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에르뇌위아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같이 보기)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8번째 줄: | 18번째 줄: | ||
[[스발바르제도]](노르웨이어: Svalbard, 문화어: 쓰발바르드 제도)는 [[유럽]] 본토의 북부, [[대서양]]에 위치한 군도이다. [[노르웨이]]와 [[북극점]]의 중간에 자리하고 있다. 북위 74°~81°, 동경 10°~35° 사이의 여러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노르웨이 왕국의 [[영토]]로 가장 큰 섬은 [[스피츠베르겐섬]]이며, 그 뒤를 이어 [[노르아우스틀라네섬]]과 [[에드게외위아섬]]이 두 번째와 세 번째로 넓은 섬이다. 수도는 [[롱위에아르뷔엔]]이며, 그 외의 정착지로는 바렌츠부르크의 러시아인 탄광촌, 니알슨의 연구 기지, 스베아그루바의 탄광촌 등이 있다. 정치는 총독이 관리하고 있다. 뉘올레순(Ny-Ålesund)에는 [[한국]]의 북극 [[다산과학기지]]가 위치하고 있다. 스발바르제도는 [[북극해]]상에 위치한 노르웨이 최북단 영토이다. 스발바르제도의 주민 대부분은 행정 중심지 롱위에아르뷔엔에 거주하고 있다. 한편 바렌츠부르크(Баренцбург)와 피라미다(Пирамида, Pyramiden)처럼 몇몇 러시아인 마을이 위치하고 있기도 하다. 주요 산업은 석탄업이다. 북극점 근처의 고위도에 위치하여 있으며 거의 전역이 영구동토층이고 육지의 약 60% 정도는 빙하에 덮여 있다. 그러나 바람과 북대서양 난류의 영향으로 같은 위도에 있는 다른 지역에 비해서는 그래도 기후가 상당히 온화한 편이며 난류의 영향으로 섬 북부를 제외하고는 겨울에 [[바다]]가 얼지 않는다. 롱웨에아르뷔엔의 2월 평균 기온은 -12℃, 7월 평균기온은 7℃ 정도이다. 북극권에서도 한참 북쪽에 위치한 곳으로 북위 78도의 롱위에아르뷔엔에서는 10월 26일부터 2월 16일까지 약 4개월간은 [[태양]]을 볼 수 없다. 스발바르제도는 우주산업 계열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도 상당히 중요한 곳인데, 세계 각국의 극궤도 인공위성들과 교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성기지국인 스발바르 위성 기지국(Svalbard Satellite Station)이 바로 여기에 위치하여 있다. 이는 극지에 가깝다는 지리학적 특징을 이용한 것으로서, 인공위성들의 상당수가 북극과 [[남극]]을 잇는 극궤도를 돌고 있는데, 위도가 낮은 곳 (가령 한국)에서는 하루에 두 세번 밖에 위성이 지나가지 않지만, 북극과 남극에서는 매번 위성이 지구를 돌 때마다 그 위를 지나기 때문에 하루에 열 차례 이상 교신을 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오슬로나 트롬쇠에서 롱위에아르뷔엔 간 항공편으로 1년 내내 갈 수 있다. 한국에서의 거리가 상당히 먼 것처럼 생각하는데 의외로 [[서울]]에서 직선거리가 6,300km밖에 되지 않으며 이는 [[모스크바]]보다도 가깝다. 단지 메르카토르 도법으로 펼쳐놓은 지도를 보다 보니 멀다고 착각을 하는 것이다. 또한 실제 면적도 [[스리랑카]]보다 살짝 작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8A%A4%EB%B0%9C%EB%B0%94%EB%A5%B4_%EC%A0%9C%EB%8F%84 스발바르 제도]〉, 《위키백과》</ref> | [[스발바르제도]](노르웨이어: Svalbard, 문화어: 쓰발바르드 제도)는 [[유럽]] 본토의 북부, [[대서양]]에 위치한 군도이다. [[노르웨이]]와 [[북극점]]의 중간에 자리하고 있다. 북위 74°~81°, 동경 10°~35° 사이의 여러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노르웨이 왕국의 [[영토]]로 가장 큰 섬은 [[스피츠베르겐섬]]이며, 그 뒤를 이어 [[노르아우스틀라네섬]]과 [[에드게외위아섬]]이 두 번째와 세 번째로 넓은 섬이다. 수도는 [[롱위에아르뷔엔]]이며, 그 외의 정착지로는 바렌츠부르크의 러시아인 탄광촌, 니알슨의 연구 기지, 스베아그루바의 탄광촌 등이 있다. 정치는 총독이 관리하고 있다. 뉘올레순(Ny-Ålesund)에는 [[한국]]의 북극 [[다산과학기지]]가 위치하고 있다. 스발바르제도는 [[북극해]]상에 위치한 노르웨이 최북단 영토이다. 스발바르제도의 주민 대부분은 행정 중심지 롱위에아르뷔엔에 거주하고 있다. 한편 바렌츠부르크(Баренцбург)와 피라미다(Пирамида, Pyramiden)처럼 몇몇 러시아인 마을이 위치하고 있기도 하다. 주요 산업은 석탄업이다. 북극점 근처의 고위도에 위치하여 있으며 거의 전역이 영구동토층이고 육지의 약 60% 정도는 빙하에 덮여 있다. 그러나 바람과 북대서양 난류의 영향으로 같은 위도에 있는 다른 지역에 비해서는 그래도 기후가 상당히 온화한 편이며 난류의 영향으로 섬 북부를 제외하고는 겨울에 [[바다]]가 얼지 않는다. 롱웨에아르뷔엔의 2월 평균 기온은 -12℃, 7월 평균기온은 7℃ 정도이다. 북극권에서도 한참 북쪽에 위치한 곳으로 북위 78도의 롱위에아르뷔엔에서는 10월 26일부터 2월 16일까지 약 4개월간은 [[태양]]을 볼 수 없다. 스발바르제도는 우주산업 계열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도 상당히 중요한 곳인데, 세계 각국의 극궤도 인공위성들과 교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성기지국인 스발바르 위성 기지국(Svalbard Satellite Station)이 바로 여기에 위치하여 있다. 이는 극지에 가깝다는 지리학적 특징을 이용한 것으로서, 인공위성들의 상당수가 북극과 [[남극]]을 잇는 극궤도를 돌고 있는데, 위도가 낮은 곳 (가령 한국)에서는 하루에 두 세번 밖에 위성이 지나가지 않지만, 북극과 남극에서는 매번 위성이 지구를 돌 때마다 그 위를 지나기 때문에 하루에 열 차례 이상 교신을 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오슬로나 트롬쇠에서 롱위에아르뷔엔 간 항공편으로 1년 내내 갈 수 있다. 한국에서의 거리가 상당히 먼 것처럼 생각하는데 의외로 [[서울]]에서 직선거리가 6,300km밖에 되지 않으며 이는 [[모스크바]]보다도 가깝다. 단지 메르카토르 도법으로 펼쳐놓은 지도를 보다 보니 멀다고 착각을 하는 것이다. 또한 실제 면적도 [[스리랑카]]보다 살짝 작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8A%A4%EB%B0%9C%EB%B0%94%EB%A5%B4_%EC%A0%9C%EB%8F%84 스발바르 제도]〉, 《위키백과》</ref> | ||
− | ==지도== | + | == 지도 == |
{{비에르뇌위아섬 행정 지도|800}} | {{비에르뇌위아섬 행정 지도|800}} | ||
{{지도|비에르뇌위아섬}} | {{지도|비에르뇌위아섬}} | ||
+ | |||
+ | ===비에르뇌위아섬 주변 지도=== | ||
{{다단2 | {{다단2 | ||
|{{스발바르제도 행정 지도}} | |{{스발바르제도 행정 지도}} | ||
+ | |{{노르웨이 행정 지도}} | ||
+ | }} | ||
+ | {{다단2 | ||
|{{그린란드해 국가 지도}} | |{{그린란드해 국가 지도}} | ||
+ | |{{바렌츠해 국가 지도}} | ||
}} | }} | ||
{{다단2 | {{다단2 | ||
− | |||
|{{북유럽 국가 지도}} | |{{북유럽 국가 지도}} | ||
− | |||
− | |||
− | |||
|{{북극해 국가 지도}} | |{{북극해 국가 지도}} | ||
}} | }} | ||
53번째 줄: | 55번째 줄: | ||
* [[노르웨이]] | * [[노르웨이]] | ||
* [[섬]] | * [[섬]] | ||
− | * [[ | + | * [[스발바르제도]] |
* [[노르웨이해]] | * [[노르웨이해]] | ||
* [[북대서양]] | * [[북대서양]] | ||
+ | |||
+ | {{:북유럽 같이 보기}} | ||
{{세계의 섬|검토 필요}} | {{세계의 섬|검토 필요}} |
2023년 10월 21일 (토) 23:54 기준 최신판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비에르뇌위아섬(Bjørnøya) 또는 영어명으로 베어섬(Bear Island)은 북극권 바렌츠해에 있는 노르웨이 섬이다. 비에르뇌위아섬은 노르웨이 본토와 스발바르제도의 대략 중간 지점에 있는 위치해 있고, 면적은 178km²이다.[1]
개요[편집]
비에르뇌위아섬은 노르웨이 스발바르제도의 최남단 섬으로 노르웨이해와 바렌츠해의 경계이다. 베어섬은 1596년 6월 10일 네덜란드 탐험가 빌렘 바렌츠(Willem Barentsz)와 야콥 반 헴스커크(Jacob van Heemskerck)에 의해 발견되었다. 섬은 근처에서 수영하는 북극곰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다. 섬은 19세기까지 미청구 영역인 테라 무효(terra nullius)로 여겨졌으며 1920년 스피츠베르겐 조약에 의해 노르웨이 주권하에 놓였다. 외딴 곳에 위치해 척박한 자연에도 불구하고 이 섬은 지난 수 세기 동안 석탄 채굴, 어업, 고래잡이와 같은 상업 활동을 해왔다. 그러나 몇 년이 넘도록 정착지가 지속되지 않았고 베어섬은 현재 헤르위감나(Herwighamna) 기상대에서 일하는 직원들 외에는 사람이 살지 않고 있다. 베어섬은 스발바르제도의 주요 섬이며 남쪽에 위치하여 스발바르제도에서 가장 온화한 기후를 가지고 있다. 북대서양 해류의 지류는 따뜻한 물을 스발바르 서쪽으로 운반하는 도중에 베어섬을 지나가며 이것은 기후에 영향을 미쳐 비슷한 위도에 있는 다른 극지방보다 훨씬 더 따뜻하다. 베어섬의 기후는 해양과 극지방(쾨펜 ET)으로 겨울에는 비교적 높은 기온과 많은 양의 강수량을 보인다. 겨울 강우량이 많은 것은 극지방에서 매우 드문 일로 대서양 저기압이 때때로 베어섬의 남서쪽의 탁 트인 바다로 인해 북동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섬은 1953년 6월에 23.6°C의 최고 온도를 기록했고 1927년 3월에 −31.6°의 최저 기온을 기록했다. 극야는 11월 8일부터 2월 3일까지 지속되고 백야 기간은 5월 2일부터 8월 11일까지이다. 비에르뇌위아섬은 인근 해역과 함께 2002년 자연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2]
역사[편집]
베어섬의 기록된 역사는 윌럼 바렌츠(Willem Barentsz)가 세 번째 탐험에서 이 섬을 발견한 1596년에 시작된다. 그는 이 섬을 영어로 베어섬(Bird Island)이라고 이름 지었다. 스티븐 베넷(Steven Bennet)은 1603년과 1604년에 더 많은 탐험을 했고 당시 풍부한 바다코끼리의 개체수를 기록했다. 17세기 초부터 이 섬은 주로 바다코끼리와 다른 바다표범의 사냥 기지로 사용되었으며 바닷새의 알은 1971년까지 대형 새 군락지에서 수확되었다. 머스코비회사(Muscovy Company)는 1609년 영국 왕실의 영지로 베어섬(Bear Island)을 주장했지만 바다코끼리 사냥이 줄어들자 이곳을 포기했다. 18세기에 러시아인 정착촌이 존재했고 그 유적은 1899년 러시아 제국과 1947년 소련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근거로 사용되었다. 베어섬은 광범위하게 정착된 적이 없다. 20세기 초의 포경장 유적은 남동쪽의 크발로스부크타(Kvalrossbukta)에서 볼 수 있다. 1916년부터 1925년까지 북동부 해안의 툰하임(Tunheim)이라는 작은 정착지에서 석탄이 채굴되었지만 수익성이 없어 채굴을 포기했다. 추운 기후로 인해 반쯤 파괴된 부두와 증기 기관차 등 정착지의 잔해가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다.
베어섬의 전략적 가치는 러시아 제국과 독일이 바렌츠해에 대한 관심을 보였던 19세기 말에 인식되었다. 독일 기자이자 모험가인 테오도르 레너(Theodor Lerner)는 1898년과 1899년에 섬을 방문해 소유권을 주장했다. 1899년 독일어업협회(DSV)는 바렌츠해에서 고래잡이와 어업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 독일어업협회는 독일 해군 사령부와 비밀리에 접촉해 베어섬 점령 가능성을 고려했다. 이러한 진보에 대한 반응으로 러시아 해군은 보호를 받는 순양함 스베틀라나를 조사하기 위해 보냈고, 1899년 7월 21일 러시아는 베어섬에 그들의 깃발을 게양했다. 레너는 이에 항의했지만 폭력 사태는 발생하지 않았고 어느 나라도 베어섬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지 않고 외교적으로 해결됐다. 섬 전체는 1918년부터 1932년까지 노르웨이 정부가 지분을 인수한 비외르뇌엔 AS(Bjørnøen AS)의 탄광 회사에 의해 소유되었다. 비외르뇌엔 AS는 현재 국영회사로 존재하며 스피츠베르겐(Spitsbergen)에서 연구기관인 니올레순(Ny-Olesund)의 운영을 운영하는 킹스베이회사(Kings Bay AS)와 공동으로 운영하고 있다. 노르웨이 라디오 방송국(Björnöya Radio)은 1919년 북부 해안의 헤르위감나(Herwighamna)에 설립되었고 나중에 기상 관측소를 포함하도록 확장되었다. 대서양에서 북극 백해의 항구로 가는 뱃길이 바렌츠해를 통과하기 때문에 베어섬 근처의 해역은 냉전 기간뿐만 아니라 2차 세계대전 동안에도 전략적으로 중요했다. 비록 스발바르제도가 독일에 점령당하지는 않았지만 그곳에 기상 관측소를 몇 개 지었다. 비외르뇌야(Bjørnøya)에는 1941년에 자동화된 라디오 방송국이 배치되었다. 독일군은 베어섬 주변 해역에서 소련으로 향하던 군수물자로 북극 수송선 여러 대를 공격했다. 그들은 1942년 6월과 7월의 호송선 PQ17에 큰 손실을 입혔지만, 1942년 섣달 그믐날 밤 바렌츠해 전투에서는 효과가 없었다. 베어섬 남동쪽 해역은 1943년 더 많은 해전이 있었던 곳이다. 1944년 11월, 소련은 베어섬의 영유권을 획득할 목적으로 스피츠베르겐 조약을 무효화할 것을 제안했다. 노르웨이 망명정부의 트리그베 리에(Trygve Lie)와의 협상은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날 때까지 합의로 이어지지 않았고 소련의 제안은 실행되지 않았다. 그러나 소련은 스피츠베르겐에 주둔하고 있었다.
2002년에 기상 관측소 주변 1.2km²를 제외한 모든 섬을 아우르는 자연 보호구역이 설정되었다. 보호구역에는 해안으로부터 반경 7km의 인접 해역도 포함되어 있다. 2008년에는 육지 177km²와 해상 2805km²에 이르는 해안에서 반경 22km까지 보호구역을 확장하기로 결정했다. 현재 섬의 유일한 거주자는 헤르비감나(Herwighamna)에 있는 노르웨이 기상대와 라디오 방송국 직원 9명 정도다. 이 관측소는 기상 관측을 실시해, HF 채널 2182/2168과 VHF 채널 16/12의 라디오 워치를 포함한 물류 및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기상예보는 HF 2182/VHF 16을 통해 매일 두 번 방송된다. 이 기지는 또한 노르웨이 해안 경비대, 노르웨이 330 비행대, 스발바르 주지사가 사용할 수 있는 헬리콥터 착륙 플랫폼을 갖추고 있다. 노르웨이 극지연구소는 매년 베어섬 탐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주로 조류학 연구에 관여하고 있다. 지리학과 기후학과 관련된 몇 가지 다른 연구 프로젝트들은 덜 정기적으로 수행된다. 아마추어 무선 통신자들이 여름 동안 섬에서 DX피디션을 진행하기도 한다.[3]
스발바르제도[편집]
스발바르제도(노르웨이어: Svalbard, 문화어: 쓰발바르드 제도)는 유럽 본토의 북부, 대서양에 위치한 군도이다. 노르웨이와 북극점의 중간에 자리하고 있다. 북위 74°~81°, 동경 10°~35° 사이의 여러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노르웨이 왕국의 영토로 가장 큰 섬은 스피츠베르겐섬이며, 그 뒤를 이어 노르아우스틀라네섬과 에드게외위아섬이 두 번째와 세 번째로 넓은 섬이다. 수도는 롱위에아르뷔엔이며, 그 외의 정착지로는 바렌츠부르크의 러시아인 탄광촌, 니알슨의 연구 기지, 스베아그루바의 탄광촌 등이 있다. 정치는 총독이 관리하고 있다. 뉘올레순(Ny-Ålesund)에는 한국의 북극 다산과학기지가 위치하고 있다. 스발바르제도는 북극해상에 위치한 노르웨이 최북단 영토이다. 스발바르제도의 주민 대부분은 행정 중심지 롱위에아르뷔엔에 거주하고 있다. 한편 바렌츠부르크(Баренцбург)와 피라미다(Пирамида, Pyramiden)처럼 몇몇 러시아인 마을이 위치하고 있기도 하다. 주요 산업은 석탄업이다. 북극점 근처의 고위도에 위치하여 있으며 거의 전역이 영구동토층이고 육지의 약 60% 정도는 빙하에 덮여 있다. 그러나 바람과 북대서양 난류의 영향으로 같은 위도에 있는 다른 지역에 비해서는 그래도 기후가 상당히 온화한 편이며 난류의 영향으로 섬 북부를 제외하고는 겨울에 바다가 얼지 않는다. 롱웨에아르뷔엔의 2월 평균 기온은 -12℃, 7월 평균기온은 7℃ 정도이다. 북극권에서도 한참 북쪽에 위치한 곳으로 북위 78도의 롱위에아르뷔엔에서는 10월 26일부터 2월 16일까지 약 4개월간은 태양을 볼 수 없다. 스발바르제도는 우주산업 계열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도 상당히 중요한 곳인데, 세계 각국의 극궤도 인공위성들과 교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성기지국인 스발바르 위성 기지국(Svalbard Satellite Station)이 바로 여기에 위치하여 있다. 이는 극지에 가깝다는 지리학적 특징을 이용한 것으로서, 인공위성들의 상당수가 북극과 남극을 잇는 극궤도를 돌고 있는데, 위도가 낮은 곳 (가령 한국)에서는 하루에 두 세번 밖에 위성이 지나가지 않지만, 북극과 남극에서는 매번 위성이 지구를 돌 때마다 그 위를 지나기 때문에 하루에 열 차례 이상 교신을 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오슬로나 트롬쇠에서 롱위에아르뷔엔 간 항공편으로 1년 내내 갈 수 있다. 한국에서의 거리가 상당히 먼 것처럼 생각하는데 의외로 서울에서 직선거리가 6,300km밖에 되지 않으며 이는 모스크바보다도 가깝다. 단지 메르카토르 도법으로 펼쳐놓은 지도를 보다 보니 멀다고 착각을 하는 것이다. 또한 실제 면적도 스리랑카보다 살짝 작다.[4]
지도[편집]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비에르뇌위아섬 주변 지도[편집]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 ↑ 〈비에르뇌위아섬〉, 《위키백과》
- ↑ 〈베어 아일랜드(노르웨이)〉, 《요다위키》
- ↑ "Bear Island (Svalbard)", Wikipedia
- ↑ 〈스발바르 제도〉, 《위키백과》
참고자료[편집]
- 〈비에르뇌위아섬〉, 《위키백과》
- 〈스발바르 제도〉, 《위키백과》
- 〈베어 아일랜드(노르웨이)〉, 《요다위키》
- "Bear Island (Svalbard)", Wikipedia
같이 보기[편집]
북유럽 같이 보기[편집]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