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안데노바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역사) |
잔글 (→같이 보기) |
||
45번째 줄: | 45번째 줄: | ||
* "[https://en.wikipedia.org/wiki/Juan_de_Nova_Island Juan de Nova Island]", ''Wikipedia'' | * "[https://en.wikipedia.org/wiki/Juan_de_Nova_Island Juan de Nova Island]", ''Wikipedia'' | ||
− | ==같이 보기== | + | == 같이 보기 == |
* [[모잠비크해협]] | * [[모잠비크해협]] | ||
* [[프랑스]] | * [[프랑스]] | ||
51번째 줄: | 51번째 줄: | ||
* [[모잠비크]] | * [[모잠비크]] | ||
* [[프랑스령 남방 및 남극 지역]] | * [[프랑스령 남방 및 남극 지역]] | ||
+ | |||
+ | {{:남아프리카 같이 보기}} | ||
{{세계의 섬|검토 필요}} | {{세계의 섬|검토 필요}} |
2023년 10월 23일 (월) 22:20 기준 최신판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후안데노바섬 또는 주앙데노바섬(프랑스어: Île Juan da Nova, Île Juan de Nova, Saint-Christophe, 영어: Juan de Nova Island)은 모잠비크해협의 가장 좁은 지역에 위치한 프랑스의 열대섬으로, 마다가스카르와 모잠비크 사이의 약 1/3 지점에 위치한다. 낮고 평평한 섬으로 길이 6km, 너비 1.6km, 해안선 12.3km, 면적은 4.8km²이다.[1]
개요[편집]
후안데노바섬은 마다가스카르에서 140km, 아프리카 해안에서 290km 떨어져진 모잠비크해협에 위치해 있다. 행정적으로 프랑스령 남방 및 남극 지역(프랑스어: Terres Australes et Antarctiques Françaises; TAAF)에 속한다. 후안데노바섬은 둘레가 30km, 면적은 약 40km²의 암초로 둘러싸여 있으며 배타적 경제 구역은 61,050km²이다. 카수아리나과의 숲은 섬의 절반 정도를 덮고 있다. 가장 높은 지점은 해발 10m이며 남서해안은 선박의 상륙을 막는 산호초로 둘러싸여 있으며, 북동해안은 썰물 때 모래로 변해 통과할 수 없는 석호로 구성되어 있다. 후안데노바섬은 접근하기 어려운 조건으로 인해 여러 난파선이 발생했으며 그중 일부는 1911년 섬의 남서쪽 해안에서 좌초된 토트넘호(Tottenham )를 포함하여 섬에 남아 있다. 섬에는 1300m의 활주로가 북동쪽으로 위치해 있으며 프랑스군과 기상대가 있다.[2]
역사[편집]
후안데노바섬은 포르투갈 갈리아 제독인 주앙 다 노바(João da Nova)가 1501년 인도 원정 도중 모잠비크 해협을 건너던 중 무인도를 발견했고 그는 자신의 국적과 관련하여 갈레가(Galega) 또는 아갈레가(Agalega)라고 불렀다. 그 후 섬은 스페인어 철자로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후속 지도에 여러 가지 이름으로 표기되었으며 마침내 영국 탐험가에 의해 주앙 다 노바(Juan de Nova)로 불리기 전까지 역사적으로 이 섬은 만조때 완전히 뒤덮이는 인근 섬 바사스 다 인디아섬(Bassas da India)과 혼동되었다. 섬은 규모가 작고 유용성이 적어 식민지 열강의 관심을 끌지 못했다. 1897년 후안데노바섬은 유로파섬(Europa Island), 바사스 다 인디아섬과 함께 프랑스의 소유가 되었을 때 한 번도 거주한 적이 없는 무인도이다. 당시 이 섬을 찾는 사람들은 바다거북이 둥지를 트는 시기에 오는 마다가스카르의 어부들뿐이었다. 1900년경 이 섬은 프랑스인에게 20년 임대로 섬을 양도했다. 그는 1923년에 생산량이 5만 3천 톤에 달하는 섬의 구아노 매장지 개발을 시작했고 섬의 코코넛 숲에서도 연간 12톤의 코프라를 생산했다. 1921년 프랑스는 후안데노바섬 행정부를 파리에서 마다가스카르와 종속국에 있는 타나나리브로 옮겼다. 그 후 마다가스카르가 독립하기 전에 프랑스는 섬의 행정부를 레위니옹의 생피에르로 옮겼다. 마다가스카르는 1960년에 독립했고 프랑스는 1972년부터 이 섬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해왔다. 1934년에 그 섬에 활주로가 건설되었다. 구아노 채굴은 수십 년 동안 계속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중단되었다. 섬은 전쟁 중에 버려졌고, 독일 잠수함 선원들이 방문했다. 1952년, 헥터 피처라우(Hector Patureau)가 이끄는 소시에테 프랑수아즈 데스 말가치(Société française des îles Malgaches, SOFIM)에게 15년동안 두 번째 양도권이 부여되었다. 이 양보는 마다가스카르가 독립한 후인 1960년에 25년간 갱신되었다. 인산염 채굴 작업을 지원하기 위해 창고, 주택, 감옥 및 묘지를 포함한 구조물이 섬 전체에 건설되었다. 섬의 노동자들은 주로 모리셔스와 세이셸에서 왔다. 노동조건은 극도로 가혹했고, 규칙을 어기면 채찍질이나 투옥으로 처벌받았고, 각 노동자는 3.5루피를 벌기 위해 하루에 1톤의 인산염을 추출해야 했다. 1968년 모리셔스 노동자들이 반란을 일으켰고 운영 경영진은 레위니옹 지사에 도움을 요청했다. 1960년대 인산염 가격이 폭락하면서 섬에서의 채굴 작업은 수익성이 떨어졌다. SOFIM은 1968년에 해체되었고 마지막 노동자들은 1975년에 섬을 떠났다. 프랑스 정부는 헥터 피처아우에게 4500만 보상금으로 지급하고 조계권을 다시 장악했다.
후안데노바섬에는 1963년 정기적인 온도와 기압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라 굴레트(la Goulette)라고 불리는 보조 기상설비가 설치되었다. 그러나 1971년 이 섬을 방문했을 때 기상청의 한 대표는 이 섬의 보안이 허술할 뿐만 아니라 판독에서 수많은 비리를 발견했는데 여전히 피처로(Patureau)의 책임하에 있었다. 세계기상관측소(World Weather Watch)의 권고에 따라 1973년 이 섬의 남서쪽에 활주로 끝에 연중무휴의 기본적인 기상 관측소가 건설되었다. 1974년 프랑스 정부는 모잠비크 해협에 있는 후안데노바섬, 유로파섬, 바사스 다 인디아섬에 인도양의 흩어진 섬들 전역에 군대를 파견하기로 결정했다. 목적은 주로 프랑스가 배타적 경제수역 내에서 보호를 받는 것으로 간주하는 마다가스카르의 영토에 대한 주장에 대응하는 것이었다. 후안데노바섬에는 제2해병사단 낙하산연대 소속 14명의 군인과 소규모 수비대가 배치됐다. 그들은 이전에 SOFIM 노동자들을 거주했던 주택에 정착했다. 그 부대는 45일마다 비행기로 보급품을 받는다. 오늘날 광산 시절의 설비들은 대부분 폐허로 되어 있고 군사용 건물 몇 채만 유지되고 있다. 이 섬은 생물다양성과 특히 산호초를 보호하기 위한 자연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 단기 임무를 수행하는 과학자들에게 임시 승인이 부여되어 접근이 금지되어 있다.[3]
프랑스령 남방 및 남극 지역[편집]
프랑스령 남방 및 남극 지역(프랑스어: Terres Australes et Antarctiques Françaises; TAAF)은 프랑스가 인도양 및 남극 지역에 흩어져 존재하는 여러 섬들을 관리하기 위해 만든 행정구역이다. 간략히 TAAF(티에이에이에프)라고 부른다. 이 지역은 원래 프랑스 본토의 직접적인 행정관할에 속했지만, 2004년 12월부터는 남아프리카의 프랑스령 섬인 레위니옹 행정관할로 이전되었다. 프랑스령 남방 및 남극 지역에 속하는 섬은 남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 주변의 프랑스령 인도양 군도, 아남극 지역에 속하는 케르겔렌제도, 크로제제도, 생폴과 암스테르담 등이 있다. 남극대륙의 아델리랜드도 프랑스령 남방 및 남극 지역에 속하는 것으로 주장되었으나, 남극조약에 의거하여 남극대륙은 특정 국가의 영토가 될 수 없다. 천연자원은 어류에 한정되기 때문에, 주로 연구나 정박 목적으로 사용된다. 주 어류 자원은 비막치어, 닭새우과이다. 타국의 선박이 불법 어획을 하는 경우가 있어 프랑스 해군이 수시로 감시를 한다. 프랑스 정부는 일정 금액을 지불한 어선에 한하여 조업을 허용하고 있지만, 개체수 유지 때문에 그 수가 제한된다. 아델리랜드를 제외한 4개의 섬들은 경도상 남위 43도 동경 67도 부근에 위치한다. 아델리랜드는 남극에 위치하며, 지역의 이름은 프랑스의 탐험가 쥘 뒤몽 뒤르빌이 자신의 아내 이름을 따서 지은 것이다. 암스트레담섬과 생폴섬은 화산섬이지만, 현재는 활동하지 않는 사화산이다. 케르겔렌 제도의 몽 로스(1850m)가 지역 최고봉이다. 지역 시설로는 적은 수의 활주로와 1개의 기상 관측소가 존재하며 항구는 존재하지 않는다.
1955년 프랑스에 의해 해외 식민지로 형성되었다. 관리는 레위니옹섬(Reunion Island)의 생피에르(Saint Pierre)에 있는 본부와 지사(prefect)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2004년 12월 이후 프랑스 중앙 정권에서 행정가를 직접 파견한다. 각 지역은 사람이 영구적으로 거주하지 않기 때문에 선거도 없고 대표자를 프랑스 국회에 보내지도 않는다. 2007년 인도양의 섬들인 에파르스군도(Éparses Islands)가 포함되었다. 프랑스령 남부와 남극지역은 크게 3부분으로 나뉘는데, 첫 번째는 인도양 남쪽, 아프리카 남동쪽의 화산섬 군도(群島)이고 두 번째는 남극 조약에 따른 아델리에 지방, 세 번째는 인도양에 흩어진 에파르스섬들이다. 행정구역 상으로는 생폴섬(Saint Paul Island), 암스테르담섬(Amsterdam Island), 크로제제도(Crozet Islands), 케르겔렌제도(Kerguelen Islands), 테르 아델리에 지방(Adélie Land), 에파르스군도의 5개 지구로 나뉜다. 주도는 암스테르담섬의 마르틴 드 비비에(Martin-de-Vivies)이다. 면적은 생폴섬·암스테르담섬은 61㎢, 크로제제도는 352㎢, 케르겔렌제도는 7,215㎢, 아델리에 지방은 43만 2000㎢, 에파르스섬들은 56㎢이다. 크로제제도에는 프랑스의 영구적인 연구 기지인 포트 알프레드(Port Alfred)가 있으며 이 기지에서는 계절에 따라 15~60명의 연구원들이 기상학과 생물학, 지질학, 지진 등에 관하여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케르겔렌제도는 그랑테르(Grande Terre: Desolation Island)와 이 섬을 둘러싼 300여 개의 작은 섬으로 이루어지며 날씨가 춥고 바람이 매우 심하다. 남극 대륙에 위치한 아델리에 지방(Adelie Land)은 대부분 얼음으로 덮여 있다. 이곳은 1837년 프랑스 탐험가 뒤몽 뒤르빌에 의해서 발견되었고 지역의 이름은 그의 아내 이름 아델리에에서 유래되었다. 1956년 이후로 프랑스의 연구 기지인 뒤몽뒤르빌 스테이션(Dumont d’Urville Station)이 있으며 계절에 따라 33~78명의 연구원들이 상주하며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에파르스섬들은 4개의 작은 산호섬과 산호초로 이루어져 있다. 이 지역의 주요 천연 자원은 생선과 바다 가재이고, 경제 활동은 기상학과 지질학 조사 기지와 프랑스 어선들의 활동에 한정되어 있다.[4]
지도[편집]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 ↑ 〈주앙데노바섬〉, 《위키백과》
- ↑ 〈후안 드 노바 섬〉, 《요다위키》
- ↑ "Juan de Nova Island", Wikipedia
- ↑ 〈프랑스령 남방 및 남극 지역〉, 《위키백과》
참고자료[편집]
- 〈주앙데노바섬〉, 《위키백과》
- 〈프랑스령 남방 및 남극 지역〉, 《위키백과》
- 〈후안 드 노바 섬〉, 《요다위키》
- "Juan de Nova Island", Wikipedia
같이 보기[편집]
남아프리카 같이 보기[편집]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