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어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썸네일|300픽셀|'''어부'''(漁夫) '''어부'''(漁夫)는 어업에 종사하는 사람을 말한다. 어부라고 해서 반드시 고기잡이만 하...)
 
잔글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어부.png|썸네일|300픽셀|'''어부'''(漁夫)]]
 
  [[파일:어부.png|썸네일|300픽셀|'''어부'''(漁夫)]]
'''어부'''(漁夫)는 어업에 종사하는 사람을 말한다. 어부라고 해서 반드시 고기잡이만 하는 것은 아니며, [[양식업]]에 종사하거나 [[농업]]종사도 같이 하는 이들도 있다.<ref name=" 위키백과">〈[https://ko.wikipedia.org/wiki/%EC%96%B4%EB%B6%80 어부]〉, 《위키백과》</ref>
+
'''어부'''(漁夫)는 [[어업]]에 종사하는 사람을 말한다. 어부라고 해서 반드시 고기잡이만 하는 것은 아니며, [[양식업]]에 종사하거나 [[농업]]종사도 같이 하는 이들도 있다.<ref name=" 위키백과">〈[https://ko.wikipedia.org/wiki/%EC%96%B4%EB%B6%80 어부]〉, 《위키백과》</ref>
  
 
== 상세 ==
 
== 상세 ==
 
어부는 물고기를 잡는 것([[어업]])을 업으로 사는 사람을 말한다. 대체적으로 연안어업에 종사하는 사람과 원양어업에 종사하는 사람들로 나뉜다. 하루 종일 서 있고 버텨야 하는 체력, 돌발상황에서 빠르게 대처할수 있는 순발력이나 임기응변이 중요하다. 그야말로 얼타는 순간 사망할수도 있기 때문에 더 그렇다.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한국]]의 어부들은 대부분 연안어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1980~90년대에는 원양어업이 호황을 누렸으나 현재는 주춤한 상태다. 원양어업은 [[태평양]]과 같은 먼 바다로 나가 물고기를 잡는 것을 말한다. 비슷한 의미로 쓰이는 단어로 [[어민]](漁民)도 있는데, 대체로 같은 대상을 지칭하지만, 주로 어업과 관련이 없는 일반인들이 어부 명칭을 더 쓰고 어업과 관련된 업계에서는 어민이란 명칭을 더 쓰는 편이며, 미묘한 뉘앙스 차이가 있다.
 
어부는 물고기를 잡는 것([[어업]])을 업으로 사는 사람을 말한다. 대체적으로 연안어업에 종사하는 사람과 원양어업에 종사하는 사람들로 나뉜다. 하루 종일 서 있고 버텨야 하는 체력, 돌발상황에서 빠르게 대처할수 있는 순발력이나 임기응변이 중요하다. 그야말로 얼타는 순간 사망할수도 있기 때문에 더 그렇다.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한국]]의 어부들은 대부분 연안어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1980~90년대에는 원양어업이 호황을 누렸으나 현재는 주춤한 상태다. 원양어업은 [[태평양]]과 같은 먼 바다로 나가 물고기를 잡는 것을 말한다. 비슷한 의미로 쓰이는 단어로 [[어민]](漁民)도 있는데, 대체로 같은 대상을 지칭하지만, 주로 어업과 관련이 없는 일반인들이 어부 명칭을 더 쓰고 어업과 관련된 업계에서는 어민이란 명칭을 더 쓰는 편이며, 미묘한 뉘앙스 차이가 있다.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의한 직업코드는 234, 직업명은 어업 관련 종사자며 양식업을 뺀다면 2342/연근해·원양 어부 및 해녀 간단하게 생각하면 어선에 타는 사람은 선장이든 갑판원이든 다 어부다.<ref name="어부 ">,〈[https://namu.wiki/w/%EC%96%B4%EB%B6%80 어부]〉, 《나무위키》</ref>  
+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의한 직업코드는 234, 직업명은 어업 관련 종사자며 양식업을 뺀다면 2342/연근해·원양 어부 및 해녀 간단하게 생각하면 어선에 타는 사람은 선장이든 갑판원이든 다 어부다.<ref name="어부">〈[https://namu.wiki/w/%EC%96%B4%EB%B6%80 어부]〉, 《나무위키》</ref>  
  
 
== 특징 ==
 
== 특징 ==
22번째 줄: 22번째 줄:
 
힘들고 위험한 작업 환경 외에도 배 위에서의 생활은 다른 의미에서 위험한데, 사람이 죽어도 [[실족사]]인지 살인인지 알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배안의 각종 어구들이 다 흉기로 쓰일수 있고, 원양이나 악천후, 겨울철, 야간이라면 간단하게 뱃전에서 밀기만 해도 끝이다. 아무리 수영을 잘해도 물이 차면 저체온증으로 사망하며, 겨울철이라면 30분 이내에 사망한다. 20여 명 이하 타는 소형 어선도 물에서 높이가 있고 미끄러워 자력으로 배에 올라타기 힘들다. 이는 원양 어선에서 매우 심각한 문제인데, 경험자의 말을 들어보면 실종자는 사실 살해당한 것과 같다고 보면 될 정도다. 파도에 휩쓸려 수색을 했으나 찾지 못해 실종되었다고 하면 그만이기 때문에 당사자들이 입을 다물면 정말 바다에 빠져 실종된 것인지 살해당한 것인지 알 수 없게 된다. 매우매우매우 운이 좋아 손상되기 전에 시체를 찾았다 해도, 배 안에는 사고를 일으킬 위험한 기계나 도구가 널려 있기 때문에 그게 사고로 죽은 것인지 누가 바다로 밀었거나 때려 죽인 것인지 알아낼 방법이 없다. 게다가 선장은 항해 중인 배 안에서 발생한 형사 사건을 수사할 수 있는 권한이 있기 때문에 선장이 마음만 먹으면 조작은 식은 죽 먹기다.
 
힘들고 위험한 작업 환경 외에도 배 위에서의 생활은 다른 의미에서 위험한데, 사람이 죽어도 [[실족사]]인지 살인인지 알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배안의 각종 어구들이 다 흉기로 쓰일수 있고, 원양이나 악천후, 겨울철, 야간이라면 간단하게 뱃전에서 밀기만 해도 끝이다. 아무리 수영을 잘해도 물이 차면 저체온증으로 사망하며, 겨울철이라면 30분 이내에 사망한다. 20여 명 이하 타는 소형 어선도 물에서 높이가 있고 미끄러워 자력으로 배에 올라타기 힘들다. 이는 원양 어선에서 매우 심각한 문제인데, 경험자의 말을 들어보면 실종자는 사실 살해당한 것과 같다고 보면 될 정도다. 파도에 휩쓸려 수색을 했으나 찾지 못해 실종되었다고 하면 그만이기 때문에 당사자들이 입을 다물면 정말 바다에 빠져 실종된 것인지 살해당한 것인지 알 수 없게 된다. 매우매우매우 운이 좋아 손상되기 전에 시체를 찾았다 해도, 배 안에는 사고를 일으킬 위험한 기계나 도구가 널려 있기 때문에 그게 사고로 죽은 것인지 누가 바다로 밀었거나 때려 죽인 것인지 알아낼 방법이 없다. 게다가 선장은 항해 중인 배 안에서 발생한 형사 사건을 수사할 수 있는 권한이 있기 때문에 선장이 마음만 먹으면 조작은 식은 죽 먹기다.
  
이렇듯 힘든 환경 때문에 어부를 하려는 사람이 거의 없어서 항상 어선은 인력 부족에 시달린다. 그래서 요즘은 원양은 물론 연안 어선도 외국인 노동자들이 많다. 그러나 예전에는 이조차도 부족해서 빚쟁이나 밀입국 외국인 노동자들을 데려오기도 했다. 여기서 사채 쓰면 [[원양어선]] 탄다는 말이나 웰치스 괴담 등이 생겨났다.<ref name="어부 "></ref>  
+
이렇듯 힘든 환경 때문에 어부를 하려는 사람이 거의 없어서 항상 어선은 인력 부족에 시달린다. 그래서 요즘은 원양은 물론 연안 어선도 외국인 노동자들이 많다. 그러나 예전에는 이조차도 부족해서 빚쟁이나 밀입국 외국인 노동자들을 데려오기도 했다. 여기서 사채 쓰면 [[원양어선]] 탄다는 말이나 웰치스 괴담 등이 생겨났다.<ref name="어부"></ref>  
  
 
== 직업 현황 ==
 
== 직업 현황 ==

2024년 6월 5일 (수) 15:56 기준 최신판

어부(漁夫)

어부(漁夫)는 어업에 종사하는 사람을 말한다. 어부라고 해서 반드시 고기잡이만 하는 것은 아니며, 양식업에 종사하거나 농업종사도 같이 하는 이들도 있다.[1]

상세[편집]

어부는 물고기를 잡는 것(어업)을 업으로 사는 사람을 말한다. 대체적으로 연안어업에 종사하는 사람과 원양어업에 종사하는 사람들로 나뉜다. 하루 종일 서 있고 버텨야 하는 체력, 돌발상황에서 빠르게 대처할수 있는 순발력이나 임기응변이 중요하다. 그야말로 얼타는 순간 사망할수도 있기 때문에 더 그렇다.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한국의 어부들은 대부분 연안어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1980~90년대에는 원양어업이 호황을 누렸으나 현재는 주춤한 상태다. 원양어업은 태평양과 같은 먼 바다로 나가 물고기를 잡는 것을 말한다. 비슷한 의미로 쓰이는 단어로 어민(漁民)도 있는데, 대체로 같은 대상을 지칭하지만, 주로 어업과 관련이 없는 일반인들이 어부 명칭을 더 쓰고 어업과 관련된 업계에서는 어민이란 명칭을 더 쓰는 편이며, 미묘한 뉘앙스 차이가 있다.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의한 직업코드는 234, 직업명은 어업 관련 종사자며 양식업을 뺀다면 2342/연근해·원양 어부 및 해녀 간단하게 생각하면 어선에 타는 사람은 선장이든 갑판원이든 다 어부다.[2]

특징[편집]

육체노동의 끝판왕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굉장히 고되고 위험한 직업이다. 햇볕이나 비바람을 피할 수 없는 바다 한 가운데, 파도 때문에 흔들거리는 배 위에서, 무거운 어구를 던지고 당기고 하는 작업을, 또 잡은 해산물을 분류, 저장하고 배 위를 청소하는 작업을 수십 시간 동안 쉬지 않고 하는 게 어부의 일이다. 정말로 20~30시간 이상을 쉬지 않고 일한다. 대충하거나 천천히 할 수도 없다. 어획량과 목숨에 직결되기 대문이다. 잠깐 방심했다가는 바다에 떨어지거나 어구에 큰 부상을 당할 수도 있다. 보통 1차산업 종사자란 점에서 농부와 비교되는 경우가 많은데, 힘든 건 둘째치고 일단 위험한 건 어부가 농부보다 훨씬 위험하다. 또한 배에서 지내기에 업무가 끝나고도 제대로 놀거나 쉬지도 못한다.

게다가 어부의 일은 바다에서만 끝나는게 아니다. 육지로 오면 잡은 생선의 하역은 물론 그물이나 통발, 주낙 등 어구를 손질 수리하고, 연료와 식량을 보충한다. 물론 배에 연료와 식량, 어상자 같은 소모품을 대 주는 업자가 있지만 그걸 배 안으로 옮기고 출어해서 쓸수 있도록 정리하는 건 어부 몫이다.

자연재해에 취약해, 조업, 항해 중 예상치 못한 폭풍이라도 만나면 개인의 체력과 정신력이 아무리 뛰어나도 목숨을 장담하기 어렵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바람도 안 불고 잔잔하다가 갑자기 해류가 바뀌면서 배를 삼킬만한 거대한 파도가 일어나기도 한다고 한다. 이런 건 아직 원인도 모르고 예보할수도 막을 수도 없다. 배라는 게 그렇게 빠르지 않아서, 태풍이나 폭풍이 오는 것을 알면서도 못 피하는 경우가 많으며 그 진로가 바뀌는 것 또한 알 수없다. 미국에서는 나무꾼에 이어 사망률이 두 번째로 높은 직업이다. Discovery채널에서 해 주는 Deadliest Catch를 보면 왜 그런지 알 수 있으며 통계 범위를 선원으로 확대한다면 위험도 순위는 더 올라갈 것이다. 어부의 취미 버전인 낚싯꾼도 위험해서, 낚시는 일반 레저 중 사망률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렇게 상상을 초월하는 노동에 시달리지만, 그에 비해서 돈을 많이 받는 편은 아니다.

사실 선원 중에서 물고기를 잡는 어부, 특히 원양어선에 타는 선원은 화물선, 여객선이나 탱커선에 타는 데 비해 힘든 만큼 소득이 높긴 하다. 다만 착각해서는 안 될 것이 상선도 출신이나 선박, 선사에 따라 급여가 천차만별이다. 어선 역시 선종이나 어획량, 어종에 따라 급여가 천차만별이므로 상선보다 많은 급여를 받는 다고 생각한다면 오산이다.

보통은 어획량에 따라 선주, 선장, 항해사, 갑판장 등 보직에 따라 일정 비율로 소득을 나누는데, 웬만한 규모의 원양 어선 선장쯤 되면 만선을 연달아 할 경우 억대 이상 연봉을 바라볼수 있다. 영화 퍼펙트 스톰에서 고기 잡자고 폭풍 속에서 목숨 거는 어부들이 나오는데, 고기란 게 날마다 잘 잡히는게 아니고 만선이 되면 받는 돈도 크기 때문에 그렇다. 어부 관련 다큐를 보면 고기가 안 잡히거나 날씨 때문에 작업을 못하게 될 경우 말단 선원까지 우울해 하는걸 볼 수 있는데, 일반인들이 생각에는 쉬니까 좋을 것 같지만 어획량이 적으면 자연히 자기가 받을 돈도 줄어들기 때문이다.

힘들고 위험한 작업 환경 외에도 배 위에서의 생활은 다른 의미에서 위험한데, 사람이 죽어도 실족사인지 살인인지 알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배안의 각종 어구들이 다 흉기로 쓰일수 있고, 원양이나 악천후, 겨울철, 야간이라면 간단하게 뱃전에서 밀기만 해도 끝이다. 아무리 수영을 잘해도 물이 차면 저체온증으로 사망하며, 겨울철이라면 30분 이내에 사망한다. 20여 명 이하 타는 소형 어선도 물에서 높이가 있고 미끄러워 자력으로 배에 올라타기 힘들다. 이는 원양 어선에서 매우 심각한 문제인데, 경험자의 말을 들어보면 실종자는 사실 살해당한 것과 같다고 보면 될 정도다. 파도에 휩쓸려 수색을 했으나 찾지 못해 실종되었다고 하면 그만이기 때문에 당사자들이 입을 다물면 정말 바다에 빠져 실종된 것인지 살해당한 것인지 알 수 없게 된다. 매우매우매우 운이 좋아 손상되기 전에 시체를 찾았다 해도, 배 안에는 사고를 일으킬 위험한 기계나 도구가 널려 있기 때문에 그게 사고로 죽은 것인지 누가 바다로 밀었거나 때려 죽인 것인지 알아낼 방법이 없다. 게다가 선장은 항해 중인 배 안에서 발생한 형사 사건을 수사할 수 있는 권한이 있기 때문에 선장이 마음만 먹으면 조작은 식은 죽 먹기다.

이렇듯 힘든 환경 때문에 어부를 하려는 사람이 거의 없어서 항상 어선은 인력 부족에 시달린다. 그래서 요즘은 원양은 물론 연안 어선도 외국인 노동자들이 많다. 그러나 예전에는 이조차도 부족해서 빚쟁이나 밀입국 외국인 노동자들을 데려오기도 했다. 여기서 사채 쓰면 원양어선 탄다는 말이나 웰치스 괴담 등이 생겨났다.[2]

직업 현황[편집]

  • 향후 원양어부의 관련 직업인 어부 및 해녀의 일자리 규모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어획량 감소, 어업 비용 상승, 어업 종사자의 고령화, 저임금 외국인 근로자의 유입 등으로 어업 전반의 경영 악화가 심각해지면서 어부 및 해녀의 일자리는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3]

임금수준[편집]

  • 평균연봉: 2,443만원
  • 원양어부의 관련 직업인 어부및해녀의 평균연봉(중앙값)은 2,443만원으로, 조사 대상 전체 직업 평균연봉(중앙값)인 4,072만원과 비교하여 낮은 수준이다. [3]

문학 속의 어부[편집]

신약성서의 복음서에는 어부 베드로가 예수에게 "사람을 낚는 어부"로 부름을 받은 후 12재자중 1명이 되며, 헤밍웨이의 문학 작품인 노인과 바다에 나오는 주인공 산티아고는 어부이다.[1]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1.0 1.1 어부〉, 《위키백과》
  2. 2.0 2.1 어부〉, 《나무위키》
  3. 3.0 3.1  〈원양어부〉, 《커리어넷 직업백과》

참고자료[편집]

  • 어부〉, 《위키백과》
  • 어부〉, 《나무위키》
  • 원양어부〉, 《커리어넷 직업백과》

같이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어부 문서는 직업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