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곡빙하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곡빙하

곡빙하(谷氷河)는 높은 산 골짜기에 발달한 빙하로 알프스형이라고도 한다. 얼음두께가 약 30m에 달하면 전체가 천천히 흘러내리는데, 이동하면서 침식과 퇴석을 운반한다.

개요[편집]

  • 곡빙하는 알프스형 빙하라고도 한다. 길이 수 km에서 10km의 것이 아주 천천히 이동한다. 얼음두께가 약 30m에 달하면 전체가 천천히 골짜기를 흘러내리게 되며 선단(先端)이 설선(雪線)에 이르면 융해하여 소실된다. 이동속도는 알프스산맥에서 1년에 40∼200m, 히말라야산맥에서는 1년에 700∼1300m이며, 여름이 겨울보다, 밤보다 낮 동안이 빠르다. 세계에서 이동속도가 가장 빠른 빙하는 알래스카의 블랙래피즈(Black Rapids)빙하로, 하루 평균 34.5m(1936∼1937)를 이동하였다. 곡빙하는 이동할 때 골짜기 밑이나 측벽을 깎는 등의 침식을 하여, 많은 퇴석(堆石)을 운반한다. 곡빙하가 지나가고 나면, 산허리에 빙식곡인 U자곡을 만들어, 현곡(懸谷)을 형성하며, 골짜기 밑에는 퇴석구(堆石丘) 등을 만든다. 또 경사나 곡폭의 급변부에는 크레바스가 생기는 경우가 많다. 곡빙하 말단은 저위도에서 4,000∼5,000m, 고위도의 알래스카 등지에서는 해안 가까이까지 달한다.[1]
  • 곡빙하는 산의 계곡을 흐르는 빙하이다. 길이 수 km에서 10km의 빙하가 천천히 이동하며 골짜기 밑이나 측벽을 침식하고 퇴석(堆石)을 운반한다. 곡빙하가 지나간 자리에는 U자곡, 현곡(懸谷)을 형성한다. 물은 미세한 경사만 있어도 낮은 곳으로 흐르기 때문에 홍수가 나지 않는 이상 하곡을 가득 채우고 흐르는 일이 거의 없다. 즉, 하곡의 수량은 강수량에 의해 결정이 되며 평상시에는 그 수량이 많지 않은 것이 보통이다. 그러므로 하천의 침식능력은 그다지 크지 않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물은 액체이기 때문에 고체 상태의 암반을 침식하거나 암설들을 운반하는 능력도 떨어진다. 따라서 하천은 하곡의 중심, 즉 가장 낮은 부분을 중심으로 침식력을 발휘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하곡의 형태는 V자형이 된다. 하지만 얼음은 경사가 심한 경우에도 상당한 무게가 되기 전에는 움직일 수가 없다. 따라서 계곡을 빙하가 가득 채우기 전까지는 쉽게 움직이지 않는다. 곡빙하의 표면 높이가 하천 수위에 비해 훨씬 높은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그러므로 빙하는 엄청난 침식 능력을 갖는다. 속도는 느리지만 그 침식능력은 하천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빙하가 계곡을 가득 채우고 이동할 때 계곡 전체를 커다른 U자 모양으로 침식하게 되는데 이러한 빙식곡(氷蝕谷)을 U자곡이라고 한다. 곡빙하는 흐르는 속도가 중앙의 상층부가 가장 빠르고 기반암에 가까울수록 느리다.

빙식작용[편집]

  • 빙식작용(氷蝕作用)은 빙하에 의해 기반암석이 침식되는 작용을 말한다. 빙하 주변이나 바닥에서는 동결에 의한 파쇄작용이 있고, 빙하의 이동에 의한 연마작용이 있다. 매우 강력하게 육지의 기복을 깎아 평탄한 지형을 만드나, 하식(河蝕)작용에 비해 한정된 지역에 존재한다. 크레바스, 빙하찰흔, 양배암 등을 볼 수 있고, U자곡과 카르의 지형이 만들어진다. 특징적인 빙식지형을 만든다. 즉, 빙식작용은 크레바스(베르크슈르트라고도 한다)의 밑바닥에서 융빙수(融氷水)의 동결에 의해 행하여지는 파쇄작용과, 빙하의 유동에 따라 이루어지는 연마작용의 두 가지 방법으로 기반암석(基盤岩石)을 침식한다. 이 작용은 대단히 두드러진 것으로, 홍적세에 빙하가 넓은 지역에 걸쳐 발달하고 있었던 고위도지방이나 높은 산에는 현재 뚜렷한 빙식지형이 널리 존재한다. 그러나 빙하는 육지면의 한정된 지역만을 뒤덮고 있기 때문에 빙식작용은 하식작용(河蝕作用)에 비해서 양적으로는 미치지 못한다.
  • 융빙수의 서리(霜) 작용에 의한 파쇄작용은 빙하 주변이나 바닥에서 행하여진다. 이것은 낮과 밤의 기온차로 인해서 빙하의 일부가 융해·동결을 반복하여 쐐기로 가르듯 격렬한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곡빙하의 두부(頭部)에는 깊은 호상(弧狀)의 크레바스가 생성되는데, 이 부분에서는 특히 격렬한 파쇄작용이 행하여져서 깎아지른 듯한 벼랑이 형성된다. 빙하는 주위의 암벽으로부터 낙하한 암설(岩屑)이나 파쇄에 의해서 얻은 파쇄편을 대량으로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빙하가 유동하는 경우에는 거대한 줄과 같은 작용을 한다. 이 때문에 기반암석은 닳아서 반들반들해지고, 빙하찰흔(氷河擦痕)이나 홈이 팬다. 이리하여 빙하가 녹아 없어진 뒤에는 기복(起伏)이 온통 깎이고, 표토가 벗겨지고 매끄러운 암석상(岩石床)이 노출하여 형성된 이른바 양배암(羊背岩)을 볼 수 있다.
  • 곡빙하가 흘러내린 뒤에는 깊이 팬 U자곡을 형성하고, 곡두부에는 크레바스에 의해 절단된 절벽이 카르로 남게 된다. 카르에 의해 둘러싸인 산정부(山頂部)는 알프스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톱니 모양의 산릉 또는 날카롭고 뾰족한 봉우리가 된다. 대륙빙하의 빙식작용은 대단히 강력하여, 육지의 기복을 깎아버리고 평탄한 지형을 만든다.

권곡빙하[편집]

  • 권곡빙하(圈谷氷河)는 빙식곡의 상부에 있는 반원형의 권곡 내에 집적된 비교적 작은 크기의 빙하이다. 대부분 곡빙하로 연결되고 일부 고립되어 있기도 하다. 대부분의 경우 곡빙하로 연결되어 있지만, 일부는 권곡 내에 고립되어 있으면서 빙설(氷雪)로 존재하기도 한다. 미국 서부에 있는 산맥에서 가장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빙하의 형태이다.

산악빙하[편집]

  • 산악빙하(山岳氷河)는 대륙빙하에 대응하여, 고산지방에 발달한 빙하를 지칭한다. 산지지형에 형태와 운동상태가 결정되며, 곡빙하, 카르빙하, 산록빙하, 빙모(氷帽) 등이 있다. 대륙빙하에 대응하는 말이다. 빙하의 형태나 운동은 산지 지형에 의하여 지배되며 곡빙하 ·카르빙하(圈谷氷河) ·산록빙하 ·빙모(氷帽) 등의 종류가 있다. 곡빙하는 골짜기를 따라 이동하며, 수지상(樹枝狀) 빙하와 알프스형 빙하로 나뉜다. 산록빙하는 곡빙하가 산록에서 에이프런 모양으로 복합한 것이며, 알래스카에서 전형적으로 발달하기 때문에 알래스카형 빙하라고도 한다. 권곡빙하는 산꼭대기 부근에 쌓인 만년설(萬年雪)로부터 발달한 것이다.

측방퇴석[편집]

  • 측방퇴석(lateral moraine,側方堆石)은 빙퇴석의 하나로, 곡빙하 양쪽에서 빙하의 이동과 함께 곡벽을 깎아내어 빙하 속에 섞여 운반되는 퇴석을 가리킨다. 빙하가 사라지면, 골짜기 양쪽에 퇴적하여 구릉상(丘陵狀)이나 단구상(段丘狀)의 지형을 형성한다.

권곡빙하와 곡빙하[편집]

  • 권곡빙하는 와지, 만년설에 의해 발달되며 북사면, 바람그늘 사면에 잘 형성된다. 권곡의 문턱은 설선과 일치하다. 크레바스는 얼음이 깨져서 생긴 틈인데 곡빙하가 권곡의 문턱을 넘을 때나 골짜기의 모양에 따라 아래로 흘러내리면서 방향을 틀 때 생성된다. 곡빙하는 설선을 경계로, 집적대(얼음을 공급하는 권곡부)와 그 아래 소모대로 나뉘는데 빙하의 소모는 융해·증발·승화에 의한 빙체 축소 현상. 빙하는 말단부가 고정되어있다. 곡빙하는 집적대로부터 공급되는 얼음의 양과 소모대에서 녹아 없어지는 얼음의 양이 동일하게 유지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강설량의 증감, 기온의 승강 등 기후변동으로 얼음의 집적량과 소모량 간의 균형이 깨지면, 빙하의 말단부는 전진하거나 후퇴한다. 이것이 바로 기후변동의 증거이다. 곡빙하는 중위도와 고위도의 고산지대에 주로 분포한다. 그 크기는 집적대, 즉 설원의 규모에 비례한다. 산록빙하는 곡빙하가 산지에서 저지대로 흘러오면서 옆으로 퍼지고 합쳐지는 것이다.
  • 기온의 하강 또는 강설량의 증가로 설원의 적설량이 많아지면, 권곡빙하는 설선 아래로 흘러내리면서 곡빙하(谷氷河, valley glacier)를 이루게 된다. 알프스 • 히말라야 • 로키산맥을 비롯한 고산지대의 곡빙하는 두께가 대개 300~600m인 것으로 알려졌다. 곡빙하의 표면에는 얼음이 깨져서 생긴 틈이 많으며, 높은 산을 오르는 산악인들은 이를 두려워한다. 크레바스(crevasse)라 불리는 이러한 틈은 곡빙하가 권곡의 문턱을 넘을 때니 골짜기의 모양에 따라 아래로 흘러내리면서 방향을 틀 때 생긴다. 설선 아래에서는 크레바스가 많은 데다가 겨울에 내린 눈이 얼음의 일부와 함께 여름에 녹아버리기 때문에 빙하의 표면이 매우 거칠어지고, 횡단면이 볼록해진다. 산정부의 사면에서 설식에 의해 큰 와지가 파이고, 이곳에 만년설이 두껍게 쌓이면 권곡빙하(圈谷氷河, cirque glacier)가 발달한다. 권곡빙하는 잔설이 많은 북사면이나 바람그늘 사면에 잘 형성된다. 권곡빙하는 설식에 의한 와지를 반원극장 모양으로 크고 움푹하게 확장시켜 놓는데, 어떤 것은 권곡이라고 불리우는 이러한 와지 안에 머물러 있고, 어 떤 것은 이로부터 혓바닥 모양으로 약간 흘러넘친 상태에 있다. 권 곡빙하의 표면은 만년설이 쌓이는 설원(雪原, firn field 또는 névé field)으로서 횡단면이 오목하고 매끈하며, 권곡의 문턱은 대략 설 선과 일치한다.
  • 곡빙하는 설선을 경계로 얼음을 공급하는 권곡부의 집적대(集積帶, zone of accumulation)와 그 아래의 소모대(消耗帶, zone of ablation)로 나뉜다. 빙하의 소모(ablation)란 융해 • 증발 • 승화에 의해 빙체가 축소되는 현상을 가리킨다. 빙하는 집적대에서 소모대로 계속 움직이지만 단기적으로는 말단부(snout표는 terminus)가 대체로 한 자리에 고정되어 있다. 그 까닭은 집적대로부터 공급되는 얼음의 양과 소모대에서 녹아 없어지는 얼음의 양이 동일하게 유지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강설량의 증감, 기온의 승강 등 기후변동으로 얼음의 집적량과 소모량 간의 균형이 깨지면, 빙하의 말단부는 전진하거나 후퇴한다. 빙하의 전진과 후퇴는 혼히 기후변동의 증거로 제시된다. 1450~1850년간의 소빙기(小氷期)에 는 알프스 산지의 곡빙하가 지금보다 훨씬 아래로 내려왔었다.
  • 곡빙하는 중위도와 고위도의 고산지대에 주로 분포한다. 알래스카만에 면한 알래스카와 캐나다의 높은 산지는 강설량이 많아 곡빙하의 발달이 매우 탁월한데, 특히 캐나다의 로간산(6,050m)에서는 길이가 100km 내외에 이르는 거대한 허바드빙하와 로간빙하가 흘러내린다. 이러한 곡빙하는 크고 작은 지류 빙하를 많이 합하며, 전체적으로 집적대가 매우 넓다. 곡빙하의 크기는 집적대, 즉 설원의 규모에 비례한다. 대단히 큰 일련의 곡빙하가 험준한 산지에서 저지대로 흘러나 오면서 옆으로 퍼지고 합쳐지면 산록빙하(山麓氷河, piedmont glacier)가 형성된다. 너비 50km, 길이 40km의 광활한 빙원(氷原)인 말라스피나빙하(Malaspma Glacier)는 대표적인 산록빙하이다. 이 산록빙하는 알래스카와 캐나다에 걸친 세 인트엘리아스산(5,489m)을 중심한 알래스카만의 배후산지에서 해 안으로 흘러내리는 여러 곡빙하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알레치 빙하[편집]

  • 알레치 빙하(Aletsch Glacier) 또는 알레치 글레처(Aletschgletscher)는 스위스 발레주에 있는 알프스산맥 최대의 빙하이다. 유라시아 대륙의 서쪽 절반에서도 최대로 손꼽힌다. 스위스 발레주의 동부 베른 알프스에 위치하며 북쪽은 융프라우에, 남쪽은 마사강의 협곡군을 경유하여 론강에, 동쪽은 메르옐렌제 호수(Märjelensee)에, 서쪽은 알레치호른에 각각 둘러싸여 있다. 다른 빙하를 포함한 전체 지역은 2001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융프라우-알레치 보호구역의 일부이다.

시아첸빙하[편집]

  • 시아첸빙하(Siachen Glacier)는 카슈미르의 카라코람(Karakoram)산맥에 있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긴 곡빙하(谷氷河)이다. 인도파키스탄의 영유권 분쟁이 있는 카슈미르 지방의 카라코람산맥에 위치한 곡빙하이다. 길이는 약 70여km로, 파미르고원의 펫첸코(Fedchenko) 빙하(약 77km)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긴 규모이다. 잠무카슈미르(Jammu and Kashmir)에 속해 있으며, 카라코람산맥의 주맥(主脈)과 카일라스(Kailas) 카라코람 사이의 계곡에 위치한다. 해발 5500~6700m의 고봉들에 둘러싸여 있으며, 유라시아 판(Eurasian Plate)과 인도 아대륙(Indian subcontinent)의 분수계 바로 남쪽에서 시작되어 북서에서 남동 방향으로 뻗어있다. 겨울 기온이 영하 50~60℃까지 내려가며, 지형성 강설로 겨울철 평균 강설량은 1000㎝가 넘는다. 급한 경사 지형과 많은 적설량으로 인해 빙하는 계곡을 타고 빠르게 흐르며, 하류로 내려가면서 녹은 상태로 여러 지류를 지나 파키스탄에 위치한 인더스강(江)으로 흘러간다. 극한 지형과 기후로 인해 사람이 거주하지 않는 오지인 데다 기압도 낮고 산소도 부족한 고산지대로, 실제로 사람이 살기에는 매우 힘든 환경이다. 세계 최대 규모의 곡빙하로서 지형적·과학적 가치로 인해 전 세계의 등반가 및 산악인, 트래킹 여행객들이 찾는 명소가 되었다.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곡빙하(valley glacier,谷氷河)〉, 《두산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곡빙하 문서는 지형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