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미화원
환경미화원(環境美化員, Noun cleaner)은 차도 · 인도 등의 거리나 공공건물 · 학교 ·병원 · 사무실 · 아파트 등의 건물을 청소하는 전문가를 말한다.[1]
목차
개요[편집]
환경미화원은 일반적으로 지방자치단체장이 관내 폐기물 및 재활용품의 수거, 도로 청소, 공중변소의 청소 · 관리 등을 위하여 고용한 자를 말한다. 환경미화원은 거리미화원 · 건물미화원 · 굴뚝미화원 등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하는 일은 다음과 같다.
- 거리환경미화원 : 휴지 · 낙엽 등의 오물을 쓸어모으고 청소차 또는 운반용 수레에 담는다. :삽 · 곡괭이 등을 사용하여 모래를 뿌리기도 한다.
- 건물환경미화원 : 실내 · 현관 · 복도 · 승강기 · 계단 · 화장실 등을 청소기구와 약품을 사:용, 깨끗이 하고 실내 비품의 먼지를 제거한다. 재떨이 · 휴지통 등을 비우고 세척하며, 전구를 교체하고 비누 · 휴지 등의 소모품을 보충한다. 병원 · 호텔 등에서는 침대시트 · 환자복 · 커튼 등의 세탁물을 세탁장으로 보내며, 매트리스를 털고 침대시트와 커튼을 갈아 끼우며 침대를 정리하기도 한다.
- 굴뚝환경미화원 : 보일러 또는 노(爐)의 열효율을 높이고 가스 배출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굴뚝의 그을음을 제거한다. 굴뚝수선원의 지시에 따라 노 또는 굴뚝의 결함상태를 살펴 보고하기도 한다.
환경미화원에 대한 자격규정은 각 구청에 따라 다르나 대개 만 20세 이상의 신체 건강한 사람(병역필 또는 면제자)이다. 환경미화원으로서의 자질이라면 신체건강한 자로서 공중위생에 대한 인식이 확실하고, 아울러 도시미화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는 직업적 자부심과 사명감이 필요하다.
내무부 산하 각 시 · 도의 구청에 청소과가 설치되어 있으며, 거리환경미화원의 경우는 이곳에서 관장한다. 구청에 소속된 거리환경미화원의 법정 1주간 근로시간은 44시간을 원칙으로 하며 1일의 근로시간은 8시간을 원칙으로 한다.
환경미화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인구의 파악은 수치가 엄청난 만큼 불가능한 상태이며 가족 단위로 종사하는 경우도 많다.
특히 거리환경미화원의 경우, 교통사고로 인한 위험이 큰 직업이기도 하다. 건물환경미화원의 경우도 용역회사에 수주를 주어 연간계약을 맺어 청소문제를 해결하고 있으므로 그 숫자 파악이 불가능하다.[1]
채용절차[편집]
채용조건[편집]
환경미화원은 공무직으로 채용하는 경우도 있고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시험을 통해서 채용하기도 한다. 시험 방식은 해당 지자체 마다 다르지만 필기, 면접, 체력 시험 등으로 구성되고 있다. 청소 경험이 없어도 도전할 수 있지만 경력이 있다면 채용시 우대받을 수 있다.
환경직 공무원이 되려면 환경산업기사를 보유하고 있거나 환경기능사 자격증을 보유하고 2년 이상 경력이 있는 등의 자격을 갖춰야 응시를 할 수 있습니다. 일정 요건이 있기 때문에 경쟁률은 낮은 편이다.[2]
자격증[편집]
국가기술 국가공인 자격증으로는 환경기능사가 있다. 이 자격증을 취득하면 전문용역 업체, 환경 관리 업무, 폐기물과 폐수 처리 분야에 취업할 때 유리하게 적용된다고 한다.
수험기간은 비전공자 기준으로 약 3주에서 1개월 정도 소요될 수 있으며 난이도는 낮은 편이다.[2]
근무시간[편집]
보통 오전 6시~8시 정도에 출근해서 3시~5시 정도 일찍 업무가 마무리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직업 특성 상 새벽에 일어나서 출근을 해야 하기 때문에 아침형 생활방식을 하는 분들에게 잘 맞는 직업이다. 일반 회사와 마찬가지로 하루 8시간 근무하며 주말 근무가 없는 경우도 꽤 많다.[2]
연봉[편집]
근무시간이 기업마다 다르게 진행되기 때문에 연봉도 다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평균적인 연봉으로는 약 3,000만 원에서 4,000만 원 정도의 임금을 받게 된다고 한다. 하지만 어느 곳에 소속되는지에 따라 평균 연봉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명절 상여금, 휴가비 등의 다양한 수당도 추가된다.[2]
연금[편집]
환경미화원은 엄연히 따지면 공식 공무원이 아니지만 지역지 자체에 소속되던 공무원이 관리하는 준공무원에 해당한다. 또한 정규직이 아닌 무기계약직으로 분류되어 정년은 60세까지이다. 관련해서 연금을 궁금해하겠지만 정규직 공무원이 아니기 때문에 연금은 없다고 보면 된다.[3]
시험절차[편집]
서류/필기/실기/면접[편집]
전국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별도로 치러지는 환경미화원 시험을 통해 환경미화원을 채용하고 있다. 채용 절차는 대체로 아래와 같이 4단계로 구성된다.
- 서류젼헝 (이력서, 자기소개서, 연령 ,부양가족 여부, 해당 지방자치단체 거주 기간 등에 따라 가산점 부여)
- 필기시험 (일부 지방자치단체에 한해 시행하며, 주로 고등학교 검정고시 수준의 한국사나 일반상식, 일반사회 출제)
- 실기시험 (모래주머니 들고 50m 달리기, 100m 달리기, 모래주머니 트럭 상차, 윗몸일으키기 등으로 체력 수준 평가)
- 면접시험 (질의응답을 통해 환경미화원으로서 필요한 기본 지식, 인성 등 평가)
필기시험을 치르지 않는 곳도 있고, 서류전형을 면접시험과 함께 진행하기도 하는 등 지방자치단체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 서류전형 준비방법
- 서류전형에서는 이력서에 여러 사항을 기재하도록 되어 있다. 부양가족이 있을수록, 나이가 많을수록,해당 지방자치단체에서 오래 거주했을수록 높은 점수를 받는다. 별도의 준비가 불가능한 부분이다.
-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자기소개서 제출을 요구하기도 한다. 지원 동기, 합격 후 계획 등을 물으며 지원자의 인성이나 자질 등을 파악하니 본인의 경험과 가치관을 구체적으로 잘 표현하는 게 핵심이다.
- 필기시험 준비방법
- 환경미화원 채용 경쟁률이 치열해지면서 필기시험을 치르는 지방자치단체들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시중에 공무직 채용 지원자들을 위해 일반상식, 일반사회, 한국사 시험 등을 대비할 수 있는 전용 교재들을 여럿 판매하고 있으니 이들 교재로 학습하시면 된다.
- 고등학교 검정고시 수준으로 크게 난이도가 높지는 않기 때문에 과목별로 교재 1~2권 정도면 충분히 대비가 가능하다는 평이다. 물론 평소에 학습이 익숙치 않은 분들이라면 몇 개월 부단히 공부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다.
- 실기시험 준비방법
- 실기시험은 일단 평소에 운동 등을 통해 체력을 일정 수준 이상 유지하시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채용 공고가 올라왔을 때 실기 시험에서 치러지는 종목을 합격선에 드는 수준으로 연습하셔야 한다.
- 채용 공고마다, 지방자치단체마다 체력 종목은 차이가 있지만 달리기, 상하차, 던지기, 윗몸일으키기 등입니다. 크게 연습을 필요로 하는 종목이 치러지는 경우는 거의 없고 어느 정도 체력이 받쳐준다면 충분히 준비 가능한 종목이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다.
- 면접시험 준비방법
- 면접시험도 크게 난이도가 높지는 않다는 평이다. 지방자치단체의 쓰레기 배출일자, 음식물 쓰레기 버리는 방법, 환경미화에 대한 기본 지식, 환경미화원으로서의 포부 등을 묻는다고 한다.
-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환경미화 정책과 규율, 그리고 지원동기, 앞으로의 계획 등 기본적인 질문에 대한 답변을 준비해가시는 것만으로 충분히 준비하실 수 있다.[4]
각주[편집]
- ↑ 1.0 1.1 〈환경미화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 2.0 2.1 2.2 2.3 〈환경미화원 자격증,연봉,채용조건과 근무시간〉, 《네이버블로그》, 2024-02-27
- ↑ 〈환경미화원 연봉, 시험/연금은? (9급공무원 비교)〉, 《네이버블로그》, 2024-03-26
- ↑ 박종현, 〈환경미화원 채용 절차 및 준비방법(환경미화원 시험)〉, 《네이버블로그》, 2024-04-10
참고자료[편집]
- 〈환경미화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환경미화원 자격증,연봉,채용조건과 근무시간〉, 《네이버블로그》, 2024-02-27
- 〈환경미화원 연봉, 시험/연금은? (9급공무원 비교)〉, 《네이버블로그》, 2024-03-26
- 〈환경미화원 채용 절차 및 준비방법(환경미화원 시험)〉, 《네이버블로그》, 2024-04-10
같이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