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투아바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지도)
(지도)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4번째 줄: 4번째 줄:
 
[[파일:이투아바섬 지도.jpg|썸네일|300픽셀|'''이투아바섬 지도''']]
 
[[파일:이투아바섬 지도.jpg|썸네일|300픽셀|'''이투아바섬 지도''']]
  
'''이투아바섬'''<!--이투아바 섬-->(영어: Itu Aba Island)은 [[남중국해]]에 위치한 [[스프래틀리 군도]]에서 자연적으로 육지에 노출된 부분이 가장 큰 암초이다. 중국어권에서는 '''타이핑섬'''<!--타이핑 섬-->(중국어 정체자: 太平島, 간체자: 太平岛, {{발음|太平岛}})이며 섬 점령 당시의 군함인 태평호에서 따온 이름으로, 베트남어권에서는 '''바빈섬'''(베트남어: Đảo Ba Bình), 필리핀어권에서는 '''리가오섬'''(타갈로그어: Ligao)라고 불리며 한때는 '''황산마 암초'''(중국어: 黃山馬礁)라고도 불리었다. 현재는 [[중화민국]]의 실효적 지배 상태에 있으며 행정 구역 상으로는 [[가오슝시]] 치진구에 속한다. [[중국]]과 [[베트남]], [[필리핀]]이 영유권을 주장한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D%88%AC%EC%95%84%EB%B0%94%EC%84%AC 이투아바섬]〉, 《위키백과》</ref>
+
'''이투아바섬'''<!--이투아바 섬-->(영어: Itu Aba Island)은 [[남중국해]]에 위치한 [[스프래틀리군도]]에서 자연적으로 육지에 노출된 부분이 가장 큰 [[암초]]이다. [[대만]]이 관리하고 있다. 중국어권에서는 '''타이핑섬'''<!--타이핑 섬-->(중국어 정체자: 太平島, 간체자: 太平岛, {{발음|太平岛}})이며 섬 점령 당시의 군함인 태평호에서 따온 이름으로, 베트남어권에서는 '''바빈섬'''(베트남어: Đảo Ba Bình), 필리핀어권에서는 '''리가오섬'''(타갈로그어: Ligao)라고 불리며 한때는 '''황산마 암초'''(중국어: 黃山馬礁)라고도 불리었다. 현재는 [[대만]]의 실효적 지배 상태에 있으며 행정구역 상으로는 대만 [[가오슝시]] 치진구에 속한다. [[중국]]과 [[베트남]], [[필리핀]]이 영유권을 주장한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D%88%AC%EC%95%84%EB%B0%94%EC%84%AC 이투아바섬]〉, 《위키백과》</ref>
  
 
==개요==
 
==개요==
24번째 줄: 24번째 줄:
 
{{이투아바섬 행정 지도|800}}
 
{{이투아바섬 행정 지도|800}}
 
{{지도|이투아바섬}}
 
{{지도|이투아바섬}}
 +
{{다단2
 +
|{{티자드 천퇴 국가 지도}}
 +
|{{스프래틀리군도 북부 천퇴 국가 지도}}
 +
}}
 
{{다단2
 
{{다단2
 
|{{스프래틀리군도 국가 지도}}
 
|{{스프래틀리군도 국가 지도}}

2023년 12월 19일 (화) 04:05 기준 최신판

이투아바섬 위성사진
타이핑섬 위치
이투아바섬 지도

이투아바섬(영어: Itu Aba Island)은 남중국해에 위치한 스프래틀리군도에서 자연적으로 육지에 노출된 부분이 가장 큰 암초이다. 대만이 관리하고 있다. 중국어권에서는 타이핑섬(중국어 정체자: 太平島, 간체자: 太平岛, tài píng dǎo)이며 섬 점령 당시의 군함인 태평호에서 따온 이름으로, 베트남어권에서는 바빈섬(베트남어: Đảo Ba Bình), 필리핀어권에서는 리가오섬(타갈로그어: Ligao)라고 불리며 한때는 황산마 암초(중국어: 黃山馬礁)라고도 불리었다. 현재는 대만의 실효적 지배 상태에 있으며 행정구역 상으로는 대만 가오슝시 치진구에 속한다. 중국베트남, 필리핀이 영유권을 주장한다.[1]

개요[편집]

이투아바섬은 대만 본토와는 거리가 멀고 필리핀의 팔라완섬에서 훨씬 가깝다. 섬은 중화민국(대만)이 가오슝(高雄) 치진의 일부로 관리하고 있다. 길이 1.4km, 너비 0.4km로 타원형이며 면적은 0.46km²이며 섬 전체가 평평하다. 산호섬이기 때문에 표면에는 풍화작용으로 형성된 미세한 모래와 산호초가 있다. 활주로는 섬 전체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다. 섬은 역사적으로 인산이 고갈될 정도로 채굴되어 왔으며, 오늘날에는 주요 천연자원이 없다. 남중국해 분지 주변 해역에는 미발견 석유와 천연가스가 대량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있지만 아직 공식적인 탐사 및 채굴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투아바섬은 열대 몬순 기후로 기온은 섭씨 21도에서 35도 사이이다. 6월과 7월에는 남서풍이 강하게 불고 해류가 강한 남서 몬순이 발생하며 태풍이 잦아지는 동안 많은 비가 내린다. 우기는 11월과 12월에 발생한다. 다른 스프래틀리 섬과 마찬가지로 이투아바섬은 어업 권리, 선박 항로, 그리고 남중국해 해저의 석유와 천연가스의 가능성을 추구하기 위해 역사적, 지리적, 법적, 기술적 이유로 4개국에 의해 분쟁 중이다. 섬의 총인구는 민간인이 없는 약 600명이다. 타이핑 섬에는 4개의 우물이 있으며 이들 중 담수의 비율은 각각 99.1%, 75.8%, 97.5%, 96.8%로 평균 92.3%이다. 섬은 2014년 12월부터 약 50기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612kW 저장 시설을 갖춘 40kWp 태양광 발전소로 발전하고 있다. 섬에 대규모 기상 관측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기상 관측소는 기상 관측 기구를 사용하여 기상 정보를 수집하고 매일 기상 풍선을 발사한다. 중국과 달리 이 섬에 대해서는 중국 측과 분쟁 중인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도 인정해 준다. 2003년 베트남이 한번 이의 제기를 하긴 했지만 그 다음에는 별 말이 없다. 미국도 대만을 비공식적으로 지원하는 스폰서답게 당연히 영유권을 인정해 주는 분위기다. 중국 측이 자꾸 이 섬을 점령하려고 한다. 중화민국군 해군육전대와 중화민국 해순서 즉 해안경비대가 주둔해 섬을 방어하고 있다. 방어하는 병력이 많지 않고 방어하기도 힘들어서 맘만 먹으면 점령하는 건 일도 아니지만 대만도 그 사실을 잘 알고 이오지마에서의 전훈을 반영하고 진먼 포격전의 경험을 살려 철저한 요새화시켜 중장갑 시설을 갖춘 후 해군육전대 포병부대가 운용하는 슝펑 지대함 유도탄을 배치해 둔 상태이다. 대만은 이곳에 C-130이 착륙가능한 활주로를 건설해 두었고 대만 해군도 수시로 육전대 즉 해병대를 섬에 투사하는 은밀한 장거리 전개훈련을 실시해 왔다. 2022년에는 해양 과학연구소가 들어섰다.[2][3]

역사[편집]

이투아바섬은 1870년대 이전부터 하이난에서 온 어부들에 의해 이용되었다. 그들은 반영구적으로 정착했다. 거북의 등껍질을 교환하여 보급품이 하이난에서 섬으로 운송되었다. 중국은 1884-1885년 청불전쟁 당시 프랑스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 이투아바와 다른 섬과 바위를 합병하려는 노력에 공식적으로 반대하면서 남중국해의 섬에 대한 근대적 의미의 주권을 처음으로 주장했다. 프랑스는 베트남을 프랑스 영토로 인정하는 대가로 파라셀 제도와 스프래틀리 제도를 청 정부에 양보했다. 1932년 일본이 공식적으로 중국 북동부를 침략한 지 1년 후인 1932년 프랑스는 결국 파라셀군도와 스프래틀리군도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로 통합했다. 중국과 일본 모두 이에 항의했다. 1933년 4월 6일, 프랑스는 스프래틀리호를 나포하여 공식적으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 포함시키고 그 위에 기상 관측소를 몇 개 지었지만, 그곳에서 발견된 수많은 중국 어부들을 방해하지 않았다. 1938년 7월 3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식민지 군대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라는 이름으로 파라셀 제도를 공식적으로 점령했다. 1933년 3월 일본은 프랑스로부터 파라셀군도와 스프래틀리군도를 모두 빼앗고 주둔시킨 뒤 이투아바섬(현재의 타이핑섬)에 잠수함 기지를 건설했다. 1941년, 일본 제국은 파라셀군도와 스프래틀리군도를 대만의 일부로 만들었고 그당시 일본의 통치하에 두었다.

1945년, 카이로와 포츠담 선언과 미국의 도움으로 난징에 있는 중화민국 정부군은 파라셀군도와 스프래틀리군도를 포함한 대만의 일본 수비대의 항복을 받아들였다. 난징은 두 군도를 광둥성의 일부로 선포했다. 행정적으로 대만의 일본 식민지인 다카오(가오슝)시에 부속되어 있었다. 섬이 확보된 것을 기념하여, 이 섬은 타이핑 군함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고 섬 남서쪽의 방파제 끝에 "태평도"라고 쓰인 석비를 세웠다. 이 탐험은 미국 해군의 물류 지원으로 이루어졌다. 다른 세 척의 배도 마찬가지로 섬의 이름으로 사용되었다. 중화민국 국민당에 의해 확보된 후, 그 섬은 중국의 광둥성의 관리 하에 놓이게 되었다. 중국 공산당이 중국 본토를 장악했을 때 패배한 국민당은 대만으로 후퇴했지만 태평섬 수비대는 계속 장악하고 있었다. 일본은 1951년 9월 8일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으로 공식적으로 지배권을 포기하고 섬을 연합국의 신탁 통치로 이관했다. 또 다른 해석은 일본이 타이베이 평화조약 조항에 따라 영유권을 공식 포기하고 섬을 중국에 넘겼다는 것이다.

1952년 필리핀 민간인이 타이핑 섬에서 유황을 채굴하기 시작했고 타이베이 조약에 첨부된 메모는 이 섬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는 국민주의 중국인들의 주장을 뒷받침했다. 국민당은 1956년 7월에 그 섬에 상설 주둔지를 설치했다. 2000년부터 해병대 분견대를 대체하기 위해 해상보안청 분견대가 이 섬에 배치되었다. 타이핑섬 공항은 2007년 12월에 완공되었고, C-130 허큘리스 수송기가 2008년 1월 21일에 섬에 처음 착륙했다. 2008년 2월 2일 천수이볜 대만 총통은 키드급 구축함 2척과 잠수함 2척 등 해군력을 대동하고 이 섬을 직접 방문했다. 2011년 4월 19일 해병대가 섬에 다시 주둔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 2012년 2월, 항공기의 착륙을 위한 항법 지원을 목적으로 안테나 타워와 관련 시설을 건설하기 시작했다. 타워의 높이는 약 7~8m로 계획되었으며 2012년 4월에 완공될 예정이었으며 2012년 9월에 적절한 테스트를 거쳐 완전히 기능할 수 있게 되었다. 2012년 7월, ROC 당국은 활주로를 500m 연장하는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이 섬은 다양한 종류의 군용기를 수용할 수 있게 되었다. 2016년 7월 12일, 유엔과 관련이 없는 민간 중재 재판소는 대만이 지배하는 태평도를 포함한 중국의 구단선 주장에 대한 중재 절차에서 필리핀을 지지했다. 중국과 대만 모두 이번 판결을 강력히 거부했다.[4]

스프래틀리군도[편집]

스프래틀리군도(영어: Spratly Islands)는 남중국해 남부 해상에 있는 군도이다. 스프래틀리군도의 동쪽에는 필리핀, 서쪽에는 베트남, 남쪽에는 보르네오섬(말레이시아와 브루나이), 북쪽에는 중국이 있다. 이 군도는 말레이시아, 베트남, 브루나이, 대만, 중국, 필리핀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난사군도(南沙群島)는 중국에서 부르는 명칭으로, "남쪽에 있는 모래 섬들"이라는 의미이다. 스프래틀리군도는 동쪽으로는 필리핀팔라완섬, 남쪽으로는 보르네오섬, 서쪽은 베트남을 마주보고 있다. 스프래틀리군도는 북위 4∼12°, 동경 109° 30'∼117° 50'사이에 산재해 있는 군도로서 대부분 산호초로 되어 있으며 동반부는 항해가 위험하다. 이 수많은 암초들을 중국, 대만, 필리핀, 말레이시아, 베트남이 각자 나눠 차지하고 있고, 브루나이까지 포함해 6개 국가가 더 많은 섬이 자신의 영토라고 다투고 있다. 서반부 해상에 있는 섬들은 중예군도(中業群島), 정허군초(鄭和群礁), 인칭군초(尹慶群礁) 등 3개 군도로 구성되어 있고 모두 9개의 섬이 있으나 섬의 높이는 3∼4m에 불과하다. 이 중 최대의 섬은 면적 0.4km²인 북쪽의 타이핑섬(太平島)이다. 스프래틀리군도는 인도양태평양을 잇는 전략적인 요충지로서, 역사적으로는 근대 이전 베트남중국어민들이 어업을 했다는 기록이 있으나 사람이 살지는 않았다. 19세기 이 지역을 조사하던 유럽인 스프래틀리(Spratly) 형제의 이름을 붙여 유럽인들은 스프래틀리군도(Spratly Islands)라고 불렀다. 1933∼1939년에는 프랑스가 영유(領有)하였으나, 그 후 일본령이 되어 가오슝시(高雄市)의 관할에서 신난군도(新南群島)라고 하였다가 제2차 세계대전의 종결로 중국에 반환되었다.[5]

1951년 일본, 그 뒤 대만, 중국, 베트남 그리고 1955년에는 필리핀이 영유권을 주장하였다. 1970년대에 남부 베트남이 점령하였으나, 1983년 말레이시아필리핀영유권을 주장하며 군대주둔시켰다. 현재 중국, 필리핀, 대만, 베트남,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등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스프래틀리군도에는 약 300억 톤(t)으로 추정되는 석유가 매장되어 있으며 수산물로는 해조류, 해면, 바다거북, 해삼 등이 풍부하여 중국의 하이난섬(海南島)에서 온 어민으로 성시(盛市)를 이룬다. 또 육상에는 구아노(guano, 海鳥糞)가 두껍게 퇴적되어 있어 일찍이 인광(燐鑛)과 함께 채굴되었다. 이 밖에 열대 특유의 과일도 산출된다. 원래는 암초 등이 많아 영토로서의 가치는 적으나, 최근 이 지역이 특히 국제적인 분쟁지로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석유, 천연가스자원 확보의 문제와 지리적으로 동남아시아를 관통하는 전략적인 해상교통의 요충지라는 지리적 이점 그리고 중국의 남중국해에서의 영향력 확대 움직임에 따른 미국, 중국 간 패권 경쟁의 갈등 등의 문제가 얽혀 있기 때문이다.[6]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이투아바섬〉, 《위키백과》
  2. 타이핑다오〉, 《나무위키》
  3. 타이핑 섬〉, 《요다위키》
  4. "Taiping Island", Wikipedia
  5. 스프래틀리 군도〉, 《위키백과》
  6. 난사군도(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이투아바섬 문서는 세계의 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