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독초

위키원
Asadal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8월 21일 (수) 21:06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독초(毒草)는 독이 들어 있는 이다. 독초는 식물뿌리, , 열매 따위에 이 들어 있어 먹으면 중독되고 몸에 닿으면 살갗염증이 생길 수 있다. 흰독말풀, 바꽃, 독미나리 따위가 있다.[1]

개요

독초 또는 유독식물은 초식동물이 소비하는데 방해가 되는 독소를 만들어내는 식물이다. 식물은 포식자들로부터 도망치기 위해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자신들을 초식동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다른 수단을 갖추어야 한다. 일부 식물들은 가시와 같은 물리적 방어수단이 있지만 지금까지 가장 흔한 형태의 보호 방식은 화학물질이다.

독성 화합물 다수가 중요한 약용적 이점도 갖추고 있다.[2]

목록

맹독성이거나 식용으로 오인하기 쉽거나 심지어 식용인데 처리를 잘 못 해서 중독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경우는 굵은 글씨로 표기한다.

  • 가지과 - 감자(파란 부분과 싹), 토마토(잎과 줄기, 덜 익은 열매), 가지, 고추, 미치광이풀, 엔젤 트럼펫, 독말풀, 까마중, 꽈리, 담배, 벨라돈나, 맨드레이크
  • 고사리과 - 고사리, 고비 둘 다 생으로 먹으면 안 된다.
  • 국화과 - 털머위, 달리아, 쑥의 일부, 도꼬마리, 제충국, 개쑥갓
  • 나리과 - 박새, 삿갓나물
  • 대극과 - 대극, 아주까리(피마자), 다육 유포르비아, 파두, 쓴(bitter) 카사바, 만치닐
  • 마전자 나무
  • 목련과 - 서망초
  • 무환자나무과 - 무환자나무, 마로니에, 리치
  • 미나리과 - 만테가지아눔어수리, 독미나리, 지리강활(개당귀), 개발나물, 나도독미나리(독당근)
  • 미나리아재비과 - 동의나물, 미나리아재비, 개구리자리, 복수초, 백부자, 요강나물, 모데미풀, 진범, 젓가락나물, 할미밀망, 사위질빵, 투구꽃(울프스베인), 할미꽃
  • 박과 - 오이, 야생오이, 호박, 콜로신스(Citrullus colocynthis)
  • 벚나무과 - 체리(잎)
  • 봉선화과 - 봉선화, 물봉선, 노랑물봉선
  • 비짜루과 - 은방울꽃
  • 삼과 - 삼
  • 소철문 전체
  • 수선화과 - 수선화, 문주란, 사프란, 군자란, 석산
  • 양귀비과 - 양귀비 , 애기똥풀, 매미꽃, 괴불주머니
  • 옻나무과 - 옻나무, 덩굴옻나무, 개옻나무, 망고
  • 은행나무
  • 주목속 전체
  • 진달래과 - 블루베리, 히스 등의 극소수를 제외하면 대부분 독이 있다. 특히 로도덴드론속(진달래속)은 더하다. 철쭉이나 만병초가 유명하고, 진달래에도 미약한 독성이 있다. 심지어 꿀에도 독이 있어 꿀을 먹고 식중독이 발생하는 원인 중 하나다.
  • 천남성과 - 천남성, 디펜바키아 , 앉은부채, 토란, 구약감자, 반하
  • 콩과 - 해녀콩, 등, 스위트피, 실거리나무, 고삼, 칡, 자귀나무, 양골담초, 강낭콩, , 아까시나무, 목주완두
  • 포도과 - 포도
  • 현삼과 - 디기탈리스
  • 협죽도과 - 협죽도, 마삭줄, 박주가리
  • 회양목과 전체
  • 자리공과 - 자리공
  • 쐐기풀과 - 쐐기풀, 짐피짐피[3]

독초 / 봄 산나물 구별

독초를 산나물이나 약초로 오인하고 섭취해 부작용이나 식중독을 일으키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산나물을 찾는 사람들은 늘었지만 산나물과 유사한 독초에 대한 정보가 없어 식용이 가능한 산나물과 독초를 구별하는 일은 여간 쉬운 일이 아니다.

산마늘 / 박새(독초)

옛날 사약으로 이용되던 박새는 울릉도에서 자생하며 항암효과로 각광받고 있는 산마늘과 유사한 식물로 뿌리를 약용으로 이용할 수 있으나 독성이 강해서 주의가 필요하다. 쌈으로도 먹기도 하는 산마늘은 강한 마늘냄새와 함께 뿌리가 파뿌리와 비슷하고 길며(20 ~ 30cm) 넓은 잎(4 ~ 7cm)이 2 ~ 3장이 달렸지만 박새의 잎은 여러장이 촘촘히 어긋나 있고 잎의 아랫부분은 줄기를 감싸고 있으며, 잎의 가장자리는 털이 많고 주름이 뚜렷하다.

산마늘 ,박새(독초).png

비비추 / 은방울꽃(독초)

식용산나물인 비비추와 모습이 비슷한 은방울꽃은 종종 사고를 일으키는 독초중의 하나로 뿌리에 독이 있어 잘못 먹으면 위험에 빠질 수 있다. 잎이 곧고 튼튼하게 뻗어 있으며 융기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비비추는 잎의 가장자리로 가늘게 잎주름이 져있고 은방울꽃보다 잎의 색이 엷다.

비비추, 은방울꽃(독초).png

원추리 / 여로(독초)

여로는 식물전체를 약용이나 식용으로 이용하는 원추리와 유사한 식물로 뿌리를 약용으로 이용할 수 있으나 독성이 강하여 바르는 용도로만 주로 사용된다. 여로의 원줄기 아랫부분은 그물과 같은 섬유로 싸여 있고, 잎에는 털이 많으며 대나무 잎처럼 나란히 맥이 많고 주름이 깊게 져있는데 반해 원추리의 기부는 섬유로 싸여 있지 않고 잎에는 털과 주름이 없다.

원추리, 여로(독초).png

곰취 / 동의나물(독초)

독성이 매우 강한 동의나물은 식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곰취와 유사한 식물로 뿌리를 약용할 수는 있으나 독성이 매우 강하므로 직접 먹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어린잎은 둥근 심장형으로 비슷하나 곰취는 잎이 부드럽고 가는 털이 있지만 동의나물은 습지에서 잘 나고 잎이 두꺼우며 털이 없다.

곰취, 동의나물.png

참당귀 / 개당귀(독초)

참당귀는 잎이 길고 뾰족해 보이며 잎과 잎사이 연결부가 붙어있지만 개구릿대, 금죽이라 불리는 독초 개당귀는 잎이 하나씩 따로 입줄기에 달려 있다. 잎의 뒷면을 비교해보면 참당귀 뒷면은 앞면처럼 녹색을 띠며 광택이 있어 보이지만 개당귀는 흰빛을 띠고 광택이 없는 점이 다르다.

참당귀, 개당귀, 개구릿대(독초).png

머위 / 털머위(독초)

털머위는 식물 전체를 약용 및 식용으로 이용하는 머위과 유사한 형태를 하고 있으나 독성을 가지고 있다. 머위는 이른 봄에 꽃이 먼저 피고 연녹색잎에는 부드러운 털이 나 있지만 털머위는 해안가에서 자라는 상록 다년생 초본으로 잎은 짙은 녹색을 띠며 표면은 광택이 나 있고 뒷면은 갈색 털이 빽빽하다.

머위, 털머위.png

우산나물 / 삿갓나물(독초)

독성이 있어 소량만 사용되는 삿갓나물은 우산을 펼쳐놓은 듯한 우산나물과 비슷한데 잎이 나는 모양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우산나물은 잎의 가장자리가 잘게 갈라진 잎이 2열로 깊게 갈라져 5 ~ 9개가 돌려나는데 비해 삿갓나물은 잎의 가장자리가 갈라지지 않은 잎이 6 ~ 8장이 돌려나는 것이 특징이다.

우산나물, 삿갓나물(독초).png
독초를 먹었을 경우 응급처치 요령

독초를 산나물로 잘못 섭취하면 설사나 복통, 구토, 어지러움, 경련, 호흡곤란 등의 증세가 생기는데 이런 증상이 발생하면 즉시 손가락을 목에 넣어 먹은 내용물을 토하게 한 후 가까운 병원 등에서 치료를 받는 것이 가장 좋다. 이때, 토한 후에는 뜨거운 물을 마시게 하며, 병원으로 이동할 때에는 먹고 남은 독초가 있다면 가져가는 것이 좋다.

잘 먹으면 약초가 되고 잘못 먹으면 독초가 되는 산나물. 조금 더 주의를 기울여 식중독 피해를 예방하자. [4]

각주

  1. 독초〉, 《네이버국어사전》
  2. 독초〉, 《위키백과》
  3. 독초〉, 《나무위키》
  4. 봄 산나물 vs 독초 구별하기〉, 《산림청》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독초 문서는 식물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