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퇴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동해퇴(東海堆)는 동해 중부에 있는 얕은 퇴이다. 동해퇴 어장은 세계 3대 어장의 하나로서, 한국, 북한, 일본, 중국, 러시아가 서로 권리를 주장하는 각축장이 되고 있다. 예전에는 대화퇴(大和堆) 또는 야마토퇴(일본어: 大和堆 야마토타이)라고 불렀으나, 2024년 2월 대한민국 해양수산부는 이 퇴의 이름을 동해퇴로 부르기로 결정하였다.[1] 동해퇴에서 가장 얕은 부분에서 수심 236m이고, 동해 최고의 어장이 되고 있다. '퇴'는 주변부보다 수심이 얕은 바다를 일컫는다. '대화'는 일본어로, '야마토(大和)'를 한국어 한자 독음으로 읽은 것이다. 이 수역은 리만한류와 동한난류가 만나는 지역으로, 어군(魚群)이 풍부하여 동해 최고의 어장인 동해퇴 어장이 형성되어 있다.[2]
개요
동해퇴는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에서 동쪽으로 약 640km, 독도에서는 북동쪽으로 약 380km 떨어진 퇴(비교적 수심이 얕은 지형)를 말한다. 동해의 황금해역으로 알려져 있으며, 북해의 도거 뱅크처럼 수산자원이 매우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오징어와 명태가 많이 잡힌다고 한다. 이곳의 명칭은 1924년 일본 해군 수로부의 1500t급 측량선인 '야마토(大和)'호가 발견해 그 배의 이름을 따 명명된 것이다. 동해안은 평균 수심이 약 1400m로 깊지만 이 수역은 300~500m로 비교적 얕으며 퇴적물이 쌓이는 지점이기 때문에 플랑크톤이 많이 서식한다. 또 한류가 난류가 만나는 조경 수역이어서 오징어, 꽁치 등의 수자원이 풍부하다. 동해퇴의 대부분은 일본 배타적경제수역(EEZ)에 속하지만 1998년 한·일 신어업협정에서 중간수역의 동쪽 한계선이 동경 135도 30분으로 그어지면서 일부가 한·일 공동수역으로 조정됐다. 한일어업협정 이후 중간수역이 설정되면서 이곳에 한국 및 일본 국적 선박이 다닐 수 있게 되었다. 울릉도, 독도 반경 12해리까지는 영해이고, 이를 벗어나면 공해상이다. 무해통항권이 적용되는 EEZ이다. 그러나 이곳은 북한, 러시아 해역과도 가까운 데다 최근에는 북한과 어로협정을 맺은 중국 어선들까지 나서면서 해당국 어선과 경비정 간의 마찰이 잦다. 실제로 2005년 한일 간 33시간이나 지속된 신풍호 대치 사건을 비롯해, 2017년 북한의 한국 흥진호 나포, 2018년 한국 경비함과 일본 순시선의 대치, 2019년 2월 러시아의 한국 동진호 나포 등이 모두 이곳에서 발생했다. 또 2019년 10월에는 북한 어선과 일본 어업 단속선이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해 북한 어선이 침몰하고 바다로 뛰어든 북한 승조원 60명 전원이 현장에서 구조되는 일도 있었다.[3]
역사
동해퇴 중앙부는 북동에서 남서 방향으로 깊이 2000m에 이르는 계곡으로 분할해 있으며, 일본에 가까운 쪽을 '동해퇴', 반대쪽은 '북동해퇴'라고 부른다. 동해퇴는 일본의 배타적 경제수역에 포함되나, '북동해퇴' 지역은 그렇지 않다.
동해는 깊은 바다로 간주하고 있었지만, 1924년 구 일본 해군의 1500톤급 초계함 '야마토(大和)' 호에 의해 발견되었다. 동해퇴는 유라시아 대륙 동쪽 가장자리를 따라 직선적인 형태로 붙어 있던 옛 일본열도가 신제3기 들어 대륙에서 분리되었을 때, 동해의 확대에 의해 발생한 해령의 흔적이다. 해령은 현재 활동하고 있지 않다.
동해퇴는 오징어, 꽁치, 방어, 연어, 송어, 돌돔, 벵어돔, 개볼락, 전복, 소라, 해삼, 문어 등의 수산자원이 풍부한 어장이다. 한때 오징어 어획의 60%까지 차지했던 동해 최대의 어장 동해퇴는 수족 자원의 보고다. 대서양 북서부어장, 대서양 북동부어장과 함께 세계 3대 어장으로 꼽히는 태평양 북서부어장의 핵심 수역이기도 하다. 2018년 일본 순시선이 동해퇴에 침입한 이유로 퇴거를 경고한 북한 어선은 2017년보다 15% 감소한 1,624척이지만, 물대포를 쏜 배는 63% 늘어난 513척이었다고 해상보안청은 밝혔다.
동해퇴 어장은 한·일 양국이 공동으로 관리하는 중간수역으로 양국 어선 모두 조업이 가능하다. 동해에서도 오징어가 많이 잡히는 황금어장으로 매년 6월과 10월 일본 어선들이 집중적으로 몰린다.
한중일 오징어 전쟁
동해퇴는 1924년 일본 초계함 야마토함이 발견한 세계 3대 황금어장이다. 그러나 1998년 한일어업협정 2차 협정으로 한일 공동수역이 되었다. 동해퇴 어장은 일본 쪽에 가까워 북부는 일본 어로수역이고, 중남부만 한일 중간수역이 되었다.
최근에는 북한이 동해퇴를 자신의 배타적 경제수역이라고 주장하면서, 그 어업권을 중국에 팔아서, 중국어선이 북한 국기를 달고 수천척이 싹쓸이 어업을 하고 있으며, 일본이 이에 대해 매우 화를 내고 있다. 중국어선의 싹쓸이 조업으로 2018년 일본의 동해퇴 어획량은 2017년의 30% 밖에 되지 않았다. 한국은 동해 오징어의 씨가 말랐다.
2018년 가을, 일본 해상보안청의 순시선이 동해퇴 어장 주변 일본의 배타적경제수역(EEZ)에서 북한의 대형 철선과 접촉해 손잡이 부분이 파손되는 피해를 입었다. 북한은 대형 철선 여러척이 수많은 목선들을 밧줄로 묶어서 동해에 진입, 이탈한다. 목선의 엔진을 꺼서 연료를 아끼기 위해서라고 한다. 수많은 북한 목선이 연료부족, 기관고장 등으로 표류해, 많은 북한 어부들이 사망해서 일본 순시선에 발견되고 있다.
중국어선의 동해 쌍끌이 오징어 남획에 의한 피해도 심각하다. 북중 어로협정에 의해 2004년부터 동해 북한 수역에서 많게는 수천척의 중국 쌍끌이 어선들이 오징어 조업을 하고 있다.
2018년, 동해 북한 수역에서 오징어잡이를 하는 중국 어선이 처음으로 2,000척을 넘어섰다. 중국 어선은 2004년 북한과 중국이 북중 어로협약을 맺은 후 매년 7월부터 연말까지 북한 수역에서 조업하고 있다. 상당수는 남하하면서 울릉도 근처에서 불법 어획하고 있다. 이 때문에 울릉도 어민들은 오징어를 구경조차 할 수 없어 아예 조업을 포기하는 실정이다. 어민들은 "조업에 나서면 하루 100만원 정도의 기름값만 고스란히 날려 대부분 출어를 포기하고 있다"면서 "중국어선이 10년 넘게 북한 수역에 진출하면서 오징어 어장이 황폐화됐다"고 말했다. 울릉도에는 200여 척의 오징어 채낚기 어선이 있다. 울릉군에 따르면 오징어 어획량은 2004년 4671t, 2010년 2896t, 2013년 1774t, 2016년 984t, 2017년 931t으로 급감했다. 올해는 지난달 말까지 425t에 그쳤다.
2018년 12월, 동해퇴에서 1톤짜리 북한 목선을 구조하던 광개토대왕함과 일본 해상초계기가 충돌했다. 일본은 야마토함이 발견한 야마토퇴가 원래부터 자신들의 어장이라고 생각한다.
동해퇴어장
동해퇴어장(大和堆漁場)은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인근 해역으로, 독도에서 북동쪽으로 약 340km, 일본의 이시카와현에서 서쪽으로 약 300~400km 떨어져 있다. 넓이는 약 106만㎢이다. 동해퇴는 깊은 바다에서 솟아오른 해령(海嶺)인데, 주변의 평균 수심이 약 1,400m인데 비해 이곳은 평균 수심이 300~500m 정도로 얕다. 이로 인해 퇴적물이 쉽게 쌓여 영양염류가 풍부하고 플랑크톤이 많다. 또한 한류(寒流)와 난류(暖流)가 만나는 지점으로, 각종 수산자원이 가득한 동해 최대의 어장을 이룬다. 대표 어종에는 오징어, 꽁치, 방어, 연어, 송어, 돌돔, 볼락, 전복, 소라, 해삼, 문어 등이 있으며, 한국에서는 특히 오징어 잡이의 중심지가 되는 곳이다.
동해퇴가 발견되기 전에는 동해를 깊은 바다로만 알고 있었으나, 1924년 일본 해군의 측량선이었던 야마토(大和)호가 이 지역을 발견하였고 이후 일본은 이곳을 선박 이름 뒤에 '퇴적물이 쌓여 만들어진 언덕'이라는 뜻을 더해 야마토타이(大和堆)로 명명하였다. 한국에서는 한자어 그대로 '대화퇴'라고 부르다가, 2024년부터 동해퇴로 변경하여 부르고 있다. 동해퇴는 중앙부에 북동에서 남서 방향의 두 부분으로 나뉘며, 일본에 가까운 쪽을 '대화퇴'라고 하고 반대쪽을 북(北)대화퇴라고 한다. 1998년 한일어업 2차 협정 당시 중간수역의 동쪽 한계선 설정을 두고 대한민국과 일본 사이에 의견 차이가 있었으나, 대화퇴는 일본의 배타적 경제수역으로, 북대화퇴는 한일 중간수역으로 지정되었다. 2008년 동해퇴어장은 한·일 양국이 공동으로 관리하는 공해 성격의 중간수역에서 약 50%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양국 어선들이 모두 조업이 가능하다.[4]
동해퇴 해상 집단 조난 사고
동해퇴 해상 집단 조난 사고는 1976년 10월~11월에 걸쳐 동해퇴 지역에서 일어난 어선 침몰사고이다. 1976년 10월 28일~11월 4일 동해상 황금어장 동해퇴 어장에는 초속 14~17m의 강풍이 휘몰아치고, 높이 10m 이상의 거대한 삼각파도가 덮치면서 조업 중이었던 어선 448척 가운데 33척이 침몰 또는 전파되고 12척이 반파, 선원 317명이 목숨을 잃거나 실종되는 참극이 발생했다. 오징어 채낚기 낚시 어구를 기계 동력의 힘으로 끌어올리는 자동조상기가 없고, 선상 작업 대부분을 맨손에 의지하던 열악한 때여서 채낚기 어선 1척이 평균 30명 이상의 선원을 태우고 조업했기 때문에 인명피해가 더욱 컸다. 동해안에서 오징어 어선이 가장 많았던 속초 지역 어선들의 인명 피해가 특히 많아 사고 소식이 전해지면서 속초는 시내 전역이 눈물바다를 이루기도 했다. 사고의 원인으로 무전기, 방향탐지기, 레이다와 같은 어로 장비의 영세성이 지적되었으며, 노후한 소형 어선이 빈약한 장비로 먼 바다에서 어업을 하고 있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해경 당국은 어선들의 허위 보고가 구조를 어렵게 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5]
지도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동영상
각주
- ↑ 김윤구 기자, 〈'대화퇴' 어장, '동해퇴'로 이름 바꾼다…수산용어 알기 쉽게〉, 《연합뉴스》, 2024-02-29
- ↑ 〈동해퇴〉, 《위키백과》
- ↑ 〈대화퇴(시사상식사전)〉, 《네이버 지식백과》
- ↑ 〈대화퇴어장(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 ↑ 〈대화퇴 해상 집단 조난 사고〉, 《나무위키》
참고자료
- 〈동해퇴〉, 《위키백과》
- 〈대화퇴 해상 집단 조난 사고〉, 《나무위키》
- 〈대화퇴(시사상식사전)〉, 《네이버 지식백과》
- 〈대화퇴어장(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 김윤구 기자, 〈'대화퇴' 어장, '동해퇴'로 이름 바꾼다…수산용어 알기 쉽게〉, 《연합뉴스》, 2024-02-29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