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콜구예프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북극해 위치 지도}} 썸네일|300픽셀|'''콜구예프섬''' 파일:콜구예프섬 위치.jpg|썸네일|300픽셀|'''콜구예프섬 위치'...)
 
잔글
 
3번째 줄: 3번째 줄:
 
[[파일:콜구예프섬 위치.jpg|썸네일|300픽셀|'''콜구예프섬 위치''']]
 
[[파일:콜구예프섬 위치.jpg|썸네일|300픽셀|'''콜구예프섬 위치''']]
  
'''콜구예프섬'''(러시아어: о́стров Колгу́ев, 영어: Kolguyev Island)은 [[러시아]] 북부, [[북극해]]에 있는 [[섬]]이고, [[바렌츠해]]의 동쪽에 위치한 섬이다. [[아르한겔스크주]]에 속해있다. 인구는 약 400명이고 주민들의 거주지는 남동쪽에 위치한 부그리노(Bugrino)가 유일한 거주지이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BD%9C%EA%B5%AC%EC%98%88%ED%94%84%EC%84%AC 콜구예프섬]〉, 《위키백과》</ref>
+
'''콜구예프섬'''(러시아어: о́стров Колгу́ев, 영어: Kolguyev Island)은 [[러시아]] 북부, [[북극해]]에 있는 [[섬]]이고, [[바렌츠해]]의 남쪽, [[카닌반도]]의 동쪽에 위치한 섬이다. 콜구예프섬은 [[아르한겔스크주]]에 속해 있다. 인구는 약 400명이고 주민들의 거주지는 남동쪽에 위치한 부그리노(Bugrino)가 유일한 거주지이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BD%9C%EA%B5%AC%EC%98%88%ED%94%84%EC%84%AC 콜구예프섬]〉, 《위키백과》</ref>
  
 
== 개요 ==
 
== 개요 ==
39번째 줄: 39번째 줄:
 
{{지도|콜구예프섬}}
 
{{지도|콜구예프섬}}
 
{{다단2
 
{{다단2
 +
|{{카닌반도 행정 지도}}
 
|{{바렌츠해 국가 지도}}
 
|{{바렌츠해 국가 지도}}
|{{북서연방관구 행정 지도}}
 
 
}}
 
}}
 
{{다단2
 
{{다단2
|{{러시아유럽 행정 지도}}
+
|{{북서연방관구 행정 지도}}
 
|{{북극해 국가 지도}}
 
|{{북극해 국가 지도}}
 
}}
 
}}
{{러시아 행정 가로 지도}}
 
  
 
== 동영상 ==
 
== 동영상 ==

2024년 7월 26일 (금) 15:43 기준 최신판

콜구예프섬
콜구예프섬 위치

콜구예프섬(러시아어: о́стров Колгу́ев, 영어: Kolguyev Island)은 러시아 북부, 북극해에 있는 이고, 바렌츠해의 남쪽, 카닌반도의 동쪽에 위치한 섬이다. 콜구예프섬은 아르한겔스크주에 속해 있다. 인구는 약 400명이고 주민들의 거주지는 남동쪽에 위치한 부그리노(Bugrino)가 유일한 거주지이다.[1]

개요[편집]

콜구예프섬은 러시아 네네츠 자치구의 섬으로 바렌츠해 남동쪽, 페초라해 서쪽, 카닌반도 북동쪽에 위치하고 있다. 섬이 둥그렇게 생겼으며 면적은 3,497km²이며 최고점은 166m이다. 섬에는 습지랑 툰드라 지형을 띄며 대량의 석유랑 천연가스 있다고 한다. 섬에는 냉대 기후를 띄며 8월의 평균 온도는 8.3 °C이며, 가장 추운달은 2월이다. 2월의 평균 온도는 −11.5 °C이다. 역대 가장 더울때는 13.0 °C이며, 역대 가장 추울때는 −25.3 °C이다. 섬에 사슴이 다량으로 서식중이다.[2]

지리 및 기후[편집]

콜구예프섬은 대략 원형의 섬으로 직경이 80km(50mi)이고 면적은 3,497km²(1,350mi)이다. 섬에서 가장 높은 지점은 166m(545피트)이다. 광대한 습지는 툰드라 특유의 초목으로 뒤덮인 많은 늪과 황량한 언덕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캔들 라크스푸르의 제안된 아종인 델피니움 엘라툼은 이 섬에서만 발견되지만, 본토 개체군과의 구별 여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섬의 남동해안에 위치한 부그리노(Bugrino)라는 유일한 주민 거주지가 있다. 네네츠족이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낚시, 순록 양식, 포획이 그들의 주요 경제활동이다. 석유와 가스도 존재한다.

콜구예프섬은 툰드라 기후(Köppen ET)로 8월 평균은 7.7°C(45.9°F)에 불과하다. 2월은 -12.6°C(9.3°F)의 평균으로 가장 추운 달이다. 콜구예프섬은 해상 입지 때문에 계절적 지체를 겪고 있다. 겨울과 봄보다 여름과 가을에 강수량이 많아 섬은 총 359mm(14.1인치)의 강수량을 기록한다.[3]

역사[편집]

콜구예프섬에는 수세기 동안 네네츠족이 정착해 온 곳으로, 그들은 이 섬을 바다표범과 순록 사냥 및 낚시를 위한 기지로 이용했다. 섬 주변 해역은 1594년 8월 항해사 빌렘 바렌츠(Willem Barentsz)에 의해 간략하게 탐험되었다.

1841년, 프란츠 요제프 루프레히트(Franz Josef Ruprecht)와 사웰야프 교수가 이끄는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의 탐험대가 7월과 8월에 이 섬을 방문했다. 그들은 섬을 일주하고 섬 내부를 간략하게 탐험하면서 섬에 관해 보도했다.

섬은 1894년 영국의 자연주의자 트레버-배티에(Trevor-Battye)가 탐험했다. 그는 6월에 조수와 함께 상륙하여 특히 새를 포함한 야생 동물을 연구하기 위해 약 한 달을 보낼 계획이었다. 선박의 기계적 문제와 오해로 인해 그들은 12주 동안 섬에 갇혀 있었다. 그는 콜구예프의 자연사와 지형에 대한 연구를 콜게예프의 얼음 경계(Ice-Bound on Kolguev, 1895)로 출판했다. 이 책에는 여름 방목을 위해 순록을 섬으로 데려왔고 러시아에서 무역을 위해 거위를 잡았던 네네츠족(그는 사모예드라고 부름)에 대한 관찰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트레버-배티에는 결국 1894년 9월에 이 순록 목동들과 함께 섬을 떠났고 페코라강에서 아르한겔스크까지 육로로 1,000마일(1,600km)을 여행해야 했다. 그는 이 여정을 차르 강 북쪽 고속도로(A Northern Highway of the Tsar, 1898)에서 설명했다.

경제[편집]

부그리노 마을의 주요 직업들은 순록의 목축과 어업이다. 부그리노는 콜게프스키 산업단지의 거점이다. 2013~2014년 콜게프섬에서 충분한 식량이 없어 사슴이 대량으로 폐사했다. 가축은 1만2000마리에서 200~400마리로 줄었다. 다른 소식통에 따르면 최대 50마리까지 되었다고 한다. 순록 사육 국유 농장에는 노동자 4명이 남았다. 인구의 성장이 중단되고 있다.

아크틱네프트(ArktikNeft)는 석유탐사 전문업체인 OAO 아크틱모르네프테그라즈베드카(OAO Arktikmorneftegazrazvedka)와 함께 이 섬에서 영업 허가를 받은 유일한 대륙 기업이다. 이 섬의 탐사는 1980년에 시작되었다. 1983년에 페샤누제르스코예(Peschanoozerskoye) 유전이 발견되었다.

현재까지는 유전만 개발되고 있다. 가스 추출에는 새로운 인프라 건설이 필요하다. 아크틱네프트(ArktikNeft)는 원유의 모든 탐사, 시추, 생산, 저장 및 운송을 수행한다. 섬의 매장량의 유황 함량이 매우 낮아 품질이 우수하다. 운영 중인 시추 우물은 52개(2002년 11월 기준)로 연간 약 10만t의 석유를 생산하고 있다.

섬에서 다양한 추출, 가공 및 저장 장소 간의 원유 수송은 송유관을 통해 이뤄지며, 수출은 여름과 가을에 해상으로 이뤄지는데, 평균 용량 3만t의 유조선이 부유 송유관을 이용해 해안에서 5000m 떨어진 바다에 직접 적재된다. 모든 석유는 로테르담으로 수출된다.

인력은 석유 및 시추팀, 두 개의 두 개의 우물 서비스팀, 운송 인력 및 행정 직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작업은 각각 150명으로 구성된 두 팀이 수행하며, 52일마다 바뀐다. 섬에서 대륙으로 사람과 장비를 운송하고 다시 섬으로 운송하는 작업은 2002년 말까지 겨울에는 헬리콥터로 아르한겔스크, 무르만스크 또는 나리안마르와 콜구예프를 연결하고, 여름과 가을에는 증기선을 타고 무르만스크와 섬 사이를 운항했다. 2002년 11월부터 아크틱네프트(ArcticNeft)는 중형 항공기(Yak-40, An-24 및 An-26)를 수용할 수 있는 활주로를 보유했으며, 회사는 주로 자체 필요를 위해 사용하지만, 특히 부그리노 마을 주민을 포함한 섬의 나머지 인구의 필요를 위해 사용한다.[4]

바렌츠해[편집]

바렌츠해(러시아어: Баренцево море, 노르웨이어: Barentshavet, 영어: Barents Sea, 문화어: 바렌쯔해)는 노르웨이러시아 서북부 앞에 있는 바다북극해의 일부이며 북서쪽으로는 스발바르 제도(Svalbard), 북동쪽은 젬랴프란츠요세프 제도(Земля Франца-Иосифа), 동쪽은 노바야제믈랴 제도(Новая Земля)에 둘러 쌓였으며 서쪽으로는 노르웨이해와 연결된다. 명칭은 네덜란드의 탐험가 빌럼 바런츠(Willem Barentsz)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바렌츠해는 북극해에 속하며 여름철 이외에는 대부분 얼어 있다. 남북 길이 1300km, 동서 너비 1050km, 면적은 137만 359㎢, 평균 수심은 230m이다. 동쪽은 노바야 제믈랴 제도의 남섬인 유즈니섬(Южный)을 경계로 삼아 카라해, 서쪽은 갑자기 평균 수심이 2,000m로 깊어지는 노르웨이해로 이어진다. 석유천연가스, 메탄 하이드레이트 등 해저 자원이 매장되어 있으며 대구 같은 어족 자원도 풍부하다. 바렌츠해 남반부는 따스한 난류인 북대서양 해류의 영향이 미치는 해역에 접한 무르만스크와 노르웨이 북부의 바르되(Vardø)는 해수면이 얼지 않는 부동항이다. 만류(灣流)의 연장인 따뜻한 노르웨이 해류가 시계와 반대 방향으로 남부에 흘러들고 있어 2월에도 1∼3℃의 수온을 이룬다. 그러나 대체로 겨울에는 얼음이 얼고, 여름에는 북동부를 제외하고 항행이 가능하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2년 12월 25일부터 1943년 1월 9일까지 바렌츠해에서 영국 해군과 독일 해군 크릭스마리네 사이에 벌어진 해전은 독일 해군이 PQ-17의 영광을 재현하기 위해 벌인 해전이었지만, 결과적으로는 독일 해군 역사상 최악의 졸전이 되었다. 이 사건 이후로 독일 해군의 수상함대는 사실상 종말을 맞게 된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소련으로 각종 자원과 무기를 지원해주는 주요 항로가 되어 북극해는 연합군의 보급로를 차단하려는 독일 해군과 공군 이에 대항하여 미국까지 닿아있는 유일한 젖줄을 지키기 위해 필사적인 소련 해군 및 렌드리스를 소련까지 운송하던 영국 해군이 격렬하게 싸우는 전쟁터가 되었다. 북부와 동부, 남부 부근은 겨울에 얼어붙게 되므로 쇄빙선으로 얼음을 깨면서 항로를 개척하지 않는 한 항해가 불가능하다. 러시아에서는 오랫동안 서유럽으로 직접 항행할 수 있는 유일한 진로로서 중요한 해역이었으나, 18세기 전반에 발트해 연안을 얻음으로써 그 중요성이 약화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바렌츠해는 러시아북해함대유럽으로 진출하는 길목으로 무르만스크세베로모르스크를 근거지로 활동하고 있는 러시아 북해함대의 주요 활동 무대이다.[5]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콜구예프섬〉, 《위키백과》
  2. 콜구예프섬(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3. "Kolguyev Island", Wikipedia
  4. 콜구예프 섬〉, 《요다위키》
  5. 바렌츠해〉, 《위키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북유럽 같이 보기[편집]

북유럽 국가
북유럽 도시
북유럽 지리
북유럽 섬
북유럽 문화
북유럽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콜구예프섬 문서는 세계의 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