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빙하퇴적지형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빙하퇴적지형

빙하퇴적지형빙하의 움직임으로 퇴적작용이 작용하여 생기는 지형이다.

개요[편집]

  • 빙하퇴적지형은 운반된 암석의 부스러기가 퇴적되어 만들어진 지형으로서, 침식지형에 대조되는 용어이다. 퇴적지형의 표면은 일반적으로 평탄하지만, 오래되면 침식을 받아 복잡한 지형을 나타낸다. 충적평야가 있으며, 바람에 의한 사구, 빙하에 의한 퇴석구, 화산지형 등도 포함된다. 침식지형(浸蝕地形)에 대조되는 용어이며, 선상지 ·범람원 ·삼각주 ·호저평야(湖底平野) ·해안평야(海岸平野) 등의 충적평야가 있다. 또, 바람에 의하여 쌓인 사구(砂丘), 빙하에 의하여 운반 ·퇴적된 퇴석구(堆石丘), 화산작용에 의하여 형성된 화산지형 등의 지형도 포함된다. 퇴적지형의 표면은 일반적으로 평탄하고 원래의 퇴적면을 거의 그대로 나타내고 있으나 오래된 지형에서는 침식을 받게 되어 많은 침식곡에 의하여 복잡한 침식지형을 나타낸다.[1]
  • 빙하퇴적지형은 빙하가 이동 과정에서 이동에 장애가 되는 지형을 침식하기도 하고 침식된 물질을 운반하고 퇴적시켜 생기는 형성하는 빙하지형을 말한다. 대표적인 빙하퇴적지형에는 빙력토 평원, 빙퇴석, 에스커, 드럼린 등이 있다. 빙하는 눈이 녹지 않고 쌓여 다져진 거대한 얼음 덩어리로, 거대한 크기와 무게 때문에 속도는 느리지만 하천과 같이 낮은 곳으로 이동한다. 빙하지형은 현재 빙하가 분포하는 극지방과 고산 지역, 과거 빙기 때 빙하로 덮여 있던 지역에 분포하며, 크게 빙하 침식지형과 빙하퇴적지형으로 구분된다. [2]
  • 빙하퇴적지형은 빙하의 퇴적하에 생긴 지형이다. 빙하는 산에서 흘러 내려오는 동안 지면을 깎아 암설을 운반한다. 이렇게 운반되는 암설들은 빙하의 말단부 및 측부에 퇴적되게 되는데 이들을 모두 빙퇴석이라고 한다. 빙하의 침식력이 워낙 강해서, 집채만한 바위부터 모래나 점토까지 모두 운반하여 퇴적시키는 양상을 보인다. 빙하퇴적지형의 대표적인 예로 미국 동부 뉴욕주 남부의 롱아일랜드가 있다. 두 번의 빙하기에 걸쳐 북극에서 밀고 내려온 거대한 빙하가 퇴적물을 밀어내 형성된 이다. 빙하가 녹으면서 후퇴하게 될 때 빙하 속에 있던 빙력토가 그 자리에 남아 퇴적되면서 형성된 넓은 평야이다. 하계망 발달이 미약해 호소와 늪이 많이 분포해 있다. 내부에 분포하는 미지형으로는 케틀, 종퇴석, 에스커, 드럼린 등이 있다.[3]

퇴적작용[편집]

  • 퇴적작용(sedimentation,堆積作用)은 하천·파도·빙하·바람 등 자연의 힘에 의해 토사·암설 등이 쌓이게 하는 작용이다. 자연의 힘에 의해 토사 등의 물질이 이동하여 쌓이게 함으로써 지형을 형성하는 작용을 의미한다. 이러한 퇴적작용을 일으키는 자연의 힘에는 하천 등의 흐르는 물, 파도, 연안류, 조류(潮流), 빙하, 바람, 중력 등이 있다. 하천을 비롯한 흐르는 물에 의한 퇴적작용은 육지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일어나는 지형 형성 작용이다. 흐르는 물은 토사를 침식하여 운반하며, 운반한 토사를 어디엔가 퇴적시키는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지표면을 변화시키고 다양한 지형을 형성한다. 하천의 퇴적작용으로 만들어진 지형으로는 선상지, 범람원, 삼각주가 대표적이며, 이들을 가리켜 충적지형이라고도 한다. 또한 하천에 의한 퇴적작용은 해안평야나 곡저평야(谷底平野) 등을 형성하는 데에 역할을 하기도 한다. 파도나 연안류에 의한 퇴적작용은 해안에 모래나 자갈 등을 퇴적시켜 사빈(沙濱), 사주(砂洲), 사취(砂嘴) 등의 해안 퇴적지형을 만든다. 조류의 퇴적작용에 의한 지형으로는 갯벌이 대표적이다.
  • 빙하는 이동과 함께 많은 양의 퇴석(堆石)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퇴적작용을 일으키는데, 이때 종퇴석(end moraine), 드럼린(drumlin), 에스커(esker) 등의 각종 빙하 퇴적지형을 형성한다. 또한 빙하의 퇴적작용에 의해 형성된 넓은 평원을 빙력토 평원(氷礫土平原)이라고 한다. 바람의 퇴적작용은 주로 건조기후 지역에서 탁월하며, 바르한(Barchan), 횡사구(橫砂丘), 종사구(縱砂丘) 등 각종 사구 지형이 대표적이다. 해안의 모래도 바람의 퇴적작용에 의해 사구를 형성하는데, 이를 해안사구라 한다. 또한 바람은 황토(黃土)로 불리는 뢰스(loess)를 퇴적시켜 거대한 규모의 뢰스층을 형성하기도 한다. 중국의 황토고원과 유럽, 북아메리카의 뢰스층이 유명하다. 중력에 의한 퇴적작용으로는 바위 절벽 밑에 암설이 떨어져 형성되는 애추(崖錐) 등이 있다. 퇴적작용의 결과로 형성된 퇴적층이 오랜 세월을 지나면서 고화(固化)되면 퇴적암이 형성된다. 퇴적암은 지표면을 구성하는 암석 중 가장 비율이 높으며, 퇴적암의 조직·구조, 화석의 함유 등을 통해 퇴적된 당시의 지리적·지형적 환경을 알 수 있다.[4]

빙하퇴적지형의 종류[편집]

  • 드럼린(drumlin)은 빙하의 흐름 방향을 따라 빙하 밑 지면에 형성된 언덕 모양의 빙하퇴적지형. 빙퇴구(氷堆丘)라고도 한다. 빙하의 이동에 따라 빙하의 하층부에서는 빙하가 이동하며 퇴적시킨 암석과 토양들이 특이한 지형들을 형성하는데, 이중 빙하의 흐름 방향으로 마치 숟가락을 엎어 놓은 듯한 언덕들을 드럼린이라고 한다. 주로 빙력토 평원에서 암석, 자갈, 토양물질 등으로 이루어진 빙퇴석 가까이에 나타난다. 빙하의 상류 쪽은 뭉툭한 모양으로 언덕 경사가 급한 편이며, 하류 쪽은 반대로 뾰족한 모양으로 경사가 완만한 특징을 갖는다. 길이는 보통 수백 미터에서 긴 것은 1~2km, 폭은 400~600m, 높이는 15~30m 가량에 이르며, 구성물질은 빙하에 의해 운반된 퇴석(boulder clay)들이다. 드럼린은 높이가 낮은 언덕으로 주로 농경지로 이용되며, 하늘에서 보면 수백 개의 타원형의 농경지가 펼쳐져 독특한 경관을 연출한다. 가장 전형적으로 발달되어 있는 곳은 아일랜드 북부의 다운(Down) 지방으로, 드럼린이란 용어도 '작은 산등성이’를 뜻하는 아일랜드어에서 유래하였다. 이밖에 북부 잉글랜드와 독일 북부, 알프스 일대, 그리고 미국의 뉴잉글랜드와 위스콘신주 및 온타리오호 남부에도 많이 분포되어 있다.
  • 빙퇴석은 빙하가 골짜기를 깎으면서 운반해 온 암석·자갈토사 등이 퇴적되어 만들어진 지형이다. 지형학상의 정의로는 돌무더기 모양의 지형을 가리킨다. 빙퇴석의 입자는 실트 모양의 것부터 거암까지 그 크기가 다양하다. 빙하는 이동하면서 지표면을 침식하여 많은 암석, 자갈, 토양 등이 빙하 속에 포함되어 함께 이동하도록 한다. 이렇게 빙하 속에서 운반되던 각종 암설(岩屑)들은 빙하가 녹으면서 특정 위치에 쌓이게 되어 퇴적층 또는 퇴적지형을 형성하는데, 이와 같이 빙하 속에 포함되어 있는 암설과 또는 빙하가 사라진 후 쌓인 빙하에 의한 퇴적층 등을 모두 포함하여 빙퇴석이라고 한다. 빙퇴석은 특정 위치에 큰 규모로 쌓여 나타나는 경우가 많은데, 골짜기의 측면에 연속적으로 퇴적된 것을 측퇴석(lateral moraine), 두 개의 곡빙하가 합류하면서 중앙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퇴석을 중앙퇴석(medial moraine), 또 빙하의 말단부에서 빙하가 녹으면서 끝부분에 쌓인 것을 종퇴석(end moraine)이라고 한다. 빙하가 전진하는 속도보다 빨리 녹아서 후퇴하면서 쌓이는 퇴적층을 저퇴석(低堆石, 영어: ground moraine)이라고 한다. 저퇴석은 빙하의 아랫부분에서 퇴적된 것이다.
  • 에스커는 빙하의 말단 부근에서 빙하 아래의 융빙수를 따라 퇴적된 긴 언덕이다. 빙하가 아니라 유수가 퇴적시키는 지형이므로 분급(分級)이 양호하며, 유수의 흐름에 따라 구불구불한 모양으로 생겨나기도 한다. 거대한 빙하의 밑으로는 얼음이 녹은 물이 흐르며 하천을 이루기도 하는데, 이러한 하천은 빙하 밑으로 얼음터널을 뚫고 흐르게 된다. 이러한 융빙수에 의한 하천은 일반 하천과 마찬가지로 지표면을 흐르는 과정에서 토사를 침식하고 운반하며 퇴적시키는데, 이로 인해 얼음터널을 따라 하천이 운반ㆍ퇴적한 퇴적물이 길게 쌓이게 된다. 이후 기온상승 등으로 빙하가 후퇴하여 사라지면, 지표면에는 빙하 밑을 흐르던 하천의 퇴적작용에 의해 생긴 제방(bank) 모양의 지형이 남게 되는데, 이를 에스커라 한다. 이는 능선을 뜻하는 아일랜드어에서 유래하였다. 에스커는 빙하 밑 융빙수 하천의 바닥, 하상(河床)의 위치에 해당하며, 일반 하천의 하상과 달리 하천의 위가 빙하로 덮여있었기 때문에 터널 모양의 단면으로 나타난다.
  • 빙력토평원은 빙하에 의해 운반되어 온 커다란 암괴가 빙력토평원 위에 놓여 있는 것을 말한다. 즉 빙하가 운반해 놓은 다양한 퇴적물들이 쌓여 있는 평원을 말한다. 이러한 표석은 후에 빙하가 다 사라져도 과거 빙하작용이 있었다는 증거가 된다. 실제로 유럽에서 발견된 이들 표석은 빙하지형을 연구하게 된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빙하에 의한 침식과 퇴적작용은 북반구의 각 대륙에서 표면지형에 큰 영향을 끼쳤다. 북아메리카는 가장 최근의 7천 년~1만 년 전에 일어난 것을 포함하여 네 차례의 빙하기 영향을 받았다. 거대한 빙하가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릴 때에는 막대한 압력이 생기기 때문에 이것이 바위의 표면을 깎아 내어 빙하와 함께 흘러내린다. 빙하가 흐른 지역은 대체로 토층이 단단한 평탄지로 되는데, 이것을 빙력토평원(氷礫土平原)이라고 한다. 빙하가 더 이상 흐르지 못하고 그 자리에서 녹으면 머리 부분에 반원형의 종퇴석(종퇴석)을 남긴다. 빙하가 녹으면서 함유하였던 토사가 흘러 빙하성 유수퇴적층 모재가 되면서 여러 가지 독특한 지형을 이룬다. 빙하퇴모재(氷河堆母材)의 광물은 빙하에 의하여 영러 가지 암석이 깎여 합쳐진 것이기 때문에 일정한 조성을 갖지 않는다.

침식지형[편집]

  • 침식지형(erosional forms,浸蝕地形)은 하천·파도·빙하·바람 등의 침식작용에 의해 형성된 지형이다. 이들의 침식 과정에서 발생한 물질들이 운반·퇴적되어 형성된 지형인 퇴적지형과 상대적인 용어이다. 또한 침식지형과 퇴적지형은 태양에너지를 근간으로 하는 외적작용(exogenous process)에 의해 형성된 지형들로, 조륙·조산운동 등 지구 내부에너지에 의한 내적작용(endogenous process)으로 형성되는 구조지형(tectonic form)과 대비된다. 일반적으로 침식 및 퇴적지형은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아 소지형(micromorphology), 구조지형은 규모가 크기 때문에 대지형(major landforms)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침식지형은 외적작용에 의한 지형 형성의 가장 기본을 이루는 지형이다.

퇴적지형[편집]

  • 퇴적지형(sedimentary topography,堆積地形)은 운반된 암석의 부스러기가 퇴적되어 만들어진 지형이다. 퇴적지형의 표면은 일반적으로 평탄하지만, 오래되면 침식을 받아 복잡한 지형을 나타낸다. 충적평야가 있으며, 바람에 의한 사구, 빙하에 의한 퇴석구, 화산지형 등도 포함된다. 침식지형(浸蝕地形)에 대조되는 용어이며, 선상지 ·범람원 ·삼각주 ·호저평야(湖底平野) ·해안평야(海岸平野) 등의 충적평야가 있다. 또, 바람에 의하여 쌓인 사구(砂丘), 빙하에 의하여 운반 ·퇴적된 퇴석구(堆石丘), 화산작용에 의하여 형성된 화산지형 등의 지형도 포함된다. 퇴적지형의 표면은 일반적으로 평탄하고 원래의 퇴적면을 거의 그대로 나타내고 있으나 오래된 지형에서는 침식을 받게 되어 많은 침식곡에 의하여 복잡한 침식지형을 나타낸다.

소지형[편집]

  • 소지형(micro morphology,小地形)은 침식이나 퇴적과 같이 외적으로 지형에 변화를 주는 힘을 받아서 생긴 작은 규모의 지형을 말한다. 지구 내부의 힘을 받아서 만들어진 대지형에 대응되는 말이며, 소지형의 대표적인 예로는 선상지, 삼각주, 협곡, 빙식지형 등이 있다. 주로 지구 내부로부터의 영력에 의해 형성된 대지형(大地形)에 대응되며, 하천 침식에 의해서 생긴 V자곡 ·협곡이나 곡류(曲流) 등의 하식(河蝕)지형, 하천의 퇴적작용으로 생긴 선상지(扇狀地) ·범람원(氾濫原) ·삼각주 ·자연제방 등이 대표적인 것이다. 그 밖에 빙하의 침식에 의한 빙식지형, 빙하의 운반작용으로 퇴적되어 생긴 지형, 풍식(風蝕)에 의한 지형, 파도나 연안류(沿岸流)에 의한 해안지형 등도 이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새로운 지형이 많으며, 평야나 대지(臺地)를 형성한다.

빙하의 직접퇴적지형[편집]

  • 종퇴석은 빙하가 운동력을 잃으면 각력들은 빙하의 말단부에 횡단하는 열을 이루며 퇴적하여 종퇴석이 된다. 빙력토 평원의 한계에 해당한다. 빙상이 후퇴하다가 일시적으로 정지할 때 형성되는 소규모 종퇴석은 후퇴퇴석이라고 부른다. 드럼린은 저퇴석이 쌓여 이루어진 언덕으로 숟가락을 엎어 놓은 모양을 보인다. 상류는 경사가 급하고 뭉뚝한 반면, 하류는 경사가 완만하고 뾰족해 빙하의 이동방향 파악할 수 있다.

빙하의 간접퇴적지형[편집]

  • 에스커는 빙하의 밑에 있는 얼음터널에 흐르는 융빙수의 퇴적작용으로 생긴 둑 모양의 지형이다. 분급이 양호하게 나타난다. 빙하성 유수퇴적평야는 빙하 말단에서 흘러내리는 융빙수 하천이 퇴적물을 빙하 전면에 쌓아서 형성한 선상지 평야를 말한다. 분급은 양호하고 망류하천이 발달하며 케틀이 분포한다. 빙하성 호소퇴적평야는 빙하가 기존 하계를 가로막음으로써 빙하 전면에 호소를 만들고, 그 호소의 퇴적물로 형성된 평야를 말한다. 본 평야에서는 대체로 점토와 실트로 구성되는데, 여름철에는 실트(조립질)가, 겨울철에는 점토(미립질)가 퇴적되어 빙호(氷縞)가 형성되어 나이테와 유사한 형태를 보인다.

빙하퇴적물[편집]

  • 빙하가 운반하여 퇴적시킨 암석 쇄설물을 말한다. 빙하가 침식 지역을 지나 쇠퇴지역에 다다르면 얼음이 녹아 운반해온 퇴적물을 퇴적시킨다. 빙하의 후퇴와 함께 퇴적 장소로 이동되며 지표에 빙성 퇴적물을 남긴다. 빙하에 포함되어 매우 먼 곳에 운반된 암석을 미아석이라고 한다. 빙하퇴적 지형에는 빙하가 직접 퇴적하여 형성한 것과, 융빙수의 퇴적작용에 의하여 형성된 것이 있으나 경사가 완만하고 비옥하여 지금은 경작지로 이용되는 경우도 많다.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퇴적지형(sedimentary topography,堆積地形)〉, 《두산백과》
  2. 빙하에 의한 퇴적지형〉, 《두산백과》
  3. 빙하〉, 《나무위키》
  4. 퇴적작용(sedimentation,堆積作用)〉, 《두산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빙하퇴적지형 문서는 지형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