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소모대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집적대

소모대(消耗帶)는 생성된 곡빙하가 융해되어 소멸되는 지역을 가리킨다.

빙하[편집]

  • 빙하는 천천히 움직이는 거대한 얼음덩어리로, 중력과 높은 압력으로 천천히 흘러내린 눈으로부터 형성된 것을 말한다. 빙하의 얼음은 지구에서 가장 큰 민물을 담고 있는 영역이며 지구상의 모든 물에서 가장 크다고 하는 바다 다음으로 크다. 빙하는 넓은 영역의 극권을 덮고 있지만 열대 지방에서는 가장 높은 산에만 한정되어 있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빙하는 융해와 동결을 되풀이하며 주로 네베라 불리는 눈을 이루고 있다. 이 눈은 일상적인 눈으로 취급한다. 이 빙하의 얼음은 얼음과 설층 아래에서 압력을 받아 융해하여 얼음 알갱이로 바뀐다. 이 알갱이 층은 일정한 세월이 흐르면 한층 더 압축되어 빙하의 얼음(glacial ice)이 된다. 게다가 눈의 온도에 변화가 있으면 수 시간에 걸쳐 각 표면에 울퉁불퉁한 결정으로 성질이 바뀌기 시작한다.[1]

곡빙하의 소모대[편집]

  • 곡빙하는 설선을 경계로 얼음을 공급하는 권곡부의 집적대(集積帶, zone of accumulation)와 그 아래의 소모대(消耗帶, zone of ablation)로 나뉜다. 빙하의 소모(ablation)란 융해 • 증발 • 승화에 의해 빙체가 축소되는 현상을 가리킨다. 빙하는 집적대에서 소모대로 계속 움직이지만 단기적으로는 말단부(snout표는 terminus)가 대체로 한 자리에 고정되어 있다. 그 까닭은 집적대로부터 공급되는 얼음의 양과 소모대에서 녹아 없어지는 얼음의 양이 동일하게 유지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강설량의 증감, 기온의 승강 등 기후변동으로 얼음의 집적량과 소모량 간의 균형이 깨지면, 빙하의 말단부는 전진하거나 후퇴한다. 빙하의 전진과 후퇴는 혼히 기후변동의 증거로 제시된다.
  • 권곡빙하는 와지, 만년설에 의해 발달되며 북사면, 바람그늘 사면에 잘 형성된다. 권곡의 문턱은 설선과 일치하다. 크레바스는 얼음이 깨져서 생긴 틈인데 곡빙하가 권곡의 문턱을 넘을 때나 골짜기의 모양에 따라 아래로 흘러내리면서 방향을 틀 때 생성된다. 곡빙하는 설선을 경계로, 집적대(얼음을 공급하는 권곡부)와 그 아래 소모대로 나뉘는데 빙하의 소모는 융해·증발·승화에 의한 빙체 축소 현상. 빙하는 말단부가 고정되어있다. 곡빙하는 집적대로부터 공급되는 얼음의 양과 소모대에서 녹아 없어지는 얼음의 양이 동일하게 유지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강설량의 증감, 기온의 승강 등 기후변동으로 얼음의 집적량과 소모량 간의 균형이 깨지면, 빙하의 말단부는 전진하거나 후퇴한다. 이것이 바로 기후변동의 증거이다. 곡빙하는 중위도와 고위도의 고산지대에 주로 분포한다.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빙하〉, 《위키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의견.png 이 소모대 문서는 지형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