네이버 지식백과》
  4. 조선향토대백과: 황해북도 평산군 자연〉, 《네이버 지식백과》
  5. 조선향토대백과: 황해북도 평산군 역사〉, 《네이버 지식백과》
  6. 조선향토대백과: 황해북도 평산군 경제〉, 《네이버 지식백과》
  7. 조선향토대백과: 황해북도 평산군 교통〉,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평산군 문서는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