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inshi2068 (토론 | 기여) (새 문서: 썸네일|300픽셀|'''김종필 국무총리''' '''김종필'''(金鍾泌)은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 정치인, 제11·31대 국무총리...) |
(차이 없음)
|
2024년 12월 11일 (수) 16:46 판
김종필(金鍾泌)은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 정치인, 제11·31대 국무총리이다. 김대중, 김영삼 전 대통령과 함께 3김 시대를 이뤘다.
개요
김종필은 정치가로 1948년 육군사관학교 8기로 임관, 주로 참모직을 역임하였다. 1971년 6월~1975년 12월 국무총리를 지냈다. 1990년 노태우·김영삼과 민주자유당을 창당하여 최고위원이 되었고, 1995년 자유민주연합을 창당, 총재가 되었다.
10·26사건 후 공화당 총재가 되었으나 1980년 신군부에 의해 정치 활동이 금지되고 부정축재자로 지목되어 재산환수의 수난을 겪었다. 1987년 공화당을 재건하여 총재가 되면서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였으며, 1990년 노태우·김영삼과 민주자유당(약칭 민자당)을 창당하여 최고위원이 되었으며, 1992년 14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1992년 8월 민자당 대표위원을 지내던 중 1995년 2월 민자당을 탈당하여 자유민주연합을 창당, 총재가 되었다. 보국(保國)·근정(勤政)·수교(修交) 훈장, 미국 동성훈장(銅星勳章), 중국 대수보훈장(大綬寶勳章) 등을 받았으며, 저서에 《JP칼럼》 《JP화첩》 《새 역사의 고동》 등이 있다.[1]
생애
김종필(1926년 1월 7일~2018년 6월 23일)은 제6·7·8·9·10·13·14·15·16대 국회의원이자, 민주공화당 제4대, 신민주공화당 초대, 자유민주연합 제1·2·5대 총재를 맡는 등 삼김시대의 주역이자 한 시대를 풍미한 정치계의 거물이었다. 호 운정(雲庭). 충남 부여 출생. 1947년 서울대학 사범대 교육학부 2년을 수료하고 1948년 육군사관학교 8기로 임관, 주로 참모직을 역임하여 1958년 육군본부 정보참모부 기획과장을 지냈다. 1961년 중령으로 5·16군사정변의 주역으로 참여, 1963년까지 초대 중앙정보부장(현 국가정보원장)을 지냈으며, 1961년 준장으로 예편하여 공화당 창당위원장을 맡았다. 또한 6대 국회의원과 공화당의장직을 지냈으며, 1967년에는 7대 의원에 당선되었으나 1968년 반대세력에 밀려 국회의원직 등 모든 공직에서 물러나 해외로 나갔다.
1951년 2월 박상희의 장녀 박영옥과 결혼했으며 1963년 육군 준장으로 진급 후 예편했다. 9선 국회의원으로 최다선 국회의원 출신이며, 1971년 박정희 정권기 제11대, 김대중정부기 31대 DJP 연정 국무총리를 역임하였다. 1970년 공화당 총재 수석상임고문, 1971~73년 공화당 부총재, 1971년 8대 국회의원, 1971년 6월~1975년 12월 국무총리를 지냈다. 그 사이 9대(1973년) 의원을 겸하고 1976년 한일(韓日)의원연맹회장, 1979년 10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1962년 11월 12일 중앙정보부장으로서 일본의 외무장관 오히라 마사요시(大平正芳)와 회담, 대일 청구권 문제와 평화선, 법적 지위 문제 등에 대해 타협점을 찾고 메모를 교환함으로써 1965년 한일기본조약의 초석을 마련하였다.
김종필은 5.16 군사 정변에 참여해 초대 중앙정보부장으로 임명되는 것으로 정계에 입문하였다. 이후 9선 의원을 지내면서 김영삼, 김대중과 함께 삼김이라 불리며 대한민국의 정치를 이끌었다. 김종필은 박정희가 5.16 군사 쿠데타를 일으킬 당시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중령으로 쿠테타에 참여했다. 1961년 5.16 군사 정변의 중심인물로 중앙정보부(현 국가정보원)를 창설해 초대 부장에 취임해 활약했지만, 공화당의 내분으로 정계를 은퇴했다. 1971년 공화당 부총재직을 맡고 제8대 국회의원에 당선됐으며, 1971년 6월 국무총리에 취임함으로써 정계에 복귀 후 5년 6개월간 최장수 총리를 지내며, 대덕연구단지, 민속촌 등을 기획했다.
1979년 공화당 총재를 맡았으나, 1981년 신군부의 압력으로 정계 은퇴 후 미국으로 건너갔다. 1987년 신민주공화당을 창당하며 정계에 복귀하였다. 1990년 3당합당에 참여하여 민주자유당 최고위원으로 활동하였다. 하지만 1995년 탈당하고 자유민주연합을 창당하고 초대 총재가 되었다. 2004년에 제17대 총선에서 낙마하고 정계를 은퇴했다. 제3공화국과 제4공화국 당시 제2인자였으며 김영삼, 김대중, 이철승과 함께 박정희의 후계자 또는 잠재적 대안자로 거론되기도 했다.
김종필은 정계를 은퇴한 뒤 2008년 뇌졸중으로 쓰러진 이후 치료와 재활을 반복해오던 김종필은 2018년 5월 무렵부터 음식을 제대로 삼키지 못할 정도로 건강이 악화되었다. 2018년 6월 23일에 서울 신당동 자택에서 호흡곤란 증세를 일으켜 순천향대병원으로 이송되었으나, 결국 병원에 도착하기 전에 회복하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향년 92세였으며, 사인은 노환으로 알려졌다. 그의 유해는 충청남도 부여군의 종중묘역에 안장되었다.
박정희와의 갈등
김종필은 정권의 2인자로 끊임없이 박정희와 갈등했고, 1975년 12월 18일 국무총리직에서 전격 경질된다. 박정희는 그 대신 그의 둘째 형 종익을 대신 충남 부여 지역구 국회의원으로 내보냈다. 이후 김종익은 7, 8, 9대 의원을 지내게 됐다. 김종필이 박정희와의 갈등 때문에 파란을 겪고 있을 당시 정권 측에서 부여지역 민심을 달래기 위해 동생 대신 억지로 부여지역구에 출마시킨 것이었다.
1979년 3월 제10대 국회의원에 재선하였다. 그해 6월에는 유럽 특사로 파견되어 독일과 프랑스 등을 순방하고 귀국했다. 1979년 10월 박정희가 사망한 후 1979년 11월 12일 민주공화당 당무회의에서 만장일치로 총재로 선출되고, 1979년 11월에는 5·16 민족상 재단 총재가 됐다. 박정희 사후 공화당계 정당의 유력자로 부상하였다. 김종필은 민주공화당 총재로서, 김영삼, 김대중 등과 함께 유력한 차기 대권 주자로 부각했다. 신군부에 의해 정계를 강제 은퇴당한 그는 이후 운정재단을 운영하면서 사회사업에 종사하였다.
자유민주연합
자유민주연합(自由民主聯合)은 1995년 3월 30일 김종필(金鍾泌)을 중심으로 창당되어 2006년 4월까지 존속했던 보수정당. 약칭 자민련(自民聯). 민주자유당 내의 민주계를 중심으로 한 여권(與圈) 핵심부가 공화계(共和系)의 김종필 대표의 2선 퇴진을 요구하는 운동을 1994년 말부터 본격화하자 김종필은 1995년 2월 공화계의 동조세력을 이끌고 탈당하여 3월 30일 자유민주연합을 창당하였다.
1997년 11월 "DJP후보단일화"를 통해 공동정권을 창출함으로써 2년간 공동여당으로서 권력의 한 축을 이루었다. 그러나 2000년 4월 13일 총선거에서 원내교섭단체 구성에 필요한 20석을 확보하지 못한데 이어 2004년 4월 15일 총선에서 지역구 4명의 당선자만 내는 군소정당으로 전락했다. 4·15총선 뒤 김종필이 총재직을 사임하고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 그 뒤 군소정당으로 있다가 2006년 4월 한나라당과 통합했다.
국민복지연구회사건
국민복지연구회사건(國民福祉硏究會事件)은 1968년 5월 24일 민주공화당 당기위원회(黨紀委員會)가 김종필(金鍾泌)계의 주류로 분류되는 김용태(金龍泰), 최영두(崔永斗), 송상남(宋相南) 등을 해당행위자로 규정, 제명한 사건이다.
한국국민복지연구회란 1971년의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김종필을 후계자로 추대하려는 주류세력이 송상남의 주도로 1968년 3월부터 조직에 착수, 사무총장에 송상남, 회장에 김용태, 부회장에 최영두를 선출하고 각 지역 지도위원으로 경기에 신윤창(申允昌), 강원에 이승춘(李承春), 충북에 오원선(吳元善), 전북에 유광현(柳光絃), 전남에 박연수(朴鍊秀), 경북에 이원만(李源萬), 경남 및 부산에 예춘호(芮春浩) 등 주류계 중진의원을 임명하여 후계자 지명경쟁에 대비하여 결성한 조직을 말한다.
평가
김종필은 삼김 중 하나인 대한민국의 2인자로써 막대한 정치적 영향을 끼친 인물이다. 5.16군사정변의 시스템을 설계하여 헌정을 붕괴시킨 사건이지만 안정적으로 관리하였고 훗날 국가정보원이 되는 중앙정보부를 설립하여 공안정보기관에 기여를 했으며 제1차 경제개발계획 수립에도 도움을 주었다.
김종필은 군사 정권 출신이며 5.16 군사 정변의 주동자의 한 사람이라는 점과 박정희 정권에 부역하였다는 점은 부정적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반대로 보수 진영에서는 그가 1998년 DJP연합으로 정권교체에 기여한 점을 부정적으로 평가하기도 한다. 그 밖에 김영삼, 김대중과 함께 삼김으로 불리며 충청권의 맹주로 자임하며 지역갈등, 지역정치를 조장했다는 점에서도 부정적인 시각이 일부 존재하고 있다. [2]
동영상
각주
- ↑ 〈김종필(金鍾泌,1926.1.7.~2018.6.23)〉, 《두산백과》
- ↑ 〈김종필〉, 《위키백과》
참고자료
- 〈김종필(金鍾泌,1926.1.7.~2018.6.23)〉, 《두산백과》
- 〈김종필〉, 《위키백과》
- 〈김종필〉, 《나무위키》
- 정보마스터의 방, 〈JP 김종필 대통령 역사저널 그날 1026의 기회를 놓친 이유는〉, 《네이버블로그》, 2024-11-06
- 다리오75, 〈김종필이 주는 교훈〉, 《네이버블로그》, 2024-12-08
- 전문교사, 〈김종필 전 총리가 설립한 삼화목장〉, 《네이버블로그》, 2024-07-14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