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한 고조

위키원
(한고조에서 넘어옴)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한 고조

한 고조(汉高祖, hàn gāo zǔ)는 중국 한나라를 건국한 초대 황제(재위 BC 202∼BC 195)이다. 휘는 유방이다. 한 고조는 항우를 대파하고 천하통일의 대업을 실현시켰다.

개요[편집]

한 고조는 진(秦)나라 말기에 이르러 진승(陳勝)·오광(吳廣)이 반란을 일으키자 각지에서 군웅이 봉기하였으며 향리의 지도자와 청년층의 추대를 받아 진나라 타도의 기치를 높이 들고 군사를 일으켜 패공(沛公)이라 칭하였다(BC 209). 이듬해 북상하여 항량(項梁) ·항우(項羽)의 군대과 만나 연합세력을 구축하였다. 그 뒤 항우의 군대가 동쪽에서 진군(秦軍)의 주력부대와 결전을 벌이는 사이, 그는 남쪽으로 관중(關中)을 향해 진격을 계속하여 항우보다 앞서 수도 셴양(咸陽)을 함락시키고, 진왕(秦王) 자영(子嬰)의 항복을 받았다. 또 진나라의 가혹한 법률을 폐지하고 법삼장(法三章)을 약속하여 인심을 수습하였다.

약 1개월 늦게 셴양에 도착한 항우가 유방을 살해할 목적으로 이른바 '홍문(鴻門)의 회(會)'에 불려가 목숨의 위협을 받았지만 부하인 장량(張良)과 번쾌(樊噲)의 도움으로 위기를 모면하였다. 진나라가 멸망하자 항우는 서초패왕(西楚覇王)이라 칭하였고, BC 206년 유방은 항우로부터 한왕(漢王)에 봉해졌다. 그 뒤 4년간에 걸친 항우와의 쟁패전에서 소하(蕭何)·조참(曹參)·장량(張良)·한신(韓信) 등 유능한 신하와 장수들의 보좌를 받아 마침내 해하(垓下)의 결전에서 항우를 대파하고 중국 통일의 대업을 이루었다.[1]

한 고조의 생애[편집]

한고조(기원전 247년 혹은 기원전 256년 ~ 기원전 195년 6월 1일)는 전한의 초대 황제로, 자는 계(季)이다. 패현(沛縣)의 정장(亭長)으로 있다가 진나라에 맞서는 봉기에 가담하고서 진의 수도 함양(咸陽)을 함락시켰고, 한때는 관중(關中) 땅을 지배 아래 두었다. 항우(項羽)에 의해 기원전 206년 서부 한중(漢中)에 좌천되어 한왕(漢王)으로 봉해졌으나, 동진하여 기원전 202년 해하(垓下)에서 항우를 토벌하고 전한을 세웠다. 묘호는 태조(太祖), 시호는 고황제(高皇帝)이며, 일반으로 고조(高祖)로 불린다.

한 고조 유방은 패군(沛郡) 풍현(豊縣)의 중양리(中陽里),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강소 성(江蘇省) 쉬저우시(徐州市) 패현(沛縣)에서 아버지 유태공(劉太公)과 어머니 유온(劉媼)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위로 형 유백·유희가 있었고 아래로 이복 동생 유교가 있었다. 유방의 출생년을 두고서는 추측이 두 가지가 있다. 유방의 어머니 유온이 유방을 낳기 전에 어느 연못 옆에서 깜빡 잠이 들었는데 몸 위에 붉은 용이 올라오는 꿈을 꾸고서 유방을 낳았다고 한다. 유방의 이름인 '방(邦)'은 《사기》에는 기록되어 있지 않은데 후한의 학자 순열(荀悅, 148년 ~ 209년)이 지은 편년체 역사서 《한기(漢紀)》에 된 기록을 후세 학자들이 《사기》, 《한서》에 주석하면서 한 인용으로, 발굴된 유물 자료들로써 대체로 옳다고 간주되며, 자(字)인 계(季)는 '막내'라는 뜻이다. 유방은 코가 높고 수염이 아름다워 소위 '용안'이라 불리는, 긴 얼굴에 코가 돌출된 듯한 얼굴이었으며 넓적다리에는 반점 72개가 있었다고 한다.

기원전 208년, 유방은 영군과 연합해 진군과 싸웠으나 패했지만, 새로이 공격해 함락시킨 탕(碭, 지금의 안후이성 탕산碭山. 탕이란 돌벽)에 주둔하던 군사 5천 명에서 6천 명을 수합해서 하읍(下邑, 현재 하남 성 녹읍)을 함락시켰으며, 이 병력으로써 풍(豊)을 재공격해 겨우 떨어뜨렸지만, 풍을 차지하기에 앞서 유방은 풍과 비교도 되지 않을 만큼 중요한 것을 손에 넣었다. 책사 장량이다. 시황제 암살에 실패하고서 구 한(韓) 땅에서 병사를 모아 진과 싸우려 했으나 실패하고 유(留, 패의 동남) 땅의 경구에게 가담하려고 했다. 자신이 지도자로서의 자질은 부족하다는 사실을 자각했던 장량은 자신의 병법을 다양한 인물에게 말하고 다녔지만 아무도 그것을 들어주지 않는 가운데 유방만은 자신이 한 말을 경청하자 감격해했고 장량이 한 말을 유방은 거의 무조건 들어주어 천하를 결국 잡는 유방과 장량은 생각 가능한 범위에서 가장 완벽하다고 간주되는 군신 관계의 표상으로 후세인에게 추앙받는다.

기원전 205년, 유방은 아군으로 끌어들인 제후들과 함께 연합군 56만 명을 거느리고 팽성으로 들어왔다. 승리에 도취된 한군은 성에서 주야로 주연을 즐기면서 여자나 쫓아다니는 등 군기가 느슨해졌다. 이 소식을 접한 항우는 자신의 군에서 정예병 3만 명을 뽑아 서둘러 귀환해, 방심해 있던 팽성의 한군을 급습했다. 팽성전투로 유방군의 사상자는 10만에 달했고 강에 시체가 쌓여 물이 흐르지 못했을 정도였다. 유방은 황망히 도망해 겨우 목숨을 구한 와중에 유방의 아버지 유태공과 부인 여치는 초군에 포로가 되고 유방에 가세했던 제후들까지 일제히 초로 선회했다. 기원전 203년 유방은 항우군에 맞서 수비로 일관하고, 항우의 후방으로 팽월을 보내 초군의 병참기지를 공격하게 했다.

기원전 202년, 유방은 군신에게 추대받으면서 황제에 등극한다. 유방은 처음에는 낙양(洛陽)을 수도로 삼으려 했지만, 유경(劉敬)이 장안(長安)을 수도로 할 때의 이점을 말하고 장량도 찬동하자 장안에 즉시 행차하여 그곳을 수도로 정했다. 한 고조 유방은 군현제와 봉건제를 병용한 군국제를 실시하였다. 무위를 숭상한 유학자 육가의 영향 속에서 무위를 실행하며 한고조 유방은 도교 정신을 매우 중시하였고 황제와 노자를 지칭하는 황로사상을 이용하여 나라를 다스렸다. 사마천(司馬遷)은 '진나라(秦) 말 전쟁이 많아 사회가 혼란하였으나 유방(劉邦)은 전략가 장량(張良)의 여유와 노련한 경영으로 마침내 한나라(漢)를 건국하는데 성공하였다'라고 평했다.

팽성 전투[편집]

팽성 대회전(彭城大會戰)은 초한전 기원전 203년 당시 유방과 항우가 초나라 팽성에서 벌인 대규모 회전으로 항우가 유방의 60만 명의 군사를 거의 전멸시키는 괴력을 발휘했다. 당시 부하 한신의 지휘로 관중 지방의 3왕을 쓰러뜨린 한왕 유방은 각지의 9제후왕들을 불러 모아 60만에 이르는 군사를 거느리고 초나라를 치기 위한 종장이 된다. 한편 항우는 제나라를 공격하다가 성양성에서 뜻밖의 수렁 때문에 고전을 하게 된다.

당시 항우는 단지 강동에서 징집한 3만 강동 자제의 군사가 전부였지만 유방은 60만 대군이었다. 항우가 천리길을 달려 조용히 와서, 술에 취해 흥청거리느라 적병의 공격에도 대응을 못하고 있던 군사를 궤멸시켰다. 이외에도 호릉에서는 번쾌가 3만의 군대를, 팽성 외성인 소성에서는 조참, 관영, 위표가 10만 군사를 이끌고 가지키고 있었고 북쪽에 군사 10만을 풀어놓고 동쪽에 약탈하러 간 군사가 10만이 크게 넘고 팽성 수비 병력은 10만을 약간 넘어섰다. 이 전투의 패배로 유방은 일시적인 위기에 몰리게 되어 동맹을 약속한 제왕 전광, 조왕 헐, 서위왕 위표 등도 유방에게 등을 돌리게 되었다. 그러나 이 전투로 너무 큰 자만심을 가지게 된 항우는 훗날 유방에게 엄청난 대패를 당함으로써, 유방은 항우에게 복수할 수 있었다.

한 고조의 정치 업적[편집]

유방이 한나라를 세우고 나서 국가를 안정시키고 통치 구조를 확립하는 데 주력했다. 이는 단순히 새 왕조를 시작하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졌다. 유방은 먼저 지방 분권적인 봉건제를 폐지하고, 중앙집권적인 통치 체제를 구축했다. 이러한 중앙집권화는 국가의 안정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봉건 제도를 약화시키는 대신, 전국을 직접 통제할 수 있는 관료제를 강화하였으며, 이로 인해 한나라는 보다 효율적인 통치 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이는 단순한 권력 집중이 아니라, 국가 전체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적 선택이었다.

유방은 진나라의 가혹한 법률을 완화하고, 백성들의 삶을 안정시키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펼쳤다. 그는 백성들의 고통을 덜어주는 것이 왕조의 안정에 필수적이라는 점을 이해하고, 보다 인도적인 법률과 정책을 시행했다. 이로 인해 한나라의 사회적 안정과 경제적 번영이 가능해졌다. 유방은 또한 새로운 경제 정책을 통해 농업을 장려하고, 세금 제도를 개선하여 국가의 재정을 강화했다. 이러한 정책들은 한나라가 번영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으며, 그의 통치 철학은 후대 왕조들에게도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유교를 국가의 기본 이념으로 삼아 중국의 정치와 사회 구조를 더욱 견고하게 만들었다. 유교는 이후 한나라의 통치 철학이 되었으며, 이는 후대 왕조들에게도 큰 영향을 미쳤다. 유방의 정책과 통치 방식은 단순히 그의 시대에 그치지 않고, 중국 역사 전반에 걸쳐 깊은 흔적을 남겼다.

한 고조의 통치 철학[편집]

유방은 그의 출신 배경과는 다르게, 매우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리더십을 발휘했다. 그는 자신의 부족함을 인정하고, 능력 있는 인재들을 등용하여 국가를 통치하는 데 큰 도움을 받았다. 유방의 리더십은 관용과 신뢰를 바탕으로 하였으며, 이는 그가 많은 인재들을 자신의 편으로 끌어들이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유방은 자신의 출신 배경을 고려하여, 자신이 부족한 점을 채워줄 수 있는 인재들을 찾아내고, 그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데 주저하지 않았다. 이는 그가 지도자로서의 뛰어난 자질을 보여주는 부분으로, 단순한 군사적 능력을 넘어서는 그의 정치적 통찰력을 보여준다.

또한, 유방은 법가적 요소와 유교적 요소를 결합한 통치 철학을 개발했다. 그는 법가의 강력한 통치 원칙을 유지하면서도, 유교의 도덕적 가치를 중시하여 백성들에게 더 나은 삶을 제공하려 했다. 이러한 통치 철학은 한나라가 오랫동안 번영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으며, 중국 역사에서 중요한 유산으로 남게 되었다. 유방의 통치 철학은 단순히 권력을 유지하는 수단에 그치지 않고, 백성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안정을 추구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는 그가 단순히 강력한 군주로서의 역할을 넘어, 백성을 위하는 지도자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유방의 리더십은 또한 그의 개인적 성향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그는 실용주의적 사고를 기반으로 한 실천적 정책들을 펼쳤으며, 이를 통해 한나라의 경제적, 사회적 번영을 이끌어냈다. 그의 리더십은 당시의 정치적 혼란 속에서 확고한 기반을 다지게 했으며, 후대 왕조들에게도 중요한 모범이 되었다.

한 고조에 대한 평가[편집]

한 고조 유방은 소탈하고 인간미 넘치는 인물로, 자신의 신하들과 깊은 유대감을 유지했다. 유방의 이러한 성격은 그의 리더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많은 이들이 그를 따르고 존경하게 만들었다. 그는 단순히 권력을 가진 지도자로서가 아니라, 인간적인 면모를 통해 주변 사람들과 깊은 관계를 맺었다. 이는 그가 신하들과의 관계에서 신뢰와 존경을 얻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그의 통치가 단순한 권력 유지가 아닌, 사람들 사이의 관계를 중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유방은 또한 자신을 낮추며 백성들과 소통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그는 자신의 출신 배경을 기억하며, 백성들의 어려움을 이해하고자 했다. 이는 그가 민중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는 데 큰 기여를 했으며, 그의 통치가 단순히 권력에 의존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유방의 이러한 성격은 그의 지도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그가 왕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였다.

역사학자들은 유방을 중국 역사에서 가장 성공적인 황제 중 하나로 평가한다. 그는 농민 출신이라는 미천한 배경에서 출발하여 중국을 통일하고, 새로운 왕조를 세운 놀라운 업적을 이루어냈다. 한 고조 유방의 업적은 단순히 그가 한나라를 창건한 것에 그치지 않고, 중국의 정치적, 사회적 구조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유방(劉邦,BC 247 ?~BC 195)〉, 《두산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한 고조 문서는 역사인물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