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글 숨김 시작}} | ||
'''암호화폐'''(暗號貨幣, cryptocurrency)는 [[암호]] 기술을 이용하여 만든 디지털 화폐이다. 암호화폐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인터넷 공간에서 암호화된 데이터 형태로 사용된다. 암호화폐는 [[지폐]]나 [[동전]]과 같은 실물이 없이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가상화폐'''(假想貨幣, virtual money)라고도 부른다. 암호화폐는 결제 수단으로 사용되기보다는 [[자산]]의 안전한 보관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서 '''암호자산'''(暗號資産, crypto asset)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대부분의 암호화폐는 [[탈중앙화]]된 [[피투피]](P2P) 방식의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을 이용하여 가치를 저장·전송한다. 암호화폐는 [[해시]](hash)라는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만든 [[전자화폐]]의 일종으로서, 가치를 보증하는 [[중앙은행]]이 없이도 거래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암호화폐는 [[국가]]의 제약이 없는 글로벌 통화로서, 일종의 '''디지털 골드'''(digital gold)라고 할 수 있다. | '''암호화폐'''(暗號貨幣, cryptocurrency)는 [[암호]] 기술을 이용하여 만든 디지털 화폐이다. 암호화폐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인터넷 공간에서 암호화된 데이터 형태로 사용된다. 암호화폐는 [[지폐]]나 [[동전]]과 같은 실물이 없이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가상화폐'''(假想貨幣, virtual money)라고도 부른다. 암호화폐는 결제 수단으로 사용되기보다는 [[자산]]의 안전한 보관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서 '''암호자산'''(暗號資産, crypto asset)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대부분의 암호화폐는 [[탈중앙화]]된 [[피투피]](P2P) 방식의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을 이용하여 가치를 저장·전송한다. 암호화폐는 [[해시]](hash)라는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만든 [[전자화폐]]의 일종으로서, 가치를 보증하는 [[중앙은행]]이 없이도 거래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암호화폐는 [[국가]]의 제약이 없는 글로벌 통화로서, 일종의 '''디지털 골드'''(digital gold)라고 할 수 있다. | ||
− | + | {{:자동차 배너}} | |
+ | |||
+ | {{:암호화폐 메인}} | ||
{{:암호화폐 메뉴판}} | {{:암호화폐 메뉴판}} | ||
+ | {{:암호화폐 거래소 메인}} | ||
+ | {{:암호화폐 지갑 메인}} | ||
+ | {{:인물 메뉴판}} | ||
+ | {{:기업 메뉴판}} | ||
− | == 개념 == | + | == 암호화폐 개념과 유형 == |
+ | ===개념=== | ||
[[파일:암호화폐.png|썸네일|200픽셀|'''암호화폐'''(cryptocurrency)]] | [[파일:암호화폐.png|썸네일|200픽셀|'''암호화폐'''(cryptocurrency)]] | ||
[[파일:비트코인 동전 배경.jpg|썸네일|400픽셀|'''[[비트코인]]'''(Bitcoin) 동전 배경]] | [[파일:비트코인 동전 배경.jpg|썸네일|400픽셀|'''[[비트코인]]'''(Bitcoin) 동전 배경]] | ||
11번째 줄: | 19번째 줄: | ||
암호화폐는 달러($)나 원화(₩)와 같은 [[법정화폐]]와 달리 화폐를 발행하는 중앙은행이 없이 전 세계 인터넷 네트워크에 [[피투피]](P2P) 방식으로 분산 저장되어 운영된다. 암호화폐를 발행하고 관리하는 핵심 기술은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이다. | 암호화폐는 달러($)나 원화(₩)와 같은 [[법정화폐]]와 달리 화폐를 발행하는 중앙은행이 없이 전 세계 인터넷 네트워크에 [[피투피]](P2P) 방식으로 분산 저장되어 운영된다. 암호화폐를 발행하고 관리하는 핵심 기술은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이다. | ||
− | == 유형 == | + | ===유형=== |
− | |||
암호화폐는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 암호화폐는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 ||
− | === 코인과 토큰 === | + | ====코인과 토큰==== |
− | |||
− | |||
* '''코인'''(coin) : 다른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고 자체 [[메인넷]]을 가지고 독립적인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암호화폐를 말한다. [[이더리움]], [[이오스]] 등 모든 [[플랫폼 코인]]이 여기에 해당한다. 플랫폼 코인이 아니더라도, [[비트코인]]이나 [[리플]]처럼 다른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은 독립적인 암호화폐도 코인이라고 부른다. | * '''코인'''(coin) : 다른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고 자체 [[메인넷]]을 가지고 독립적인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암호화폐를 말한다. [[이더리움]], [[이오스]] 등 모든 [[플랫폼 코인]]이 여기에 해당한다. 플랫폼 코인이 아니더라도, [[비트코인]]이나 [[리플]]처럼 다른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은 독립적인 암호화폐도 코인이라고 부른다. | ||
* '''토큰'''(token) : 다른 플랫폼 코인 위에서 개별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암호화폐를 말한다. 토큰은 자체적인 메인넷이 없으며, 다른 플랫폼 기반 위에서 작동한다. 예를 들어 [[스테이터스네트워크토큰]](SNT)은 [[이더리움]] 플랫폼 위에서 작동하는 토큰이다. | * '''토큰'''(token) : 다른 플랫폼 코인 위에서 개별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암호화폐를 말한다. 토큰은 자체적인 메인넷이 없으며, 다른 플랫폼 기반 위에서 작동한다. 예를 들어 [[스테이터스네트워크토큰]](SNT)은 [[이더리움]] 플랫폼 위에서 작동하는 토큰이다. | ||
− | === 사용 목적에 따른 분류 === | + | ====사용 목적에 따른 분류==== |
* '''[[알트코인]]'''(altcoin) : [[비트코인]] 이외의 나머지 모든 암호화폐를 알트코인이라고 부른다. 알트코인은 alternative coin의 약자로서, 비트코인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적 코인이라는 뜻이다. [[라이트코인]], [[이더리움]], [[이오스]] 등 수천 종의 알트코인이 존재한다. | * '''[[알트코인]]'''(altcoin) : [[비트코인]] 이외의 나머지 모든 암호화폐를 알트코인이라고 부른다. 알트코인은 alternative coin의 약자로서, 비트코인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적 코인이라는 뜻이다. [[라이트코인]], [[이더리움]], [[이오스]] 등 수천 종의 알트코인이 존재한다. | ||
* '''[[플랫폼 코인]]'''(platform coin) : 다양한 서비스와 토큰에서 사용하는 공통된 기능을 모아서 제공하는 플랫폼에 사용되는 암호화폐이다. 플랫폼 코인 위에 다양한 서비스에서 사용하기 위한 탈중앙 분산형 응용 프로그램인 [[디앱]](DApp)을 만들 수 있다. | * '''[[플랫폼 코인]]'''(platform coin) : 다양한 서비스와 토큰에서 사용하는 공통된 기능을 모아서 제공하는 플랫폼에 사용되는 암호화폐이다. 플랫폼 코인 위에 다양한 서비스에서 사용하기 위한 탈중앙 분산형 응용 프로그램인 [[디앱]](DApp)을 만들 수 있다. | ||
30번째 줄: | 35번째 줄: | ||
* '''[[프라이버시 코인]]'''(privacy coin) : 일명 다크코인(darkcoin)이라고도 한다. [[익명성]]을 보장하는 코인이다. [[영지식증명]] 기술을 이용하여 코인 소유자의 신분 노출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크코인 계열의 암호화폐에는 [[모네로]], [[대시]], [[지캐시]], [[코모도]] 등이 있다. | * '''[[프라이버시 코인]]'''(privacy coin) : 일명 다크코인(darkcoin)이라고도 한다. [[익명성]]을 보장하는 코인이다. [[영지식증명]] 기술을 이용하여 코인 소유자의 신분 노출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크코인 계열의 암호화폐에는 [[모네로]], [[대시]], [[지캐시]], [[코모도]] 등이 있다. | ||
− | === 유형에 따른 분류 === | + | ====유형에 따른 분류==== |
스위스 금융당국인 [[핀마]](FINMA)는 암호화폐를 크게 3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ref>* 권오훈 변호사, 〈[https://www.coindeskkorea.com/%EB%B8%94%EB%A1%9D%EC%B2%B4%EC%9D%B8-%EC%97%85%EA%B3%84%EC%97%90-sto%EC%97%90-%EB%8C%80%ED%95%9C-%EC%98%A4%ED%95%B4%EA%B0%80-%EB%84%88%EB%AC%B4-%EB%A7%8E%EB%8B%A4/ 증권형 토큰 발행(STO)에 대한 오해가 너무 많다]〉, 《코인데스크 코리아》, 2018-11-29</ref> | 스위스 금융당국인 [[핀마]](FINMA)는 암호화폐를 크게 3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ref>* 권오훈 변호사, 〈[https://www.coindeskkorea.com/%EB%B8%94%EB%A1%9D%EC%B2%B4%EC%9D%B8-%EC%97%85%EA%B3%84%EC%97%90-sto%EC%97%90-%EB%8C%80%ED%95%9C-%EC%98%A4%ED%95%B4%EA%B0%80-%EB%84%88%EB%AC%B4-%EB%A7%8E%EB%8B%A4/ 증권형 토큰 발행(STO)에 대한 오해가 너무 많다]〉, 《코인데스크 코리아》, 2018-11-29</ref> | ||
* '''[[지불형 암호화폐]]''' : [[비트코인]], [[라이트코인]] 등 실생활에서 상품이나 서비스의 대가로 지불하는 화폐처럼 사용하기 위한 암호화폐이다. | * '''[[지불형 암호화폐]]''' : [[비트코인]], [[라이트코인]] 등 실생활에서 상품이나 서비스의 대가로 지불하는 화폐처럼 사용하기 위한 암호화폐이다. | ||
39번째 줄: | 44번째 줄: | ||
** '''펀드형 암호화폐''' : 마치 [[펀드]]처럼, 본인이나 위탁운영자가 아닌 제3자의 노력으로 소유자에게 수익이 주어지는 암호화폐이다. 암호화폐 거래소의 채굴형 토큰, 지분증명 방식의 암호화폐, 에어드랍 등은 펀드형 암호화폐와 유사한 특징이 많아, 주의할 필요가 있다. | ** '''펀드형 암호화폐''' : 마치 [[펀드]]처럼, 본인이나 위탁운영자가 아닌 제3자의 노력으로 소유자에게 수익이 주어지는 암호화폐이다. 암호화폐 거래소의 채굴형 토큰, 지분증명 방식의 암호화폐, 에어드랍 등은 펀드형 암호화폐와 유사한 특징이 많아, 주의할 필요가 있다. | ||
− | == 종류 == | + | ===암호화폐 종류=== |
2009년 세계 최초의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이 창시된 이후 계속 새로운 암호화폐가 출현하였다. 주요 암호화폐에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등이 있다. 2018년 기준으로 전 세계 암호화폐는 약 1,600종이 존재한다. {{자세히|암호화폐 종류}} | 2009년 세계 최초의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이 창시된 이후 계속 새로운 암호화폐가 출현하였다. 주요 암호화폐에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등이 있다. 2018년 기준으로 전 세계 암호화폐는 약 1,600종이 존재한다. {{자세히|암호화폐 종류}} | ||
− | == 특징 == | + | ===암호화폐 특징=== |
암호화폐를 얻기 위해서는 [[채굴기]]라는 서버 컴퓨터를 운영하여 직접 [[채굴]](mining)을 하거나, [[암호화폐 거래소]]를 통해 현금을 주고 구매하거나,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 대가로 암호화폐를 받아야 한다. 새로운 암호화폐를 개발하기 위한 자금을 모으기 위해 일종의 "암호화폐 프리세일"에 해당하는 [[ICO]](초기코인공개)를 하기도 한다. | 암호화폐를 얻기 위해서는 [[채굴기]]라는 서버 컴퓨터를 운영하여 직접 [[채굴]](mining)을 하거나, [[암호화폐 거래소]]를 통해 현금을 주고 구매하거나,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 대가로 암호화폐를 받아야 한다. 새로운 암호화폐를 개발하기 위한 자금을 모으기 위해 일종의 "암호화폐 프리세일"에 해당하는 [[ICO]](초기코인공개)를 하기도 한다. | ||
55번째 줄: | 60번째 줄: | ||
* 핵심만 콕콕! 암호화폐 분석, 〈[https://cryptochain.tistory.com/36 (TOP 100) 이것만 알아도 코린이 탈출! 암호화폐 한번에 정복하기! - 3편]〉, 《블록센스》, 2018-06-30 | * 핵심만 콕콕! 암호화폐 분석, 〈[https://cryptochain.tistory.com/36 (TOP 100) 이것만 알아도 코린이 탈출! 암호화폐 한번에 정복하기! - 3편]〉, 《블록센스》, 2018-06-30 | ||
* 핵심만 콕콕! 암호화폐 분석, 〈[https://cryptochain.tistory.com/44 (TOP 100) 이것만 알아도 코린이 탈출! 암호화폐 한번에 정복하기! - 4편]〉, 《블록센스》, 2018-07-01 | * 핵심만 콕콕! 암호화폐 분석, 〈[https://cryptochain.tistory.com/44 (TOP 100) 이것만 알아도 코린이 탈출! 암호화폐 한번에 정복하기! - 4편]〉, 《블록센스》, 2018-07-01 | ||
+ | *암호화폐 거래소 자료, https://94bit.com/fee/ , 《94비트》, 2023-06-13 | ||
== 같이 보기 == | == 같이 보기 == | ||
76번째 줄: | 82번째 줄: | ||
* [[ICO]] | * [[ICO]] | ||
}} | }} | ||
+ | {{글 숨김 끝}} | ||
{{암호화폐 종류}} | {{암호화폐 종류}} | ||
− | {{암호화폐 | + | {{암호화폐 거래소}} |
− | {{암호화폐 | + | {{암호화폐 지갑}} |
− | {{ | + | {{암호화폐 창시자}} |
+ | {{암호화폐 거래소 운영자}} | ||
+ | {{블록체인 개발업체}} | ||
− | |||
[[분류:암호화폐]] | [[분류:암호화폐]] | ||
[[분류:블록체인 서비스]] | [[분류:블록체인 서비스]] | ||
+ | [[분류:화폐]] |
2024년 5월 19일 (일) 22:07 기준 최신판
[펼치기]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을 누르세요!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