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중화군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북한 위치
황해북도 위치
중화군 위치

중화군(中和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 북부에 위치해 있는 군이다.[1][2]

개요

중화군의 면적은 232.4km²이며 인구는 77,367명(2008)이다. 동쪽에 상원군, 서쪽에 강남군, 남쪽에 황주군서흥군, 북쪽에 평양직할시 력포구역, 사동구역대동군강동군과 접해있다. 동서(용산리~진광리)의 길이는 26km이고, 남북(명월리~장산리)의 길이는 10km이다. 현재 행정구역은 1읍 16리로 되어 있으며 군 소재지는 중화읍이다.

1136년 서경 6현의 하나로 중화현이 나왔다가 1322년에 합치게 되었다 하여 합칠 화(和)자와 이 일대가 평양에서 개성으로 내려갈 때 점심을 먹게 되어 가운데 위치하였다 하여 가운데 중(中)자를 써서 중화군이라 하였다.

평양시황해도를 잇는 길목에 있다. 읍에는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으로 잠시 이름을 바꾸었던 조선인민군 공군의 지휘부가 있다. 본래 평양시에 속한 지역이었으나, 2010년 평양시에서 분리하여 황해북도로 편입시켰다.[3]

자연환경

이 지역은 대부분이 평양벌(平壤-)의 남부에 위치해 있다. 지형은 저산성 산지와 구릉성 산지 및 구릉성 벌로 되어 있는데, 전반적으로 동부가 높고 서쪽으로 가면서 점차 낮아지는 지세를 이루고 있다. 무동산과 월은산을 연결하는 동쪽지역이 높은 지대를 형성하고 있는데, 언진산줄기(彦眞山-)의 서부 말단부분에 해당하는 이 지역은 해발 200~300m 되는 저산성 산지로 되어 있으며 상원군과의 경계에는 이 군에서 가장 높은 박산골산(347m)과 경수봉(境手峯, 293m), 운추산(雲鷲山, 313m)이 솟아 있고 그 밖의 지역에는 뒤방산(278m), 마장산(馬場山, 309m), 무동산(舞童山, 242m), 월은산(月隱山, 293m) 등이 솟아 있다.

곤양강 상류의 중부지구에는 동서방향으로 놓인 두 개의 산줄기가 있는데, 북쪽 산줄기에는 청룡산(靑龍山, 187m), 옥로봉(玉露峰, 151m)이 솟아 있고, 남쪽 산줄기에는 정수봉(井水峯, 186m), 휴산(鵂山, 145m)이 솟아 있다. 군의 서부지구는 낮은 구릉지대로 되어 있으며 곤양강 연안에는 충적평야가 전개되어 있다. 이 지역은 주로 상부원생대층과 하부고생대 황주계층이 발달되어 있고 곤양강(昆陽江)과 무진천(戊辰川)기슭에 제4기현세충적층이 분포되어 있다. 주요 구성암석은 석회암, 사암, 분암, 점판암, 편암 등으로 되어 있는데, 망간, 석회석, 형석 등 광물이 분포되어 있다. 토양은 갈색산림토양, 충적지토양, 논토양 등이 분포되어 있다.

기후는 서부에서 동부로 가면서 기온이 낮아지고 강수량은 많아진다. 중화읍의 연평균기온은 9.5℃, 8월 평균기온은 24.4℃, 1월 평균기온은 -7.8℃이다. 10℃이상 적산온도는 3,626℃, 20℃이상 적산온도는 2,144℃이다. 연평균일조율은 54%이고 첫서리는 10월 12일경에, 마감서리는 4월 22일경에 내린다. 겨울철에는 북서풍이 많이 불고, 여름철에는 남서풍이 우세한데 연평균풍속은 2.3m/s이다.

연평균강수량은 967.5mm인데, 봄철 강수량은 16%에 달하고, 여름철 강수량은 62%에 달한다. 이 지역의 하천은 대부분 남동부에서 시작하여 북서쪽으로 유입되어 있는데, 군 영역 내에서는 곤양강과 무진천이 발원하여 흐르고 있으며 곤양강의 지류인 내동천, 중화천(中和川)이 유입되어 있다. 저수지로는 어룡저수지(魚龍貯水池), 마장저수지(馬場貯水池), 진광저수지(眞廣貯水池), 어부산저수지(魚鳧山貯水池) 등이 있다.

산림은 군 전체면적의 약 62%를 차지하는데 소나무, 참나무, 밤나무, 잎갈나무, 아까시나무, 물푸레나무 등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그 아래로 밤, 도토리, 삽주, 오미자, 족도리풀 등이 자라고 있다. 삼흥리 구현골(駒峴-)에는 산초나무, 쪽가래나무, 호두나무가 자라고 있다.[4]

역사

구석기시대부터 이 지역에 이미 사람이 살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것은 인접해 있는 상원군 흑우리의 검은 모루산 남쪽 기슭 석회암 동굴에서 40~50만 년 전의 전기구석기시대의 각종 유물과 동물화석이 발굴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계급사회에 들어서서 고조선의 영역으로 되었으며 그 후 고구려의 판도로 되어 가화압(加火押)이라 칭하였고, 신라 시기에는 한주(漢州)에 속하였다. 후에 가화압은 당악현(唐嶽縣)으로 되었다. 고려 개국에 이르러 당악현은 당악촌으로 되어 서경에 소속되었다.

1136년(인종 14년)에 서경을 6개 현으로 분리할 때 황곡(荒谷), 당악(唐嶽), 송곶(松串) 등 9개 촌락을 통합하여 중화현을 설치하고 현령을 두었다. 1322년(충숙왕 9년)에 중화현이 중화군으로 승격되었다. 1413년(태종 13년) 중화군은 평안도에 편속되었으며 1592년(선조 25년)에 이르러 도호부로 승격되었다.

1895년 지방제도 개편에 따라 중화도호부는 평양부 중화군과 상원군으로 개편되었고, 1896년에 13도제가 실시되면서 평안도를 남북으로 나눌 때 평안남도 중화군으로 되어 하도(下道), 상도(上道), 의산(義山), 용전(龍田), 칭천(秤泉), 양무대(楊武垈), 신제(新濟), 동정(東井), 석호(石好), 영진(永津), 마정(馬井), 당촌(唐村), 동두(東頭), 간동(看東), 고생양(古生陽) 등 15개 면을 관할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 시에 하도면 · 상도면을 통합하여 중화면(中和面)을, 의산면 · 용전면 · 칭천면을 통합하여 해압면(海鴨面)을, 당촌면과 마정면을 통합하여 당정면(唐井面)을, 양무대면 · 신제면 · 동정면을 통합하여 양정면(楊井面)을, 상원군의 읍내면과 홍암면을 통합하여 상원면(祥原面)을 각각 신설하고, 상원군의 수산면(水山面) · 천곡면(天谷面) · 풍동면(楓洞面) · 하도면(下道面) · 상도면(上道面) · 배화면(培和面)을 흡수하여 15개 면을 개편 관할하였다.

1930년에 배화면을 간동면에, 상도면을 풍동면에, 하도면을 상원면에 각각 편입하였고, 고생양면을 분리하여 일부는 중화면에, 일부는 동두면에 편입하여 11개 면을 개편 관할하였다. 1947년에 대동군의 청룡면(靑龍面), 율리면(栗里面), 용연면(龍淵面), 남곶면(南串面)을 흡수하는 동시에 청룡면과 풍동면을 강동군에 편입하여 13개 면을 개편 관할하였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상원면 · 수산면 · 천곡면 · 간동면을 상원군에, 당정면 · 신흥면 · 해압면 · 양정면 · 남곶면을 강남군에 각각 편입하고 나머지 중화면 · 동두면 · 율리면 · 용연면의 전체 리와 간동면 수재리를 병합하여 새로운 중화군을 구성하였다.

이때 중화면의 낙민일리 · 낙민이리 · 초현리 · 청학리를 병합하여 중화읍(中和邑)을, 중화면의 금수정리 · 치산리 · 석박리를 병합하여 금산리(金山里)를, 중화면의 진률리 · 당밀리 · 갈매리를 병합하여 삼성리(三成里)를, 중화면의 하명월리 · 독산리 · 어부산리를 병합하여 명월리(明月里)를, 중화면의 추당리 · 회유리와 신유리 일부를 병합하여 삼흥리(三興里)를, 동두면의 고정리 · 협계리 · 설매리를 병합하여 마장리(馬場里)를, 동두면의 서옥리 · 다기장리 · 서가리 · 조양리 · 대류리를 병합하여 어룡리(魚龍里)를, 율리면의 유신리 · 현교리 · 원북리를 병합하여 유현리(柳絃里)를, 율리면의 대중리 · 답현리 · 한간리 · 석정리를 병합하여 대현리(大峴里)를, 율리면의 추빈리 · 중송리 · 남당리를 병합하여 추당리(楸塘里)를, 용연면의 검포리 · 한정리 · 향목리를 병합하여 역포리(力浦里)를, 용연면의 유천리 · 도제리 · 파장리 · 소리를 병합하여 유소리(柳巢里)를, 용연면의 지양리 · 산음리 · 냉정리를 병합하여 양음리(陽陰里)를 각각 신설하였다.

중화면의 관봉리가 중화면의 강로리 · 신우리와 병합하여 관봉리(館峯里)로, 중화면의 장산리가 중화면의 산개리 · 정척리와 병합하여 장산리(長山里)로, 중화면의 충룡리가 중화면의 안성리 · 빙장리, 간동면의 수재리와 병합하여 충룡리(忠龍里)로, 동두면의 채송리가 동두면의 흑리, 용연면의 신양리와 병합하여 채송리(蔡松里)로, 동두면의 용산리가 동두면의 대선리 · 죽월리 · 장룡리와 병합하여 용산리(龍山里)로, 율리면의 무진리가 동두면의 무진장리 · 신봉리 · 진파리와 병합하여 무진리(戊辰里)로, 용연면의 당정리가 당정리(堂井里)로 각각 개편되었으며 삼정리(三井里)를 복귀하여 1개 읍, 20개 리를 관할하였다.

1953년에 관봉리 일부를 분리하여 강로리(江老里)를, 대현리 일부를 분리하여 석정리(石井里)를 각각 복귀하고 황주군의 금사리 일부를 관봉리에 편입하여 1개 읍, 22개 리를 개편 관할하였다. 1957년에 삼정리를 분리하여 유현리(柳絃里)와 동구역의 장정리(將貞里)에 각각 편입하였고, 1959년에 석정리 · 대현리 · 당정리 · 추당리를 승호구역에, 유소리 · 유현리 · 역포리 · 양음리를 낙랑구역에 각각 편입하여 1개 읍, 13개 리를 개편 관할하였다.

1963년에 중화군을 평양시에 이관하면서 강남군의 진광리(眞廣里), 동산리(東山里), 백운리(白雲里), 건산리(乾山里)를 흡수하였다. 1965년에 무진리를 역포구역에 편입하고 채송리 일부가 장산리에, 장산리 일부를 채송리에 편입하여 1읍 12리를 관하에 두게 되었다. 1967년에 강로리를 관봉리에 편입하고 어룡리 일부를 분리하여 물동리를 신설하여 1개 읍, 16개 리를 개편 관할하였다.

1997년에 강남군 고천리 일부가 중화군 백운리에 편입되었다. 2002년 행정구역은 1읍(중화읍), 16리(건산리, 관봉리, 금산리, 동산리, 용산리, 마장리, 명월리, 물동리, 백운리, 삼성리, 삼흥리, 어룡리, 장산리, 진광리, 채송리, 충룡리)로 되어 있다. 군 소재지는 중화읍이다.

본래 평양직할시에 속한 지역이었으나, 2010년 평양직할시에서 분리하여 황해북도로 편입시켰다.[5]

산업

이 지역의 곤양강 하류 일대에 전개되어 있는 벌지대는 땅이 기름지고 수원이 풍부하여 예로부터 벼농사가 성했으며 기타 지역에서는 밭농사가 행해졌다. 광복 후 이 지역은 농업과 더불어 공업의 여러 부문이 발족 되었다. 농업은 농산업, 축산업, 과수업과 양잠업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여기서 중요한 의의를 가지는 것은 알곡 생산을 기본으로 하는 농산업이다.

군 전체 면적에서 경작지가 약 37%를 차지하는데, 경작지를 체계적으로 늘이고 새로운 품종을 받아들이는 한편 작물배치를 과학기술적으로 하고 주체농법의 요구대로 농사를 지어 알곡생산을 높였다. 주요 곡물로는 벼 · 옥수수 · 콩 · 팥 · 녹두 · 완두 등이 있는데, 벼는 주로 동산리 · 장산리 · 채송리 · 백운리 등 지역에서 재배되고, 옥수수는 주로 명월리 · 충룡리 · 삼성리 · 어룡리 · 채송리 · 관봉리 등 지역에서 재배된다.

이 지역은 특히 녹두 · 완두 등의 재배면적이 다른 군들에 비하여 많은데, 주로 장산리 · 관봉리 · 동산리 · 삼성리 등 지역에서 재배하여 평양시 안의 급양망들에 공급한다. 채소업도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주로 배추, 무, 양배추, 시금치, 미나리, 오이, 고추, 파, 마늘 등 채소를 계단식으로 생산하여 평양시 시민들에게 공급하고 있다.

과수업도 발달되었는데 전반적 지역에서 보편적으로 생산되고 있지만 그중에서 특히 명월리, 어룡리, 삼성리, 채송리, 백운리 등의 지역에서 많이 산출되고 있으며 사과, 배, 복숭아, 포도, 자두, 단버찌, 앵두 등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과일생산량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복숭아이며 그 집중 재배지역은 명월리, 어룡리, 채송리, 백운리 등 지역이다. 가축업에서는 주로 소, 돼지, 염소, 닭, 토끼 등을 사육하고 있으며 양잠업도 발달되어 있다.

진광리 등 일부 지역에서는 율무를 비롯한 약용식물들이 재배되며 마장리, 채송리, 충룡리를 비롯한 일부 지역들의 하천 연안에서는 이곳 특산물의 하나인 땅콩이 생산된다. 공업은 기계 · 건재 · 식료 · 일용품 · 방직공업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중앙공업 부문에서는 전동기 · 방직설비부속품 · 테이프천 등이 산출되고 있으며, 지방공업에서는 기름 · 과일 및 채소가공품 · 철제일용품 · 가구 · 약품 · 벽돌 · 기와 등이 대표적인 제품으로 되어 있다. 교통망은 평부선 철도가 통과하고 있고 여기에 중화역(中和驛)이 설치되어 있으며 도로 로는 평양~원산 간 관광 도로와 평양~개성 간 고속도로가 통과하고 있다.[6]

교통

평부선 철로가 통과하고 있고 여기에 중화역이 설치되어 있다. 도로망은 평양~개성 간 1급도로와 평양~원산 간 고속도로가 통과하고 있으며 중화~강남, 중화~역포, 중화~장리 간 2급 도로가 개설되어 있다.[7]

지도

동영상

각주

  1. 중화군〉, 《위키백과》
  2. 중화군〉, 《나무위키》
  3. 조선향토대백과: 평양시 중화군 개요〉, 《네이버 지식백과》
  4. 조선향토대백과: 평양시 중화군 자연〉, 《네이버 지식백과》
  5. 조선향토대백과: 평양시 중화군 역사〉, 《네이버 지식백과》
  6. 조선향토대백과: 평양시 중화군 경제〉, 《네이버 지식백과》
  7. 조선향토대백과: 평양시 중화군 교통〉,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

같이 보기

동아시아 같이 보기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중화군 문서는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