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파일:철판.jpg|썸네일|300픽셀|'''철판'''(iron plate)]] |
| + | |
| '''[[철판]]'''(iron plate, plate of iron)은 쇠로 된 넓은 조각으로 [[철]]로 만든 [[판재]]를 가리킨다. | | '''[[철판]]'''(iron plate, plate of iron)은 쇠로 된 넓은 조각으로 [[철]]로 만든 [[판재]]를 가리킨다. |
| | | |
| {{:자동차 배너|부품}} | | {{:자동차 배너|부품}} |
| | | |
− | ==철판의 생산공정== | + | ==생산공정== |
− | [[파일:철의 재료.png|썸네일|300픽셀|철판의 재료]]
| + | 철판을 만들려면 우선 철을 제조할 수 있는 광물인 철광석이 필요하다. 철광석에도 적철광, 자철광, 갈철광 등 다양한 종류가 따르는데 평균 약 60%의 철분을 함유하고 있다. 철광석은 바로 용광로로 투입되는 것이 아니라 소결 공정을 거치는데, 이를 통해 철광석의 들쭉날쭉한 성분을 균일화하고, 용광로에 넣기 좋은 크기로 만든다. 이렇게 정돈된 철광석을 '소결광'이라고 한다. 소결광 이외에도 일부는 광산에서 채굴할 때부터 넣기 좋은 크기로 생산된 정립광과 극미분의 철광석을 동글동글하게 소성 시켜 만든 펠릿까지 총 3가지 원료를 용광로에서 함께 사용한다. 석회석 등 부원료도 소량 들어간다. 원료를 녹여 철 성분을 얻는데 열을 제공하는 역할은 [[코크스]]와 [[미분탄]]이 하게 된다. |
− | 철판을 만드려면 우선 철을 제조할 수 있는 광물인 철광석을 필요로 한다. 철광석에도 적철광, 자철광, 갈철광 등 다양한 종류가 따르는데 평균 약 60%의 철분을 함유하고 있다. 철광석은 바로 용광로로 투입되는 것이 아니라 소결 공정을 거치는데, 이를 통해 철광석의 들쭉날쭉한 성분을 균일화하고, 용광로에 넣기 좋은 크기로 만든다. 이렇게 정돈된 철광석을 '소결광'이라고 한다. 소결광 이외에도 일부는 광산에서 채굴할 때부터 넣기 좋은 크기로 생산된 정립광과 극미분의 철광석을 동글동글하게 소성시켜 만든 펠렛까지 총 3가지 원료를 용광로에서 함께 사용한다. 석회석 등 부원료도 소량 들어간다. 원료를 녹여 철 성분을 얻는데 열을 제공하는 역할은 [[코크스]]와 [[미분탄]]이 하게 된다. 코크스는 석탄을 1,000도 내외로 가열하여 만드는 고체 원료이다. 이는 용광로 안에서 원료를 녹이는 열원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철광석 중의 산소을 분리시키는 환원제의 역할을 한다. 미분탄은 [[석탄]]을 0.125mm 이하의 크기로 파쇄한 연료로 코크스 대비 원가가 저렴해서 경제적인 조업에 도움을 준다. 코크스가 연소되며 원료를 녹일 열을 만들어낼 수 있도록 약 1,200도의 바람, 즉 열풍을 용광로 안으로 불어 넣으면 층층이 쌓인 원료가 부분적으로 최대 2,300도에 달하는 뜨거운 용광로로 만들어진다. 이 과정에서 쇳물,슬래그 부생가스들이 복합적으로 발생해 석여있다가, 가스는 용광로의 위쪽으로 올라가고 쇳물과 슬래그는 바닥으로 떨어지게 된다. 가스는 집진기에서 먼지가 제거된 후에 다시 동력원으로 변환되고, 슬래그와 쇳물은 분리 되어 각각 수재 처리 시설과 제강공정으로 넘겨진다. 원료가 투입되어 쇳물로 배출되기까지는 약 6시간 30분이 걸린다. 이후 배출된 쇳물을 원하는 형성에 맞게 틀에 식히거나 늘리는 방법을 통해 철판이 만들어진다.<ref>BON엘이비, 〈[https://m.blog.naver.com/lo8255ve/221818756171 철의 생산공정(제선-제강-연주-압연)]〉, 《네이버블로그》, 2020-02-21</ref> | |
| | | |
− | ==철판의 두께==
| + | [[파일:철의 재료.png|썸네일|400픽셀|철판의 재료]] |
− | 자동차 외판은 0.7mm 혹은 0.8mm의 두께를 가진 철판이 주축을 이루며 노면으로부터 충격을 직접 받는 부분이라고 볼 수 있는 쇼바가 차체에 장착되는 부분에는 2.3mm 정도의 철판을 사용한다. 그리고 철판의 강도를 보완하기 위한 강화철판은 1.2mm 에서 1.6mm 정도의 [[강판]]을 사용한다. 즉, 자동차의 차체는 0.7mm 혹은 0.8mm의 큰 철판과 1.2t에서 1.6mm에 이르는 작은 철판 조각이 두 겹 혹은 세 겹씩 겹쳐 용접으로 결합되어 구성 된다. 자동차의 철판은 두꺼우면 두꺼울수록 탑승자를 보호하기 용이하며 안전하다는 생각이 들수도 있지만 자동차 철판의 두께를 마냥 두껍게 할 수 없는 이유들이 있다.<ref name="철1">김재영 기자,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017536 자동차 차체에 쓰이는 철판의 두께]〉, 《오마이뉴스》, 2000-09-01</ref>
| |
| | | |
| + | 코크스는 석탄을 1,000도 내외로 가열하여 만드는 고체 원료이다. 이는 용광로 안에서 원료를 녹이는 열원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철광석 중의 산소을 분리느하는 환원제의 역할을 한다. 미분탄은 [[석탄]]을 0.125mm 이하의 크기로 파쇄한 연료로 코크스 대비 원가가 저렴해서 경제적인 조업에 도움을 준다. 코크스가 연소되며 원료를 녹일 열을 만들어낼 수 있도록 약 1,200도의 바람, 즉 열풍을 용광로 안으로 불어 넣으면 층층이 쌓인 원료가 부분적으로 최대 2,300도에 달하는 뜨거운 용광로로 만들어진다. 이 과정에서 쇳물, 슬래그 부생가스들이 복합적으로 발생해 섞여있다가, 가스는 용광로의 위쪽으로 올라가고 쇳물과 슬래그는 바닥으로 떨어지게 된다. 가스는 집진기에서 먼지가 제거된 후에 다시 동력원으로 변환되고, 슬래그와 쇳물은 분리 되어 각각 수재 처리 시설과 제강공정으로 넘겨진다. 원료가 투입되어 쇳물로 배출되기까지는 약 6시간 30분이 걸린다. 이후 배출된 쇳물을 원하는 형성에 맞게 틀에 식히거나 늘리는 방법을 통해 철판이 만들어진다.<ref>BON엘이비, 〈[https://m.blog.naver.com/lo8255ve/221818756171 철의 생산공정(제선-제강-연주-압연)]〉, 《네이버블로그》, 2020-02-21</ref> |
| | | |
− | ===철판의 성형성=== | + | ==두께== |
− | 자동차의 차체 형상을 디자인대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철판을 금형으로 찍어내야 한다. 금형에 철판을 찍어내는 프레스 작업은 철판의 늘어가는 성질인 전성과 꺾이지 않고 변형되는 성질인 연성을 이용한 것이다. 하지만 철판이 일정 두께 이상 두꺼워지면 프레스 작업이 불가능해진다. 0.7mm에서 1.6mm 사이의 철판으로 두세겹 겹쳐 용접으로 붙여 철판을 만든다고 하지만 그것으로 그 무거운 차체의 형상을 유지하고 주행시에 노면으로 받는 충격에 견디면서 진동과 소음의 확산을 방지하는 튜닝 작업을 쉽게 할만한 충분한 강성을 만들어내기에는 불충분하다. 그래서 금형 작업시 추가하는 중요한 작업이 포밍 작업인데, 포밍 작업은 평평한 철판에 길게 볼록한 형상을 주어 얇은 철판 자체의 강성을 높여주는 기술이다. 그리고 큰 철판이 외력을 받아 변형된 후,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가는 현상인 [[스프링백]](spring back) 현상을 막아주기 위해서도 포밍 작업은 필요하다. 철판 두께와 포밍 작업에 의한 강성을 기본적으로 충분히 확보하면 이후의 튜닝 작업이 그만큼 쉬워진다.<ref name="철1"></ref>
| + | 자동차 외판은 0.7mm 혹은 0.8mm의 두께를 가진 철판이 주축을 이루며 노면으로부터 충격을 직접 받는 부분이라고 볼 수 있는 쇼바가 차체에 장착되는 부분에는 2.3mm 정도의 철판을 사용한다. 그리고 철판의 강도를 보완하기 위한 강화 철판은 1.2mm 에서 1.6mm 정도의 [[강판]]을 사용한다. 즉, 자동차의 차체는 0.7mm 혹은 0.8mm의 큰 철판과 1.2t에서 1.6mm에 이르는 작은 철판 조각이 두 겹 혹은 세 겹씩 겹쳐 용접으로 결합하여 구성된다. 자동차의 철판은 두꺼우면 두꺼울수록 탑승자를 보호하기 용이하며 안전하다는 생각이 들 수도 있지만, 자동차 철판의 두께를 마냥 두껍게 할 수 없는 이유가 있다.<ref name="철1">김재영 기자,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017536 자동차 차체에 쓰이는 철판의 두께]〉, 《오마이뉴스》, 2000-09-01</ref> 최근에는 자동차 [[연비]]를 높이기 위한 방편으로 경량화가 최대 과제로 떠오르면서 자동차 소재 분야에도 변화가 생겼다.<ref>이형섭 기자, 〈[https://www.hani.co.kr/arti/economy/car/467334.html '자동차 더 가볍게' 철판 몸체 버린다]〉, 《한겨레》, 2011-03-09</ref> 일부 [[내장재]]를 뺀 대부분의 부품을 철로 만들던 과거와 달리 가벼운 소재의 고장력강판 및 알루미늄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
| | | |
− | ===철판의 용접성=== | + | ===성형성=== |
− | 자동차에 쓰이는 용접은 용접의 편의성과 신속성 때문에 스팟 용접을 주로 이용한다. 로보트 팔을 이용한 용접도 스팟 용접이 아니면 곤란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또한 차체 조립을 위한 용접 작업 후에 깨끗한 도장 표면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용접똥에 의해 표면이 울퉁불퉁 한 모습으로 변하지 않는 스팟 용접 방법이 자동차 차체 조립을 위한 용접 작업으로는 가장 합리적인 용접 방법이다. 이 스팟 용접의 성능을 결정하는 것은 용접되는 재료의 용접성이 기본적으로 가장 중요하지만 전류와 용접 철판의 두께가 용접의 품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변수가 된다. 때문에 철판의 두께가 일정 두께 이상이 되거나 겹치는 철판이 많아지면 용접을 할 때 철판끼리 충분히 녹아 들지 않아 용접 불량이 될 수 있다. 이런 스팟 용접의 특성 때문에 철판의 두께를 어느 선 이상 두껍게 할 수 없다.<ref name="철1"></ref>
| + | 자동차의 차체 형상을 디자인대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철판을 금형으로 찍어내야 한다. 금형에 철판을 찍어내는 프레스 작업은 철판의 늘어가는 성질인 전성과 꺾이지 않고 변형되는 성질인 연성을 이용한 것이다. 하지만 철판이 일정 두께 이상 두꺼워지면 프레스 작업이 불가능해진다. 0.7mm에서 1.6mm 사이의 철판으로 두세 겹 겹쳐 용접으로 붙여 철판을 만든다고 하지만 그것으로 그 무거운 차체의 형상을 유지하고 주행 시에 노면으로 받는 충격에 견디면서 진동과 소음의 확산을 방지하는 튜닝 작업을 쉽게 할만한 충분한 강성을 만들어내기에는 불충분하다. 그래서 금형 작업 시 추가하는 중요한 작업이 포밍 작업인데, 포밍 작업은 평평한 철판에 길게 볼록한 형상을 주어 얇은 철판 자체의 강성을 높여주는 기술이다. 그리고 큰 철판이 외력을 받아 변형된 후,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가는 현상인 [[스프링백]](spring back) 현상을 막아주기 위해서도 포밍 작업은 필요하다. 철판 두께와 포밍 작업에 의한 강성을 기본적으로 충분히 확보하면 이후의 튜닝 작업이 그만큼 쉬워진다.<ref name="철1"></ref> |
| | | |
− | ===중량의 증가=== | + | ===용접성=== |
− | 자동차 연료 소비의 약 23%는 차량 중량과 관련이 있는데, 무거울수록 연료 소비가 늘어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기존의 내연기관 차량에 비해 연료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극복하고 1회 충전당 주행거리 내연기관 자동차 수준으로 끌어올려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는 전기차의 경우 연료 효율을 늘리기 위해 차량 무게를 조금이라도 줄이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한국자동차연구원에 따르면 1,500kg의 승용차 무게를 약 10% 줄일 경우 연비는 4~6%, 가속 성능은 8% 향상되고 이외에도 제동 정지 거리 단축, 핸들 조향 능력 향상, 섀시 내구 수명 증가, 배기가스 감소 등 다양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자동차 철판을 두껍게 제작하면 중량이 증가하고 중량이 증가하면 많은 문제가 연쇄적으로 돌출된다. 중량의 증가는 연비와 자동차의 수명 등 여러 요인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적절한 설계가 필요하다.<ref>고우백 무역관, 〈[https://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782/globalBbsDataView.do?setIdx=243&dataIdx=189300 자동차도 다이어트 시대! 차량 경량화 중요성 커진다.]〉, 《코트라해외시장뉴스》, 2020-07-16</ref>
| + | 자동차에 쓰이는 용접은 용접의 편의성과 신속성 때문에 스팟 용접을 주로 이용한다. 로봇 팔을 이용한 용접도 스팟 용접이 아니면 곤란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또한 차체 조립을 위한 용접 작업 후에 깨끗한 도장 표면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용접똥에 의해 표면이 울퉁불퉁 한 모습으로 변하지 않는 스팟 용접 방법이 자동차 차체 조립을 위한 용접 작업으로는 가장 합리적인 용접 방법이다. 이 스팟 용접의 성능을 결정하는 것은 용접되는 재료의 용접성이 기본적으로 가장 중요하지만, 전류와 용접 철판의 두께가 용접의 품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변수가 된다. 그 때문에 철판의 두께가 일정 두께 이상이 되거나 겹치는 철판이 많아지면 용접을 할 때 철판끼리 충분히 녹아들지 않아 용접 불량이 될 수 있다. 이런 스팟 용접의 특성 때문에 철판의 두께를 어느 선 이상 두껍게 할 수 없다.<ref name="철1"></ref> |
| | | |
− | ===충돌 안정성 문제=== | + | ===중량 증가=== |
− | 쇠덩어리 위에 엄청난 부피와 무게의 유압 장치를 쓰는 전투용 탱크가 아닌 이상 승용차는 충돌 사고 시의 승객의 안전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새로운 차를 설계하면 충돌 시험을 하면서 차체의 강성과 승객의 안전성을 절충하는 시험을 하게 된다. 충돌시 차체가 안전하게 찌그러지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승객이 받는 충격을 최소화 시키는 개발 시험을 하는 것이다. 자동차 철판을 두껍게 제작하고 그 강도가 높다고 해서 사람을 잘 보호할 수 없으며 사고가 났을 때 자동차가 찌그러지면서 사람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줄여주기 때문에 사람을 보호하려면 어느 정도 찌그러지는 것이 안전하다. 그렇다고 해서 자동차가 너무 많이 찌그러진다면 오히려 사람이 앉아 있는 좌석까지 그 힘에 밀려버려 사람을 다치게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자동차강판은 탑승자의 충격을 줄이기 위해 적당히 잘 찌그러져야 하며 또 너무 찌그러지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고도의 기술적 설계가 필요한 부품이다.<ref>〈[https://newsroom.posco.com/kr/steel-talk-%EC%B0%8C%EA%B7%B8%EB%9F%AC%EC%A7%80%EB%8A%94-%EC%9E%90%EB%8F%99%EC%B0%A8%EA%B0%95%ED%8C%90%EC%9D%B4-%EC%A2%8B%EC%9D%80-%EA%B1%B0%EB%9D%BC%EA%B3%A0%EC%9A%94/ 찌그러지는 자동차강판이 좋은 거라고요?]〉, 《포스코뉴스룸》, 2019-12-13</ref>
| + | 자동차 연료 소비의 약 23%는 차량 중량과 관련이 있는데, 무거울수록 연료 소비가 늘어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기존의 내연기관 차량에 비해 연료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극복하고 1회 충전당 주행거리 [[내연기관]] 자동차 수준으로 끌어올려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는 [[전기차]]의 경우 연료 효율을 늘리기 위해 차량 무게를 조금이라도 줄이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한국자동차연구원에 따르면 1,500kg의 승용차 무게를 약 10% 줄일 경우 연비는 4~6%, 가속 성능은 8% 향상되고 이외에도 제동 정지거리 단축, 핸들 조향 능력 향상, [[섀시]] 내구 수명 증가, 배기가스 감소 등 다양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자동차 철판을 두껍게 제작하면 중량이 증가하고 중량이 증가하면 많은 문제가 연쇄적으로 돌출된다. 중량의 증가는 연비와 자동차의 수명 등 여러 요인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적절한 설계가 필요하다.<ref>고우백 무역관, 〈[https://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782/globalBbsDataView.do?setIdx=243&dataIdx=189300 자동차도 다이어트 시대! 차량 경량화 중요성 커진다.]〉, 《코트라해외시장뉴스》, 2020-07-16</ref> |
| + | |
| + | ===충돌 안정성=== |
| + | 쇳덩어리 위에 엄청난 부피와 무게의 유압 장치를 쓰는 전투용 탱크가 아닌 이상 승용차는 충돌 사고 시의 승객의 안전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새로운 차를 설계하면 충돌 시험을 하면서 차체의 강성과 승객의 안전성을 절충하는 시험을 하게 된다. 충돌 시 차체가 안전하게 찌그러지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승객이 받는 충격을 최소화하는 개발 시험을 하는 것이다. 자동차 철판을 두껍게 제작하고 그 강도가 높다고 해서 사람을 잘 보호할 수 없으며 사고가 났을 때 자동차가 찌그러지면서 사람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줄여주기 때문에 사람을 보호하려면 어느 정도 찌그러지는 것이 안전하다. 그렇다고 해서 자동차가 너무 많이 찌그러진다면 오히려 사람이 앉아 있는 좌석까지 그 힘에 밀려버려 사람을 다치게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자동차 철판은 탑승자의 충격을 줄이기 위해 적당히 잘 찌그러져야 하며 또 너무 찌그러지지 않아야 하므로 고도의 기술적 설계가 필요한 부품이다.<ref>〈[https://newsroom.posco.com/kr/steel-talk-%EC%B0%8C%EA%B7%B8%EB%9F%AC%EC%A7%80%EB%8A%94-%EC%9E%90%EB%8F%99%EC%B0%A8%EA%B0%95%ED%8C%90%EC%9D%B4-%EC%A2%8B%EC%9D%80-%EA%B1%B0%EB%9D%BC%EA%B3%A0%EC%9A%94/ 찌그러지는 자동차강판이 좋은 거라고요?]〉, 《포스코뉴스룸》, 2019-12-13</ref> |
| | | |
| {{각주}} | | {{각주}} |
| | | |
| == 참고자료 == | | == 참고자료 == |
| + | * 김재영 기자,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017536 자동차 차체에 쓰이는 철판의 두께]〉, 《오마이뉴스》, 2000-09-01 |
| + | * 이형섭 기자, 〈[https://www.hani.co.kr/arti/economy/car/467334.html '자동차 더 가볍게' 철판 몸체 버린다]〉, 《한겨레》, 2011-03-09 |
| + | * 〈[https://newsroom.posco.com/kr/steel-talk-%EC%B0%8C%EA%B7%B8%EB%9F%AC%EC%A7%80%EB%8A%94-%EC%9E%90%EB%8F%99%EC%B0%A8%EA%B0%95%ED%8C%90%EC%9D%B4-%EC%A2%8B%EC%9D%80-%EA%B1%B0%EB%9D%BC%EA%B3%A0%EC%9A%94/ 찌그러지는 자동차강판이 좋은 거라고요?]〉, 《포스코뉴스룸》, 2019-12-13 |
| + | * BON엘이비, 〈[https://m.blog.naver.com/lo8255ve/221818756171 철의 생산공정(제선-제강-연주-압연)]〉, 《네이버블로그》, 2020-02-21 |
| + | * 고우백 무역관, 〈[https://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782/globalBbsDataView.do?setIdx=243&dataIdx=189300 자동차도 다이어트 시대! 차량 경량화 중요성 커진다.]〉, 《코트라해외시장뉴스》, 2020-07-16 |
| | | |
| == 같이 보기 == | | == 같이 보기 == |
− | {{자동차 부품|토막글}} | + | * [[철]] |
| + | * [[철광석]] |
| + | * [[강판]] |
| + | * [[강반]] |
| + | |
| + | {{자동차 부품|검토 필요}} |
| + | {{자동차 제조}} |
철판(iron plate, plate of iron)은 쇠로 된 넓은 조각으로 철로 만든 판재를 가리킨다.
생산공정[편집]
철판을 만들려면 우선 철을 제조할 수 있는 광물인 철광석이 필요하다. 철광석에도 적철광, 자철광, 갈철광 등 다양한 종류가 따르는데 평균 약 60%의 철분을 함유하고 있다. 철광석은 바로 용광로로 투입되는 것이 아니라 소결 공정을 거치는데, 이를 통해 철광석의 들쭉날쭉한 성분을 균일화하고, 용광로에 넣기 좋은 크기로 만든다. 이렇게 정돈된 철광석을 '소결광'이라고 한다. 소결광 이외에도 일부는 광산에서 채굴할 때부터 넣기 좋은 크기로 생산된 정립광과 극미분의 철광석을 동글동글하게 소성 시켜 만든 펠릿까지 총 3가지 원료를 용광로에서 함께 사용한다. 석회석 등 부원료도 소량 들어간다. 원료를 녹여 철 성분을 얻는데 열을 제공하는 역할은 코크스와 미분탄이 하게 된다.
코크스는 석탄을 1,000도 내외로 가열하여 만드는 고체 원료이다. 이는 용광로 안에서 원료를 녹이는 열원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철광석 중의 산소을 분리느하는 환원제의 역할을 한다. 미분탄은 석탄을 0.125mm 이하의 크기로 파쇄한 연료로 코크스 대비 원가가 저렴해서 경제적인 조업에 도움을 준다. 코크스가 연소되며 원료를 녹일 열을 만들어낼 수 있도록 약 1,200도의 바람, 즉 열풍을 용광로 안으로 불어 넣으면 층층이 쌓인 원료가 부분적으로 최대 2,300도에 달하는 뜨거운 용광로로 만들어진다. 이 과정에서 쇳물, 슬래그 부생가스들이 복합적으로 발생해 섞여있다가, 가스는 용광로의 위쪽으로 올라가고 쇳물과 슬래그는 바닥으로 떨어지게 된다. 가스는 집진기에서 먼지가 제거된 후에 다시 동력원으로 변환되고, 슬래그와 쇳물은 분리 되어 각각 수재 처리 시설과 제강공정으로 넘겨진다. 원료가 투입되어 쇳물로 배출되기까지는 약 6시간 30분이 걸린다. 이후 배출된 쇳물을 원하는 형성에 맞게 틀에 식히거나 늘리는 방법을 통해 철판이 만들어진다.[1]
자동차 외판은 0.7mm 혹은 0.8mm의 두께를 가진 철판이 주축을 이루며 노면으로부터 충격을 직접 받는 부분이라고 볼 수 있는 쇼바가 차체에 장착되는 부분에는 2.3mm 정도의 철판을 사용한다. 그리고 철판의 강도를 보완하기 위한 강화 철판은 1.2mm 에서 1.6mm 정도의 강판을 사용한다. 즉, 자동차의 차체는 0.7mm 혹은 0.8mm의 큰 철판과 1.2t에서 1.6mm에 이르는 작은 철판 조각이 두 겹 혹은 세 겹씩 겹쳐 용접으로 결합하여 구성된다. 자동차의 철판은 두꺼우면 두꺼울수록 탑승자를 보호하기 용이하며 안전하다는 생각이 들 수도 있지만, 자동차 철판의 두께를 마냥 두껍게 할 수 없는 이유가 있다.[2] 최근에는 자동차 연비를 높이기 위한 방편으로 경량화가 최대 과제로 떠오르면서 자동차 소재 분야에도 변화가 생겼다.[3] 일부 내장재를 뺀 대부분의 부품을 철로 만들던 과거와 달리 가벼운 소재의 고장력강판 및 알루미늄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성형성[편집]
자동차의 차체 형상을 디자인대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철판을 금형으로 찍어내야 한다. 금형에 철판을 찍어내는 프레스 작업은 철판의 늘어가는 성질인 전성과 꺾이지 않고 변형되는 성질인 연성을 이용한 것이다. 하지만 철판이 일정 두께 이상 두꺼워지면 프레스 작업이 불가능해진다. 0.7mm에서 1.6mm 사이의 철판으로 두세 겹 겹쳐 용접으로 붙여 철판을 만든다고 하지만 그것으로 그 무거운 차체의 형상을 유지하고 주행 시에 노면으로 받는 충격에 견디면서 진동과 소음의 확산을 방지하는 튜닝 작업을 쉽게 할만한 충분한 강성을 만들어내기에는 불충분하다. 그래서 금형 작업 시 추가하는 중요한 작업이 포밍 작업인데, 포밍 작업은 평평한 철판에 길게 볼록한 형상을 주어 얇은 철판 자체의 강성을 높여주는 기술이다. 그리고 큰 철판이 외력을 받아 변형된 후,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가는 현상인 스프링백(spring back) 현상을 막아주기 위해서도 포밍 작업은 필요하다. 철판 두께와 포밍 작업에 의한 강성을 기본적으로 충분히 확보하면 이후의 튜닝 작업이 그만큼 쉬워진다.[2]
용접성[편집]
자동차에 쓰이는 용접은 용접의 편의성과 신속성 때문에 스팟 용접을 주로 이용한다. 로봇 팔을 이용한 용접도 스팟 용접이 아니면 곤란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또한 차체 조립을 위한 용접 작업 후에 깨끗한 도장 표면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용접똥에 의해 표면이 울퉁불퉁 한 모습으로 변하지 않는 스팟 용접 방법이 자동차 차체 조립을 위한 용접 작업으로는 가장 합리적인 용접 방법이다. 이 스팟 용접의 성능을 결정하는 것은 용접되는 재료의 용접성이 기본적으로 가장 중요하지만, 전류와 용접 철판의 두께가 용접의 품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변수가 된다. 그 때문에 철판의 두께가 일정 두께 이상이 되거나 겹치는 철판이 많아지면 용접을 할 때 철판끼리 충분히 녹아들지 않아 용접 불량이 될 수 있다. 이런 스팟 용접의 특성 때문에 철판의 두께를 어느 선 이상 두껍게 할 수 없다.[2]
중량 증가[편집]
자동차 연료 소비의 약 23%는 차량 중량과 관련이 있는데, 무거울수록 연료 소비가 늘어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기존의 내연기관 차량에 비해 연료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극복하고 1회 충전당 주행거리 내연기관 자동차 수준으로 끌어올려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는 전기차의 경우 연료 효율을 늘리기 위해 차량 무게를 조금이라도 줄이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한국자동차연구원에 따르면 1,500kg의 승용차 무게를 약 10% 줄일 경우 연비는 4~6%, 가속 성능은 8% 향상되고 이외에도 제동 정지거리 단축, 핸들 조향 능력 향상, 섀시 내구 수명 증가, 배기가스 감소 등 다양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자동차 철판을 두껍게 제작하면 중량이 증가하고 중량이 증가하면 많은 문제가 연쇄적으로 돌출된다. 중량의 증가는 연비와 자동차의 수명 등 여러 요인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적절한 설계가 필요하다.[4]
충돌 안정성[편집]
쇳덩어리 위에 엄청난 부피와 무게의 유압 장치를 쓰는 전투용 탱크가 아닌 이상 승용차는 충돌 사고 시의 승객의 안전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새로운 차를 설계하면 충돌 시험을 하면서 차체의 강성과 승객의 안전성을 절충하는 시험을 하게 된다. 충돌 시 차체가 안전하게 찌그러지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승객이 받는 충격을 최소화하는 개발 시험을 하는 것이다. 자동차 철판을 두껍게 제작하고 그 강도가 높다고 해서 사람을 잘 보호할 수 없으며 사고가 났을 때 자동차가 찌그러지면서 사람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줄여주기 때문에 사람을 보호하려면 어느 정도 찌그러지는 것이 안전하다. 그렇다고 해서 자동차가 너무 많이 찌그러진다면 오히려 사람이 앉아 있는 좌석까지 그 힘에 밀려버려 사람을 다치게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자동차 철판은 탑승자의 충격을 줄이기 위해 적당히 잘 찌그러져야 하며 또 너무 찌그러지지 않아야 하므로 고도의 기술적 설계가 필요한 부품이다.[5]
- ↑ BON엘이비, 〈철의 생산공정(제선-제강-연주-압연)〉, 《네이버블로그》, 2020-02-21
- ↑ 2.0 2.1 2.2 김재영 기자, 〈자동차 차체에 쓰이는 철판의 두께〉, 《오마이뉴스》, 2000-09-01
- ↑ 이형섭 기자, 〈'자동차 더 가볍게' 철판 몸체 버린다〉, 《한겨레》, 2011-03-09
- ↑ 고우백 무역관, 〈자동차도 다이어트 시대! 차량 경량화 중요성 커진다.〉, 《코트라해외시장뉴스》, 2020-07-16
- ↑ 〈찌그러지는 자동차강판이 좋은 거라고요?〉, 《포스코뉴스룸》, 2019-12-13
참고자료[편집]
- 김재영 기자, 〈자동차 차체에 쓰이는 철판의 두께〉, 《오마이뉴스》, 2000-09-01
- 이형섭 기자, 〈'자동차 더 가볍게' 철판 몸체 버린다〉, 《한겨레》, 2011-03-09
- 〈찌그러지는 자동차강판이 좋은 거라고요?〉, 《포스코뉴스룸》, 2019-12-13
- BON엘이비, 〈철의 생산공정(제선-제강-연주-압연)〉, 《네이버블로그》, 2020-02-21
- 고우백 무역관, 〈자동차도 다이어트 시대! 차량 경량화 중요성 커진다.〉, 《코트라해외시장뉴스》, 2020-07-16
같이 보기[편집]
이 철판 문서는 자동차 부품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자동차 : 자동차 분류, 자동차 회사, 한국 자동차, 독일 자동차, 유럽 자동차, 미국 자동차, 중국 자동차, 일본 자동차, 전기자동차, 자동차 제조, 자동차 부품 □■⊕, 자동차 색상, 자동차 외장, 자동차 내장, 자동차 전장, 자동차 부품 회사, 배터리, 배터리 회사, 충전, 자동차 판매, 자동차 판매 회사, 자동차 관리, 자동차 역사, 자동차 인물
|
|
자동차 부품
|
계기 • 레저보어(리저버) • 레저보어 탱크(리저버 탱크) • 보조장치 • 부품 • 비순정부품 • 소모품 • 순정부품 • 스프링 • 아세이(어셈블리) • 옵션 • 운전장치 • 자동차 부품 • 정품 • 케이블 • 튜닝 • 파이프 • 햅틱 • 호몰로게이션
|
|
차대(섀시)
|
3 in 1 • VIN • 강선 • 강판 • 공차 (오차) • 공차 (자동차) • 공차중량 • 단차 • 드레인홀 • 롤링섀시 • 모노코크 • 바디 • 바디온프레임 • 배분중량 • 보일러 • 섀시 • 소자 • 에어백 모듈 • 연결모듈 • 오일 • 오일팬 • 워터펌프(냉각수 펌프) • 인버터 • 인클로저 • 중량 • 차대(섀시) • 차대번호 • 차량 총중량(GVW) • 철판 • 촉매장치 • 충전기 • 캐빈룸 • 캡오버 • 컨버터 • 크러시존(크럼플존) • 프레임 • 프로펠러 • 플러그 • 히트펌프
|
|
엔진
|
2기통 • 4기통 • 5기통 • 6기통 • 7기통 • 8기통 • 10기통 • 12기통 • 16기통 • 18기통 • 20기통 • LPDI엔진 • LPG엔진 • LPI엔진 • OHV • PS • rpm • V형엔진 • 가솔린엔진 • 가스터빈 • 공랭식 엔진 • 기화기 • 내연기관 • 냉각수 • 냉각장치 • 냉각제 • 냉각팬 • 냉간상태 • 노즐 • 다기통 • 디젤엔진 • 라디에이터 • 마력 • 배기밸브 • 밸브 • 봄베 • 부동액 • 분사 • 석유엔진 • 선박 엔진 • 수랭식 엔진 • 수소탱크 • 수소터빈 • 수평대향 엔진 • 슈퍼차저 엔진 • 스로틀바디 • 스로틀밸브 • 실린더 • 싱글터보 • 양자엔진 • 엔진 • 엔진룸 • 엔진마운트 • 엔진오일 • 엔진제어장치 • 연료분사기 • 연료시스템 • 연료전지 • 연료주입구 • 연료탱크 • 연료파이프 • 연료펌프 • 연료필터 • 열기관(열원동기) • 왕복기관 • 외연기관 • 원동기 • 원자력기관 • 원형봄베 • 자동차 엔진 • 자연흡기엔진 • 점화케이블 • 점화플러그 • 제트엔진 • 증기기관 • 증기터빈 • 직렬엔진 • 최고출력 • 최대토크 • 캠 • 캠축(캠샤프트) • 커넥팅로드(연결봉) • 크랭크 • 크랭크축 • 탱크 • 터보랙 • 터보엔진 • 터보차저 • 터빈 • 토크 • 트윈터보 • 파워팩 • 플라이휠 • 피스톤 • 피스톤 엔진 • 항공기 엔진 • 흡입밸브
|
|
모터
|
고정자(스테이터) • 교류모터 • 교류발전기 • 구동모터 • 구동모터 최대출력 • 동기모터 • 듀얼모터 • 모터 • 모터룸 • 발전기 • 시동모터 • 싱글모터 • 용단 • 유도모터 • 인휠모터 • 인휠시스템 • 인휠헥사모터 • 직류모터 • 직류발전기 • 축전지 • 코일 • 토크컨버터 • 트라이모터(트리플모터) • 퓨즈 • 퓨즈박스 • 퓨즈풀러 • 필라멘트 • 회전자(로터) • 회전축
|
|
구동장치
|
4매틱 • AWD 디스커넥터 • B-ISG • HTRAC • IGBT • PE모듈 • TCU • xDrive • 가변축 • 가속기 • 가속기 (자동차) • 감속기 • 공회전 속도조절 장치 • 공회전 제한 장치(ISG) • 구동 • 구동벨트 • 구동장치 • 구동축 • 기어(톱니바퀴) • 기어박스 • 기어비 • 기어오일 • 다운시프트 • 동력전달장치 • 뒷차축(리어액슬) • 듀얼클러치 • 무단변속기 • 미션 • 미션오일 • 배전기 • 벨트 • 변속기 • 사륜구동 • 앞차축(프런트액슬) • 업시프트 • 이륜구동 • 전륜구동 • 전축 • 종감속기어 • 차동기어(디퍼런셜) • 차동장치 • 차축(액슬) • 추진축 • 축 • 클러치 • 타이밍벨트 • 파워트레인 • 프로펠러 샤프트 • 후륜구동 • 후축
|
|
조향장치
|
경사각 • 너클암 • 너클 조인트 • 로어암 • 사륜조향 • 스러스트 • 스러스트 각 • 스티어링(조향장치) • 스티어링너클(너클) • 스티어링박스 • 스티어링 샤프트 • 스티어링암 • 어퍼마운트 • 어퍼암 • 전경각 • 전륜조향 • 조향축 • 캐스터 • 캠버 • 캠버각 • 킹핀 • 킹핀 경사각 • 킹핀 오프셋 • 토우 • 후경각 • 후륜조향 • 휠 밸런스 • 휠 얼라인먼트
|
|
제동장치
|
ABS • EBD • HHC • 경사로 밀림 방지 • 드럼브레이크 • 디스크 브레이크(디스크 로터) • 미끄럼 방지장치 • 베이퍼로크 • 보조제동장치(BA) • 브레이크드럼 • 브레이크라이닝 • 브레이크슈 • 브레이크 어시스트 시스템 • 브레이크오일 • 브레이크패드 • 슈팅 브레이크 • 오버라이드 • 오토홀드 • 전자식 제동력 분배(EBD) • 제동장치(브레이크) • 캘리퍼 • 클램프 • 클램핑력(클램프력) • 트랙션 컨트롤 시스템(구동력 제어장치)
|
|
서스펜션
|
가변댐퍼 • 고무부싱(러버부싱) • 기계식 서스펜션 • 댐퍼(제진기) • 더블위시본 서스펜션 • 마운트 • 매직 바디 컨트롤 • 부싱 • 서스펜션(현가장치) • 서스펜션암(컨트롤암) • 쇼크업소버 • 스트럿 서스펜션 • 액티브 서스펜션 • 에어매틱 • 에어서스펜션 • 에어스프링 • 전자제어 서스펜션 • 주파수 감응형 댐퍼 • 코일스프링 • 판스프링 • 플레이너 시스템 • 하시라 • 하이드로 부싱 • 현가상질량 • 현가하질량
|
|
흡배기장치
|
매연저감장치 • 배기 • 배기음 • 배기장치 • 배출 • 에어덕트 • 흡기 • 흡기장치 • 흡배기 • 흡배기장치 • 흡입
|
|
위키 :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인물, 행사, 일반
|
|
자동차 : 자동차 분류, 자동차 회사, 한국 자동차, 독일 자동차, 유럽 자동차, 미국 자동차, 중국 자동차, 일본 자동차, 전기자동차, 자동차 제조 □■⊕, 자동차 부품, 자동차 색상, 자동차 외장, 자동차 내장, 자동차 전장, 자동차 부품 회사, 배터리, 배터리 회사, 충전, 자동차 판매, 자동차 판매 회사, 자동차 관리, 자동차 역사, 자동차 인물
|
|
자동차 제조
|
기술 • 기술력 • 단종 • 마이너체인지 • 모델체인지 • 배지 엔지니어링(리뱃징) • 아이코닉 모델 • 연식변경 • 자동차 • 자동차 제조 • 제조 • 페이스리프트 • 풀체인지 • 플래그십
|
|
설계
|
CMF • VR모델 • 공기역학 • 기능 • 기능디자인 • 기능성 • 드로잉 • 디자이너 • 디자인 • 라인업 • 러기드 • 럭셔리 • 렌더링 • 리뷰 • 마닐라지 • 모델 • 모형 • 목업 • 미니멀리즘 • 비스포크 • 산업 디자이너 • 산업디자인 • 샘플 • 샤시디자인 • 설계 • 스케치 • 스타일 • 스타일리시 • 스포티 • 시각디자인 • 시제품 • 실내디자인 • 실루엣 • 실물 • 실외디자인 • 심미성 • 에어로 다이내믹 • 오퍼짓 유나이티드 • 인디오더 • 인사이드 아웃 • 자동차 디자인 • 자동차 디자이너 • 자동차 설계 • 제품디자인 • 제품 디자이너 • 클레이 • 클레이모형 • 테이프 • 테이프 드로잉 • 트라이아웃카 • 트렌디 • 패밀리룩 • 흐름도
|
|
프레스
|
가스절단 • 강 • 강도 • 강철 • 강판 • 고장력 • 고장력강 • 관재 • 구멍 • 굽힘 • 균열 • 금속 • 금속판 • 금형 • 금형기 • 납땜(납접) • 네킹 • 노칭 • 단조 • 드로잉 • 리스트라이킹 • 마킹 • 모양 • 모재 • 버링 • 벌징 • 벤딩 • 변형 • 보론강(붕소강) • 봉재 • 부재 • 블랭킹 • 비딩 • 사출 • 사출금형 • 사출금형기 • 사출기 • 성형 • 세퍼레이팅 • 셰이빙 • 소성 • 소성가공 • 소성변형 • 쇠 • 쇳물 • 스웨이징 • 슬로팅 • 슬리팅 • 시밍 • 아이어닝 • 아크절단 • 알루미늄 • 압연 • 압인 • 압접 • 압착 • 압축 • 압축가공 • 압축력 • 압출 • 업세팅 • 엠보싱 • 용가재 • 용접 • 용접봉 • 융접 • 익스팬딩 • 인발 • 인장력 • 장력 • 재드로잉 • 재료 • 전단 • 전단기 • 전단력 • 전단면 • 절단 • 정밀 블랭킹 • 제련 • 제련소 • 제진강판 • 제철 • 제철소 • 주름 • 철 • 철강 • 철강업 • 철판 • 초고장력 • 초고장력강 • 충격압출 • 컬링 • 컷오프 • 클래딩 • 탄성 • 탄성변형 • 트리밍 • 틀 • 판 • 판금 • 판재 • 패널 • 퍼포레이팅 • 펀치 • 펀칭 • 프레스 • 프레스가공 • 플래팅(스트레이트닝) • 플랜징 • 피어싱 • 합금 • 헤딩 • 형상 • 형재 • 형체 • 형태 • 형틀
|
|
도장
|
CMYK • RGB • 건조 • 고온도장 • 광선 • 광원 • 광택 • 광택제 • 구도막 • 구도막 제거 • 굽기 • 그림자 • 기포 • 농담 • 도금 • 도료 • 도료컵 • 도막 • 도막두께 • 도막두께 측정기 • 도색 • 도장 • 도장막 • 도장면 • 도장부위 • 도장장비 • 도포 • 독성 • 두께 • 롤러 • 마스킹 • 마스킹 테이프 • 명도 • 명암 • 무광 • 무광크롬 • 무늬 • 물감 • 미술 • 박리 • 반광 • 반사 • 반투명 • 발색 • 방청 • 배색 • 배합 • 백화현상 • 변색 • 보수도막 • 부식 • 분말 • 분무기 • 분사 • 분사장치 • 분진 • 분체도장(파우더코팅) • 불투명 • 불투명도 • 붓 • 붓펜 • 블렌딩 • 블렌딩 도장 • 빛 • 상도 • 상도도장 • 상수 • 상수도 • 색 • 색깔 • 색배합표(조색표) • 색상 • 색소 • 색조 • 색채 • 서페이서 • 소부 • 소부도장 • 스월마크 • 스크래치 • 스프레이 • 스프레이건 • 시너 • 실러 • 실러공정 • 아노다이징 • 안료 • 액체도장 • 액체소부도장 • 양감 • 언더코팅 • 에어브러시 • 열처리 • 염료 • 염색 • 오수 • 오폐수 • 오픈포어 • 용매(솔벤트) • 용액 • 용제 • 외관 • 요철 • 워터스팟 • 원색 • 유광 • 은폐력 • 음영 • 자연건조 • 재도장 • 저온도장 • 전색제 • 전착 • 전착도료 • 전착도장 • 전처리공정 • 점도 • 접착 • 접착력 • 조색 • 조색제 • 중도 • 중도도장 • 질감 • 착색 • 착색제 • 채도 • 채색 • 칠 • 침적 • 코팅 • 코팅막 • 크롬도금 • 클리어코트 • 탈색 • 투명 • 투명코팅막 • 트리거 • 틴팅(썬팅) • 팔레트 • 퍼티 • 페인트 • 페인팅 • 펜 • 폐수 • 표면 • 표면경화 • 표면처리 • 프라이머 • 피도물 • 피막 • 하도 • 하도도장 • 하수 • 하수도 • 하이그로시 • 화성처리 • 환풍기 • 희석
|
|
부품제작
|
3D 프린터 • 3D 프린팅 • 금속가공 • 기가캐스팅 • 기계가공 • 드릴링 • 리밍 • 메가캐스팅 • 모듈 • 모듈화 • 부품제작 • 소결 • 스폿페이싱 • 엔진조립 • 연마 • 옵션 • 절삭 • 절삭가공 • 절삭공구 • 주물(다이캐스팅) • 주조(캐스팅) • 주형 • 치수 • 카운터보어 • 카운터싱크 • 탭핑(탭가공) • 하이퍼캐스팅
|
|
의장조립
|
CKD • JIS • JIT • SKD • 골격 • 밀봉 • 반조립 • 배관 • 배선 • 부품조립 • 의장 • 의장라인 • 의장모듈 • 의장부품 • 의장조립 • 이동조립 • 장착 • 재조립 • 접합 • 조립 • 조립공장 • 조립라인 • 조립품 • 차체 • 차체조립 • 컨베이어 벨트 • 탑재 • 토요타 생산 시스템(TPS) • 패키징 • 포드시스템 • 프레임 • 회선
|
|
시험
|
강설시험 • 강우시험 • 계측 • 계측기 • 고온시험 • 더미 • 먼지터널시험 • 벨지언로 주행시험 • 사막주행시험 • 사이드 폴 테스트 • 성능 • 성능시험 • 수밀 • 시험 • 실험 • 오류 • 오작동 • 오차 • 작동 • 재시험 • 재실험 • 저마찰로 주행시험 • 저온시험 • 주행시험 • 진동시험 • 충돌시험 • 측정 • 측정기 • 타이어시험 • 테스트 • 평가 • 풍동시험 • 휠 밸런스 • 휠 얼라인먼트
|
|
검수
|
PDI • PDI센터 • 검사 • 검수 • 검증 • 검토 • 규격 • 기능검사 • 납기 • 납품 • 리콜 • 반품 • 발견 • 불량 • 불합격 • 비정상 • 사양 • 상세사양 • 수밀검사 • 수정 • 양호 • 완성 • 이상 • 자동차 안전도 평가 • 재검사 • 점검 • 정상 • 타각 • 품질 • 품질관리 • 품질보장 • 품질보증 • 하자 • 합격
|
|
위키 :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