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걸그룹

위키원
(걸 그룹에서 넘어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걸그룹(girl group)

걸그룹(girl group)은 대중가요에 종사하는 어리고 젊은 여성 가수의 집단적 구성을 일컫는 용어로, 1993년에 언론에 처음으로 등장하기 시작한 신조어이다. 이후 1997년 S.E.S. 데뷔 후 큰 성공을 거둔 이후로 걸그룹이라는 명칭이 대중적으로 사용되었다. 현재는 걸그룹의 비주얼적인 포괄이 넓어져 "밝고 활기찬, 소녀다운 느낌을 가진 그룹"이나 "여성 댄스 그룹"을 걸그룹이라고 칭한다.[1]

개요[편집]

걸그룹은 여성으로 구성된 그룹형 아이돌 가수를 말한다.

남성 아이돌 그룹을 일컫는 보이그룹(Boy Group)과 함께 주로 외적인 퍼포먼스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그룹을 뜻하는 용어다. 한국 음반 시장의 한 축을 차지하고 있는 음악 장르이기도 하다.

현재 걸그룹의 모태는 1990년대 영국의 걸그룹 스파이스 걸스 베이스로 하는 형태이지만 정작 영국의 위시한 서구권, 중남미보다 동아시아 국가에서 크게 히트치는 기이한 현상이 있다.

비슷한 용어로 걸밴드(girl band)가 있다. 일반적으로 걸그룹이 안무와 노래까지만 할 수 있는 그룹을 뜻하고 걸밴드는 작곡이나 악기 연주까지 할 수 있는 그룹을 뜻한다. 사실 이 두 용어가 항상 이렇게 명확히 구분되는 것은 아니다. 한국에서의 '걸밴드'의 예로는 한스밴드, AOA의 밴드 유닛인 AOA BLACK, 비밥, 선예와 안소희의 탈퇴 이후로 선미를 재영입한 4인조 걸밴드 원더걸스가 있다.

일본에서는 걸그룹이라는 용어가 잘 쓰이지 않는다. 일본에서는 '걸즈 유닛(ガールズユニット)'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고, '여성 아이돌'이라는 직관적인 단어도 자주 사용된다. 전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아티스트'적 성격이 강한 그룹을 지칭할 때 자주 쓰이며, 후자는 말 그대로 '여성 멤버로 구성된 아이돌 그룹' 전반을 지칭할 때 쓴다. 그래서 한국이든 일본이든 걸그룹 하면 대부분 한국 쪽의 걸그룹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걸그룹으로는 스파이스 걸스, TLC, 데스티니스 차일드, 푸시캣 돌스, 피프스 하모니 등이 있다. X Factor UK 시즌 8 우승자인 리틀 믹스도 빼놓을 수 없고 최근에는 K-pop 걸그룹들도 각기 나름대로의 영역을 확장해가고 있다.[2]

역사[편집]

1950 ~ 70년대[편집]

태동기의 기간인 1950년대에서 1980년대까지 대부분이 트로트 장르가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펄 시스터즈와 같은 가수들은 그 당시에는 생소하였던 사이키델릭 락, 소울 등의 장르를 선보이기도 하였다. 그리고 1970년대에는 몇 개의 그룹이 구성원의 결혼으로 사생활 구축의 이유로 해체되었는데, 당시 사회상도 결혼 후 연예활동에 대해 좋지 않은 인식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억압되고 보수적인 사회 분위기의 영향으로 인해 1970년대 바니걸스를 끝으로 소녀 그룹은 거의 그 활동 형태가 사라졌었다.

현재 최초의 걸 그룹에 대한 논쟁은 끊이지 않으나, 대부분 저고리시스터즈로 꼽고 있다. 그러나 최초로 정식 음반을 내며 활동을 한 그룹으로 김시스터즈를 뽑는다. 1953년 가요계에 데뷔한 김시스터즈는 애자, 민자, 숙자로 이루어진 1950년대부터 1970년대에 활동하던 그룹으로, 빌보드 차트에 최초로 진입한 한국 아티스트로 알려져있다. 코스터즈의 히트곡을 리메이크한 〈찰리 브라운〉이란 곡으로 1962년 빌보드 핫 100에 올랐다. 1959년 미국으로 건너가 라스베이거스 등에서 프랭크 시나트라, 마릴린 먼로 등의 인기 스타들과 활동하였다. 김시스터즈가 유명해진 후 현시스터즈, 정시스터즈, 영시스터즈, 이시스터즈 등의 자매형 그룹이 생겨났다.

현시스터즈는 김명선(현미), 김정애, 현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김씨 성이 두 명이었으나 김시스터즈와 구별을 짓기 위해 현시스터즈로 이름을 지었다. 그래서 현자 돌림으로 이름을 바꿔 김명선은 현미, 김정애는 현애, 현주는 그대로의 이름을 사용하였다.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활동한 정희옥, 정희숙, 정희정으로 이루어진 정시스터즈는 〈새드 무비〉, 〈검은 상처의 블루스〉 등의 히트곡을 가지고 있다. 맥과이어 시스터스(The McQuire Sisters)의 영향을 받은 이시스터즈는 김천숙, 김명자, 이정자 (김상미가 영입되어 대체되었다)로 이루어진 그룹이다. 짜릿짜릿한 하모니를 구사하던 이시스터즈의 등장은 소리의 변화로 대변되는 1960년대의 상징이며, 이들의 음악성은 한국 가요의 폭을 한층 더 넓힌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히트곡으로는 〈울릉도 트위스트〉, 〈남성금지구역〉, 〈워싱턴 광장〉 등이 있다.

〈마포종점〉으로 유명한 은방울자매는 1954년 결성됐다. 박애경, 김향미로 시작한 그룹은 1989년 김향미에서 오숙남으로 멤버를 교체하였다. 자매형 그룹은 1950년대 말 은방울자매를 시작으로 60년대와 70년대 한국에서 전성기를 누렸다고 평가받는다. 배인순, 배인숙으로 이루어진 펄 시스터즈는 1968년 데뷔한 그룹으로, 70년대 중반까지 인기가 매우 높았다. 1969년 〈커피 한잔〉이라는 노래로 MBC 10대 가수 가요제에서 가수왕상을 수상하며 걸그룹 최초로 대상을 받았다. 경향신문은 1969년에 가장 세금을 많이 낸 법인사업체와 개인, 연예인들로 본 세태를 분석하였는데 펄 시스터즈는 5위를 기록하였다. 신중현이 작곡한 펄 시스터즈의 대표곡인 〈커피 한잔〉은 젊은이들로부터 칭찬을 받았으나 기성세대에게는 비판을 받았다. 그런데 1976년 배인순이 동아그룹 최원석 회장과의 결혼을 발표하면서 동시에 해체되었다.

1970년에는 가장 나이가 어린 쌍둥이 여성 보컬 그룹 릴리시스터즈가 등장하였다. 당시 고등학교 2학년이었던 김성아와 김경아 자매는 청순한 외모와는 다르게 허스키한 목소리로 이목을 끌었다. 1974년 일본에 진출하기도 하였으나 김성아가 결혼을 하면서 해체되었다. 릴리시스터즈는 은지원이 라디오 스타에 나와 김성아가 자신의 어머니임을 밝히면서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 고재숙, 고정숙으로 이루어진 그룹 바니걸스는 1971년 신중현이 작곡한 〈그 사람 데려다주오〉로 데뷔하였다. 쌍둥이 자매 간인 두 멤버는 아주 닮아 국악예고 입학시험 당시 사진을 내자 한 장만 내도 된다며 되돌려준 해프닝도 있었다고 한다. 한때 군사정권의 외래어 사용 금지 명령에 의해 "토끼소녀"로 잠깐 개명하기도 하였다.

1980 ~ 90년대[편집]

억압적, 보수적인 사회 분위기로 인해 몇 년간 소녀 그룹은 나오지 않았다. 박정희 사망 이후인 1981년 임경희와 임성희로 이루어진 국보자매가 나오면서 그동안의 침묵은 깨지게 되었다. 〈내 모습이 쓸쓸해요〉가 대표곡인 국보자매는 일본, 유럽 순회 공연을 돌 정도로 인기가 높았으나, 1986년 잠정 해체를 선언하였다가 번복하였다. 이후 1987년 이희정, 김정임, 우윤아로 이루어진 세또래가 결성되어〈그대를 사랑해〉, 〈그대 여기에〉, 〈그대의 전화〉등 그대 시리즈로 인기를 끌었다. 앞서 소개한 선배들과 달리 10 –2 0대를 대상으로 만들어진 현재의 걸그룹 정의에 가장 들어맞는 그룹이었다. 그러나 1989년 2집을 낸 이후 종적을 감췄다. 세또래의 멤버 중 이희정은 베이비 복스에 이가이로 예명을 정한 뒤 아이돌 그룹으로서의 이미지를 위해 나이를 10살 낮추고 활동하였으나, 나중에 세또래의 멤버였으며 1968년생임이 알려지면서 탈퇴하였다.

1990년대 초반에는 남성 아이돌 그룹 서태지와 아이들, 듀스, R.ef, 솔리드나 혼성 그룹 룰라가 인기가 높은 때였다. 이런 상황에서 1993년 "걸그룹"이라는 단어가 최초로 언론을 통해 소개되면서 나온 걸 그룹들이 S.O.S.를 비롯, 애플, 점프, 크림, 화이트, 코메트, 트윈스등이었다. 특히 1993년 8월 27일 데뷔한 S.O.S.는 매체를 통해 활발하게 소개되며 나름의 인기를 구가했으며 '걸그룹'이라는 이름이 붙고 '아이돌'이라는 개념을 적용한다면 최초의 한국 걸그룹이 될 것이다. 하지만, 아직 K-pop적 시스템이 완성되기 이전의 시대에 나온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대부분 1, 2집으로 활동을 그친다. 1993년 반짝 활동을 제외하면 몇 년간 눈에 띄는 걸그룹 활동이 거의 없어진다.

이러한 상황을 완전히 뒤바꾸며 1997년 지금의 걸그룹들의 선구자적 성공 모델인 S.E.S.가 등장을 하면서 엄청난 인기를 끌기 시작한다. 극심한 경제 불황으로 닥친 음반 시장 축소에도 불구하고 데뷔 앨범인 정규 1집은 걸그룹 최초로 단일 음반 600,000장 돌파 기록을 세운다. 그리고 이듬해 대성기획에서 준비한 핑클이 데뷔하는데 핑클은 유치하지만 쉬운 가사와 친근한 컨셉, 예능을 통한 대중성을 확보하면서 SES와 라이벌 구도를 형성한다. 1999년에 발매한 S.E.S. 정규 3집 Love의 경우는 발매 3일만에 55만장을 돌파하고 누적 총 76만장의 판매고를 올렸는데 공식적인 판매량 집계가 시작 된 후 2020년 블랙핑크의 THE ALBUM이 130만장의 판매고를 올리면서 1위 자리를 내주기전까지 21년간 걸그룹 단일 앨범 판매량 1위 수성을 했고 총 5년간의 활동 기간 동안 8장의 음반을 발매해 여자 가수 최초로 국내 음반 누적 판매량 300만장 돌파 기록을 세웠다. 같은해 핑클은 2집 타이틀곡 〈영원한 사랑〉이 메가 히트를 치며 걸그룹 최초 연말 가요대상을 받게 되고 그 여세로 2000년엔 제빵업체 삼립에서 핑클의 이름을 딴 핑클빵이 출시됐다. 음반은 S.E.S. 대중성은 핑클이라는 공식이 세워진 셈이다.

2000년 ~ 2014년[편집]

2000년대 초반까지 S.E.S.와 핑클은 걸 그룹들의 발판을 마련한 뒤 서서히 정상에서 내려오며 S.E.S.는 2002년에 공식해체를 핑클은 각자 개인활동을 하기 시작하고, 다른 걸 그룹들이 그 자리를 채우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이 시기에는 1997년 데뷔한 베이비복스가 중화권에서도 큰 인기를 얻으며 최초의 걸그룹 한류붐을 타며 해외 활동을 활발히 하였지만, 2006년에 해체를 맞이하게 된다. 2000년대 중반에 와서는 4인조 여성 그룹 쥬얼리가 〈니가 참 좋아〉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하였고 〈Super Star〉가 첫 정상의 기쁨을 맛본다. 또한 비슷한 시기에 데뷔한 천상지희가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로 그룹명을 변경하고 2007년 〈한번 더, OK?〉로 1위를 차지하며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실력파 여자 아이돌 그룹으로 자리잡았다. 잠시 주춤하였던 여자 아이돌의 팬클럽 역시 천상지희의 팬클럽 샤플리가 10만명 규모를 돌파하면서, 후에 원더걸스의 원더풀, 카라의 카밀리아 그리고 소녀시대의 소원 등 대형 걸 그룹의 팬덤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2006년에는 4인조 여자 그룹 브라운 아이드 걸스가 데뷔하였지만, 대중들에게 관심을 받지 못하다가 2008년부터 인지도가 높아졌다. 특히 나르샤와 가인이 대표적으로 브라운 아이드 걸스를 알린 멤버로 주목받고 있다.

이듬해인 2007년에는 많은 걸 그룹이 등장하였는데 2007년 2월 원더걸스를 시작으로 카라, 소녀시대를 순으로 데뷔하였다. 특히 2007년 말 원더걸스의 "Tell Me"가 대한민국에서 대 히트를 치며 '텔미 신드롬'이라고 불리기도 할정도로 인기를 얻었고 소녀시대와 함께 대한민국의 대표 걸 그룹으로 불리게 되며 아이돌형 걸 그룹의 시초가 된다. 이후 2008년 멤버들의 탈퇴로 인한 해체 위기를 맞았던 쥬얼리가 2월에 5집을 발매하며 "One More Time"으로 대한민국에 일명 "ET 춤" 열풍을 불어넣으며 화려하게 컴백을 하였고, 뮤직뱅크에서는 7주 연속 1위라는 기록을 세우기도 하였다. 그해 원더걸스는 텔미에 이은 "So Hot", "Nobody"를 연속 히트시키며 2008년 말 MKMF시상식에서 동방신기, 비, 빅뱅 등의 후보들을 이기고 대상을 타며 명실상부 최고의 걸 그룹으로 인정받았다. 2009년에는 소녀시대를 시작으로 수 많은 걸 그룹의 등장과 함께 본격적 열풍이 불었는데 1월 소녀시대의 "Gee"가 뮤직뱅크에서 9주 연속 1위를 하며 쥬얼리의 기록을 갈아치웠고 연말 각종 시상식 MKMF, 골든 디스크, 하이원 서울가요대상 등에서 대상과 이외에 많은 상을 수상하며 'Gee 신드롬'으로 불리기도 하였으며 스키니진 패션도 유행하는 등 최고의 그룹으로 자리잡는다. 같은 달 기존의 걸 그룹과는 달리 대한민국 최초 입학 · 졸업 시스템으로 화제를 모았던 애프터스쿨이 "AH"로 데뷔하였고 3월 "Lollipop"으로 데뷔전부터 화제를 몰고다녔던 투애니원이 "Fire"를 통해 데뷔하였고 데뷔하자마자 인기가요에서 뮤티즌송을 타는 등 인기를 얻었다. 그 외에도 포미닛, 티아라 등이 등장하였고 연말에 시크릿, 레인보우가 데뷔하였다. 2010년에는 씨스타가 Push Push로 데뷔하고, 바로 다음 달 미쓰에이는 Bad Girl Good Girl로 데뷔하여 인기를 모으면서 걸그룹 시장을 더욱 확대시켰다. 2011년부터는 걸그룹 시장이 쇠퇴하면서 2011년에 데뷔한 인기 있는 신인은 에이핑크와 달샤벳밖에 없었다. 2011년에는 투애니원의 내가 제일 잘 나가와 씨스타의 So Cool, 시크릿의 별빛달빛이 연속으로 히트를 치면서 기존 걸그룹이 다시 성장하기 시작하였다. 2012년에는 씨스타의 '나혼자'와 '러빙유', 투애니원의 'I Love You'등이 히트를 치면서 2009 ~ 2010년에 데뷔한 기존 걸그룹들이 그 자리를 굳건히 하였다. 그럼에 따라 2012년부터는 급격한 쇠퇴로 인해 걸 그룹 데뷔가 많이 줄어든 상태이다.

그러나 2014년 초에는 2009년에서 2012년에 데뷔한 그룹들과 유닛 그룹이 우세를 보였다. 2012년 데뷔한 AOA는 2월 9일, 1월 중순에 발표한 다섯 번째 싱글 "짧은 치마"로 첫 1위를 차지하였으며, 또 다른 2012년 데뷔의 스피카는 'You Don't Love Me'로 1위 후보에 올랐다. 2010년 7월 데뷔의 걸스데이는 'Something'으로 1위를 휩쓸었으며, 2009년 데뷔한 레인보우의 유닛 그룹 레인보우 블랙은 '차차'로 레인보우 역사상 2번째 1위 후보라는 기록을 세웠다. 2011년 데뷔 이후 거의 무명에 가깝던 스텔라는 19금 컨셉의 "마리오네트"로 인지도를 높였다. 한편 2014년 4월에서 5월에는 에이핑크의 Mr.Chu가 트레이트 1위 기록을 세우고, 12월부터 2015년 1월엔 5번째 미니앨범 Pink LUV의 타이틀곡인 LUV가 쇼!음악중심에서 5주연속 1위를 하며 최정상 아이돌로 부상하였다. 또한 2014년 6월 데뷔한 마마무는 데뷔앨범의 타이틀 곡을 멜론차트 60위권에서 3 ~ 40위권으로 역주행시켰으며, 3번째 미니앨범 Pink Funky의 타이틀곡 '음오아예 (Um Oh Ah Yeh)'가 발표와 동시에 각종 음원차트 1위에 올라 주목받는 신인이 되었다. 한편, 2015년 1월에 데뷔한 여자친구는 더 쇼 시즌4에서 데뷔한지 5일만에 1위 후보에 올라 3위를 달성하였고, '실제로 존재할 법한 건강한 여자친구'의 이미지에 '꽈당 투혼'이 더해지면서 인기를 모았다.

2015년 ~ 현재[편집]

여자친구는 2016년 음원 3곡을 연간차트에 진입시키는 등 마마무와 더불어 중소기획사의 대표 걸그룹으로 대중들에게 눈도장을 찍으며 차트에서의 성과를 이어가는 와중에 이 시기부터 3대 기획사의 걸그룹들이 본격 활약하며 주름잡기 시작한다.

먼저 포문을 연건 JYP의 트와이스로 《CHEER UP》, 《TT》 같은 메가 히트곡을 비롯해 많은 노래들로 여자 가수 음악방송 최다 1위, 걸그룹 최초 음반 누적 1000만장 이상의 판매량이 넘는 등 일본, 동남아 지역에서 많은 사랑을 받고 있고, 가장 일찍 데뷔를 한 SM의 레드벨벳이 한국 대중들에게 인지도를 꾸준히 쌓으면서 《빨간맛》, 《Bad Boy》등의 히트곡들을 양산해 낸다.

그리고 2018년부터 《뚜두뚜두》, 《How You Like That》 등의 노래들이 한국외 음원을 휩쓴것은 물론 걸그룹 역사상 최초 단일 음반 100만장 시대를 알린 YG의 블랙핑크가 압도적인 존재감으로 3세대를 접수하면서 빌보드, UK, 스포티파이 차트와 유튜브의 수많은 기록들로 세계 최고의 걸그룹 위치에 올라서게 됐고, 미국 TIME에서 '2022 ENTERTAINER OF THE YEAR' 로 선정되는 등 그 위용을 떨치며 계속해서 역사를 써가고 있다.

이 외에도 오마이걸, 아이즈원이 인기를 누렸으며, 2021년 상반기에는 '2세대 걸그룹' 브레이브걸스가 《롤린(Rollin')》이라는 노래로 역주행의 신화를 써 큰 화제가 됐다. 더불어 같은해 aespa 또한 《Next Level》로 이슈몰이를 하며 많은 사랑을 받았다.

이듬해 2022년은 뒤늦게 만개한 3세대 여자아이들이 데뷔 5년차에 음원, 유튜브에서 괄목할만한 성적으로 최전성기를 맞이했고, 신예 걸그룹들인 IVE, NewJeans가 상반기, 하반기에 걸쳐 한국 음원차트를 장악하며 90년대말 걸그룹들의 향수와 세기말 Y2K 패션이 주목을 받는 등 눈부신 활약을 펼친 한해이기도 하다.[1]

역사 (해외)[편집]

미국[편집]

미국에서는 1950년대 이후 젊은 여성 가수끼리 모여 팀을 이루어 팝, 디스코등 여러 장르에서 활동하는데 그 종류로는 2000년대 이후 주로 젊은 대중들을 대상으로 하여 팝, 알앤비, 힙합 장르를 주로 이용하는 그룹으로 TLC이 있고 이후에 좀 더 대중적인 3인조 여성 그룹인 데스티니 차일드가 등장하였지만, 2005년 공식 해체를 하게 되었다. 후에 푸시캣 돌스가 등장하게 되는데 1집 PCD를 발매하고나서 거의 세계적인 그룹으로 거듭나게 된다. 이 그룹은 로빈 안틴에 의해 제작되었는데 비슷한 시기 다른 그룹 걸리셔스도 제작되어 "Like Me", "Stupid Shit"등의 싱글을 발표하였다. 그 밖에 많은 걸 그룹이 있으며 데니티 케인, 수프림스 등이 있다.

영국[편집]

영국에서는 1990년대 스파이스 걸스라는 5인조 걸 그룹이 등장해 "Wannabe", "2 Become 1", "Spice Up Your Life" 등의 히트곡을 내며 인기 대열에 올랐다. 스파이스 걸스는 이후 영화 출연, 다양한 광고 출연 그리고 콘서트 활동 등 영국에서는 비틀즈 이후 상업적으로 가장 성공한 그룹으로 기록된다. 스파이스 걸스는 1990년대 가장 높은 판매량을 기록한 팝 음악 그룹으로도 역사에 남았다. 스파이스 걸스의 첫 데뷔 앨범 Spice는 세계적으로 약 2,300만 장의 판매고를 올리며 여자 그룹 중 가장 높은 판매고를 올린 음반으로 기록되어있다. 모든 음반 판매량을 합쳐서는 세계적으로 8,000만 장을 넘는 판매고를 올렸다. 《타임스》와 《BBC 뉴스》는 이 그룹을 역사상 가장 성공한 여성 그룹이라고 보도하였다.

2000년대에도 영국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걸 그룹이 있었는데, 아토믹 키튼이 2000년 "Whole Again"이 1위에 오르며 인기를 얻었다. 또한 슈가베이비스와 걸스 어라우드도 2000년대 초반에 각광을 받았다. 걸스 어라우드의 "Sound of the Underground"와 슈가베이비스의 "Round Round"는 프로듀서 제노매니아에 의해 작곡되었는데, 2000년대 영국 팝 비평가들은 "거대하고 혁신적인 히트"라고 말하였다. 슈가베이비스는 멤버들을 도중에 바꿨으며, 6개의 영국 1위 싱글, 14개의 상위 10위권 싱글, 4개의 플래티넘 인증 앨범 등을 만들어냈다. 걸스 어라우드는 20개의 상위 10위권 싱글(4개의 1위 싱글 포함) 그리고 두 개의 넘버원 앨범 등을 만들어냈다. 걸스 어라우드 다섯 개의 정규 앨범 중 세 개의 앨범이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으며, 컴필레이션 앨범 The Sound of Girls Aloud는 백만 장 이상을 판매하였다. 이와 같은 영국 걸 그룹들의 성공은 2007년 데뷔한 더 새터데이즈에게 영향을 끼쳤다.

일본 및 그 외 국가[편집]

일본에는 현재의 아이돌 걸그룹개념의 원조격인 70년대의 핑크 레이디를 필두로, 80년대 중반 속칭 현재의 모든 떼그룹의 원조가 되는 오냥코 클럽이 전성기를 구가한다. 특히 오냥코 클럽을 통해 현재 많은 아이돌그룹이 보여주는 '졸업과 기수개념', 유닛개념등이 모두 탄생한다. 그 후 일본 아이돌의 전성기인 80년대 후반에는 대표적 듀오인 윙크(Wink)를 비롯, 수많은 형태의 걸그룹이 인기를 끌었다. 이후 90년대초반을 장식하는 리본(Ribbon)과 코코(CoCo)를 마지막으로 대형 아이돌 걸그룹의 전성기는 일단락된다. 아이돌 빙하기로 일컬어지는 90년대중반에 인기를 끈 거의 유일한 걸그룹은 스피드가 있었다. 이러한 상황을 조금씩 극복하며 인기를 끌게 된 것이 2000년대의 모닝구무스메, 헬로! 프로젝트, 그리고 현재의 AKB48 등이다. 그 밖에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유럽, 아시아 등 많은 국가에 수많은 걸 그룹들이 존재, 활동하고 있다.[1]

콘셉트[편집]

셀 수 없이 많은 걸그룹들이 있는 만큼 콘셉트도 굉장히 다양하다. 대표적으로는 귀여움, 청순, 섹시, 걸 크러시 등이 있으며 여러 가지 콘셉트를 하는 걸그룹들도 많고 경계선에 걸치고 있어 명확하지 않은 걸그룹들도 많다.

201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섹시 콘셉트가 주류였기에 걸그룹 팬덤은 남성의 비율이 압도적이었다. 하지만 시대가 흐르면서 여성들의 페미니즘 확산으로 여성을 연약한 이미지로 묘사하는 것에 대한 사회적인 반감이 커져서 섹시 콘셉트는 완전히 자취를 감추었고 섹시와 반대되는 걸 크러시 콘셉트가 주류가 되면서 여성 팬덤의 비율이 더 높아졌다.

유행에 민감한 10대 ~ 20대에게 어필하는 아이돌의 특성상 세련된 이미지를 매우 중요시한다. 하지만 멤버들이 나이가 들어 20대 후반 이상이 되면 체력, 건강 유지 문제도 발생하고, 세련된 콘셉트는 어울리지 않으므로 노래와 의상 등을 점점 복고적으로 바꿔 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아예 다른 걸그룹들과 달리 올드함을 정체성으로 삼아 데뷔 때부터 올드한 콘셉트를 한 걸그룹도 있는데, 대표적으로 브라운아이드걸스와 티아라가 있다. 브라운아이드걸스는 특유의 허스키 보이스와 구수한 창법으로 '구수한 시골 아줌마' 이미지를 내세우고, 티아라는 트로트 느낌이 섞인 후크송으로 젊은 층부터 고령층까지 다양한 연령대를 사로잡아 2010년 전후에 큰 인기를 끌었다.

특정 그룹이 유지해 오던 콘셉트의 유행이 지나면 콘셉트를 바꾸어서 유행을 따라가는 방법과 유행에 따르지 않고 콘셉트를 유지하는 방법이 있는데 둘 다 장단점이 있으므로 소속사 측에서 결정을 내리기가 어렵다. 콘셉트를 갑자기 바꾸면 그룹의 정체성이 훼손되고, 바꾸지 않으면 유행에 뒤처지거나 촌스럽다는 반응이 나올 수도 있다. 어느 방향으로나 매력적인 콘셉트를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면 인기가 떨어져 7년차 징크스 등을 겪고 해체하기도 한다.

참고로 일본 걸그룹은 콘셉트가 한국만큼 다양하지는 않다. 몽환적인 파스텔 톤 콘셉트 또는 연약한 여성미를 강조한 섹시 콘셉트 중 하나가 대부분이다. 또한 한국 걸그룹은 밝고 상큼한 이미지를 강조하는 편이며, 일본 걸그룹은 한국과 정반대로 여성스러운 이미지를 강조하는 편이다. 그래서 일본 걸그룹은 한국 걸그룹과 달리 방송 등에서 신난 모습을 잘 보이지 않는다.[2]

해외[편집]

영미권[편집]

  • 로네츠
  • 슈프림즈
  • 스파이스 걸스
  • 올 세인츠
  • 아토믹 키튼
  • 데스티니스 차일드
  • 푸시캣 돌스
  • TLC
  • 걸스 얼라우드
  • 피프스 하모니
  • 리틀 믹스
  • FLO(걸그룹)
  • Boys World

영미권 팝 시장이야말로 걸그룹의 원조로서, 이미 60년대부터 슈프림즈, 스파이스 걸스, 데스티니스 차일드, TLC 등의 그룹이 걸그룹의 계보를 이어왔다. 1960년대 브리티시 인베이전 직전 버블검 걸그룹 붐이 있었을 정도. 하지만 영미권의 걸그룹은 한국과 달리 아이돌적인 성향이 거의 없으며, 한국의 걸그룹과 보컬 구조상 차이가 크다. 영미권의 경우 메인보컬이 곡을 리드하면 나머지 멤버들은 코러스만 담당하는 경우가 많았고, 아예 그룹 이름마저 리드보컬 이름을 딴 '○○과 □□□□' 식으로 짓는 경우도 흔했다. 시쳇말로 '원탑몰빵' 구조. 영화 드림걸즈의 모티브가 된 슈프림즈나 '푸시캣 돌스', 데스티니스 차일드가 대표적 사례다. 아예 메인보컬 외 다른 멤버의 공식적 포지션을 백업 보컬로 명시하는 경우도 많으며, 멤버별 파트가 적당히 균등하게 분배되는 스파이스 걸스가 특이 케이스다.

때문에 영미권 걸그룹은 얼마 못 가서 원톱 멤버와 나머지 멤버들 사이의 불화가 심해지고, 결국 원톱 멤버가 탈퇴하고 자 그룹이 와해되는 경우가 많다. 그 후에는 피프스 하모니의 멤버였던 카밀라 카베요처럼 혼자 살아남는 경우도 있고, 푸시캣 돌스처럼 다 같이 침몰하는 사례도 있고... 이런 식이다보니 영미권 걸그룹은 아무리 히트곡이 있다고 해도 오래 가지를 못한다. 결국 한국에서도 걸그룹이 보이그룹보다 활동 기간이 짧은데 영미권에서는 그보다 더 짧은 셈. 평균 활동 기간이 3 ~ 5년이 채 되질 않고, 그나마 길게 활동한 걸그룹이 10년 이상 활동했던 슈프림즈나 10년 가까이 길게 활동한 걸스 얼라우드, 리틀 믹스가 전부이다.

영미권 걸그룹 시장은 데스티니스 차일드가 해체할 즈음 데뷔한 푸시캣 돌스가 2000년대 후반을 맞으며 왕좌를 굳건히 하는 듯 했으나 멤버간 불화로 순식간에 와해되었고, 2010년대 중반 등장한 피프스 하모니와 리틀 믹스가 새로 시장을 개척하는 듯 했으나 이들 역시 거대한 시장 규모에 비하면 미약한 활동을 펼치다 각자 솔로 활동으로 전향하며 활동을 멈췄고 케이팝 걸그룹들에게 완전히 자리를 내주었다. 2022년 영국에서 신인 걸그룹인 FLO가 데뷔하며 같은 영국을 기반으로 활동했던 리틀 믹스의 계보를 이을 수 있을지 주목을 받고 있다.[2]

1세대 이전 걸그룹(1997년 7월 3일 이전 베이비복스 데뷔년 기준)[편집]

세또래 이전에는 대부분 소울 음악 혹은 성인가요, 즉 트로트 콘셉트였고 지금과 같은 의미의 걸그룹은 1980년대 말에 활약했던 세또래가 시초격이다.

0세대(?) 걸그룹[편집]

  • 1939년 데뷔 저고리 시스터즈 - 한반도 최초의 걸그룹이자 대한민국 걸그룹의 시초. 정식 앨범이 없고, 활동한 시기도 대한민국이 아닌 일제강점기였기 때문에 대한민국 최초의 걸그룹이라고 하기에는 그 지위가 애매한 그룹이다.
  • 1953년 데뷔 김시스터즈 - 대한민국 최초의 걸그룹. 공식 앨범도 있고, 활동한 시기도 대한민국인 최초의 걸그룹이다. 저고리 시스터즈의 멤버 이난영의 자매와 조카 등 3명으로 이루어진 걸그룹, 미국에서 엄청난 인기를 끌었다.
  • 듀엣
  • 1957년 데뷔 현 시스터즈
  • 1957년 데뷔 정 시스터즈
  • 1962년 데뷔 은방울 자매
  • 1968년 데뷔 펄 시스터즈
  • 1971년 데뷔 바니걸스

0.5세대(?) 걸그룹[편집]

  • 1988년 11월 ○○일 데뷔 세또래 - 베이비복스 2집 멤버 이가이(이희정)가 속한 걸그룹
  • 1989년 10월 ○○일 데뷔 휘파람새 - 고적대 컨셉으로 활동한 3인조 걸그룹
  • 1993년 08월 04일 데뷔 칼라 - 1993년 MBC 강변가요제 대상수상
  • 1993년 08월 21일 데뷔 애플(Apple)
  • 1993년 09월 ○○일 데뷔 S.O.S
  • 1993년 09월 ○○일 데뷔 크림 - 3인조 걸그룹, 데뷔 앨범을 프로듀서 오준성[250]이 맡았으며 타이틀곡 '열정'은 김범룡이 만들어줬다. '항상 함께할 수 있도록'으로 가수로 데뷔했던 작사가 이희승이 '이별 앞에서'라는 곡으로 작사가 데뷔를 했다. 1994년 초에 멤버가 2명이나 교체되며 새로운 쟈켓으로 앨범이 한 차례 재발매되었다.
  • 1993년 10월 ○○일 데뷔 혜성 - 4인조 걸그룹
  • 1995년 05월 01일 데뷔 쎄쎄쎄
  • 1996년 05월 01일 데뷔 에코 - '행복한 나를'을 부른 3인조 걸그룹
  • 듀엣
  • 1991년 ○○월 ○○일 데뷔 탐탐 - 세또래의 이희정, 우윤아가 따로 나와 만든 댄스 듀엣 그룹
  • 1994년 03월 05일 데뷔 코코
  • 1996년 06월 01일 데뷔 뚜띠 - 노정현, 노현정 일란성 쌍둥이 자매로 구성된 팀. 대표곡은 '대리만족'. 2002년 '루나'로 팀명을 교체했다가 몇년뒤 다시 뚜띠로 돌아와 트로트로 전향해 한동안 활동했다.
  • 1996년 07월 02일 데뷔 비비 - '하늘땅 별땅', '비련' 등을 부른 2인조 여성 듀오.
  • 1996년 08월 01일 데뷔 몰리 (Molly)
  • 1997년 01월 01일 데뷔 목화자매
  • 1997년 06월 01일 데뷔 수 (SUE)[3]

활동 중인 그룹[편집]

2023년 기준, 현재 방송에서 활동 중인 걸그룹은 약 100팀 정도다.

2017년 이전
  • 2005년 11월 9일 가비엔제이Gavy NJ
  • 2006년 3월 2일 브라운아이드걸스 Brown Eyed Girls
  • 2007년 9월 20일 써니힐 Sunny Hill
  • 2008년 2월 22일 다비치 Davichi
  • 2011년 4월 19일 Apink 에이핑크
  • 2014년 6월 19일 마마무 MAMAMOO
  • 8월 1일 Red Velvet 레드벨벳
  • 2015년 4월 21일 오마이걸 OH MY GIRL
  • 10월 20일 TWICE 트와이스
  • 2016년 2월 25일 우주소녀 WJSN, Cosmic Girls
  • 8월 8일 BLACKPINK 블랙핑크
2017년
  • 1월 13일 드림캐쳐 Dreamcatcher
  • 5월 16일 시크엔젤 hic Angel
  • 6월 1일 앨리스ALICE
  • 9월 21일 ODD EYE CIRCLE 오드아이써클
  • 10월 13일 해시태그 Hash Tag
  • 11월 28일 버스터즈 Busters
2018년
  • 1월 24일 프로미스나인 fromis_9
  • 4월 2일 오마이걸 반하나 OH MY GIRL BANHANA
  • 5월 2일 (여자)아이들 (G)I-DLE
  • 5월 2일 하이큐티 HI CUTIE
  • 7월 18일 세러데이 Saturday
  • 11월 7일 드림노트 DreamNote
2019년
  • 2월 12일 ITZY 있지
  • 3월 21일 EVERGLOW 에버글로우
  • 5월 28일 3YE 써드아이
  • 6월 18일 듀자매 Dew Sisters
  • 8월 7일 로켓펀치 Rocket Punch
2020년
  • 2월 4일 cignature 시그니처
  • 2월 11일 EPISODE 에피소드
  • 3월 6일 CRAXY 크랙시
  • 4월 17일 아이씨유 ICU
  • 5월 14일 WOOAH 우아
  • 5월 21일 SECRET NUMBER 시크릿넘버
  • 6월 30일 Weeekly 위클리
  • 7월 10일 레드벨벳-아이린&슬기Red Velvet – IRENE & SEULGI
  • 7월 16일 시크한아이들 CHIC & IDLE
  • 8월 4일 마카마카 Maka`Maka
  • 9월 23일 큐빅스 Q6ix
  • 10월 8일 우주소녀 쪼꼬미 WJSN CHOCOME
  • 10월 16일 블랙스완 Black Swan
  • 10월 23일 프레셔스 Precious
  • 11월 12일 STAYC 스테이씨
  • 11월 17일 aespa 에스파
2021년
  • 2월 17일 트라이비 TRI.BE
  • 2월 24일 PIXY 픽시
  • 3월 15일 퍼플키스 PURPLE KISS
  • 5월 12일 우주소녀 더 블랙 WJSN THE BLACK
  • 6월 2일 미니마니 MINIMANI
  • 6월 10일 LIGHTSUM 라잇썸
  • 8월 4일 스카이리 SKYLE
  • 8월 6일 럼블지 Rumble-G
  • 8월 18일 파시걸스 PoshGirls
  • 9월 8일 ICHILLIN' 아이칠린
  • 9월 23일 뷰티박스 BEAUTY BOX
  • 11월 11일 Billlie 빌리
  • 12월 1일 IVE 아이브
  • 12월 14일 파스텔걸스 Pastel Girls
  • 12월 17일 Rocking doll 록킹돌
2022년
  • 1월 3일 Kep1er 케플러
  • 1월 5일 H1-KEY 하이키
  • 1월 27일 GOT the beat 갓 더 비트
  • 2월 9일 VIVIZ 비비지
  • 2월 22일 NMIXX 엔믹스
  • 4월 4일 아일리원 ILY:1
  • 4월 9일WSG 워너비
  • 5월 2일 LE SSERAFIM 르세라핌
  • 5월 5일 CLASS:y클 라씨
  • 6월 20일 Lapillus 라필루스
  • 7월 6일 IRRIS 아이리스
  • 7월 12일 Apink 초봄 Apink CHOBOM
  • 7월 12일 1CHU 원츄
  • 7월 22일 NewJeans 뉴진스
  • 7월 27일 첫사랑 CSR
  • 8월 5일 소녀세상 Girl's World
  • 9월 8일 We;Na 위나
  • 9월 16일 mimiirose 미미로즈
  • 10월 24일 Queenz Eye 퀸즈아이
  • 10월 28일 Acid Angel from Asia 에시드 엔젤 프롬 에이시아
  • 11월 16일 ARTBEAT v 아트비트 브이
  • 11월 18일 FIFTY FIFTY 피프티 피프
2023년
  • 1월 13일 프림로즈 PRIMROSE
  • 1월 25일 MAVE: 메이브
  • 2월 13일 tripleS 트리플에스
  • 2월 14일 LIMELIGHT 라임라잇
  • 3월 25일 주주 시크릿
  • 3월 31일 마마무+ MAMAMOO+
  • 4월 7일 X:IN엑신[64]
  • 5월 4일 +(KR)ystal Eyes 크리스탈 아이즈
  • 5월 9일 ADYA 에이디야
  • 7월 5일 KISS OF LIFE 키스 오브 라이프
  • 8월 3일 브브걸 BB GIRLS
  • 8월 17일 LOVElution 러블루션
  • 9월 14일 EL7Z UP 엘즈업
  • 9월 15일 Loossemble 루셈블
  • 10월 11일 EVOLution 에볼루션
  • 10월 18일 YOUNG POSSE 영파씨
  • 10월 30일 NiziU 니쥬
  • 11월 3일 eite 에이트
  • 11월 20일 PUZZLE 퍼즐
  • 12월 1일 골든걸스
2024년
  • 1월 5일 Geenius 지니어스
  • 1월 15일 Aria 아리아
  • 3월 25일 ILLIT 아일릿
  • 3월 26일 RESCENE 리센느
  • 3월 27일 UNIS 유니스
  • 3월 27일 Candy Shop 캔디샵
  • 4월 1일 VVUP 비비업
  • 4월 1일 BABYMONSTER 베이비몬스터
  • 4월 2일 SPIA 수피아
  • 4월 11일 ViV 비브
  • 4월 17일 UNICODE 유니코드
  • 4월 17일 BEWAVE 비웨이브
  • 5월 31일 ARTMS 아르테미스
  • 5월 31일 I:MOND 아이몬드
  • 6월 3일 BADVILLAIN 배드빌런[3]

기록[편집]

  • 최장수 활동: 브라운아이드걸스. 2006년 3월 2일 데뷔
  • 최단기 활동: 쏠리아. 2021년 8월 17일 ~ 8월 22일 약 5일간 활동.
  • 최고령 멤버: 제아(브라운아이드걸스). 1981년 9월 18일 생 (만 41세)
  • 최연소 멤버: 임서원 (UNIS) 2011년 1월 27일 생 (만 12세)
  • 최장신 멤버: 윤혜 (파나틱스) (178cm)
  • 최단신 멤버: 여진 (Loossemble) (151cm)
  • 최다 인원 걸그룹: 단일 걸그룹 - 트리플에스 (24명)
  • 데뷔 후 지상파 음악 방송 1위까지 가장 오래 걸린 걸그룹: 브레이브걸스, 1854일.
  • 데뷔 후 음악 방송 1위까지 가장 오래 걸린 걸그룹: 드림캐쳐, 1924일.
  • 데뷔곡으로 순위 집계 음악 방송 올킬 : ILLIT - Magnetic
  • 지상파 음악방송 트리플 크라운: Apink - LUV[88], Red Velvet - Psycho[89], IVE - ELEVEN [90], NewJeans - Attention
  • 단일 곡 최다 지상파 음악 방송 1위: 소녀시대 - Gee
  • 단일 곡 최다 음악 방송 1위: Apink - LUV
  • 단일 년도 최다 음악 방송 1위: 여자친구 - 2016년
  • 단일 그룹 최다 곡 음악 방송 1위: TWICE, Red Velvet
  • 2000년대, 2010년대, 2020년대 지상파 음악 방송 1위: 카라
  • 2010년대에 음반을 낸 최장 기간 활동 걸그룹: S.E.S.. 1997년 11월 28일 데뷔.
  • 2020년대에 음반을 낸 최장 기간 활동 걸그룹: 빅마마. 2003년 2월 6일 데뷔.[
  • 오리콘에서 음반을 100만장 이상 판매한 걸그룹: TWICE, 카라, 소녀시대
  • 실물 음반 판매량 대상을 수상한 걸그룹: 2NE1, 소녀시대 - 2010년
  • 단일 곡 최다 PAK 횟수 달성 1위: NewJeans - Ditto
  • 원 히트 원더: FIFTY FIFTY - Cupid[2]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1.0 1.1 1.2 걸그룹〉, 《위키백과》
  2. 2.0 2.1 2.2 2.3 걸그룹〉, 《나무위키》
  3. 3.0 3.1 걸그룹/목록〉, 《나무위키》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걸그룹 문서는 직업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